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변수 선형 합리적 기대모형에서 기대 안정성(Expectational Stability)과 결정성(Determinacy)에 관한 연구

        조성훈 ( Seong Hoon Cho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3 延世經濟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선형 합리적 기대 모형에서 해(solution)를 선택할 때 결정성(determinacy)에 대한 대안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기대 안정성(expectational stability)의 특성을 재검증하고자 한다. 기대 안정성은 합리적 기대 모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대 안정성을 만족하는 복수의 해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정성에 대한 완전한 대안이 되지 못하는데, 특히 복수의 안정적 해가 존재하는 비결정성(indeterminate) 모형의 경우에 더욱 더 그렇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모형에서도 모형의 표현방식에 따라 기대 안정성이 서로 다른 결과를 줄 수 있음을 보인다. 그 이유는 서로 다른 모형의 표현은 경제주체가 인식하는 해의 계수를 학습(learning)하는데 있어서 선택하는 상태변수들에 대한 정보가 암묵적으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약(weak) 기대 안정성과 강(strong) 기대 안정성이 다르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는 경제주체가 인식하는 해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당연한 현상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경제주체가 인식하는 해의 형태가 동일한 경우에도 기대 안정성의 정도가 다르고 이에 따라 특정 해가 모형의 표현방식에 따라 안정성을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기대 안정성의 문제점이라기보다 경제주체가 인식하는 해에서 쓰이는 정보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관행 때문이며 학습관련 연구에서 정보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reexamines the aspect of expectational stability as an alternative economic refinement scheme of rational expectations (RE) solutions to determinacy. While expectational stability (ES) has been a powerful economic guidance for understanding RE models, it is not the sole alternative to determinacy since it is well-known that more than one solution can be expectationally stable (E-stabl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determinacy. In this paper, we also show that the concept of Expectational stability depends inherently on the representation of a RE model in a multivariate linear RE framework. The reason is that the extent of an overparameterization of a perceived law of motion (PLM) formed by economic agents to learn about the REE can vary across alternative representations of a RE model. This implies that one may draw different conclusions on E-stability of a REE to a model when represented alternatively. This aspect of overparameterization differs from what is known as the distinction of weak and strong E-stability where different functional forms of PLM are studied. We examine how robust are the E-stability results across different representations and emphasize that the information contents of the learning agents matter in study of E-stability for linear RE models.

      • KCI등재

        교통카드 Tag 제약을 반영한 통행자 경로선택에 대한 합리성 평가 연구 :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이미영,남두희,심대영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 이용하여 수도권 지하철을 통행하는 승객의 경로선택의 합리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사용자 경로선택의 합리성은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 다는 기본원리로서 확정성과 유사성으로 구분한다. 확정성은 승객이 선택한 경로는 시스템적 최적경로와 일치하는 정도이다. 유사성은 시스템적 최적경로와 유사하게 파악되는 정도이다. 합리성을 판단하는 기법으로 K경로탐색기법을 이용하여 경로를 열거하는 방법을 구축하였다. 유사성 내에서 확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민자운영기관의 환승단말기 Tag 정보를 활용하였다. 따라서 유사성에서 승객이 선택한 최적경로는 Tag를 경유한 경로와 동일하다는 개념을 적용하 였다. 연구결과 최적경로(K=1)로 나타나는 확정성은 90.4(%), K=(2-10)으로 나타나는 유사성은 7.9(%)로서 총 98.3(%)의 수도권 지하철 통행이 합리적으로 설명된다고 평가하였다. 비합리적 통행 1.7(%)는 사용자 다양성을 고려하여 나타나는 설명되지 않는 에러항으로 평가된다고 파악하였다.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rationality of passengers’ route choice who make trips within Seoul metropolitan subway based on smart card data. The rationality of user route choice is divided into the degree of determinacy and similarity concepts as basic principle. Determinacy is the degree to which the route selected by the passenger is identical to the system optimal path. Similarity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route is similar to the system optimal path. The K-path search method is used for path enumeration, which allows for measurement of determinacy. To assess determinacy within similarity, transfer tag data of private operators is used. Consequently, the concept of similarity applied to the model is such that the passenger’s path choice is identical to the path taken using the tag reader. Results show that the determinacy of appearance of the shortest path (K=1) is 90.4%, while the similarity of appearance as K=(2-10) is 7.9%, summing to 98.3%. This indicates that trips on the metropolitan subway network are being rationally explained. 1.7% of irrational trips are attributed to the unexplainable error term that occurs due to the diversity of passengers.

