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 대학생의 성찰학습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손병기,우현아,이희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a person's life, the emerging adulthood is the cornerstone of his or her journey to develop his or her employability through constant reflection and lifelo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For this study,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25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flectiv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mployability.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mployability.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was analyz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Therefore,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play a role as a fully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two variables. By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flectiv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affected the employability via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that it verifie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loyabilit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ing adulthood.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significant data for formulat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employability of students by university authorities. 한 개인의 생애 발단단계에 있어 성인모색기는 지속적인 성찰과 평생학습을 통해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개발해가는여정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는 성인모색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성찰학습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성인모색기에 있는 남녀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실시하였다. 유효한 216부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SPSS 22.0과 Amos22.0을 통해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인모색기 대학생의 성찰학습은 고용가능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모색기 대학생의 감성지능은 고용가능성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인모색기대학생의 성찰학습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성지능은 두변인 간에 완전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성인모색기에 있는 대학생의 성찰학습은감성지능을 통해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성인모색기의 특성을 반영한 성찰학습과 감성지능, 고용가능성의 상호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고용가능성을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인도래기(Emerging Adulthood)의 개념정립을 통한 국내 청년복지정책에 대한 소고(小考)

        주경필 ( K P J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도래기’의 개념정립을 통해서 국내 청년복지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인도래기에 대한 시간적·심리적·사회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제시하고, 그 개념이 기존의 청소년연구 영역에서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성인도래기에 대한 국제적 담론으로부터 개념의 주요 철학적 가정과 핵심요소를 정리하여 제시하고, 그러한 관점이 우리의 청년복지정책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며 향후 청년복지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상의 개념적 논의를 위해서 문헌고찰, 내용분석, 정책비평을 방법론적 접근법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성인도래기에 대한 문헌고찰을 위해 해당 개념이 이론화되는 과정에서 논의되었던 장·단점은 물론, 전통적인 청소년연구 영역에서 어떠한 주제로 성인도래기를 연구했는지를 주제영역별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도래기 이론 또는 개념원리가 유사한 시기의 한국 청년들에게 대부분 적용될 수있으며, 성인도래기의 개념정립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청년문제나 청년복지정책의 본질을 밝히고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critical discussion of the Korean youth welfare policy along with establishing the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which was coined by an American psychologist Jefferey Arnett over two decades ago. The study provides development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and explores how the international discourse of emerging adulthood has evolved since the concept was first suggested by Arnett(1994).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philosophical hypotheses and fundamentally epistemological facets of the concept ‘emerging adulthood.’ This approach could draw meaningful implications for our youth welfare polic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is study consists of a literature review, a content analysis, and a policy critique. In particular, the study offers both benefits and challenges in theorizing emerging adulthood through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xamines how the traditional field of research on adolescence and youth has employed the theory of emerging adulthood.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adapted to the Korean context illuminates social problems related to youth and the welfare system for those who are in this specific developmental phase.

      •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안선영,김희진,박현준,김태령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This study is 2-year project and in the first year, we examined the demographic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are related to its changing patterns. We found that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nsity and complexity of transition to adulthood in South Korea.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at are causing these changes include the expansion of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 decline in the youth labor market, and the increase in the labor participation of women. Major shifts including weaker normative controls on behavior and greater individualization are also related to the new patterns of transition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year’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youth perceive their current status, the criteria that they have for adulthood and age norms for transition markers such as completion of schooling, entrance into the labor force, formation of partnerships, the onset of childbearing and parenting, and movement from parental household. In addition, of primary interest in the study is the generation comparisons in the criteria of adulthood and the age norms for the adult roles mentioned above. Through this effort, we intend to identify the values and beliefs regarding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ts changing patterns in South Korea. One of the main concepts of this study is Arnett’s ‘emerging adulthood.’ Emerging adulthood refers to a time period between adolescence and adulthood. According to Arnett, emerging adulthood is a period that exists only in cultures that postpone the entry into adult roles and responsibilities until well past the late teens. We explor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are relevant to applied for Korean youth and compared its findings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In additio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Arnett’s battery for Korean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and the criteria for adulthood. Policy recommendations are articulat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education, employment, housing, family, and socal welfare that would help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adulthood of Korean youth.

