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감성시대와 감성적 스토리텔링 광고

        이명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디지털 시대로의 진입은 사회전반과 라이프 스타일에 다양한 영향을 주고 현재에도 진행형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소비 형태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를 가져 왔다. 이러한 변혁은 디자인 분야에서도 나타난다. 그 한 예로써 광고 분야를 들 수 있는 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광고의 영역이 확장되고 형식면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집행되는 광고는 감성적인 소구방식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디지로고적 감성을 이용한 감성광고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이 감성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다섯 가지 감각(五感)을 통해 주변의 정보를 체험하고 이는 통해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기업은 소비자의 구매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인간의 감성을 이용한 마케팅을 전개한다. 이는 하나의 트렌드이며, 디지털 시대 소비자 소비행태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기업들이 감성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성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소비행태 변화에서 나타난 것이다. 현재 마케팅 분야의 브랜딩 전략으로 떠오르는 것이 감성시대의 스토리텔링 전략이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딩 전략은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제는 마케팅의 중요한 요소로써 자리 잡았다. 이에 디지털 시대의 트렌드와 감성광고,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본 연구의 전개방식은 먼저 관련 서적과 선행연구 논문들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디바이스 진화와 소비 형태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기 정보화 사회의 감성 디자인과 트렌드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광고 분야의 사례조사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그 적용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감성광고의 사회적 역할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는 기업의 태도이다. 감성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감성광고가 성공하였더라도 진정성이 결여되었다면, 후기 정보화 사회에서 그 기업과 광고는 도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소비자와 기업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서 감성적 광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문화 콘텐츠 발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Because entry into the digital era, to give effect to the various lifestyles and society as a whole is evolving into progressive even today. This has led to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 communication methods. This transformation is represented in the design. As one example, to that of the advertising, the area of the extension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surface. Especially now that are enforceable in the domestic advertising it can appear a lot of emotional appeals system. In addition, it is expanding the role of emotional sensitivity in digital advertising with spots. This sensibility is the process of forming an image through which information and experience around through the five senses that humans possess. And enterprises to deploy the marketing with human emotions to induce the activity of a consumer purchase. This is a trend, the digital era a number of companies due to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take advantage of the emotional marketing. Thus, emotional marketing is seen in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Rising to a branding strategy for the current marketing is storytelling strategy of emotional age. Branding strategy utilizing storytelling has been deployed in a variety of ways, even now, now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element of marketing. In the digital era, trends and emotional advertising, and he tries to study for storytelling. This study developed method is to first check for device evolu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in the digital age through publications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Based on this, through a case study of advertising for the late information society of the emotional design and trends and storytelling it is evaluated. And based on those applied in practice and to discuss improvement of social roles and emotional advertising.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is the attitude of the company on the basis of authenticity. If your ad even though emotions through emotional storytelling lacks authenticity success, because those businesses with advertising in the late information society is not meant to be culled. It is therefore urgent to form a social atmosphere than what is necessary to pursue the interests of consumers and business jointly. Along with the story it requires excav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database construction for emotional storytelling of advertising to meet the needs of the emotional needs of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융합을 통한 감성 광고 디자인

        노찬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Advertising is produc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echnological change and social flow. Now you may see another new way of advertising in a more evolved way, even before you might know what the format of a new way of ad is. Especially as the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is ever increasing, the exposure of indiscriminate advertisements is also increasing in the digital age. Although there is a change in the format and type of advertising, there would be no change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which is an essential aspect of advertising. The adv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changed the format of the ad from the outset and overly emphasized the sophisticated impression. However, this kind of impression is felt far away from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emotion is important. This results in the reappearance of an emotional advertisement of the past. And now, as the era of digital emotion begins, mixed ads of analog and digital emotion are emerging.