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영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e two prominen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form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means that almost sam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every year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also means the level of contribution at national development is almost same. In spite of considerable numbers of junior colleges, they have been neglected as they are in Korean education system, by being interested in only universities. Meanwhile, if we take a look the debates surrounding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s is going on the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and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 students is going on th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Now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s education on college basis, it causes lots of debates over centrally ‘The Effect of school’ - ‘Is junior college effectiv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it causes lots of discussions over centrally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 ‘Do junior college students succeed?’Therefore,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totally different opinions from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o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d as follows. First, I examined present condi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status of junior college through the feature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Second, I partitively suggest conditions on main issue related to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with junior college basis and student basis. Finally,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 basis, I suggest conditions on a standard of judgment of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and then indicated problems on debates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한국의 고등교육 체제는 크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 양대 축을 이루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고등교육 체제에서 전문대학이 양성하는 인력이 4년제 대학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국가발전에 대한 기여도도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은 4년제 대학에만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전문대학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을 둘러싸고 어떠한 논쟁이 있었는지 살펴보면, 먼저 전문대학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 효과’를 중심으로, 전문대학생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가 펼쳐졌다. 여기서 ‘전문대학 효과’는 대학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은 효과가 있는가’ 즉 ‘학교의 효과(effect)’에 대한 논쟁이 주류를 이루었고, ‘전문대학생의 성공’은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생은 성공하고 있는가’ 즉 ‘학생의 성공(success)’을 중심으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문대학 효과’ 논쟁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대학은 산업계의 요구와 4년제 대학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옹호자와 비판자 모두 같은 입장을 취하지만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전문대학 효과’ 또는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의에서, 의견을 전혀 달리하고 있는,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한국의 고등교육 현황과 전문대학의 위상을 한국 고등교육의 특징과 전문대학의 비중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문대학교육 효과 관련 주요 쟁점을 대학 차원과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대학 차원은 ‘전문대학 효과’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학생 차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들을 제시한 후 이러한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헌신에 대한 개인 및 조직효과 분석

        김기용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s on professor's commitment in junior college.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12,305 full-time professors in 146 junior colleges.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considering organizational level(more than 30) and individual level(more than 5 member within group), 760 professors of 38 junior college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source material data of junior college's public notice information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se data were analyzed by multi-level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90% of total variance in professor commitment level was individual effects, and about 10% of total variance in that was organizational effects. Second, the effects of professor's age, expecta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of class about professor commitment were significant. Third,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cla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climate, locatio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bout professor commitment were significant. Based on conclusion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First, it is required to explore othe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variables. Second, it is required to support professors by junior college.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헌신에 대한 개인효과 및 조직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146개 전문대학에 재직 중인 12,305명의 전임교수이며, 표집은 다층자료분석에서 요구되는 최소 조직수준 집단 수(30개 이상)와 개인수준 교수 수(전문대학별 5명 이상)를 고려하여 무선표집된 38개 전문대학 760명의 교수였다. 측정도구는 질문지와 전문대학 공시정보의 대학경쟁력 지표(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 2009)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개인과 조직의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인 다층자료구조 분석에 적합한 다층자료분석(Multi-level data analysis)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헌신에 대한 개인수준 변인의 효과는 약 90%, 조직수준 변인의 효과는 약 10% 정도였다. 둘째, 전문대학의 개인수준 변인 중 연령, 교수 기대, 학생 수업 참여는 교수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별, 학력, 직위, 경력, 학생수준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전문대학의 조직수준 변인인 수업환경, 조직풍토, 소재지, 교육 경쟁력은 교수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수준 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 전문대학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 소속 교수의 헌신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 필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 편입학의 취업 효과

