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이벤트 참여태도에 따른 문화이벤트 만족도 및 충성도

        김은진(Kim, Eun Jin),이희정(Lee, Hee Jung),윤유식(Yoon, Yoo Shi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본 연구는 문화이벤트 태도에 따른 문화이벤트 참여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최근 다양한 문화이벤트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는 문화이벤트 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문화이벤트 참가자가 어떠한 생각과 태도를 보이는 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문화이벤트 구성과 기획을 위한 활용자료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융합적 연구활동을 통해 참가자의 다양한 욕구와 요구에 맞는 문화이벤트 프로그램 구성과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어떠한 요소가 문화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이벤트 관여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서울지역 문화이벤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문화이벤트의 태도에서 자기성찰과 지식습득, 자부심과 성취감, 스트레스 해소 및 도전 등이 문화이벤트 참여만족도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며 문화이벤트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이벤트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구성과 컨텐츠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ttitude of cultural events that affec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ultural events. Although cultural events are increasingly important with its positive impact on event participants, the existing literature on cultural event is sparse. This study, thus, investigates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events’ involvement in a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of cultural event and participations" satisfaction and loyalty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The survey was undertaken of participants to cultural events in Seoul, resulting in 513 valid responses.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of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four different factors of cultural event attitude were identified and those factors affec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ultural ev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support that there were moderated effects of cultural event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event attitude and satisfaction and loyalty. M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효과적인 문화이벤트를 위한 EIP(Event Identity Program)에 관한 연구

        장순석,김민지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200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12 No.-

        현대의 고도로 발전된 과학기술은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세계를 정보화, 글로벌화 사회로 만들었다. 이에 따라 물질적·정신적 요유와 충족감을 누리게 된 현대인들은 보다 고차원적인 정신적·문화적 욕구의 충족을 지향하게되었으나, 매스미디러오부터 나오는 일방적이며, 수용자의 입장을 무시하는 감동 없는 엄청난 양의 정보는 이러한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 또한 현저히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에 이벤트는 종래의 대중매체가 커버할 수없는 쌍항?? 커뮤니케이션(Two-way Communication)을 가능하게 하는 교감의 장을 형성하며, 특히 문화이벤트는 현대사회가 성숙사회로 이행되면서 생활자가 물질적 충족보다는 정신적 충족에 대한 욕구를 추구함에 따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벤트의 시대'를 맞이하여, 이벤트의 컨셉과 목표를 시각적으로 일체 시켜 리드해 나가는 EIP(Event Identity Program)은 이벤트의 인상적인 이미지와 강한 상징성의 표출로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증진시켜 효과적인 이벤트를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인간의 감성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는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문화적 감성'을 발굴해 문화 이벤트를 위한 EI(Event Identity)에 반영하면 이벤트(지역)의 의미·가치관등을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문화 이벤트의 특성을 잘 살려주어 친근감으로 대중들의 참여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통일화되고 체계적인 EIP(Event Identity Program)의 사용은 이벤트 컨셉과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시켜, 효과적인 지역 문화 이벤트를 수행하게 해준다. 이에 이벤트의 단순한 부분집합 영역으로서의 EIP(Event Identity Program)가 아닌 이벤트 기획으로부터 총체적 이미지 통합 작업, 관리에 이르기까지를 총괄하며, 미래의 복합적 커뮤니케이션 전반을 리드해 나아가는 주체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문화 이벤트에서의 EIP(Event Identity Program)의 효과적인 전개를 위해 감성적 문화 이벤트 아이덴티티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문화 이벤트 아이덴티티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Highly developed modem technology made the world as a society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by the help of network evolution. As a result, people who could experience the physical and spiritual pleasure and satisfaction desired to undergo higher dimension of spiritual and cultural desire. However, the information from the mass media which is only one-way and does not give impressiveness but hugh amount of itself to receiver could not satisfy the desire of modem people and moreover the effectiveness to the people is rapidly going down. In this era, event have become a place of two-way communication which could not be covered by the hitherto media and especially culture event is now getting spot lights as the modem society shifting to mature community and customer pursuing the desire of spiritual satisfaction rather than physical satisfaction. Confronting, "the era of event", EIP(Event Identity Program) which leads the concept and object as a visual unification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 event by expressing impressive image and strong symbolism and communicating with the general public. Specially, if 'cultural emotion', a very important element in human emotion, which is brought by considering cultural circumstance, can be reflected to the EI(Event Identity) for culture event, it can effectively communicate the meaning of the event and easily induce the attendance of public by expressing the attribute of the local culture event in order to have intimacy. Moreover usage of unified and systematic EIP(Event Identity Program) magnifi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cept of event and the mass of people and performs an effective local culture event