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ill be on emotional advertising design that combines analog and digital as an emotional aspect.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advertising and the return of analog emo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motional advertisement design through the convergence of analog and digital in emotion era. Also i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digestive emotional advertising contents through case stud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advertisement to harmonize and converge the digital technology and the analog sensibility. In order to do this, new research is required for advertising design that can stimulate emotion as well as collaboration and convergence of each field should be preceded. 광고는 기술적 변화와 사회적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진다. 이제는 새로운 광고의 형식이 어느 것인지 인지하기도 전에 더욱 진화된 방식의 또 다른 새로운 방식의 광고가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사용이 잦아지면서 무차별적인 광고의 노출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양한 변신을 한다. 그러나 광고의 형식(format)이나 형태(type)의 변화는 있지만, 광고의 본질적인 면인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점에서는 변화가 없다. 초기 디지털의 등장은 광고의 형식을 바꾸어 놓았고, 지나치게 세련된 느낌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느낌은 감성이 중요시되는 현대사회와는 괴리된 면이 있게 되고, 이와 함께 등장한 것이 과거로의 회귀적인 감성 광고의 등장이다. 그리고 현재 디지털 감성시대가 시작되면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감성이 혼합된 광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감성적인 측면으로써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결합된 감성 광고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광고의 변화와 아날로그 감성의 회귀에 대해 살펴보고, 감성시대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융합을 통한 감성 광고 디자인에 대해 알아본다. 사례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디지로그적 감성 광고 콘텐츠 발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결론적으로는 광고에 있어서도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 감성의 적절한 조화와 융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광고 디자인을 위한 선행 연구가 필요하며,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는 각 분야의 협업 및 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혼합감정 기부광고에 대한 기부의도 차이에 관한 연구

        송혜은,주경희 한국비영리학회 2018 한국비영리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donation intention toward the mixed emotional donation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s that mixed emotional donation advertisement using both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is effective for potential donors with promotion focus than with prevention focu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es psychological discomfort experienced by means of two mixed emotions(happy and sad feeling) in the donation advertisement for a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 Followings are the key results in this research: First,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promotion-focused people are more likely to show donation intention toward the mixed emotional donation advertising more positively than prevention-focused people. Furthermore, we reveal that psychological discomfort mediates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donation intention toward the mixed emotional donation advertising. Specifically, it is said that when people with prevention focus encounter the mixed emotional donation advertisement, this causes higher psychological discomfort than promotion-focused people, which finally leads to lower donation intention toward the mixed emotional donation advertising. This study have the academical contribution in build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mixed emotional advertising literature which is still under-researched and revealing the underlying mechanism of mixed emotion effect.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a guideline for charity advertising planner who want to design a persuasive donation advertising.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한 기부광고에 대한 잠재 기부자의 기부의도 형성에 있어 개인 차이가 존재하는 검증한다. 광고 맥락에서 혼합감정 소구란 긍정 감정(행복)과 부정 감정(슬픔)을 동시에 활용하여 광고수용자를 설득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 기부광고가 어떠한 잠재기부자들에게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의 잠재기부자들이 혼합감정 소구를 이용한 기부광고에 대해, 방어초점의 잠재기부자들에 비해 더 높은 긍정적인 기부의도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심리적 메커니즘 분석 결과,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인 불편감이 매개함을 발견하였다. 즉, 향상초점의 잠재기부자들이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한 기부광고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은 심리적인 불편감을 경험하여, 이로 인해 보다 더 높은 긍정적인 기부의도가 나타난 것이다. 본 연구는 나날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하는 기부광고에 대해 잠재기부자들이 어떻게 다른 반응을 보이는지, 즉 개인 특성 차이 변수로서 조절초점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단일 감정 소구 연구 대비 여전히 매우 미흡한 혼합감정 연구를 기부 맥락에서 시도하여, 관련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지닌다.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감성광고에 대한 고찰

        박인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Modern society i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distribu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be sent indiscriminately or selectively to the consumer. Being able to acquire your own personalized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informatio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formed to increase incomes and leisure time, etc. Under these circumstances laid changing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tend to change with emphasis on quality of life made. The other is the consumer who purchases a product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is that now simply beyond the fulfillment of everyday life to pursue self-satisfaction and value through brand awareness. Ie consumption patterns in modern society is expressing your individuality and will show that expression. The social