      • KCI등재

        ‘신생 성인기’를 위한 기독교신앙교육

        박향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With changes of current social context, It has emerged a newadulthood that don’t choice the traditional social task as adult butconcentrate on exploration and experiment of themselves. Jeffrey J. Arnett named that ‘emerging adulthood’ that is neither ‘adolescence’ nor‘adulthood.’ ‘Emerging adulthood’ is a important period that a personbegins self-consciousl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life and creates anadult vision of faith. But in Korea, there is little research on ‘emergingadulthood’ in terms of new social context, either Christian education orin other fie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Christian faitheducation for ‘emerging adulthood’. This presentation is based on theresearches of Arnett, Christian Smith and Patricia Snell, and Sharon D. Parks. Three type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Christian faith education of guiding the journey forvocation exploration. Identity, dreams, purpose, and meaning of life inthe ‘emerging adulthood’ are revised as ‘vocation’ through the relationwith God. ‘Journey’ is the metaphor that means emerging adult’svocation exploration in relational with God, not a result but a process,not one-time but steady development. Second, It is Christian faith education of helping the interpretation ofthe narrative valley for their own faith. ‘Emerging adults’ have madetheir own narrative from diverse cultures. The ‘valley’ is the metaphorfor life context that an ‘emerging adult’ is complex and confused andtwisted by experience of hope and failure. They need someone matureand a critical dialogue with them for auto-biographical, existential,evangelical narrative. Third, It is Christian faith education of helping them experience aChristian faith community as a ‘Home of God.’ ‘Home of God’ is themetaphor for a community that hugs emerging adults feeling lost, getsvarious subjects to inter-relationally know God in the various andcomplex context, and overcomes the institutional and physical shortcomingsof traditional churches. An ‘Emerging adult’ requires the experience ofwaiting and hope in the sanctuary of a community, the experience ofgoing with others in an inter-relat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experience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in a multi-network community. 현대 사회의 변화와 함께, 전통적인 성인기의 과업으로 간주되던 사회적 과제들을 선택하지 않고 자신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데에 더 열중하는 ‘청소년기’도 ‘성인기’도 아닌 새로운 성인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아넷은 이들을 ‘신생 성인기(emerging adulthood)’라고 명명하였다. 신생 성인기는 삶의 의미를 자기 의식적으로 성찰하면서 성인기의 신앙적 시각이 탄생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직접적으로 신생 성인기를 거론한 기독교교육학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신생 성인’을 위한 기독교신앙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논문의 제안은 아넷, 스미스와 스넬, 팍스가 연구한 신생 성인의 신앙적 맥락을기초로 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신생 성인기’를 위한 세 가지 기독교신앙교육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 탐색 여행을 안내하는 교육이다. ‘신생 성인기’의 정체성, 꿈, 목적, 그리고삶의 의미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한 ‘소명’으로 재해석된다. ‘여행’은 ‘신생 성인’이 탐색하는 소명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한 자기 인식에서 출발하는 것이고, 과업적인 결과가 아닌과정적인 것이며, 단회적이 아닌 지속적인 발달을 겪는 것임을 의미하는 메타포이다. 둘째, 자신만의 개인적인 신앙 내러티브의 계곡을 재해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다. ‘신생 성인’은 다양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구성한 자신만의 개인적인 신앙 내러티브를 갖고 있다. ‘계곡’은 희망과 절망, 성공과 실패를 포함한 혼란스럽고 복잡한 ‘신생 성인’의삶의 맥락을 드러내기 위한 메타포이다. 이들에겐 성숙한 신앙을 가진 성인 타자들과의성찰적인 대화를 통해 자전적이고 실존적이고 복음적인 신앙 내러티브를 생성해내고 해석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하나님의 집의 품에 안기는 신앙경험을 제공하는 교육이다. ‘하나님의 집’은 집없이 길을 잃고 살아가는 ‘신생 성인’이 돌아가 안길 공동체, 다양하고 복잡한 맥락 속에서 다양한 주체들이 상호관계적으로 하나님을 알아가는 공동체, 제도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기존의 교회의 한계를 넘어서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신생 성인’에게는 안식공동체를 통한 기다림과 희망, 상호관계적인 배움 공동체를 통한 동행, 다층적인 네트워크공동체를 통한 공존의 신앙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 효과

