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활동의 시대적 논의배경과 경제적 가치성에 관한 연구 -서남권 도서지역의 방과후 학교운영을 포함하여-

        박행숙 ( Park Hang-sook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오늘날의 사회는 ‘정보화’와 ‘문화화’의 물결 속에 급속이 다가서고 있다. 문화예술의 가치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미래자본으로서 문화자본이 부각되고 있다. 21세기는 급자기 데카르트 (techart)라는 신조어가 나타날 정도로 문화예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바, 데카르트는 기술(technology)에 예술(art)을 합쳐 만든 용어로 전해지고 있다. 토플러(A. Toffler)가 지적한 것처럼 예술이 대중화되어 일상생활 속에 스며들고 있으며, 예술과 문화가 관련되는 사업활동이 현대산업의 중요부분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래학자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문화예술의 부흥과 중요성을 강조하였듯이 문화예술현상이 경제현상속에 눈에 보이지 않은 큰 해류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예술에 대한 본격적 논의는 최근의 일이지만 이미 오래 전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므로 문화예술에 대한 일반적 가치성과 경제적 가치성을 살펴보기 이전에 과거 여러 관련 학자들이 취급한 문화예술에 관한 시대적 논의 배경을 언급하였다. 첫째로, 먼저 아담스미스(A. Smith)는「도덕 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및「모방예술론」(Imitative Arts)을 소개하여「문화경제학」(Cultural Economics)의 선구자적 사고를 가진 학자로 평가된 바 있다. 둘째로, 아담스미스(A. Smith)가 자신의 경제학 체계 안에 예술문화론을 확연하게 나타내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해서 존 러스킨(J. Ruskin)은 경제학 체계안에 예술문화론을 접목시켜 「문화경제학」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생명을 살리는 경제에 대해서 언급한 바, 이른바 러스킨의 경제학을「생명의 경제학」으로 일컫고 있다. 셋째로, 앨빈 토플러(A. Toffler)는「문화소비자론」(Cultural Consumers)에서 문화의 대중적인 활동이 경제의 새로운 활성화에 연계된다고 하였으며, 「미래의 충격」(Future Shock)에서 미래의 충격을 ‘문화의 충격’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넷째로, 보몰(W. J. Baumol)과 보웬(W. G. Bowen)은 문화경제학의 태동에 크게 기여했으며, 토플러(A. Toffler)가 말하는 문화소비자의 속성을 재확인하였다. 다섯째로,「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이란 용어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and Jean-Claude Passeron)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들은 자본형태를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상징적 자원을 거론하면서 문화적 자본이 상징적 자원의 핵심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밖에 트로스비(D. Throsby)는 경제적 자본속에 물적자본, 인적자본, 자연자본이외에 문화 자본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사무엘 P. 헌팅턴(Samuel. P. Huntington)과 로렌스 E. 해리슨(Lawrence. E. Harrison)은 ‘문화가 중요하다’(Culture Matters)에서 국가의 경쟁력은 자본이 아니라 문화에서 온다고 하였다. 이상의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한다면,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성을 인정할 수가 있다. 문화와 예술은 정신적, 정서적 세계를 초월하여 사회적, 경제적가치성이 존재함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목포대의 어울림 아카데미(Aulim-Academy of Mokpo National University)의 방과후 학교는 서남권 도서지역의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부터 지금까지 음악, 미술 분야가 중심이 되어 많은 예술문화교육을 실시하여 많은 실적을 남겼다. The society today has been rapidly approaching within the waves of the ‘information-orientation’ and the ‘enculturation’. The value of the cultural art has been emphasized, and the cultural capital as the future capital has been carved in relief. In the 21st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art has been carved in relief to the extent that anewly-coined word ‘techart’ suddenly appeared. It has been conveyed that ‘techart’ is a term that was made by combining ‘technology’ and ‘art’. Just like Alvin Toffler pointed out, art has been permeating within daily life by becoming popularized. And the business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art and culture have been rising up as the important parts of the modern industry. Just like the futurologists have already been emphasizing the revival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art from a long time ago, the cultural art phenomenon has been appearing as a big ocean current which is not visible to the eyes within the economic phenomenon. Although the discussions, in earnest, regarding cultural art are the things that happened recently, already, from a long time ago, they have been partially dealt with by the many scholars. Hence, before taking a look at the general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art,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s of the times related to the cultural art that had been handled by the many related scholars in the past was mentioned. Firstly, by introducing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and ‘Imitative Arts’, Adam Smith had been evaluated as a scholar possessing the way of thinking as a pioneer in cultural economics. Secondly, compared to Adam Smith’s not definitely showing the Theory of Art Culture within his economics system, by grafting the Theory of Art Culture onto the economics system, John Ruskin has been known as a pioneer of cultural economics. As he mentioned regarding the life-saving economy, he has been calling the so-called "Economics of Ruskin" as "The economics of life". Thirdly, Alvin Toffler said that, in ‘the theory of the cultural consumers’, the popular activities of the culture get linked to the new invigoration of the economy. And, in ‘Future Shock’, he had been developing the shock of the future into ‘the shock of the culture’. Fourthly, William J. Baumol and William G. Bowen had greatly contributed to the fetal movements of cultural economics, and they reconfirmed the attributes of the cultural consumers as talked about by Alvin Toffler. Fifthly, the term ‘cultural capital’ was used for the first time by Pierre Bourdieu and Jean-Claude Passeron. They classified the forms of the capital into the economic capital, the social capital, and the cultural capital. And, while mentioning about the symbolic resources in the many forms,they have been saying that the cultural capital is the core of the symbolic capital. Other than these, David Throsby had argued that the physical capital, the human capital, the natural capital, and the cultural capital must be included within the economic capital. Also, in ‘Culture Matters’, Samuel P. Huntington and Lawrence E. Harrison sai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comes not from the capital but from the culture. If we put together the above opinions of the many scholars, we can recognize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art. Regarding the culture and the art, we can see that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s exist by transcend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orlds. Keeping in step with such a flow of the times, the after-school program of the Aulim Academy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has left a lot of the results by carrying out a lot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having the music and art fields as the center from the year 2012 until now wit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sland areas of the southwestern region as the subjects.