context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rand marketing. And the brand is emotional advertising in a variety of marketing has emerged as one for the enhancement of the brand image in the consumer society. The actual successful brand is instill expectations and illusions in the minds of consumers. These brands are a function of satisfying consumers always suffer from Lack emotion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o give emotional satisfa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arketing part of reporter emotional advertising for brand image. First, learn about the role and value of the brand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in the digital age, find out about brand marketing and emotional advertising. And by looking out for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advertising, and finally would like to discuss whether the appropriate emotional advertising media strategy for the brand image. In conclusion, the era of modern brand image.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image and emotional advertising will be emotional marketing is continually produced. Therefore, how to respond in time with a variety of new media and they do need to consider any approach to storytelling first. This requires a common methodology judgment as to whether the appropriate strategies for emotional appeal through thorough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 brand image is the priority. In addition, consumers what they want, and it is essential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what the social trends. 현대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량의 정보가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무차별 혹은 선별적으로 보내지고 있다. 다양한 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맞춤형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득 증대와 여가 시간의 증대 등으로 형성된 현대의 소비사회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꾸어 놓았고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게 만들었다. 정보화 사회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한다는 것은 이제 단순히 일상적인 생활의 충족을 넘어서 인지도가 있는 브랜드를 통해 자기만족과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즉 현대사회에 있어 소비행태란 자신의 개성 표출이며 표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브랜드 마케팅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브랜드 이미지 소비사회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제고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에 하나로 감성광고가 대두되고 있다. 실제 성공한 브랜드는 소비자의 마음에 기대와 환상을 심어주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일상생활에서 늘 결핍감에 시달리는 소비자들에게 기능적인 만족감은 물론 감정적인 만족감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의 일환인 감성광고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 소비사회에 있어 브랜드의 역할과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시대에 있어 브랜드 마케팅과 감성광고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감성광고의 적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감성광고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적절한 미디어 전략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현대는 브랜드 이미지의 시대이다. 그리고 이미지 제고를 위해 감성 마케팅과 감성광고는 지속적으로 생산되어 질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뉴미디어의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와 어떠한 스토리텔링으로 접근할까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방법론이지만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철저한 시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감성소구가 이 전략에 적절한지에 대한 판단이 우선적이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며 사회적 트렌드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감성 소비자와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고창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3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nd the advent of the digital age has changed the place of the active form of e-commerce and advertising. In particular, the area of the ad is the change appearing quickly. In its form and splendor of the traditional media and similar attractions, and was interactive function using digital devices it is expanding. In addition, the role of emotion ad using digital sensitivity was also improved. In the current digital advertising, digital signage can be cited as a rising manner with mobile advertising. An area of the digital signage of outdoor advertising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orporate a variety of services on the basis of that point and digital technology to the unspecified number. In addition, a warm and emotional, showing a wide range of emotions using its technology, it can speak the stylish and sensual expression. And ever fusion compatibility with various devices using wireless is that it has a possible advantage. Digital signage is also the purpose of profit, but also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public transport, such as search and guidance along the way if necessary. According to any advantage has the potential as a key new player in the advertis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or digital signage and advertising that appear here. First, learn about the changes in the digital age through books and articles, analysis of the role and status of digital signage and advertising will be in the age of emotion. And research practices applied by those we discus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signage advertising. Is that ultimately the role of advertising in the digital era sensibility is now not just only for the purpose of revenue also have parallel roles in pursuit of the public interest. And if you us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 devices, not the two things that make it impossible for profit and public interest. This is made possible because the device uniformly with the ability to fulfill the two aspects of the device and the nature of rational and sensitivity advertising. There currently advertising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age of digital emotion and become a new blue ocean.