      • KCI등재

        Event Valence Matters: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Event Valence on Event Markers' Systematic Effect

        Lee, Hyejin,Choi, Jinhee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014 ASIA MARKETING JOURNAL Vol.16 No.4

        Previous research has revealed that people feel past target events are more distant when they recall more intervening events, event markers, that are both accessible in memory and perceived to be related to that target event (Zauberman, Levav, Diehl, and Bhargave 2010). This phenomenon was called the systematic effect of event markers (SEEM). In this research, we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valence of the target event on SEEM and suggest the difficulty of recalling event markers as the possible mechanism. Study 1 shows that SEEM mainly occur when the valence of the target event is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Study 2 showed that even though people have more difficulty recalling four event markers than one regardless of event valence, the difficulty of recalling event markers only mediates SEEM when the target event valence is negative. Furthermore, when the target event is positive, SEEM does not exist, confirming that the mediating role of the difficulty of recalling event markers on SEEM is moderated by the valence of the target event.

      • KCI등재

        하이브리드 피처 생성 및 딥 러닝 기반 박테리아 세포의 세분화

        임선자,칼렙부누누,권기룡,윤성대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0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3 No.8

        We present in this work a segmentation method of E. coli bacterial images generated via phase contrast microscopy using a deep learning based hybrid feature generation. Unlike conventional machine learning methods that use the hand-crafted features, we adopt the denoising autoencoder in order to generate a precise and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pixels. We first construct a hybrid vector that combines original image, difference of Gaussians and image gradients. The created hybrid features are then given to a deep autoencoder that learns the pixels’ internal dependencies and the cells’ shape and boundary information. The latent representations learned by the autoencoder are used as the inputs of a softmax classification layer and the direct outputs from the classifier represent the coarse segmentation mask. Finally, the classifier’s outputs are used as prior information for a graph partitioning based fine segmentation.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hybrid vector representation manages to preserve the global shape and boundary information of the cells, allowing to retrieve the majority of the cellular patterns without the need of any post-processing.

      • KCI등재후보

        메가이벤트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메가이벤트 준비과정을 초점으로

        황인식(In-sik Hwang)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새로운 영역과 의제까지의 확장되며 변화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패러다임 속 에서도 그 희소성 및 상징성 측면에서 여전히 주목받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올림픽, 전국체육대회와 같은 메가이벤트(mega-event) 자원봉사이다. 본 연구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메가이벤트가 진행되기 이전 준비과정에서 참여동기와 관리(교육훈련)가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한 영향력을 갖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제 100회 전국체육대회 및 제39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준비과정에서 실시한 자원봉사자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참여동기 중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는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가이벤트 진행과정 상의 관리(교육훈련) 중 사전교육 이해만족은 자원봉사 지속의지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동기의 관점에서 보다 세심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 이와 함께 메가이벤트 준비과정 상에서 관리(교육훈련)의 노력이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의지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이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 제고에 있어 필요한 새로운 지식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통한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의 준비과정을 어떻게 운영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a paradigm shift in volunteering covering new areas and agendas, the thing to note is Mega-event volunteering, such as the Olympics and the National Sports Festival.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volunteers in Mega-event how motivation and management (training) impact the continuance will consist of Mega-event volunteering in the preparation process before the Mega Event is held.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the survey of volunteers in the 100th National Sports Festival and the 39th National Sports Festival for the Disabled’ was conducted by the Seoul Volunteer Center to prepare the ev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altruistic motivation and selfish motivation among the factor of volunteering motivation affect the continuance will consist of Mega-event volunteering positively. Second, the understanding of pre-education among management (training) in the mega-event proc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ance will of Mega-event volunte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lunteers in Mega-event’s volunteer need more careful understanding and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long with enhancing the continuance will of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training) efforts in the Mega-event preparation process. This study’s result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new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volunteers in the Mega-event, and the new knowledge base needed to enhance their continuance will consist of volunteering.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knowledge on how to operate the preparation process for Mega-event volunteering to spread the philanthropic culture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이벤트 품질, 가치,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윤설민 ( Seol Min Yoon ),오선영 ( Sun Young Oh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5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벤트 품질, 가치,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장조사는 부산국제수산무역엑스포의 방문객들에게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이벤트 품질의 구성개념들 중 프로그램과 환경이 이벤트의 기능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모든 이벤트 품질의 구성개념들(프로그램, 환경, 위치)은 이벤트의 감정적 가치에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그램은 환경과 위치에 비해 이벤트의 감정적 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더 중요한 변인임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벤트의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이벤트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후 이벤트 태도는 목적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벤트 태도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이벤트의 감정적 가치는 기능적 가치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태도와 목적지 태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변인들 간 중요성에 따르면 이벤트 태도가 첫 번째이며, 이어서 목적지 태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은 결론부분에 더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relationships among event quality,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his end, onsite survey was conducted for visitors to the Busan International Seafood & Fisheries EXPO.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rogram and environment of event quality constr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value of event, whereas all event quality constructs(program, environment, lo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value of event. Particularly, program was found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environment and location in explaining emotional value of event. Also,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of ev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event which in turn, influenced on attitude toward destination. Meanwhile, emotional value of event was stronger than functional value in influencing attitude toward event. Finally, attitude toward event and attitude toward destin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importance among variables explaining behavioral intention, attitude toward event was first, followed by attitude toward dest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 KCI등재