        장희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adults was affected by the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how self-concept clarity and the perceptions of emerging adulthood mediated this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Arnett’s the theory of emerging adulthood. We specially focused on affectionate or rejective type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possibility or instability perceptions of emerging adulthood. We performed survey research with 358 university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other cities in South Korea and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As a result, we found correl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erging adulthood and other variables. Also, we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ffectionate, rejective. However, we only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possibility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ate parental rearing attitudes. Finally, we found a sequential mediation effect that the self-concept clarity and then perceived instability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aff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jec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s of emerging adulthood.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unseling service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faced emerging adulthood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Arnett이 제안한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 그리고 성인진입기 특성 중 ‘가능성’과 ‘불안정’ 차원을 통해 평가한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경북, 대전, 강원) 소재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8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해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 자기개념명확성, 성인진입기 인식(가능성, 불안정성)은 모두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 각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양쪽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효과는 애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성인진입기 ‘가능성’ 인식의 매개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불안정)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경로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거부적)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불안정)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상담 및 교육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대 청년층의 새로운 생애발달단계로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에 관한 탐색 연구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3

        아네트(Arnett)는 성인기 이행의 지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에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라는 새로운 생애 발달 단계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20대들의 성인기 이행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20대를 분석하는데 이러한 논의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여 20대 초반에서 20대 후반까지의 취업/미취업 남녀 20명의 성인기 이행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의 20대들도 아네트가 논의한 것처럼, 성인모색기의 특징인 ‘자아정체성 탐구,’‘불안과 좌절,’ ‘자기중심성,’ ‘중간에 낀 느낌,’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20대들은 아네트가 논의한 성인기 모색기의 특징을 보이는 동시에, 아네트의 연구대상자들과는 다른, 한국의 문화 맥락에 따른 성인기진행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발달/성인기 모색’이라는 인간발달 단계에 대한 연구도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모두 종합해 볼 때, 현재 한국의 20대는 성인기 과업 수행을 미루고 있기 보다는 새로운 사회 환경에 적응하면서 성인됨을 모색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생애발달 단계로서의 ‘성인모색기’ 논의는 현재 한국사회의 20대를 이해하는데 일정 정도의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It is true that youngsters have been footloose and incumbent during their20s, because the lengthening of higher education, the rise in the ages of entering marriage and parenthood have made them very difficult to reach full adult status. So a great deal has changed in recent years how people conceptualize the lives of the 20s. In this vein, the new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designating a distinctive stage between adolescence and adulthood was presented by Arnett(2007)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youth in their 20s.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hold up the features of the emerging adulthood by analyzing Korean young men and wome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20 Koreans(10 males and 10 females) from age 21 to 29 were conducted. There sults suggest that Korean youngsters showed the five features of the emerging adulthood(the age of identity explorations, the age of instability, the most self-focused age of life, the age of feeling in between, and the age of possibilities) presented by Arnett who used the collected data with young adults in the western world. The results also show the exclusively Korean characteristics such as continuing dependence on their parents or gender specific socialization. In the end, the research finds that the coming of age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different from it used to in the past, and the new period of life requires a new term, ``the emerging adulthood.``

