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흥원의『역중일기曆中日記 』에 나타난 상 제례 운영의 특징

        이욱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examined Confucian rites performed by scholar-gentries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description of funeralrites and ancestral rites in Yeokjungilgi by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 (崔興遠,1705~1786). First, this paper studied funeral rites as described in Yeokjungilgi. The book Yeokjungilgi spans more than 50 years from 1735 to 1786. Choi Heungwon lost his father in 1735, his wife in 1740, his son in 1763, and his mother in 1765. He exerted efforts to perform these funerals in accordance with Jujagarye (Family Rites of Zhu Xi), and employed a lime-soil mixture barrier and a bier component known as sobangsang (小方牀). Second, this paper examined ancestral rites performed by Choi Heungwon. Choi Heungwon tried to observe the bulcheonwi (不遷位) ancestral ritual for his great-great-great-grandfather Choi Dongjib(崔東㠍). He created the separate shrine Shrine and Bobondang Memorial Hall for his cl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Looking at the seasonal rites alone, Choi Heungwon seemed to prioritize the separate shrine over the family shrine. While the clan emphasized seasonal sacrifices—held only twice a year — Choi Heungwon was more influenced by death anniversaries. He observed the death anniversaries of ancestors beginning from his great-great-great-grandfather to his own family, including his wife, sibling, and son. He also performed yeje (禰祭), which is a separate ancestral ceremony for one’s father. Another important ritual held every October was myosa (墓祀), or the graveyard memorial service. This ritual was an opportunity to meet ancestors beyond five generations, and allowed interactions with more people in his clan. Guest reception and contagious diseases were factors that disrupted Choi Heungwon’s life of rituals. Choi Heungwon could not neglect guest reception as it was an activity highly regarded in those days. However, guest’s visits interfered with his performing the purification and prohibition which was considered an essential to the actual rite. The master could not fully concentrate on paying respect to ancestors during the three-day or one-day of purification when unexpected guests arrived. This was a challenge for Confucian scholars, who had to maintain social ties while showing respect for their ancestors. The spread of contagious diseases interfered with Confucian rites, to the point where it was impossible to conduct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amilies had to live separately from one another due to diseases, which meant that ancestral rites had to be skipped or simplified. Despite such circumstances, Confucian rites grew more diversified instead of being phased out. In 18th century Joseon, the social culture was dominated by Confucianism. Shrines and ancestral rites were key elements that strengthened the bond among members of the clan, and even more so for scholar-gentries. Choi Heungwon tried to preserve his clan and lead a reverent life by performing ancestral rites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Jujagarye. Yeokjungilgi reveals that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efforts of scholar-gentries, who remained dedicated to rituals and honored the memory of ancestors even in daily activities centered on “family” and “house.” 본고는 백불암百弗菴 최흥원崔興遠(1705~1786)의 『역중일기曆中日記 』에 나타난 상례喪禮와 제례祭禮를 통해서 18세기에 사대부들이 유교 의례를 어떻게 실천했는지를고찰한 논문이다. 본고는 먼저 『역중일기 』에 나타난 상례를 살펴보았다. 『역중일기』 는 1735년부터 1786년까지 50여 년간의 방대한 기록인데 당시 극심하였던 전염병과 그에 따른 공포와 죽음이 잘 드러난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최흥원은 1735년부친상父親喪, 1740년 부인상婦人喪, 1763년 아들의 상喪, 1765년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였다. 그는 수차례의 상례를 『주자가례』에 따라 거행하고자 하였는데 절차만이 아니라 회격묘灰隔墓의 조성과 소방상小方牀의 사용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최흥원이 수행한 제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최흥원은 5대조 최동집崔東㠍을 불천위不遷位로 모시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별묘別廟의 사당과 ‘보본당報本堂’이란 이름의 재사齋舍를 만들어 문중의 주요 제향 공간으로 삼았다. 시제時祭의 운영만을 볼 때 최흥원은 가묘家廟보다 별묘別廟를 더 중시하였다. 한편, 문중의 결속에 시제가 중요하였지만 그의 일상은 시제보다 기제忌祭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시제가 일 년에 2회에 그쳤다면 기제는 5대조로부터 아내, 동생, 자식의 기일忌日까지 챙겼으므로 더 자주 찾아왔다. 그리고 부친에 대한 별도의 제사인 예제禰祭도 거행하였다. 그 외 10월의 묘사墓祀 역시 중요한 의례였다. 5대보다 더 이전 조상을 묘사를 통해 만날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더 넓은 범위의 문중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최흥원의 의례 생활을 방해하는 것이 접빈객接賓客과 전염병傳染病이었다. 접빈객은 당시 사회의 중요한 덕목이었기 때문에 결코 소홀히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손님의 방문과 접대는 제사에 필수적인 요소라 여겼던 재계齋戒를 방해하였다. 3일 또는 하루의 재계 동안에 오로지 제사와 조상만을 생각하고자 했던 주인의 마음은 예상치 못한 사람의 방문으로 쉽게 무너졌다. 이러한 상황은 현실의 사회관계를 중시하면서도 공경의 상태를 유지하려 했던 당시 유학자들이 극복해야 할 과제였다. 반면 전염병은 상례와 제례의 수행을 불가능하게 만들 정도로 의례 실천에 걸림돌이었다. 전염병 때문에 사람들은 집을 나와 외진 곳을 찾아 흩어져 생활해야 할 경우가 많았고, 이 때문에 제례를 폐하거나 임시로 간략히 지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 변례를 통해 유교 의례는 현실에 적응하고 삶 속에 깊이 스며들었다. 18세기 조선사회에 유교는 이미 사회문화에 주도적인 이념이었다. 특히 사대부가에서 사당과 제례는 가족과 문중을 결속시키는 기본 의례였다. 최흥원은 이러한 제례를 『주자가례』에 따라 최대한 실천하면서 문중을 지키고, 나아가 자신의 경건한 삶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가족’과 ‘집’이라는 지극히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의례의 경건성과 추모의 감정을 유지하려했던 사대부들의 노력 속에 가능한 것이었음을 『역중일기』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 사대부의 일상을 통해 본 가족과 관계-최흥원(1705~1786)의 사례-