        최선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3

        This study analyzed if it was economically effective for junior college students to find a job after transferring to 4-year university by means of Graduates Occupation Mobility Survey (GOMS) data. The samples of 544 persons were extracted through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to remove the selection bias of samples in analyzing the employment effect in the case of transferring from junior college to 4-year university and in the case of finding a job right after graduating from the junior college. Dependent variables were to enter fulltime worker and the wage. They were divided into the individual nature, college nature, and job nature to inject the explanation variable.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onfirmed junior college students' transferring to 4-year univers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ering fulltime worker, and the significant effect following the gender & father-mother education was confirmed among the explanation variables. As for the wage effect analysis, the influence following college transfer was not confirmed, the wage of engineering/nature circle was 17.5% higher than the humanities/society/education, and the wage of medical/pharmacy/art/physics was 26.6% higher which was significant. Also, when the tenure of office increased by 1 month, the wage was significantly high as much as 0.3%. Sever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the decision or employment guide of junior college students' college transfer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이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사용하여 전문대학생이 4년제 대학 편입학을 거쳐서 취업을 하는 것이 경제적인 차원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전문대에서 4년제 대학에 편입학한 경우와 전문대졸후 바로 취업한 경우의 취업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 표본의 선택편의를 제고하고자 성향점수매칭(PSM) 추정을 통해 544명의 표본을 추출해 활용하였다. 종속 변인은 정규직 취업과 임금 두 가지이며, 개인특성, 대학특성, 직장특성으로 구분하여 설명변인을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대학생의 4년제 대학 편입학은 정규직 취업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변인 가운데 성별과 부모학력에 따른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임금 효과 분석에서도 편입학에 따른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인문사회교육 계열에 비해 공학자연 계열이 17.5% 임금이 높았으며 의약예체능 계열이 26.6% 임금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재직기간이 1개월 증가할수록 임금이 0.3%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생의 편입학에 대한 결정이나 취업지도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요인의 교양교육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문영빛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의 개발⋅편성, 운영, 시설 등과 같은 대학 차원의 변인이 학생들의 수업태도나 역량함양 정도에 대한 인식을 통해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한 전문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은 수요반영, 교육과정편성 및 강좌 구성,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지원시설, 수업참여태도, 역량향상 도움 인식,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이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성 및 타당도를 검토한 후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지원시설, 역량향상 도움 인식이 있었으며, 수요반영, 교육과정편성 및 강좌 구성, 수업태도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생들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과 지원시설 부분은 교양교육 만족도에 비교적 큰 영향 요인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더 나은 교양교육을 위해서는 대학 차원에서 교양교육 운영 전반을 고르게 신경 쓸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the college-authorities level variables such as the development, organization, operation, and faciliti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ffect students'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through their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and the degree of their competency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at a vocational college. The questionnaire covered of demand reflection, curriculum organization, course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support facilities,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perception of competency improvement, and satisfaction.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e examined the fitting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n analyzed them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support facilities, and perception of competency improvement wer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ed student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demand reflection, curriculum organization, course composition, and instructional attitude were indirectly a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and support facilitie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students, seem to have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Nevertheless, in order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more attention to its overall operation practices at the college-authorities level is necessary.

      • 전문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명희(Ko, Myung Hee),권미진(Mi Ji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 대상으로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을 강조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크게 4개의 모듈 즉 모듈1은 자기이해, 모듈2는 자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하기, 모듈3은 소속감 높이기, 모듈 4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찾고 감사 표현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은 인지, 정의, 행동의 영역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간을 배분하였고 , 각 회기는 50분씩 총 13회기로 한 학기 교양교과목 수업으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전? 후 대학생 인성 각 영역을 측정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의 분석 결과, 인지, 정의, 그리고 행동 영역의 인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developed program for this study focuses on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s composed of 4 different modules: (1) Understanding self, (2) making positive self-image, (3) enhancing a sense of belonging, and (4) finding students’ own resources and expressing thankfulness. The program integrate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character development. Pre-test and post-tes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given.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826 junior college students who took an elective course and 468 were included for analysis.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reveal that all three-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 aspects of character were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 KCI등재

        대학교양수업에서 신입생의 협력적 학습경험과 대학몰입의 관계에서 선후배 멘토링의 매개효과

        김정주,정홍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is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e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oring by seniors and jun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and college commitment in liberal arts classes opened for university freshme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ntees who had been taking competency-building courses at K universit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commitment. Second,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ntoring. Third,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 effect on college commitment completely mediated by mentoring. Based 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ctive use of mentoring by seniors and junior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providing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mong university freshmen. 이 논문은 대학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양수업에서 협력적 학습경험과 대학몰입의 관계에서 선후배 멘토링의 매개효과를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대학 역량강화 교과목을 수강하는멘티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력적 학습경험은 대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협력적 학습경험은 선후배 멘토링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학습경험은 선후배 멘토링을 매개로 대학몰입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을 위해 협력적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선후배 멘토링의 적극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