      • KCI등재

        번역 : 의미와 지시의 이론은 법의 결정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Brian Bix ),권경휘 ( Kyung Hwi Kwon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5 연세법학 Vol.25 No.-

        최근에 많은 주요한 법이론가들이 의미론, 특히 의미와 지시에 관한 퍼트넘(H. Putnam)과 크립키(S. Kripke)의 견해에 기초하여 법의 결정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접근방법을 논변하였다. 이들의 근본적인 입장은 법해석과 법의 결정성에 관한 질문들이 의미론에 의하여 제시되는 의미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법에 있어서 권위의 역할(법제정자의 선택이라는 역할)을 고려한다면, 법의 결정성 문제에 관한 이러한 실재론적 “해결책”은 거부되거나 적어도 중요하게 수정되어야만 한다. A number of important legal theorists have recently argued for metaphysically realist approaches to legal determinacy grounded in particular semantic theories or theories of reference, in particular views of meaning and reference based on the works of Putnam and Kripke. The basic position of these theorists is that questions of legal interpretation and legal determinacy be approached through semantic meaning. However, the role of authority (in the form of lawmaker choice) in law in general and democratic systems in particular require that these realist “solutions” to the problem of legal determinacy be rejected or at least significantly revised.

      • KCI등재

        that-흔적 현상에 대한 소고

        권기양,이원빈 한국언어과학회 2020 언어과학 Vol.27 No.3

        In this paper, we will suggest that the MERGE-based system in Chomsky(2019 a, b, c) and Chomsky et al.(2019) can account for that-trace phenomena in English. To capture this suggestion, we will examine the syntactic and phonological aspects of that-trace phenomena and consider the previous analyses of that-trace phenomena under the framework of Labeling Algorithm in Chomsky(2013, 2015), the upward inheritance of phasehood in Fukuda(2017), and the MERGE-based system in Chomsky(2019 a, b, c) and Chomsky et al.(2019). In particular, we will point out that Goto and Ishii’s(2020) analysis of that-trace phenomena under the determinacy principle in Chomsky et al.(2019) involves some problems and we will suggest that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that-trace phenomena can successfully be explained by the MERGE-based system and the principle of determinacy.

      • KCI등재

        결정성원리와 명사구 추출현상

        이원빈(Lee, Wonbin),권기양(Kwon, Kiyang) 새한영어영문학회 2020 새한영어영문학 Vol.62 No.3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 MERGE-based theory proposed by Chomsky (2019a, b, c) and Chomsky et al. (2019) in terms of determinacy. The latest version of the minimalist theory tries to pave the way for genuine explanation of human language faculty, I-language, without resort to the principles specific to the faculty of language. Based on the language-independent principles such as determinacy, restrict resources, etc.,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minimalist theory has a genuinely explanatory power to shed light on the essence of language in a principled way not peculiar to human language. By examining the extraction from the complement NPs, we consider how the recent proposals put forward by Chomsky (2019a, b, c) and Chomsky et al. (2019) make a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principles of efficient computation for human language.

      • KCI등재

        The Taylor Rule in Egypt: Is it Optimal? Is there Equilibrium Determinacy?

        Mohamed Maher,Yanzhi Zhao,Chuanzhong Tang 세종대학교 경제통합연구소 2022 Journal of Economic Integration Vol.37 No.3

        We investigate Egypt's Taylor rule (interest rate targeting) between 1976 and 2019 by including the main economic variables in its reaction function. Using the Taylor principle, we investigate Egypt’s monetary policy optimality. To this end, we conduct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estimation procedure with different Taylor rule specifications to deal with potential endogeneity among variables. Our GMM estimates reveal that the partial adjustment coefficient is of considerable magnitude, indic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policy inertia on many total variations in the current values of the nominal interest rate in Egypt. Furthermore, the inflation gap coefficient violates the Taylor principle, making the policy procyclical and inflation "spiral" and inducing divergence from the long-run equilibrium. Therefore, Egypt's Taylor rule, and thus monetary policy, reflects the indeterminacy of equilibrium and is a passive and destabilizing policy. Besides, the output gap coefficient was unexpectedly found to be insignificant.

      • A Note on the Determinacy Paradox : The Art of Policy Advice to Endogenous Government with Its Own Motivation