        김정운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7 No.-

        This study contemplates the meanings of family in the daily life of Choi Heung-won (1705~1786) who lived in Daegu in the 18th century. In the study, discussions focus on two points. The first point is space as it was an important element in a person's way of thinking and act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when Choi lived there. The provincial office of Gyeongsang Province was set up in Daegu in 1601. The governor would have controlled the entire province, including its administration and judicial power. Thus, Daegu became the central city of the province in administration and jurisdiction. Gyeongsang Province was the most populous administrative unit at the provincial level in Joseon in the 18th century, and Daegu was at its center. The second discussion point is family, which is a foundational group of life. The scope of family, in a narrow sense, encompasses a couple and their children, and in a broader sense, even their parents and siblings. Accordingly, one must know the description of family.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on the family relationships of Sadaebu in the 18th century with the case of Choi's family, whose perceptions of family and roles were reviewed based on their words and actions to each other. Choi's family consisted of a couple and their children. They lived together, and the couple shared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s upbringing and education. As a father, Choi was particularly devoted to the upbringing and education of his children. He taught his son everything from daily habits to interpersonal behavior styles. It was the same with his daughter. He would postpone an urgent matter to prevent her from getting hurt emotionally and even feel sorry after spending days at the house of his married daughter. The study also examines the couple'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siblings. Their parents and siblings lived in separate places and worked together to serve their parents. Choi was the eldest son and lived with his mother after his father passed away early. Choi's wife also passed away early. Under these circumstances, he lived with his mother. His siblings lived in their respective homes after getting married. He and his siblings divided their roles to serve their parents. 이 논문은 18세기에 대구에서 살았던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일상생활에서 가족의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논의는 두 가지 지점에 집중하였다. 첫째는 공간이다. 공간은 사람의 사고방식과 행동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흥원이 살았던 18세기 대구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18세기의 대구는 번화한 도회지였다. 1601년 경상도(慶尙道) 감영(監營)이 설치되었고, 행정과 사법의 중심이었다. 둘째는 가족과 관계이다. 가족의 범위는 좁게는 부부와 자녀이며, 확대하면 부부의 부모와 형제가 포함된다. 이들 사이의 관계는 어떠하였나. 최흥원이 가족에게 표현하는 말과 행동을 따라서 그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최흥원의 가족은 부부를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자녀의 양육과 교육은 부부가 함께 분담하였다. 또 아내와 자녀, 부모와 형제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도 적극적이었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崔興遠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曆中日記 』내 한시漢詩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 – 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曆中日記 』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역중일기曆中日記 』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역중일기曆中日記 』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SUB>崔興遠</SUB>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SUB>曆中日記</SUB>』내 한시<SUB>漢詩</SUB>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鄭煥局)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 『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 『역중일기』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_역중일기_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 KCI등재후보