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모바일 기기의 발달은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와 광고의 형태를 바꾸어 놓고 있다. 특히 광고의 영역에서는 그 변화가 급속히 나타나고 있다. 그 형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매체와 유사하나 볼거리와 화려함 그리고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기능은 더욱 확대되었다. 또한 디지털 감성을 이용한 감성광고의 역할이 증대되기도 했다. 현재 디지털 광고 분야에서 모바일과 함께 떠오르는 방식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들 수 있다. 옥외광고의 한 영역인 디지털 사이니지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과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접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성을 보여줌으로써 따뜻하고 감성적이며, 세련되고 감각적인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을 이용한 다양한 기기와의 융합적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수익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길 찾기나 교통안내 등의 공공의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활용 여하에 따라 광고의 새로운 핵심 주자로써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여기에서 나타나는 광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관련서적 및 기사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감성의 시대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와 광고의 역할과 현황에 대하여 분석 한다. 그리고 그 적용된 사례들을 조사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디지털 감성시대의 광고의 역할은 이제 단순히 수익만을 위한 목적이 아닌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역할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기기의 특성을 이용한다면, 수익과 공익의 두 가지를 목적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이는 기기의 특성상 이성과 감성 광고의 두 가지 측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능을 고루 갖춘 기기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디지털 감성의 시대에서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현재 광고 분야에서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KCI등재

        디지털 감성과 이야기를 통한 광고

        김인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Modern society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due to the digital still are living in the realm of digital. And various changes can be mentioned among the area of the area of the advertising design. Ad appears that the rapid change, in the form that the role of emotion ad a tendency to be increased by a digital sensitivity. Sensitivity refers to the formation of any sense to accept the information with the senses that has all of the peripheral when the human. Using human emotion and marketing as one of the emerging trends, many companies according to customer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is a trend that utilizes emotional marketing. Reporting the standards of the past, consumers made purchases based on rational elements, today's consumers will buy the satisfaction of his own through the emotion contained in it, rather than buying the product itself. Thus it is that customers derive the favorable response of customers who prefer the emotional side, and given the fun and pleasure through buying from him impress customers is the emotional marketing. This would also highlight that the emotional age of digital storytelling. Current marketing strategies to take advantage of this storytelling is speaking in a variety of ways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images it appears. In the sense that developing this design study and wish to study the emotion and storytelling.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case design, and look out through this through case studies of advertising and design trends for the Korean emotion and storytelling. And based on those applied in practice and to discuss needs and problems, improvement of emotional advertising. In conclusion log sensibility advertising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the digital age it will continue unchanged unless this is emotional side of human nature. In this regard, the important thing is it beneficial to consumers than as an emotional advertising executive in the forward-looking vision and need a social environment that can create profit for your company through this in perspective. It is also required for public benefit through commercial production of good quality storytelling and thinking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osition of the community in the digital era. 현대사회는 디지털로 인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고, 지금도 디지털의 영역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변화의 영역 중에서도 디자인의 한 영역인 광고 분야를 들 수 있다. 광고는 그 변화가 급속히 나타나며, 그 형식에 있어서도 디지털 감성을 이용한 감성광고의 역할이 증대되는 추세이다. 감성이란 인간이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오감을 사용해 주변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어떠한 느낌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 인간의 감성을 이용한 마케팅은 하나의 트렌드로써 부상하고 있으며, 고객의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감성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소비자들의 구매기준이 이성적 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면, 오늘날 소비자들은 제품 자체를 사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감성을 통해 자기만의 만족을 사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객이 선호하는 감정적인 면을 통해 고객의 호의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그로 인한 구매를 통해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해 고객을 감동시키는 것이 감성 마케팅이다. 또한 이로 인해 부각되는 것이 디지털 감성시대의 스토리텔링이다.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구사되고 있고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디자인 학문에 발전이라는 의미에서 감성과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과 선행연구 논문, 디자인 사례들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한국적 감성 디자인과 트렌드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광고 분야의 사례조사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그 적용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감성광고의 필요성과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지로그적 감성광고는 인간 본연의 감성이란 측면이 변하지 않는 이상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한 것은 미래지향적 시각에서 감성광고를 집행함에 있어 보다 소비자에게 이익이 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입장에서도 이익이 될 수 있는 사회적 풍토 조성이 필요하며, 디지털 시대의 공동체라는 입장에서의 공공적 이익이라는 측면의 사고 정립과 양질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광고 제작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비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광고의 지각된 개인화가 광고 유용성을 매개하여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감정의 조절효과