      • KCI등재

        아네트의 성인모색기 개념을 중심으로 본 취약계층 청년들의 성인기 진입에 대한 연구

        김은정 한국문화사회학회 2022 문화와 사회 Vol.30 No.1

        Arnnett argued that to understand life in the early and mid-20s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 new stage of development, so-called “the emerging adulthood,” should be introduced. His argument was quite convincing,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indeed some limitations. The biggest problem is that his theory did not delve into young people's socioeconomic conditions/class differences. The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lower-class youth entering adulthood based on Annette's “emerging adulthood” theory and accordingly tried to examine how his idea fits to understand their becoming adults. This study used an interview survey of 10 participants aged 20-24 in the lower class. Data analysis proceed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analysis step, key concepts were derived from interview data investigating the participants' life experiences. In the second analysis step, a comparativ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fiv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time to explore self-identity, ‘time to self-centeredness’, ‘time to self-centeredness’, and ‘time to possibility’) to evaluate the eligibility of Arnett's new life stage. As a result, it's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full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becoming adults of lower-class youth. Annett's theory assumes a family/community/social stability network that supports individuals entering adulthood. However, it is challenging for vulnerable/low-class young people to have a time and economic basis for exploring their lives and careers without such a safety net. Therefore, since the meaning of Arnett's “emerging adult” varies from class to class,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his concept to Korean young people from lower classes. 아네트는 달라진 현대사회에서 20대 초중반을 명명하는 새로운 발달단계,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가 도입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과 문제제기는 새로운 생애발달 단계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때로는 그 설명력과 적용에 있어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가장 큰 논쟁점은 그의 논의가 20대 청년층의 사회경제적 조건의 차이에 대해 별로 주목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취약층 청년들의 성인기 진입 과정을 아네트의 성인모색기 개념을 기반으로 분석하면서 이들의 성인기 과정을 이해하는데 아네트의 논의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취약계층 20-24세의 연구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에 대해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수합된 데이터는 2단계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 분석에서는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참여자들 삶의 중요한 주제를 도출하여 이들의 20대 초중반 경험이 어떠한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2차 분석에서는 1차 분석의 구성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여, 아네트가 제시한 성인모색기의 5가지 특징(‘자아정체성 탐색의 시기’ ‘불안정한 시기’, ‘자기 중심성의 시기’, ‘중간에 낀 느낌이 드는 시기’, ‘가능성의 시기’)과 관련하여 비교고찰을 하였다. 연구결과, 가정 밖 취약 청년의 경우 아네트가 논의한 ‘성인모색기’의 특징을 보이는 면도 있었으나 그렇지 않은 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모색기의 특징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아네트가 논의한 맥락과는 매우 다른 차원에서 이들의 삶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네트의 성인모색기 논의에서는 개인이 성인이 되어 감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가족/공동체/사회적 안전망이 존재한다고 전제된다. 그러나 취약층 청년들의 경우 이와 같은 안전망이 부재한 상태에 처해 있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삶과 진로를 모색하는 시간을 갖기가 힘들다. 그러므로 아네트의 성인모색기 논의를 기반으로 이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여지는 제한적이다. 이처럼 계층에 따라 아네트의 성인모색기 개념의 함의가 상이하기 때문에, 그의 개념을 20대 청년 일반에게 적용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기독교인 ‘신생 성인’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향숙(Hyang-Sook Park)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기독교인인 ‘신생 성인기(Emerging Adulthood)’의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한국 기독교인 신생 성인은 무엇을 경험하고 살아가는가?’ 이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택한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대 초의 대학생 5명으로서 "신생 성인"들 중 가장 보수주의적이며 기독교공동체에 헌신적인 기독교인이다. 연구자는 그들의 삶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기독교인 ‘신생 성인’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구성된 세 개의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렵고 혹독한 ‘현실’과 ‘하나님의 뜻’의 딜레마: 자신의 부족함을 자책하는 것으로 해결하다.’ 둘째, ‘교회에 거주(居住)하며 자란 어른: 기독교인 ‘어른들’을 비판하다.’ 셋째, ‘성숙한 기독교인이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 어리고 부족한 모습을 감추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본 논문이 제기한 기독교교육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기독교 가정과 교회는 기독교교육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상실하였다. 둘째, 내러티브 탐구가 학습자의 실제 삶의 다양한 위기 경험들을 드러내는 기독교교육의 연구방법이자 교육과정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셋째, 신생 성인들에게 기독교적 내러티브의 수용을 요구하는 것을 넘어서서 자신과 자신이 놓인 실천적 현실을 해석하도록 초청하는 질문을 생성하고 제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y of narrative about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Emerging Adulthood". A research question is "What does Korean christian emerging adult have been experienced?" "Narrative Inquiry" is the research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are five university students in the early twentieth, and the most conservative and committed christians among the emerging adults. They have told and retold their lived experiences and have composed their narratives with the researcher. All this processes is a kind of joint research. The results of research are three narratives like these. First narrative is "a dilemma between a difficult and hard "reality" and "the God"s Will": make a solution through reproaching themselves". Second narrative is "Adult dwelling and growing in a church: criticizes christian "adult". Third narrative is "pressure to be mature christian adult: hide their insufficience and immaturity." Through the process of narrative inquiry, this paper has discussed these three. First, contemporary family and church lost it"s role of christian education community. Second, narrative inquiry should be the alternative of research method and curriculum in Christian education for emerging adulthood. Third, beyond receiving and accepting of christian meta narrative only, questions to invite to interpret oneself and oneself"s context have to be created and asked.

