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 양가성의 유형과 수준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은교 ( Jang Eun-gyo ),이진명 ( Lee Jin-my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긍·부정적 반응을 양가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 양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성적, 정량적 연구방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였다. 먼저 인공지능 비서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비자 양가성의 유형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여 인공지능 비서 잠재수용자 3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은 개인정보 활용이 개인화의 혜택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프라이버시 위험이 커지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1: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 인공지능 비서의 기술이 편리하지만 동시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2: 기능적 양가성), 인공지능 비서가 친근하고 재미있으나 동시에 답답하고 기계처럼 차갑게 느껴지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3: 정서적 양가성)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양가성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연령, 교육수준이 높고 여성일수록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이 높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양가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적 양가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가성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인공지능 비서와 같은 혁신적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이 다양한 차원에서 나타날 수 있고 각 양가성 유형별로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별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인공지능 비서 관련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mbivalent responses of consumers to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IPA), to identify the level of consumer ambivalence by typ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intention to accept IP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ntegra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conducted a 1:1 in-depth interview with 20 general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IPA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types of consumer ambivalenc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8 potential users of IPA.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nsumer ambivalence to IPA was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The first type is the ambivalence that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vides the benefits of persona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privacy risks increase. The second type is the ambivalence for the convenience of IPA to bring convenience but at the same time inconvenience. The third type is the ambivalence for an IPA to be friendly and fun, but at the same time feel stuffy and mechanically co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mbival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woman, income, age, and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ambivalence of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mbivalence than m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IPA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mbivalence of using personal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intention, while the emotional ambivalence had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that consumer ambivalence for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IPA can occur at various dimensions and th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can be different for each type of ambivalence. The study also provides useful marketing implications for IPA practitioner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 애착 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 정서인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이건화,양난미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ood awar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different expressions are shown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within two study models divided into self-defensive ambivalence and relationship defensive ambiva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4 college students who have romantic relationship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study model 1, which includes self-defensive ambivalence, attachment anxiety has a positive effect on mood awareness and self-defensive ambivalence, mood aware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defensive ambivalence, self-defensive ambival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in study model 2, which includes relationship defensive ambivalence, attachment anxiety has a positive effect on mood awareness and relationship defensive ambivalence respectively, but mood awareness and relationship defensive ambivalenc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test, attachment anxiety showed negative effects on th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mood awareness and self-defensive ambivalence.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romantic relationship of students and focused on the emotional variables in the counseling scene. 본 연구는 성인 애착 불안과 이성관계 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서표현 양가성의 동기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 방식을 보인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연구모형을 자기 방어적 양가성과 관계 방어적 양가성으로 나누어 2개의 모형에서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이성관계를 하고 있는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방어적 양가성을 포함하는 연구모형 1에서 애착 불안은 정서 인식과 자기 방어적 양가성에 정적 영향, 정서 인식은 자기 방어적 양가성에 부적 영향, 자기 방어적 양가성은 이성관계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 방어적 양가성을 포함하는 연구모형 2에서 애착 불안은 정서인식과 관계 방어적 양가성에 각각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정서 인식과 관계 방어적 양가성, 이성관계 만족은 유의한 관련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애착 불안은 정서인식, 자기 방어적 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이성관계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이성관계를 이해하고 상담 장면에서 정서적 변인에 초점을 맞춰 도움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경험의 매개효과

        김용희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9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secure attachment had an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ried to find out that emotional experiences(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mediational effect. The measures used to assess these effects with a sample of 214 college students, included Korean Version of Inventory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Emotional Awareness Scal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naire, and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insecure attachment were correlated with emotional awar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 defensive ambivalence. That is, in the case of insecure attachment,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defensive ambivalence were low.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significant a mediational effect in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 defensive ambivalence. That is, insecure attachment influenced on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defensive ambivalence, and then these influenc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anwhile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s subtype-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 had significant linking effect in self defensive ambivalence. That is emotional awar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 defensive ambivalence had directive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 in order to increase college's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hat emotional awareness is more clearl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s more down. And these emotional experience variables and attachment were identified essential factors in college's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애착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 경험들의 매개효과(정서 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정서표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14명이였고 측정도구에는 애착척도,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 정서표현양가성, 정서표현 척도가 포함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불안정 애착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경험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특히 불안정애착은 정서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불안정애착일수록 정서인식을 잘 못하고, 정서표현 양가성이 많으며,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높았다. 중다회귀 분석 및 sobel test 결과, 불안정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과 정서표현 양가성, 자기방어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불안정애착은 정서인식, 정서표현양가성, 자기방어 양가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인식과 정서표현 양가성, 또는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직접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정서인식을 명확히 하고 정서표현 양가성을 줄이는 요인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정서를 조절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의 유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애착과 정서경험은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패션영상에 표현된 양가성에 관한 연구