        게임 이벤트 품질요인이 참여자의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송방호,김진희,이철영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19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5 No.2

        Purpose – The game market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secto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industry. Accordingly, a game has become a major tool for sales promotion as the market grows fast. Although companies need more promotion activities using a gam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is topic. In this respect, We try to conduct an initial study on the quality factors of a gaming ev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at factors are important in planning and producing a gaming event and to find the factors and the values that the participants recognize in the gaming event by analyzing the factors and the values that they expect. Furthermore we examine the effect of the awareness of the quality factors 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a gaming event, We selected 5 quality: physical service facility, provision of service, service for users, access to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f service to measure the quality of a gaming event. Each of them was measured in two dimensions(importa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 Google Play Town through self-administered survey. Result – We found out information security 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 in a gaming event and it is followed by the professionality and responsiveness of an event operator, the pleasant atmosphere of the video arcad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Conclusions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is an exploratory study to analyze the expectation factors and experiential values of the participants in a gaming event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fact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likewise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factors and purchase intention, and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and that an in-depth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wareness of the quality fact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aw well 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at and purchase inten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shed a light into how a game event can be successfully planned and produc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게임 이벤트 품질 요인에 대한 참가자들의 기대와 이벤트 참가 후에 느끼는 요인별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각 품질 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게임 이벤트 품질에서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게임 이벤트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실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IPA 분석기법을 통해 기대요인과 요인별 만족도를 비교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품질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고객만족과 구매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게임 이벤트 품질 요인에서는 첨단 게임이나 기술성이 높은 게임에 대한 관람 및 체험, 이벤트 현장에서 느끼는 체험의 편이성과 몰입성, 전문성의 확보, 다양한 프로그램과 부대행사, 이벤트 현장에서 운영진들의 대응 등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임 이벤트 품질 요인에 대해 지각하는 중요도는 고객만족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구매의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게임 이벤트가 추구해야 할 이벤트 품질이 무엇인가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게임 이벤트 기획 및 제작의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사건함수 ‘-고 있다’의 기능