        Jeonghyun Kim(김정현) 한국법경제학회 2007 법경제학연구 Vol.4 No.1

        경제이론의 발전에 따라 정부부문이 모형 내에 내생화되면서 정부의 행동 및 정책결정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이해가 가능하게 된 반면“Determinacy Paradox”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정부의 행동양식이 스스로 동기를 갖는 합리적인 경제주체로서의 활동으로 모형 내에서 결정될 때, 전통적으로 경제학자 본연의 역할로 여겨져 왔던 정부에 대한 규범적인 정책조언활동이 과연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본 논문은 determinacy paradox가 갖는 함의를 명확히 규명하고 정보의 비대칭성 및 정부의 목적함수에 주목하여 역설적인 결과의 해결가능성을 모색한다. 정책조언의 ‘존재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에는 불확실성하의 정보의 비대칭성이 determinacy paradox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규범적 정책조언의 ‘채택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에는 정부가 자체적으로 갖는 목적함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Basu(1997)가 보여 주는 회의적인 결과와는 달리, 일정한 제약조건에 직면한 정부가 마치 자신의 목적이 사회후생을 극대화하는 데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 또는 정부와 경제학자가 비슷한 목적함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정부에 대한 정책조언이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한 형태의 determinacy paradox를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As increasing numbers of economic models endogenize government, we get more fruitful understanding about its policy determination. With policies endogenously determined, how-ever, we confront the "determinacy paradox" that addresses the possible conflict between two traditional activities by economists: advising government "what should be done" vs. predicting "what government will do." In this note I clarify the implication of the determinacy paradox and explore how to resolve the paradoxical result, focusing on asymmetric information and the government"s objective function. When we focus on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advice, asymmetric information under uncertainty plays a key role in resolving the determinacy paradox. When we concentrate on the "acceptability" of normative advice, considering government"s own objective becomes a crucial job. Unlike Basu(1997)"s skeptical result, when government behaves by some constraints as if its aim were maximizing social welfare, or when government and the economist share the similar objectives, giving advice to government can be a sensible activity, so that we can successfully overcome the weak form of the determinacy paradox.

      • A Note on the Determinacy Paradox: The Art of Policy Advice to Endogenous Government with Its Own Motivation

        김정현 한국법경제학회 2007 법경제학연구 Vol.4 No.1

        As increasing numbers of economic models endogenize government, we get more fruitful understanding about its policy determination. With policies endogenously determined, however, we confront the “determinacy paradox” that addresses the possible conflict between two traditional activities by economists: advising government “what should be done” vs. predicting “what government will do.” In this note I clarify the implication of the determinacy paradox and explore how to resolve the paradoxical result, focusing on asymmetric information and the government’s objective function. When we focus on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advice, asymmetric information under uncertainty plays a key role in resolving the determinacy paradox. When we concentrate on the “acceptability” of normative advice, considering government's own objective becomes a crucial job. Unlike Basu (1997)’s skeptical result, when government behaves by some constraints as if its aim were maximizing social welfare, or when government and the economist share the similar objectives, giving advice to government can be a sensible activity, so that we can successfully overcome the weak form of the determinacy paradox.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교사효능감, 자기결정성 간의 관계 검증

        김은주 ( Eun Joo Kim ),이기종 ( Ki Jong R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삶의 질, 교사효능감, 자기결 정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 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질과 교사효능감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과 교사효능감은 자기결정성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결정성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삶의 질과 교사효능감 요인보다는 자기결정성 요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quality of life, teacher`s efficacy, self-determinacy, and job stress of nursery teachers. Survey scale named WHOQOL-BREF was consisted of the quality of life involved health, self-determinacy,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nursery teachers and was made of self-report in order to have accurac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2013 to October, 30, 2013. Out of 174 collected data sets, screened 15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and AMOS version 7.0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teacher`s efficacy directly affected on the self-determinacy which was also intermediating its own effect on the teacher`s job stresse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coefficient the teacher`s job stresses were more affected by the self-determinacy tha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teacher`s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a self-determinacy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teacher job training, management of childhood education center was needed. Since the job stress linked to the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o the quality of life, so the improvement for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needed on the basis of the data about an analysis of their job stressors.