        김은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광고주는 디지털 기반의 미디어 환경으로 온라인 이용자들의 정보를 활용하여 편리성과 유용성을 갖춘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원하지 않은 광고노출은 소비자들의 부정적 감정을 유발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맞춤형 광고의 지각된 개인화와 광고태도의 관계에서 온라인 쇼핑 경험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 광고 유용성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광고의 부정적 감정은 맞춤형 광고의 지각된 개인화와 광고 유용성 그리고 광고의 유용성과 광고태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표본은 온라인 이용률이 높은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쇼핑 경험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맞춤형 광고의 지각된 개인화와 광고태도와의 관계에서 광고의 유용성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맞춤형 광고의 지각된 개인화와 광고의 유용성에는 광고의 부정적 감정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과 광고태도에는 광고의 부정적 감정에 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는 온라인 활동에 의한 소비자 특성에 따라 맞춤형 광고의 지각된 개인화와 광고태도와의 관계에서 광고 유용성의 매개효과와 부정적 감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맞춤형 광고노출은 소비자에게 선택적 권한에 의한 노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자 한다. Advertisers utilize information from online users in a digital-based media environment to provide customized advertisements with convenience and usefulness. However, unwanted advertising exposure can cause negative emotions in consum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diating effect of advertisement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customized advertisements and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depending on groups with high and low online shopping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whether negative emotions from advertising have a moderating effect on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customized advertising, advertising usefulness, and advertising usefulness and advertising attitude. To verify this, the sample was made up of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have a high online usage ra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fulness of advertising was confirme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customized advertising and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in both groups with high and low online shopping experi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emotions of advertisement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customized advertisements and the usefulness of advertiseme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emotions from advertising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advertising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The above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advertising useful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of customized advertising and advertising attitude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based on online activitie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customized advertising exposure requires an exposure strategy based on selective authority for consumers.

      • KCI등재

        바디아트 일러스트레이션의 감성반응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효진 ( Bang Hyo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기업의 광고에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소비자의 감성반응을 독립 변수로 설정하였고, 광고태도반응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에 감성 반응이 광고 태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가설로 설정하였다. 강원도 소재의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바디아트 일러스트레이션이 접목된 광고에 대한 감성반응이 광고태도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감성 반응이 광고태도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설1은 장식성과 품위성이 흥미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설2는 친숙성과 품위성이 신뢰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광고의 바디아트 일러스트레이션이 장식적이고 품위 있는 감성을 느낄수록 광고를 흥미적으로 인식하는 태도가 상승하였으며, 소비자의 시각에 친근하고 품위 있는 감성으로 느낄수록 광고에 신뢰적인 태도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가설3은 일러스트의 품위성과 매력성이 주목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설4는 친숙성과 품위성이 신뢰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광고의 바디아트 일러스트레이션이 품위적이고 매력적인 감성으로 느낄수록 광고가 더욱 주목되는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품위적이고 매력적인 감성이 낮게 느낄수록 광고가 선정적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태도가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기업들이 광고 제작을 하는 과정에서 광고에 바디아트의 예술적인 일러스트레이션 요소를 접목함으로써 장식성, 품위성, 매력성, 친숙성을 적절히 강조할 수 있으며, 제품광고에 소비자가 시선을 주목하고, 흥미와 신뢰가 상승되는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일러스트레이션을 접목한 제품광고를 통해 소비자의 관심도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illustrations in product company advertisements to draw attention to consumer impressions of advertisements. In the research method,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consumer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advertising attitude respons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hypothesis was set to analyze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on advertising attitude responses. For the research, 278 undergraduat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Gangwondo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to the body art illustrations in advertisements on their responses and attitudes to the advertisement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From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of consumers on their responses and attitudes to the advertisement, Hypothesis 1 influenced the interest in decorativeness and dignity, and Hypothesis 2 influenced the reliability of familiarity and dignity.