        <曆中日記>를 통해 본 사대부의 일상과 가족의 의미

        류명옥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One of the things that allows you to take a closer look at a person's various daily lives and emotions is a diary. In particular, there is “Yeokjungilgi” as a diary material that allows you to look at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an in the 18th century. Yeokjungilgi, written by Choi Heung-won of Baekbulam for about 60 years,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an and the emotions and emotions they feel in their daily lives. In particular, “Yeokjungilgi” is characterized by various family relationships. Baekbulam Choi Heung-won shows his daughter and son as a great father. The agony between the appearance of a nobleman and a father is evident through the appearance of having to endure his father's sadness as a nobleman. By recognizing the mother and mother's mother's family in the same way, it shows the emotional intimacy with the mother. In addition, a strong will to practice can be found in making a ritual (變禮) that is a nobleman but must be observed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of private benefits. As such, all the daily lives in “Yeokjungilgi” are characterized by being woven into a family, and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understand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noblemen. In this respect, the daily life of the noblemen in “Yeokjungilgi” sh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from the social status of the noblemen and from a human perspective. This is because the perception of family was formed first on the basis that Choi Heung-won of Baekbulam was recognized by expanding to a region or social commun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family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emotional empathy and emotion, Choi Heung-won of Baekbulam will be able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the community. Therefore, “Yeokjungilgi” is a record that provides a glimpse of the empathy and emotion of a nobleman, and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in various aspect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 aspect of the noblemen.

      • KCI등재

        《역중일기(曆中日記)》를 통해 본 18세기 전염병 유행과 대응 전략 -대구부(大丘府) 최흥원 가족을 중심으로-

        이경진 한국인구학회 2023 한국인구학 Vol.46 No.4

        본 연구는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역중일기(曆中日記)》를 바탕으로 18세기 전염병의 유행 양상을 추적하였다. 더불어 전염병 유행에 대응하여 최흥원과 그의 가족들이 어떤 생존 전략을 구사하였는지 살펴보았다. 50년에 육박하는 《역중일기》에서는 2,338회의 질병 기록과 836회에 이르는 사망 기록이 확인되었다. 특히, 1742년의 경우 질병 및 사망 기록이 총 158회 확인되었는데, 이는 《역중일기》연간 기록 중 가장 높은 횟수를 보이는 수준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일성록》 등 관찬 사료에서도 1742년 전염병 유행 양상이 확인된다는 것이다. 한편, 《역중일기》에는 1742년 천연두(痘瘡) 유행으로 최흥원의 장모, 외숙 등이 사망하는 등 급박하였던 당시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1742년은 아직 천연두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았던 시기였다. 최흥원은 천연두 감염을 피하기 위하여 식솔을 거느리고 장기간 피접에 나서게 된다. 임시 거처는 주로 경주최씨 친족의 영향권이 미칠 수 있는 곳으로 선정되었다. 이처럼 1742년 전염병 유행 속에서 가족이 존속하는 것에 성공한 배경은 상호부조를 통한 가족 연대에 있었다. 요컨대, 18세기 대구부 최흥원 가족이 전염병 유행 속에서도 가계를 존속할 수 있었던 것은 가족과 가족 사이의 연대가 일족의 연대로, 그리고 일족의 연대가 지역의 연대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Choi Heung-won's (崔興遠, 1705-1786)'s Yeokjungilgi (曆中日記) contains rich content on life history over a period of over 50 years, making it an excellent demographic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diary, a total of 2,338 disease-related records and 836 death-related record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greatest number of diseases and deaths were recorded in 1742 due to smallpox. 1742 was a time when a cure for smallpox had not yet been developed. Choi Heung-won will be quarantined for a long time with his family. The temporary residence was selected mainly as a place where the influence of the Gyeongju Choi clan's relatives could be exerted. Choi Heung-won's family's quarantine period ended successfully as they returned to their daily lives without a single case of smallpox. The reason for the family's success in quarantine was mutual aid. Choi Heung-won inherit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roperty while taking on the role of leader of his immediate blood relatives and clan. And it appears that some of this property was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epidemics. In short, the reason Choi Heung-won's family was able to survive despite an epidemic in the 18th century was because mutual aid between families expanded into clan mutual aid, and clan mutual aid expanded into regional mutual aid.