      • KCI등재

        芬皇(분황) 元曉(원효) 本覺(본각)의 決定性(결정성) 탐구

        고영섭(Young Seop K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붓다가 깨친 자내증(自內證)은 십이연기와 사성제 즉 연기법과 중도행이었다. 이중도행은 이론적 중도인 십이연기설과 실천적 중도인 팔정도를 통일시키는 사성제라는 하나의 체계를 이룬다. 이들 중도의 흐름을 다시 꿰어낸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는 『중론『과 『십이문론『 등의 이론적 중도와 『유가론『과 『섭대승론『 등의 실천적 중도를 아우르는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 등의 해석을 통해 일심(一心)의 신해성(神解性)과 본각(本覺)의 결정성(決定性) 개념으로 깨침 혹은 깨달음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이론적 중도인 십이연기설과 실천적 중도인 팔정도를 통일시키는 사성제를 아울러 꿰어 일심(一心)과 일심지원(一心之源)의 개념으로 깨침 혹은 깨달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원효는 일심과 일심지원을 구분하면서도 이들 사이를 잇는 ‘신묘한 성질’ 즉 신해성을 상정하고 있다. 그는 일심의 ‘신해성’을 제9 아마라식과 제8 아라야식을 넘나드는 매개 개념으로 활용하여 팔식설과 구식설 모두를 수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일심’과 ‘일심지원’ 사이의 관계를 해명해 주는 ‘신해성’의 규명은 분황의 일심 개념을 이해하는 길잡이가 되고 있다. 또 일심의 몸체인 본각의 결정성 즉 결정의 본성을 통해 일심지원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때문에 본각의 결정성 개념 역시 일심 개념을 이해하는 마중물이 되고 있다. 원효는 이 ‘일심(一心)의 몸체를 본각(本覺)으로 규정하고 무명에 따라서 움직여 생멸을 일으키기 때문에 여래장(如來藏)이라고 한다’면서 일심을 여래장과 연결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그는 ‘영묘하게 이해함’ 혹은 ‘신령스럽게 알아차림’이란 뜻을 지닌 신해(神解)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분황은 자신의 일심 이해의 지평에 ‘신해’ 혹은 ‘신해성’의 의미를 끌어들여 종래의 일심 이해에 탄력성을 부여하고 있다. 분황은 무정물을 취하지 않는 보신불의 속성 위에서 신해성을 설명하고 있다. 원효는 진여의 불변의 측면이 아닌 진여의 변화의 측면과 생멸의 변화의 측면이 아닌 생멸의 불변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일심의 신해성과 본각의 결정성의 개념을 원용하였다. 무엇보다도 그는 의혹(疑惑)과 사견(邪見)을 끊어내야만 모든 것의 근거인 일심과 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그리하여 원효는 자기 철학의 구심점이자 자기 사상의 원심점인 일심은 신해성을 통해 구심의 아마라식으로 수렴해 가고, 일심지원인 본각의 결정성을 통해 원심의 아라야식으로 나가려 했다. 따라서 분황 원효는 종래의 해석과 달리 일심의 신해성과 본각의 결정성을 원용하여 새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붓다의 자내증의 다른 표현인 일심 이해의 지형도를 크게 확장시키고 있다. The dharma enlightened by Buddha wer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and Four Noble Truths, namely link method and the Right Way actions. The Right Way actions constitutes the one system called the four varna system that unites the theoretical middle way (twelve links theory) and the practical middle way (eight fold path). Bunhwang Wonhyo(617~686) who compiled the flow of the middle way explained the enlightenment with the concept of ‘Mystical Understanding’(神解性) of one mind and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by analyzing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the Mahayana Faith』and 『Vajra- samadhi Sutra』encompassing the theoretical middle way such as『Madhyamika-sastra』 and 『Treatise of the Twelve Aspects』 and the practical middle way such as 『Treatise on the Stages of Yoga Practice』and 『Summary of the Great Vehicle』. In this way, he explained the enlightenment with the concept of one mind and ‘Origin of One Mind’(一心之源) by compiling Four Noble Truths that unities the theoretical middle way (twelve links theory) and the practical middle way(eight fold path). However, Bunhwang introduced ‘Mystical Understanding’, the miraculous property connecting one mind to ‘Origin of One Mind’, while classifying them. He used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s the medium concept encompassing the 9th amala-vijnana and the 8th alaya-vijnana to adopt both of eight-fold vijnana and nine-fold vijnana. Because of this reason, the clarification of ‘Mystical Understanding’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mind’ and ‘Origin of One Mind’ became the guide to understand the one mind concept of Bunhwang. In addition, the concept of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also became the priming wat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one mind. Bunhwang connected one mind to womb of the tathagata, mentioning that ``it is called womb of the tathagata because the main body of one mind is defined as original enlightenment and it generates birth and death while being changed according to ignorance. For the purpose, he used the expression of Mystical Understanding containing the meaning of ‘outstanding understanding’ or ‘miraculous recognition’. In this way, Bunhwang brought the meaning of ‘Mystical Understanding’ or ‘Mystical Understanding’ to the horizontal of one mind understanding to grant the elasticity to existing one mind understanding. Bunhwang explained ‘Mystical Understanding’ on the property of the Buddhas of maturity or recompense that did not adopt the object without emotion. Bunhwang cited the concept of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nd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in order to explain the changed aspect of suchness rather than its unchanged aspect and the unchanged aspect of birth and death rather than its changed aspect. Above all, Bunhwang asserted that we can go back to one mind and origin of one mind, which are bases of all things by cutting doubtfulness and personal opinion out. When it comes to him, one mind is the centripetal force of philosophy and the centrifugal force of thought. Therefore, one mind is converged to amala-vijnana of centripetal force via ‘Mystical Understanding’ and ‘Origin of One Mind’ goes to alaya-vijnana of centripetal force via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refore he expanded the territory of one mind understanding by citing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nd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granting new meaning to them unlike existing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