        조윤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6

        Modern fashion films express mental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various asp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design method analyzing ambivalence, a concept suitable for explaining the conflicting and contradictory phenomena of human ambivalence inherent in modern society, and establishing the typ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in fashion film.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established the concept of ambivalence in psycholog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in literature, art, and film, and categoriz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cases of fashion films expressed by ambivalence. The analysis result is as below. First, ambivalence means a state or a situation where two-sided attitudes or contradictory emotions, with respect to a certain object coexist, and also shows positive effects associated with indiscriminating property. It elevates values that were undervalued in the existing system by evaluating opposing values equally. Second, ambivalence is expressed as duplicity of a carnival and ambiguous values in literature, and it played a role in conveying the usual classification system and hierarchy of the reality. It is expressed as a dual meaning, a mixed image, and a deconstructive structure in art. Third, it is expressed as a multi-space, a dual image, and a humorous story in film. The expressive method was symbolic and metaphorical, and the social issues was expressed in a witty way with humorous stories. Fourth, ambivalence can be categorized into discord between time and space, unrelatedness between space and character, and twofold character in fashion film. The multiple space and discord between space and character are expressed with collage, twofold character is with overlap, and witty story is with slow motion techniqu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esent ambivalence as a design method. as a specific precedent for ambivalence. I hope various designs will be planned as continuous research on design method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자기진실성을 위한 자기이질성 - 군나르손의 극단적인 양가가치 -

        강현정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5 No.-

        이 글은 양가가치에 관한 한 입장을 검토하고 그러한 입장이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학자들 대다수는 소위 이상적인 인간이기 위해 양가적이기보다는 자기 통합적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는데, 군나르손(Logi Gunnarsson)은 이 입장을 전면 거 부한다. 군나르손은 사람이 때로는 양가적일 수 있으며 심지어는 극단적인 양가가치가 자 기진실성을 위한 유일한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브래스코라는 가명으로 활동한 실제 FBI 요원 피스톤의 삶이 극단적으로 양가적이라는 데에 근거한다. 군나르손에 따르 면, 그는 잠입 요원과 범죄자의 삶 양자를 자기 것으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양가적인 상 태를 자기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나는 이 경우가 극단적인 양가가치라는 군나르손의 해석이 잘못되었으며, 적어도 그것의 양가적 가능성은 행위자가 처한 작위적 특수성에 달 려 있다고 본다. 군나르손의 주장과 달리, 브래스코의 양가가치는 그러한 양가가치에 도달 한 시간적 흐름을 따져 보았을 때 그 자신의 가치로만 구성될 수 없는 것들의 대립을 내포 한다. 가치의 대립을 포함하는 유사한 상황, 곧 안락사의 다양한 양가적 상황을 고려해보 더라도, 행위자의 양가가치는 극단적인 형태보다는 자기통합의 방향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discourse surrounding ambivalence, seeking to address a challenge posed by a particular perspective. The prevailing view among scholars contends that genuine human flourishing necessitates self- integration, dismissing ambivalence. Rogi Gunnarsson, however, challenges this mainstream stance by asserting that occasional ambivalence and, in fact, radical ambivalence are essential for being true to oneself. Gunnarsson draws inspiration from the intriguing case of undercover FBI agent Joseph D. Piston, alias Donnie Brasco, who embraced both his infiltrator and criminal personas, along with the inherent ambivalence. I contend, however, that Gunnarsson misinterprets this radical ambivalence, attributing it to the unique circumstances of Piston’s situation. In contrast to Gunnarsson, I argue that Brasco’s ambivalence doesn’t signify an internal conflict of values. By scrutinizing the timeline and content of his ambivalence, including instances like euthanasia, it becomes evident that the agent’s ambivalence tends toward self-integration rather than radical ambivalence.