      • KCI등재

        『曆中日記』를 통해 본 18세기 양반가 남성의 가사활동과 그 의미

        김명자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5

        The family is universal as an instinct community, but the range, system, and family members’ roles were different by period. The family started from a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for a long time and they performed their own roles while independent desire, expectations, and national and social ideologies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e family (家)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specific site that realized confucian ideology. Examining how housekeeping activ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family is one of the methods that can let us know the realization and operation aspects of confucianism. This writing tried to examine male housekeeping activities done in the families in the 18th century and their meanings. There are two reasons for it. First, Neo-Confucianism was expanded throughout the base of society after the 17th century. This writing tried to check how it was reflected in families’ roles and male housekeeping activities. Second, studies on men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approached from viewpoints of politicians, government officials, thinkers, scholars, landowners, etc. They need to examine what roles men played as the persons who made a living in the families. The subject material is 『Yeokjungilgi (曆中日記)』 written by Baekbulam, Choi Heungwon (百弗庵 崔興遠(1705~1786)) who resided in Chilgye [Otgol] in eastern Haeanhyeon, Daegubu for more than 50 years. Male housekeeping activities shown in the diary included children’s education, family care, offering ancestral rituals and treating guests, marriage arrangement, disease control, shopping, etc. Education and shopping that women play much bigger roles in today belonged to men’s roles. Men actively participated in housekeeping activities while they were responsible for household management.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all sorts of household matters and the living contact-type existence who performed very various roles. The following facts could be found through this writing. First, the principle of the distin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operated in housekeeping activities. Men and women did not invade each other’s roles. Men were more focused on housekeeping activities done outside and roles to socialize their families with detached drawing rooms. Second, Confucian value armed with filial piety and affection expanded families’ roles. And this made problems originated from incompletion of the state system solved in the families. Third, lineage succession rituals with shrines as the center operated in everyday life. Confucianism was based on families, and it could be found that men were the existence who was born in ‘families’, lived for ‘families’, and became extinct in ‘families’ through male housekeeping activities. 조선시대 家는 유교 이념을 실현하는 구체적 현장이었다. 가 내에서 가사활동이 어떻게 분배되는지 살펴보는 것은 유교의 실현 여부와 작동 양상을 알 수 있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가에서 이루어지는 남성의 가사활동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일반적으로 17세기 이후에는 성리학이 사회 저변으로 확대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가족의 역할 및 남성의 가사활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조선시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정치인․관료․사상가․학자․지주 등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가에서 남성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생활인으로서의 남성의 구체적인 모습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상 자료는 대구부 해안현 동쪽 칠계[옻골]에 거주했던 百弗庵 崔興遠(1705~1786)이 50여 년간 쓴 『曆中日記』이다. 일기를 통해 드러나는 남성의 가사활동에는 자녀 교육, 가족 부양, 봉제사ㆍ접빈객, 혼인 주선, 질병 관리 및 치료, 장보기 등이 있었다. 오늘날 여성이 더 큰 역할을 담당하는 교육, 장보기 등도 남성의 역할에 속하였다. 남성은 가정경영을 책임지는 가운데 가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집안의 크고 작은 일에 적극적으로 관여했으며, 매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생활 밀착형 존재였다. 이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가사활동에는 부부유별의 원리가 작동하였다. 남성과 여성은 서로의 역할을 침범하지 않았다. 남성은 사랑방을 중심으로 그 바깥에서 이루어지는 가사 활동 및 가족의 사회화 역할에 더욱 집중하였다. 둘째, 효와 자애로 무장한 유교적 가치가 가족의 역할을 확대시키고, 이는 국가시스템의 미비에서 비롯되는 문제를 가 내에서 해결하도록 하였다. 셋째, 사당을 중심으로 한 가계계승의식이 일상 속에서 작동하였다. 유교는 가를 기반으로 한 종교로, 남성은 ‘가’에서 태어나 ‘가’를 위해 살다가 ‘가’에서 소멸해 가는 존재임을 남성의 가사활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曆中日記(1735~1786)』를 통해 본 崔興遠의 자제교육 양상