        김윤신(Kim, Yoon-shin) 형태론 2004 형태론 Vol.6 No.1

        본고는 합성성(合成性, compositionality)의 원리와 생성어휘부(Generative Lexicon) 이론에 입각하여‘-고 있다’를 그와 공기하는 동사와의 결합관계를 통해서 전체 동사구나 문장의 의미를 결정하는 사건함수로 파악하고자 한다. 사건함수로서 ‘-고 있다’의 기능은 동사 어휘상이 내포하는 사건구조를 단일사건으로 단순화시키는 것이므로 동사의 사건구조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뛰고 있다’의 경우에는 뛰는 동작의 계속을 의미하고 ‘입고 있다’의 경우에는 입는 동작의 계속이나 입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동사의 사건구조는 벤들러(1967)가 제시한 상적 부류(aspectual class)에 그 뿌리를 두고 푸스테욥스키(1995)가 제시한 사건구조의 틀을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그런데 벤들러(1967)의 분류는 실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동사의 어휘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고 있다’ 구문의 의미를 엄밀하게 따져 봄으로써 따라서 동사의 어휘상도 사건구조를 통해서 보다 분석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Based on compositionality principles and Generative Lexicon theory,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ko issta’ is a kind of event function which derives the aspectual meaning ‘continuation of a part of the event’, and that the extended meaning of the ‘-ko issta’ construction depends on the event structure of the co-occurring stem verb. Because the function of -ko issta is to simplify the event structure implied by the verb’s lexical aspect as a single event, its interpretation -- its function as an ‘event function’ -- changes depending on the event structure of the verb it occurs with. Thus, in the case of ttwiko issta ‘is running’, it means the continuity of the running action, while in the case of ipko issta ‘is wearing’ or ‘is donning’, it connotes either the continued action of donning or the result of having donned an article of clothing. Verbal event structure has its roots in Vendler's (1967) notion of ‘aspectual class’ and Pustejovsky's event structure framework. But Vendler's classification has difficulty capturing all the verbal lexical aspects found across numerous languages. In this paper, by ascertaining precisely the semantics of the ‘-ko issta’construction, I use event structure to gain a more analytical understanding of verbal lexical aspect. In conclude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aspectual meaning of the ‘-ko issta’ construction are headedness and the temporal ordering relation of its co-occurring verb stem. These show that the internal event structure contributes to the aspectual meaning of the whole phrase or sentence. (Seoul NationalUniversity).

      • KCI등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

        천호준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veloped case of archivingon Mega Sport Event for searching effective method on a documentation ofMega Sport Ev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methodwas using about book, thesis and data of internet homepage for exploringthe stage on Mega Sports Event and case of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about institute related toOlympic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analysing Mega Sports Eventrecord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Firstly, 2012London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case(The People’s Record Project) is useful to ex-ante event phase. Secondly,2000Sydney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OlympicGame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is useful to event operation phase. Thirdly. LA84Foundation’s case(Olympic Oral History Project) is useful toex-post ev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assumed that three case for documentation about Mega Sports Event.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eful to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more, it will be conducted to study law of Mega Sport Event record management, humane and Material resource and method related torecord management of the Mega Sports Event organizing committee. 현대 사회에서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스포츠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1986년서울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1988년서울올림픽대회 그리고 2002FIFA월드컵대회 등과 같은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다수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체육·스포츠 현장에서는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로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려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 단계별로 기록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단계를 이벤트이전단계, 운영단계 그리고 이후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기록화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업의 개요를 파악하였고, 이를토대로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벤트 이전단계는 국민의 기록(The People’s Record)사업, 운영단계는 올림픽대회지식관리(Olympic Game Knowledge Management)사업 그리고 이후단계는 올림픽 구술사(Olympic Oral History)사업이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의 기록 사례는다양한 계층의 경험을 포착하여 기록화 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이벤트 이전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올림픽대회 지식관리 사례는 대회운영을 위한 조직위원회의 업무 활동과 지식을 기록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벤트 운영단계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올림픽 구술사 사례는 이벤트의 전 단계에서 발생한 결락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벤트 이후단계에서 적용이가능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개최가 예정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며,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에서 기록관리 방법론을 마련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메가이벤트 개최지역 주민의 지역애착이 이벤트 영향인식과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경(Mi Kyung Kim)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2 호텔경영학연구 Vol.21 No.3

        Mega-event such as Olympic Games, FIFA World Cup, and Expo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tourism development of host countries or host communities. Having a great economic and socio-cultural impacts, mega-event can boost the urban redevelopment and improve tourism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For the success of mega-event, residents`` support and participation is an essential factor.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event.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their perception of mega-event impacts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event.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residents in Daegu which was held IAAF World Championships in 2011.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affect their perception of mega-event impacts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residents`` perception of economic and socio-cultural impacts affect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event. The only hypothesis of the study which was rejected was that resi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mpact would affect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event. Finally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has a direc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ev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that to make residents perceived the positive impacts of the event is very important to lead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event which is one of essential factors for the successful 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