      • KCI등재

        한국의 문화자본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계급/계층과 취향을 중심으로

        장혜지,장혜미,김재범 한국문화경제학회 2023 문화경제연구 Vol.26 No.2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자본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문화자본에 대한 개념화ㆍ조작화 단계에서부터 선행연구들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문화자본 개념에는 필연적으로 ‘계급’이라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만, 많은 연구들에서 문화자본의계급적 요소를 간과하고 이를 단순히 문화예술활동 횟수나 경험 유무로 문화자본을 측정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주요 쟁점별로 정리하고, 선행연구들의 주요 연구내용과 공헌점을 살핌과 동시에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밝혔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통해 미래의 한국 사회 문화자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급과 계층을 구분하여 사용하되 이 두 개념의 상관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계급과 계층은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기 보다는 개인이 자신이속한 사회에서 스스로의 위치를 가늠하는 척도로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둘째, 현대 사회에서 부르디외식의 문화자본과 옴니보어의 기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는최근 SNS의 게시물을 통해 자신의 취향과 소비를 과시하는 문화가 발달한 한국 사회에서 더욱 필요한 고민이라고 사료된다. 서론에서 제시했던 기존 연구들 간의 상이한결과는 위의 두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각각의 개념에 대한이해를 바탕으로 각각의 메커니즘이 사회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폭넓게 고민해야 함과 동시에 각 개념의 측정을 더 적확하게 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셋째, 문화자본의 적절한 측정 방식에 대한 고민은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취향과 실제 소비에 대한 구분뿐만 아니라 실제 취향과 보여주기 위한 취향을 구분하는 연구조사와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을살펴볼 수 있도록 관련 패널데이터 구축과 같은 긴 호흡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취향과 계층, 계층 재생산, 문화예술경험의 효과 측면에서 사회학, 교육학, 문화예술학분야의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을 다루고, 향후 연구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Research concerned with cultural capital in Korean society demonstrate differences ranging from the stage of conceptualization to the operation of cultural capital. Although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inevitably includes the element of 'class', a number of studies overlook the class factor of cultural capital and simply measure and analyze cultural capital based on the number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r experiences. Therefore, with the above problem in mind, this study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in and around cultural capital by closely examin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and the limitations. We then mak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clud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capital studies in Korean society. To begin with, class and class should be used separately,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concepts should be considered. This is because class and class, rather than opposing concepts, are used together as a measure of individuals' position in their societ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thod of measuring cultural capital and the method of hierarchical existence between genr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ew methodology for measuring cultural capital suitable for Korean society and how it works. Last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ultural capital in Korean society, long-term, in-depth research by building related panel data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landscape of Korean cultural capit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riticall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in cultural capital in the fields of sociology, cultural sociology, cultural economics and arts management and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erms of taste, class reproduction, and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 KCI등재