        김명자 ( Kim Myungja ) 조선사연구회 2024 조선사연구 Vol.33 No.-

        교육은 특정 시대 사회상의 일면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은 수기치인과 입신양명을 목적으로 하며, 훌륭한 학자의 배출과 과거 합격은 家格을 올리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가정경영 가운데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당연하다. 집안의 어른이 자제들을 어떻게 교육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는 데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연구성과는 미흡하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일기자료이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대구 옻골에 거주했던 百弗庵崔興遠(1705~1786)이 1735년부터 1786년까지 기록한 『曆中日記』를 통해서 집안의 어른 최흥원이 자제들을 어떻게 교육시켰는지 교육대상, 교수자, 공부 장소, 소장 도서와 독서 목록 등의 주제로 살펴보았다. 교육대상은 아우, 아들, 손자, 조카, 사촌 등이며, 교육대상에 따라 토론, 암기, 체벌 등 교육 방식이 달랐다. 최흥원이 자제들을 직접 가르쳤으며, 이들을 주변의 훌륭한 학자의 문하에 출입할 기회도 만들어주었다. 공부는 집에서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과거 준비를 비롯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 때는 팔공산 아래의 사찰을 이용했다. 1750년대 중반 이후에는 자제들을 위한 강학 공간인 北溪亭舍가 마련되어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최흥원은 영남 南人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했고 『소학』과 『대학』을 강조했지만, 西人의 저서, 『장자』, 불교 서적 등을 다양하게 섭렵했다. 이는 자제들의 지적 사유 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최흥원의 자제교육 방식 가운데는 보편적인 것도 있고 특수한 사례도 있을 것이다. 이는 더욱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 가능할 것이다. Education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explaining social aspects of a particular era. The study and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aimed at raising the self-discipline and social success, and the production of excellent scholars and pass the examin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of the family level. It is natural that education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family management.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study and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to examine how adults in the family educated their children. However, research results on this are insufficient. Diary data can compensate for this.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how Choi Heung-won(崔興遠, 1705-1786), an adult in the family, educated his children through the 『YeokjungIlgi(曆中日記)』, recorded by Choi Heung-won, who lived in Daegu otgol village(옻골마을) in the 18th century, from 1735 to 1786. The subjects of education were brothers, sons, grandchildren, nephews, and cousin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such as discussion, memorization, and corporal punish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of education. Choi Heung-won taught his children directly and created an opportunity to learn them from great scholars around him. Studying was often done at home, but when I had to study intensively, including preparing in the past, I used temples under Palgongsan Mountain. After the mid-1750s, Bukgyejeongsa(北溪亭舍), a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was established to provide more systematic education. Choi Heung-won clarified his identity as a Yeongnam Namin(南人) and emphasized 『Sohak小學』 and 『Daehak大學』, but he studied various books of Seoin(西人), Jangja, and Buddhist books. This would have influenced the intellectual thinking of the children. Among Choi Heung-won's Descendants education methods, there will be universal and special cases. This will be confirmed through more diverse case studies.