      • KCI등재

        찰스 키핑의 그림책에 나타난 양가적 표현의 고찰

        이현지 ( Lee Hyun Jee ),문철 ( Moon Chu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양가성이라는 개념을 그림책에 적용해, 양가성 특징이 그림책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양가성은 가치의 이중적 양상을 일컫는 말로, 현대에 접어들면서 이분법적인 도식의 틀을 해체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프로이드는 심리학자 블로일러가 제시한 양가감정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인간의 본능에 대해 고찰했는데, 그 과정에서 인간의 심리는 사랑과 미움 등 서로 양가적인 대립항에 지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문학평론가 페터 V. 지마는 프로이드의 양가감정에서 비롯된 양가성이라는 개념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을 해석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하기도 했다. 양가성은 근대 문학의 이분법적인 대립을 해체하려는 탈중심주의적 사유의 표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으로 양가성 개념을 그림책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현대의 그림책은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담아내며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데, 그림책에 나타나는 양면 가치나 반대 감정의 병존을 양가성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실험적인 표현방식으로 영국의 3대 그림책 작가인 찰스 키핑(Charles Keeping)의 작품 속에서 양가성의 의미가 조형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찰스 키핑은 양가적 속성을 가진 오브제의 사용, 자의적이고 과장된 색채 사용, 서로 대조되는 대상의 공존이라는 세 가지 유형의 표현을 통해 작품에 양가적인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concept of ambivalence to picture book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eature of ambivalence on the communication of picture book. Ambivalence is a memo referring to the dual aspects of value. It also means dismantling the framework of dichotomous schemes as they enter modern times. The concept of ambivalence that psychologist Bloyler asserted what emerges in the process. Freud analyzed the process of human instinct with the concept of this ambivalence. In the process, he discovered that human psychology is dominated by ambivalent opposites such as love and hateLiterary critic Peter V. Zima has used the ambivalence as an important keyword to interpret postmodern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ambivalence can be seen as a manifestation of a de-centralist thought to dismantle the dichotomical confrontation of modern literature. The concept of ambivalence can also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picture books. Contemporary picture books contain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society and break down boundaries, this is because the coexistence of two-sided values and oppositional emotions in picture books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ambivale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the meaning of ambivalence is expressed in a formative way in the work of Charles Keeping, a British picture book writer who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children`s picture book as an experimental expression method. As a result, Charles Keeping found that he gives an ambivalent meaning to his work through three types of expressions: the use of objects with ambivalent attributes, the use of arbitrary and exaggerated uses of life, and the coexistence of contrasting objects.

      • KCI등재

        COVID-19 불안감이 드론 음식배달 서비스 관련 소비자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조군위(Junwei Zhao),박현정(Hyun-Jung Park)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4

        Purpos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VID-19 anxiety o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drone food delivery service, the influence of various characteristics on consumer ambivalence toward service, and the effect of this ambivalence on adoption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s of COVID-19 anxiety on the attributes of drone food delivery services, including rapidity cognition, compatibility awareness, safety concerns, psychological risk, and performance risk, which affected ambivalence, and consequently, use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76 Chinese consumers are aware of drone food delivery servic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26.0 and AMOS 24.0 to verify the impact of the ambivalence on use intention. Findings - COVID-19 anxiety increased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 technical delivery service leading to ambivalence. The cognition of rapidity and compatibility of drone food delivery services had negative impacts on ambivalence. On the contrary, safety concerns, psychological risk, and performance risk positively affected ambivalence. The ambivalence decreased usag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 - Results indicate that COVID-19 anxiety influenced consumer perceptions of innovative service attributes and ambival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 KCI등재

        양가감정을 적용한 제품디자인프로세스 사례 연구

        박상훈 ( Sang Hoon Park ),이상훈 ( Sang H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사람들은 수많은 갈등상황, 즉, 양가감정(兩價感情)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양가감정이란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정반대의 감정을 동시에 느끼는 정신 상태를 의미하며, 사람의 방어기제들 중 하나인 반동형성(反動形成)을 나타나게 하는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가감정이라는 심리현상을 디자인프로세스에 적용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서로 양립되는 가치들 사이에서 방향을 잡지 못할 경우, 양 극단적인 발상을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그러한 과정으로부터 최적의 조율 점을 찾기 위한 가능성의 모색에 있다. 이를 위해 개인의 졸업작품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프로덕트 디자인전공 4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양가감정이 디자인 과정에서 효과적인 조력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타진해 보았다. 참여 학생들은 콘셉트의 발상단계에서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양가감정과 부딪히면서 혼란과 갈등을 겪기도 하였으며, 형태의 표현단계에서는 반동형성과 반응의 증폭화에 의한 실험적이고 극단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외적인 압력에 의한 최종조율과정을 거치면서 서로 상충하던 가치들을 장점의 요소로서 승화시킴으로써 각자의 고유한 개성이 반영된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디자이너가 지닌 양가감정이란 때로는 모순적인 개념이나 과장된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러한 갈등상황의 발현을 억지로 제한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보다 독창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Humans frequently encounter numerous conflict situations, i.e. ambivalence. Ambivalence means a state of mind in which one feels diametrical emotions for the identical object simultaneously. In general, ambivalence causes a high conflict, and has a tendency of leading to reaction formation, which is one of defense mechanisms of a human. This study aims to induce the two extreme ideas when a designer cannot find a direction between values compatible with each other upon applying a human mentality, ambivalence, to the product design process, and to seek out a possibility of finding an optimal mediation point from such process. Thus, a case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ambivalence is an effective helpful element in the design process for 4th year students who were preparing their individual graduation work project. Students showed a tendency of experiencing confusion and conflict while crashing into ambivalence that existed in the inner side of each individual at the conceptualization stage, and experimental and extreme inclinations were caused by reaction formation and the amplification of reaction at the stage of expression of shapes. However, at the finishing stage, the results reflecting one`s individuality could be derived by sublimating values conflicting each other to the advantages through the mediation process by the external pressure. Even though the creation of a conflict situation by ambivalence appeared as contradictory concepts and exaggerated images, we expect that actively utilizing psychological expressions of ambivalence, rather than forcefully limiting them, will be very useful in implementing a more creative design.