        문화자본의 개념화와 문화자본 연구의 주요 쟁점에 관한 비판적 검토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Critically discussing issues raised in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and suggesting some tasks to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I attempted to enhance both the theoretical and social relevance of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that will be conducted in Korea. First, I examine how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has evolved in Bourdieu's writings and how empirical studies based on the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have defined and operationalized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Second, I argued about the social and historical nature of cultural capital, the limits of the conceptualization of cultural capital as high-status cultural practices and knowledge, the validity of separating the symbolic effect of cultural capital from its functional effect, the arbitrariness of cultural capital and its relations to dominant power, and finally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dominant groups in society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capital among the sub- dominant groups. Finally, I discussed how to reconceptualize cultural capital if it is to be used in a more inclusive and flexible way depending on social context without losing its theoretical significance. I also discussed research subjects on cultural capital to be studied more intensively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이 연구는 교육사회학 연구 분야에서 문화자본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문화자본 관련 연구들이 고려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우리 사회에서 수행되는 문화자본 관련 연구들의 이론적, 사회적 적합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화자본 개념이 Bourdieu의 저술에서 어떻게 진화해 왔으며, Bourdieu의 문화자본론을 적용한 경험적 연구들이 문화자본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조작화했는지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교육사회학 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자본 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문화자본의 사회적․시대적 맥락성, 문화자본에 대한 고급문화적 접근의 타당성, 문화자본의 상징적 효과와 기능적 효과, 문화자본의 임의성과 지배권력, 엘리트계층의 분화와 문화자본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자본을 그 이론적 의의를 상실하지 않으면서도 사회적 맥락에 따라 보다 포용적이고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재개념화하기 위한 과제와 교육사회학 분야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문화예술관광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천덕희(Deok Hee Cheon),김기동(Gi Dong Kim),임소영(So Young Yim)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1

        목적: 사회적 계층에 따른 소비형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경제자본의 유무를 기준으로 삼았던 기존의 연구에서 탈피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제자본뿐만 아니라 문화자본의 차이에 의한 문화예술관광에 대한 소비형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브르디외가 주장하였던 부모에게 물려받은 상속문화자본과 살아가면서 습득하게 된 획득문화자본의 개념 및 경제자본을 도입하여 이러한 자본들이 문화예술관광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증연구를 위해 베이비붐 세대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유효한 총 176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결과: 요인분석 결과 문화자본은 상속문화자본과 획득문화자본으로 구분되었고, 경제자본은 단일차원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태도와 행동의도는 각각 단일차원으로 구분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상속문화자본과 획득문화자본은 문화예술관광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지만 경제자본은 두 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국 문화예술관광 소비는 개인의 경제자본보다 문화자본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nsumption patterns according to social class, this study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studies that generally us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conomic capital. In this study, the consumption patterns for culture, arts tourism due to differences in cultural capital as well as economic capital are investigated. By using the inherited cultural capital, acquired cultur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that Bourdieu argued, it was tried to empirically verify how these capitals affect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culture and art tourism. Methods: For an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baby boo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17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cultural capital was divided into inherited cultural capital and acquired cultur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was analyzed as a single dimension. Also,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were divided into a single dimension, respectively.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herited cultural capital and acquired cultur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culture and arts tourism, but economic capita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factors. Conclusion: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tourism is determined by cultural capital rather than individual economic capital.