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decorative and decorous impression consumers get from the body art design in an advertisement, the more they find the advertisement interesting. Also, the more the consumers find an advertisement decorous and friendly, the higher the level of reliability of the advertisement they feel. Hypothesis 3 has an illustration's dignity and attractiveness influenced attention, and Hypothesis 4's familiarity and dignity influenced reli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the body design art in advertisement give a decorous and attractive impression, the more the consumers pay attention to the advertisement. Yet, the less the consumers feel decorous and attractive impression from a body art design in advertisements, the greater their negative attitude becomes against the advertisement, which is recognized to be too sexual. As a conclusion, the decorativeness, decorousness, attractiveness, and friendliness can be adequately moderated in the process of adding body art illustrations in the advertisement of product companies. From the process, It is expected that consumers can pay attention to product advertising and increase interest and trus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consumers' interest can be further increased through product advertisement that incorporates illustrations.

      • KCI등재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이 광고 창의적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이철영,유승엽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1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behavior of advertisement's creative tendency by soci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individual psychological feature of AE, an advertisement planner who has a business feature of establishing a creative advertisement strategy through a cooperation between an advertisement company with a production team, etc. internally and a relationship with an advertiser externally. As a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out that in terms of an advertisement's creative thinking, a motivation, social skill, and ability development of soci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and in terms of an advertisement's creative behavior, a motivation, understanding of others, social skill, and ability development of soci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out that an emotional adjustment and emotional utiliz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s creative thinking and an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adjustment and emotional utiliz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s creative behavior. In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a soci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individual psychological feature had an effect on advertisement's creative tendency of AE in an advertisement firm. In a practical view, the activation of soci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improve AE's creativity ultimatel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aspects to improve a business of an advertisement firm and a corporate marketing outcome. 본 연구는 광고회사에서 외부적으로는 광고주와의 관계, 내부적으로는 제작팀 등과의 협업을 통하여 창의적인 광고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업무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광고기획자 AE의 개인 심리적 특성인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이 광고 창의적 성향의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광고의 창의적 사고에는 사회지능의 동기부여, 사회적 기술, 능력개발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의 창의적 행동에는 사회지능의 동기부여, 타인이해, 사회적 기술, 능력개발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지능의 감정조절, 감정활용은 광고 창의적 사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감성지능의 감정이해, 감정조절, 감정활용은 광고 창의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광고회사 AE의 광고 창의적 성향에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무적 관점에서 AE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의 활성화는 궁극적으로 광고회사의 업무적 향상과 나아가 기업의 마케팅적 성과 측면에서 실무적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환대공익광고 수용자의 감정과 감정반응이 광고태도와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현숙 ( Hyun Sook Han ) 관광경영학회 2014 관광경영연구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emotion and emotional responses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promote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effectively afterwa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ositive analysis, “value”, “necessity”, and “favorable impression” among the feelings of a receiver toward a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A audience`s multi-dimensional emotional responses (positive empathy, sympathy, negative empathy) toward the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hardly showed any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Among the audience`s multi-dimensional emotional responses toward the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negative empathy” indicated nega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whereas “positive sympathy” exerted positive effects. This study has made a chance for discussion to apply the concepts of emotion and multi-dimensional emotional responses to the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nd measure the effects from the aspects of marketing for the first time. It is expected that positive research on multi-dimensional emotional responses wi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afterwards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promotion of hospitabl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