      • KCI등재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의 신앙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회 내 양육 사역의 방향에 관한 연구: 신학적 성찰(Theological Reflection)을 통한 양육 사역

        이승병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4 선교와 신학 Vol.62 No.-

        본 고의 목적은 계속해서 심각해지는 교회 내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 청년들의 교회 이탈 현상의 예방과 회복을 위한 교회 내 양육 사역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시기를 지배하는 종교적 특성은 ‘도덕치유이신론(Moralistic Therapeutic Deism)’으로 하나님의 존재와 개인적인 관여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을 왜곡시키며 어려서부터 전수받은 자신의 신앙정체성을 흔들리게 만들어 교회 이탈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도덕치유이신론을 벗어나게 하는 교회 내 양육 사역의 방향으로 “신학적 성찰(Theological Reflection)을 통한 양육”을 제시하고 있다. 신학적 성찰은 개인이나 집단이 “신앙에 비추어 개인적 또는 집단적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신앙과 삶의 경험을 통합”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양육 사역의 방향으로 성인 진입기한국교회 청년들의 교회 이탈이 감소될 것을 소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provide direction for nurtureministry in churches to prevent and recover from the serious phenomenon of young adults leaving the church in their late teens and mid-20s, called “Emerging Adulthood”. The dominant religious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is Moralistic Therapeutic Deism, which distorts basic beliefs about God's existence and personal involvement, and is a significant cause of churchleaving by shaking up one's childhood faith identity. This paper proposes “nurture-ministry through theological reflection” as a direction of nurturing within the church to escape from the Moralistic Therapeutic Deism. Theological reflection is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or groups “integrate faith and life experience” by “reflecting on personal or collective experiences in light of faith.” It is hoped that this direction of nurture ministry will reduce church-leaving among South Korean youth in the emerging adulthood.

      • KCI등재

        성인 모색기 청년의 공통성과 이질성에 대한 다각적 이해

        이숙정 한국방송학회 2022 방송통신연구 Vol.2022 No.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ommonality and heterogeneity during emerging adulthood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comm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asks during emerging adulthood. Emerging adulthood is the period that they should develop explore self-identity in love, work, and worldviews, focus on themselves, and seek for independent lives, while they are unstable and do not make sure that they are adults. Generation discourse presents how society defines the common features of youth generation, describing them as the unfortunate and self-centered generation. Statistical research presents the precariousness of emerging adulthood, pointing out that youth precarious trajectories are heterogeneou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emphasizes that we should understand heterogeneous experiences of disadvantaged youth such as homeless youth, youth of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an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emerging adult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