      • KCI등재

        도시지역 50, 60대 예비노인의 문화자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경혜(Gyounghae Han),김주현(Joohyun Kim),박경련(Kyung Ryun Park)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문화자본 관련 요인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속문화자본과 교육수준, 그리고 사회관계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도시 지역(서울, 광주, 청주, 전주)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 1,71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문화자본은 문화ㆍ예술활동에 대한 친숙도, 활동, 정보, 관심의 네 영역을 통해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문화자본 수준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자본 수준에서 항목 간 차이를 보여, 문화ㆍ예술활동에 대한 '관심'이 '정보'나 '활동', '친숙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이 성장기에 부모로부터 획득한 상속문화자본 수준과 비교해볼 때, 현재의 문화자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자본의 관련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상속문화자본과 교육수준, 그리고 사회관계망 모두 현재의 문화자본 수준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성별과 취업상태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도 문화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기 후반기의 문화자본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상속된 문화자본과 개인의 인적자본, 그리고 현재의 사회자본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본과 개인의 상황 특성이라는 생애과정상의 다양한 시간적 축에 걸쳐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결과물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apital and related factors of pre-elderly people residing in urban areas.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ects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from their parent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ocial networks on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Four dimensions of cultural capital were assessed.: familiarity, activity, information, and interest to cultural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713 people, residing in four cities(Seoul, Gwangju, Jeonju, and Chungju), aged from 50 to 69 in 200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Main results were the following: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of pre-elderly was relatively low in general, yet there exist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cific dimensions of cultural capital.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of respon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from parents. Inherited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size of formal network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urrent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These findings imply that cultural capital is a life-long outcome affected by various situations over the life cours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문화컨텐츠 소비에 대한 촉진 및 저해요인의 분석

        윤성준(Yoon, Sung-joon),목옥한(Mu, Yuh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최샛별(Choi SetByol)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특수성을 근거로 문화 자본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의에 대해, 한국 사회의 보다 심층적인 구조와 재생산 메커니즘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 자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부르디외 문화 자본론 관련 연구들을 한국사회 연구에 있어서의 함의점이라는 측면에서 문화 자본론의 적용성, 문화자본과 계급의 상응성, 그리고 문화 자본의 생성과 제도화라는 세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이 세 가지 주제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확장 발전시켜 문화사회학의 주요 분야로 자리잡은 대표적인 예들이다. 다음으로 그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어온 문화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이 세 주제의 맥락에서 개괄하고 보다 활발하고 풍부한 문화 자본 논의와 경험적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 문화 자본을 좀 더 광범위하고 적응성 있는 개념으로 재개념화하고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문화 자본론을 해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 자본의 형태와 그 작동 방식을 밝혀내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 자본의 실증적 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화 활동 및 취향 전반에 관한 광범위한 실태 파악과 지속적인 조사 자료의 집적이 중요하다. 셋째, 서구의 고급문화, 대중문화, 그리고 생활양식들이 어떻게 한국 사회에 스며들어 제도화되어왔는가에 대한 사회사적인 시각을 가진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Some sociologists argue cultural capital does not exist in Korea because of histor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the society. I raise a counterargument by contending that in-depth study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Korean society. In an attempt to find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I address American studie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ree subjects: applicability of his theory; correspondency between class and cultural capital; and gene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ese three subjects, Bourdieu’s theory has critically expanded and become a major part of sociology of culture in America. Then, I summarize Korean studies on cultural capital in the light of the three subjects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the pertinence of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For more active discussions on cultural capital and more appropriate empirical studies, I make three suggestions. First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forms of cultural capital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o make it more extensive and more adaptive. Also, we should interpret the theory of cultural capital in broader context. Secondly, for active empirical studies on cultural capital, we should collect and accumulate data o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tastes. Thirdly, with socio-historical perspective, we should perform systematic studies to reveal how western high culture, popular culture, and life style have permeat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become institutionalized.

