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대학입시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의 도입에 대한 탐색 -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길임주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The research is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implementing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college admission screening, specifically for design majors. Th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purpose for implementati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decisive factors for admission screening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surrounding college admission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57 Admission Officers concerning the suitability and the related issue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in design majoring college screening.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Admission Officers generally agreed upon implementing the system in design majoring colleges, showing more emphasis on portfolio, interview, study pla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n the scores of SAT or high school GPA. They also thought the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llege's distinct features and the founding ideology. They thought the role of professor important when interviewing for screening, and the desirable ratio for the interview is 30 to 40%. Finally, they suggested a few points for settling dow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design majoring college admission screening. 본 연구는 디자인대학 입시가 기존의 변화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전형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최근 확대 시행되고 있는 입학사정관 전형을 디자인대학 입시에 도입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입학사정관전형을 도입목적, 고교 교육과정의 운영, 대학입학허가 결정요인, 대학진학을 둘러싼 사회심리적 요인의 측면에서 미국의 경우와 비교하였으며, 국내 한 디자인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의 실시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입학사정관 57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전공분야의 입학사정관전형 도입과 관련된 논의점들을 조사한 결과, 첫째, 입학사정관들은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찬성하면서 포트폴리오, 면접, 학업계획서, 비교과활동 등의 질적인 자료를 수능이나 내신 성적과 같은 양적인 자료보다 더 중요한 전형요소들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면접관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대학의 특성과 건학 이념에 따른 전형이 바람직하며 면접의 반영비율은 30∼40%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셋째, 입학사정관전형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정성 및 신뢰성과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의 부족으로 지적하였다. 넷째, 디자인 전공분야의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학업성취도와 대학입학전형 요소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이명훈(Lee, Myeo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 높은 대학입학전형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대학생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입학전형 요소들의 효과를 수합하여 그 크기를 계량적 연구통합 방법인 메타분석(meta analysis) 통해 비교하였다. 그 후, 전통적 조절효과 검정 방식을 보완한 유사분산분석(analog to ANOVA)과 메타회귀분석(meta regression)을 활용하여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변인들을 탐색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내신이 대학생 학업성취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은 대학입학전형 요소 중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시간이 흐를수록 예측력이 감소하기도 하였다. 이는 수능이 예측타당도의 관점에서 타당하지 못한 선발도구임을 의미하며, 수능 위주의 전형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대학입학전형 요소 중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내신조차도 0.2 미만의 중간 이하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향후 높은 예측타당도를 갖춘 새로운 평가 요소들의 탐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Current elements of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must accurately predict the potential scholastic aptitude of the students colleges seek to obtain. However, whether current admission factors demonstrate a high predictive validity remains a controversial question, since preceding research proposes mixed results on the influence and the predictive power of these factors. This study has, therefore, attempted to provide suggestions in creating a highly valid college admission process system in the future, by conducting an integrated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admission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aring the effect size of current admission factors to draw a general conclusion. As a result, school records were the most predictive admission factors. The CSAT scores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among college admission factors, and the predictive power decreased with time. This means that the CSAT is not a valid selection tool in terms of predictive validity, suggesting that the SAT method should be improved.

      •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적합성의 의미와 대체 용어에 관한 고찰

        임진택 ( Lim Jin-taek ),박지선 ( Bak Ji-seon ),조민경 ( Cho Min-gyeong ),김효희 ( Kim Hyo-he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인 `전공적합성`이 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고 대학 인재선발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는데 적절한 평가요소인지 살펴보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의 학생선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입 평가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공 적합성 관점에서 미국 대입제도와 우리나라의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의 평가요소, 전형자료, 학교 카운슬러의 역할, 대학 교육과정 등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현직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의 적절성, 고교 활동과 대학 입학 후 전공적응도, 전공적합성 대체 용어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전공적 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은 반면, 우리나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전공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교과 외 활동에 대해서도 미국은 성적뿐만 아니라 학교 내·외 구분 없이 다방면의 비교과활동을 강조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고등학교 내에서 대학의 지원학과에 맞는 전공 관련 활동과 경험을 중요시 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공적합성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대입 평가요소로서 전공적합성이 학생들의 고교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순기능도 있지만 고교활동을 대학 전공 관련 활동으로 제약하는 역기능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공적합성의 의미를 `좁은 의미의 전공 관련 활동도 아니고 넓은 의미의 학교의 모든 활동`도 아닌 `인문/사회/자연/의학 등 계열 적합한 활동`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겠다. 미국 대학과 같이 무전공제·무학과제, 자율전공제, 연계 전공 확대 등의 교육환경 변화가 온다면 전공적합성을 대체하는 용어로 `관심분야 열정·몰입도`나 `탐구활동력`을 제안해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whether `major suitability` is an appropriate evaluation factor in college student selection and to present college admissions evaluation factors. It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screening data, school counselor roles, and college education courses of the U.S. college admissions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ystem of Korea from a major suitability perspective and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dmissions officers.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U.S. system and the Korean system from a major suitability perspective. While the U.S. system did not consider major suitability to be important, the Korean system did. The U.S. emphasized divers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nd out of school while Korea placed importance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school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 major being applied for. Surveys by admissions officers showed that major suitability was perceiv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but that it had the adverse effect of limiting high school activities to those associated with university majors. The meaning of major suitability should be `affiliation appropriate activities such as in the humanities/social studies/science/medicine`. If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changes are made such as the expansion of undeclared or open major or department systems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en `passion·immersion in the field of interest` or `research activity` are proposed as the most appropriate terms to replace major suitability.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대학 입학전형 유형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전경희 ( Kyong Hee Chon ),김자영 ( Ja Young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입학전형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성장 추이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A대학교의 학업성취도 현황에 대한 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학업 성적에 대한 관측변인이자 종속변인인 학업성취도는 2011학년도 1학기에서부터 2013학년도 1학기에 걸친 5개 시점에 대한 학기별 GPA로 측정되었으며, 입학사정관전형과 정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장 추이를 비교하였다. 공변인 확인적요인분석모형과 다집단 잠재성장모형 등을 적용한 분석 결과, 정시전형 학생 집단이 입학사정관전형 학생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성장 속도 역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입학전형 유형 집단 간 학업성취도 성장모형의 초기값과 기울기가 다르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입학전형 유형별 사후 학사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과 학생부종합전형 절차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ndergraduate achievement trend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using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university A. Student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using grade-point averages (GPA) at five points in time from the 2011 spring semester to the 2013 spring semester. The factor structure and growth factors of students` achievements were compared in two student groups: one group admitted by the regular admission type, and the other group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the analysis methods, 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MIMIC) and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gular admission group outperformed the admission officer group, and the regular admission group showed higher growth rates than the admission officer group. These resul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validity of college admission procedures and academic manage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