      • KCI등재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양면가치태도와 내적갈등이 소비자의모바일쇼핑 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진명 ( Jin Myong Lee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3

        개인화 기술의 빠른 발전은 개인정보 활용을 통해 얻는 혜택과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감수해야 하는 위험을 동시에 높이며 소비자를 선택의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 활용의 혜택과 위험에 대한 양면가치태도와 이러한 혜택과 위험의 충돌로 인한 내적갈등이 소비자의 모바일쇼핑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변수 간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수립하고, 모바일쇼핑 경험이 있는 20대, 30대 소비자 500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양면가치태도는 모바일쇼핑에 대한 소비자 만족에 정적인 직접효과와 내적갈등을 매개로 부적인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에 대한 높은 관여와 이불리(利不利)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사고가 궁극적으로 대상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내적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다중집단 분석결과 양면가치태도와 내적갈등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사업자에 대한 신뢰가 높은 집단에서는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양면가치태도가 내적갈등에 미치는 정적 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부정적 반응이 어떠한 비중과 강도로 존재하는지를 양면가치태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살펴보고, 양면가치태도와 소비자 만족의 관계에서 내적갈등이 유발되는가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과, 양면가치태도와 내적갈등의 관계가 신뢰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Gaining personalization benefits simultaneously increases privacy risk and thus consumers’ evaluative stance toward using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ambivalent. This study am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s’ ambivalence about using personal information on internal conflict and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mobile shopping and the extent to which these relationships were moderated by trust. For this purpose, a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from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from mobile users in their 20s and 30s (n=5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onsumers’ ambivalence about using personal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rnal conflict (support for hypothesis 1) an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with mobile shopping (support for hypothesis 2) Furthermore, internal conflic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support for hypothesis 3). These results show that integrated thinking that embraces multifaceted aspects of objects can ultimately lead to consumer satisfaction. Moreover, it was identified that effectively managing and resolving internal conflict is important in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and internal conflict was proved to be significant(support for hypothesis 4). In the group that showed high level of trust,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and internal conflict were found to be weakly negative. Further, in the group with low level of trust,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nflict and consumer satisfaction was observe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in a group with high trust. Such results imply that trust has a double effects that it reduces the occurrence of internal conflict and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 of internal conflict on consumer satisfaction. By distinguishing ambivalence(cognitive evaluation) and internal conflict(affective outcome of ambivalence), this study revealed that ambivalence can have both a negative effect (in that it yields a conflict) and a positive effect (in that it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on promoting mobile shopp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expansion of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onsumers’ ambivalence by empirically proving the mediating role of internal conflicts, and its importance.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안선경,정여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57 university students using RSQ, AEQ-K, KIIP-SC.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rejection sensitivity, self-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t the data well. Second, competitive model 2 was selected over research model and competitive model 1 for the final research model (NFI=.927, TLI=.920, GFI=.925, CFI=.944, RMSEA=.089).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fully mediated by self-defense ambivalence. Fourth, an order-based double mediating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occurred: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preceded self-defensive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하여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 대인관계문제로 이루어진 측정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경쟁모형1, 경쟁모형2 중에서 경쟁모형2가 가장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다(NFI=.927, TLI=.920, GFI=.925, CFI=.944, RMSEA=.089). 셋째, 관계관여적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자기방어적 양가성에 선행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