      • KCI우수등재

        칭호를 통해 본 온라인 게임의 문화자본 : 로스트아크(Lost Ark)를 중심으로

        변혜린,유승호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영역에서도 문화자본이 발현될 수 있다고 보고, MMORPG에서 제도적 문화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칭호의 의미작용에 대한 탐구 를 목적으로 한다. 개인이 갖는 사회계급은 문화자본, 사회자본, 경제자본이라는 자원의 총량으로부터 유래한다. 이때 문화자본은 교양 또는 안목이라고 불리는 육화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문화자본의 이항가능한 특성에 따라 학교 시장 외의 대항문화의 장에서도 아카데믹한 노력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 에서는 육화된 문화자본을 공인해주는 MMORPG의 장(field)에서 칭호를 둘러싼 행위자들의 의미작용에 대해 분석했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게임 <로스트아 크>에서 발생하는 ‘칭호 중심의 구별짓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항문화 의 장으로서 게임장에서도 체화된 문화자본은 게임의 숙련도 및 지식 등과 대응 되었고, 이때 칭호는 숙련자-미숙련자를 구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로스트아크>의 공식 이벤트인 ‘카멘, The FIRST’ 사례 분석을 통해 한정 된 인원에게 가장 명예로운 칭호를 수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저들의 투쟁 과정을 다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칭호 획득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투쟁은 게임장에서도 그대로 작동하며, 특히 칭호 중심의 문화자본 형성은 가상 의 장에서 중요한 희소재의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signification of titles, which are institutional cultural capital, in MMORPG games, believing that cultural capital can also be expressed in the gaming area as a field of counter-culture. Pierre Bourdieu argued that an individual's social class is derived from the total amount of resources: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At this time, cultural capital exists in an incarnated state called culture or insight, and depending on the transferable nature of cultural capital,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be strengthened through academic efforts in counter-cultural fields other than the school market.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meaning of titles and actors in the game field of MMORPG, focusing on character titles, which are a form of institutional cultural capital that recognizes embodied cultural capital, and identified title-centered distinctions that occur in the game <Lost Ark>. Cultural capital embodied in the gaming field can be corresponded to game proficiency and knowledge, and in this case, the title was used as a means of distinguishing between skilled-unskilled people in <Lost Ark>.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ase of ‘Kamen(Thaemine), The FIRST’, the official event of <Lost Ark>, this study also covered the struggle of user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warding the most honorable title to a limited number of peop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cultural capital theory centered on titles based on Bourdieu's <La Distinction> and attempt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ctors who make up the field through interviews.

      • KCI등재

        스포츠현상에서 표출되는 문화자본의 유형

        남중웅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cultural capital that might have its relationship with sport phenomenons. To meet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following two steps were conducted. First, the study addressed possible transitions and views of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port phenomenons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sport cultural capital were introduced with consumption, life, and social aspects as possibl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to its new aspect. Furthermore, the standards and the value of sport phenomenon to be considered as a part of cultural capital were discussed. Finally, the possible cultural types by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port phenomenon were suggested in three aspects. First, sport consumption culture was introduced in a traditional aspect. Second, sports life culture was addressed in a personal acceptive aspect. Third, sport game culture was interpreted in a shared value aspect. The potential of sports phenomenons to be seen a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was discussed. 이 연구는 문화자본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스포츠현상과 문화자본의 관계에서 표출되는 문화자본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문화자본의 성격은 사회 환경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통적 문화자본의 견해와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스포츠현상과 문화 자본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스포츠 문화자본의 특징을 소비, 생활, 사회적 전이의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스포츠현상을 문화적으로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기준과 문화자본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스포츠현상에서의 문화자본 유형을 세 가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적 관점에서 스포츠 소비문화를 제시하면서 개성적이고 문화적인 소비형태가 표출되는 형태를 제시하였다. 둘째, 개별적 수용이라는 차원에서 스포츠 생활문화를 강조하였다. 즉 개별적 수용과 생활문화로 나타나는 외형적 자본의 형태와 가치는 다양하지만 개인의 생활에서 보여 지는 개별적 수용형태는 고정적이다. 셋째는 공유가치 차원에서 스포츠 경기문화를 해석하였다. 각종 제도적인 부분이 문화자본으로서의 스포츠 역할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스포츠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고유한 형태의 문화자본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