      • KCI등재

        『역중일기曆中日記 』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관계망

        김명자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is to address social networks of Choi Heung-Won, who was a nobleman lived in Otgol (옻골), Daegu in the 18th century, revealed in his diary ‘Yeokjungilgi (曆中日記). His social networks, established throughout his life,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at it had completed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Otgol Choi family. To be more exact, he did not climb on the intention of the Noron party or the Seoin party to incorporate the gentry of Daegu into the Noron party or the Seoron party and decided to incorporate into the Taegae school of Yeongnam to more clearly define his identity. While he strengthened his social networks with prestigious families of Yeongnam, especially Andong, through marriage, he established social ties to other prestigious families through relationships formed by marriage.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he visited Gwon Gu and Kim Sung-Tak, who were in a political crisis since they were literary men supported by Lee Hyung-Il, the head of Yeongnam literary men, in order to clarify his academic position as the Taegae school, and after his 40s, he was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of the Taegae school while associating with Lee Sang-Jung, the best scholar in Yeongnam at the time. There were 122 literary men listed in Choi Heung-Won’s record for literary men and they were all over Yeongnam.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scholars, he had been engaged in continuous exchanges with Namin. It might be a reason why Choi Heung- Won was able to lead the correction of 『Bangaesurok(磻溪隨錄)』 by Ryu Hyong-Won at the time of its publishment in Gyeongsanggamyeong. 이 글은 18세기 대구 옻골에 살았던 백불암 최흥원의 일기인『역중일기曆中日記 』를 통해 최흥원이 형성한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최흥원이 평생에 걸쳐 형성한 관계망은 문중 계승 차원에서는 선조에 이어 옻골 최씨의 문인 가풍을 완성한 점에 의미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서인 혹은 노론정권이 대구지역 사족을 서인화·노론화하는 의도에 편승하지 않고 정치적으로는 영남 남인, 학문적으로는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어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한 점이다. 그는 영남의 명문가, 특히 안동지역의 명문가와 혼인 관계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영남 전역으로 혼반을 형성하였다. 17세기 후반 영남 남인의 수장격인 이현일의 문인으로 정치적 위기에 처한 권구와 김성탁을 방문하여 퇴계학파로의 학문적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40대 이후에는 당시 영남 최고의 학자인 이상정과 교유하는 가운데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었다. 최흥원의 문인록에는 122명의 문인이 등재되어 있는데, 영남 전역에 걸쳐있다. 그는 대구지역 최고의 학자로, 근기남인과도 지속적인 교류를 하였다. 경상감영에서 류형원의 『반계수록』을 간행할 당시 최흥원이 교정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역중일기<SUP>曆中日記</SUP>』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관계망

        김명자(金命子)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18세기 대구 옻골에 살았던 백불암 최흥원의 일기인 『역중일기曆中日記』를 통해 최흥원이 형성한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최흥원이 평생에 걸쳐 형성한 관계망은 문중 계승 차원에서는 선조에 이어 옻골 최씨의 문인 가풍을 완성한 점에 의미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서인 혹은 노론정권이 대구지역 사족을 서인화‧노론화하는 의도에 편승하지 않고 정치적으로는 영남 남인, 학문적으로는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어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한 점이다. 그는 영남의 명문가, 특히 안동지역의 명문가와 혼인 관계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영남 전역으로 혼반을 형성하였다. 17세기 후반 영남 남인의 수장격인 이현일의 문인으로 정치적 위기에 처한 권구와 김성탁을 방문하여 퇴계학파로의 학문적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40대 이후에는 당시 영남 최고의 학자인 이상정과 교유하는 가운데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었다. 최흥원의 문인록에는 122명의 문인이 등재되어 있는데, 영남 전역에 걸쳐있다. 그는 대구지역 최고의 학자로, 근기남인과도 지속적인 교류를 하였다. 경상감영에서 류형원의 『반계수록』을 간행할 당시 최흥원이 교정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address social networks of Choi Heung-Won, who was a nobleman lived in Otgol (옻골), Daegu in the 18<SUP>th</SUP> century, revealed in his diary ‘Yeokjungilgi (曆中日記)』. His social networks, established throughout his life,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at it had completed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Otgol Choi family. To be more exact, he did not climb on the intention of the Noron party or the Seoin party to incorporate the gentry of Daegu into the Noron party or the Seoron party and decided to incorporate into the Taegae school of Yeongnam to more clearly define his identity. While he strengthened his social networks with prestigious families of Yeongnam, especially Andong, through marriage, he established social ties to other prestigious families through relationships formed by marriage. In the latter half of the 17<SUP>th</SUP> century. In the latter half of the 17<SUP>th</SUP> century, he visited Gwon Gu and Kim Sung-Tak, who were in a political crisis since they were literary men supported by Lee Hyung-Il, the head of Yeongnam literary men, in order to clarify his academic position as the Taegae school, and after his 40s, he was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of the Taegae school while associating with Lee Sang-Jung, the best scholar in Yeongnam at the time. There were 122 literary men listed in Choi Heung-Won’s record for literary men and they were all over Yeongnam.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scholars, he had been engaged in continuous exchanges with Namin. It might be a reason why Choi Heung-Won was able to lead the correction of 『Bangaesurok(磻溪隨錄)』 by Ryu Hyong-Won at the time of its publishment in Gyeongsanggamy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