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생의 글쓰기, 사상의 오독과 감정의 발현 -잡지 『여자계(女子界)』를 중심으로-

        조윤정 ( Yun Jeong J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3 No.-

        이 연구는 조선 최초의 여성잡지인 『女子界』를 통해 당대 유학생이 신사상에 반응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특히, 근대 초기 유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신사상의 수용과 오독``, ``관념어의 습득``에 대해 고찰한다. 당대 여성의 주체 구성 문제는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혹은 신사상이라는 ``범주``에 대한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응은 담론에 대한 편입과 일탈의 문제를 담지한다. 이때, 『여자계』에는 담론의 ``범주성``과 그 범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온 ``오독 혹은 오해``, 그리고 그 오독이 가져온 ``윤리적 감정``의 표출이 나타난다. 일본 유학 시기 신사조를 접하고 이를 조선의 상황에 재조명하는 유학생들의 의식에는 중심 담론을 향한 ``편입욕망``과 중심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올 ``불안의식``이 공존한다. 지식인으로서의 불안의식은 필자인 유학생들에게 자신이 신사조의 오독자가 아님을 강조하는 글쓰기의 원인이 된다. 유학생들의 글에는 ``誤解, 誤讀, 誤信``과 같은 단어들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은 신사상의 오독을 통해 조선의 여자해방을 주장하는 ``오독의창조성``을 보여준다. 일본 유학을 통해 신문명이라는 범주를 경험한 유학생은 그 범주로부터 일탈한 조선여자에게 거리감을 느낀다. ``행복한 우리들과 불쌍한 저네들``의 수사는 ``수치심의 전이``를 동반한다. 기독교적 사명 하에서 여자 유학생들은 조선의 교육받지 않은 여성들에게서 헬렌 켈러의 신체적 결여성을 겹쳐본다. 그리고 설리반 선생에게 ``추상적 개념어``들을 배우던 헬렌 켈러의 상황을 환기하며, 자신들이 조선 여성들에게 신문명의 관념을 가르치는 ``문화적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이라 자처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우정과 열정이라는 ``관념어의 체계``를 통해 ``민족의 근대화``를 발화한다. 또한, 루소 사상의 수용을 통해 ``자연``의 상태, ``상상력``의 상태에서 예술을 창조하고, 그 예술을 통해 자기 해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자계』는 신사상의 수용과 유학생의 집단의식을 통해 조선 여성들에게 ``감정과 욕망의 발현-자아의 각성-여성 해방-근대 문명``의 관계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여성해방이라는 근대화의 사명 속에서 여성의 교육과 글쓰는 행위가 제도화되어 가는 시작점을 보여준다. 유학생들은 ``시대적 윤리``와 ``여성적 직분``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자신의 사명을 찾는다. 그리고 기독교적 수사와 비유를 통해 여자해방의 이상을 제시한다.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라는 이중의 억압 속에서 유학생들은 여자해방사상에 반응했고, 신사상의 오독과 그 오독의 창조적 연쇄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언어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that moder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 through Joseon`s first women`s magazine Yeojagye. Students studying abroad met with new trend of thought and reflected situation of Joseon in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they had a desire for central discourse and uneasiness of departure from center. The uneasiness of intellectual became factor of writing that emphasized the oneself was not person whom misread new trend of thought. However, writers of Yeojagye showed ``creativity of misreading`` that asserted Joseon women`s liberation through misreading of new trend of thought. Students studying abroad experienced the category of new civilization through Japan, felt distance not admitting Joseon women in the category. The rhetoric, ``happy us and poor them``, accompanied ``a sense of shame`s transfer``. The Joseon women`s uneasiness changed a sense of shame through meeting with new civilization and the sense of shame`s revelation was connected with the discovery of a new great cause. Students studying abroad had left mother country to look upon oneself as the mediator between educated women and noneducated women, they prepared a unified group`s spirit. At This time, the matter of importance is a fact that they commonly discovered their mission in ``a wish of God``. In this christian mission, women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overlapped noneducated women and Helen Keller`s physical lack. They aroused Helen Keller learned ``abstract concept word`` from Sullivan, they looked upon oneself as ``the cultural mediator`` would teach new cultural notion to Joseon women. Also, they presented possibility of created arts in condition of ``nature`` and ``imagine``, and possibility of realized self liberation in arts through acceptance of Rousseau`s idea. Yeojagye indicated connection of ``revelation of emotion and desire-awakening self-women liberation-modern culture`` through acceptance of a new idea and group`s sprit of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it showed starting point that women`s educatin and writing systematized in mission of modernization called women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discovered the mission on a place crossing ``moral of times`` and ``feminine duty``. Writers could not help resisting against a male dominated discourse in process of forming and systematizing of notion titled ``women`s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ed to idea of women`s liberation under the double suppression named Joseon women of a colony, they had to verbalize the inside themselves in a misreading of new ideas and creative link of the misreading.

      • KCI등재

        염상섭 초기 산문 연구

        김영민 ( Young Min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5 No.-

        염상섭이 1차 유학 시절 관심을 갖고 고민하던 다양한 논제들이 체계를 갖추고 명확히 드러나게 되는 것은 그가 귀국을 한 이후부터이다. 그의 초기 사상과 문학관의 맹아가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1920년 이전 유학 시기의 산문들이지만, 그 실체가 온전히 드러나는 글들은 1920년 이후에 주로 쓰인 것이다. 이 점에서 보면, 염상섭의 초기 사상과 문학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학 이전과 이후를 분리해 살피기보다는, 이들을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서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염상섭과 나혜석의 교류가 시작된 시기를 염상섭이 게이오대학으로 진학한 1918년 봄 무렵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의 교류는 이보다 훨씬 더 빠른 시기에 이루어졌다. 우선 『여자계』 제2호의 원고 수합 일자로만 미루어 보아도 두 사람의 교류가 시작된 것은 염상섭의 게이오대학 진학보다 최소한 6개월 이상은 빠른 시기였다. 염상섭과 나혜석이 만나게 된 계기에 대해서도, 기존의 연구에서는 나혜석의 약혼자 김우영과의 관련성을 지목한 바 있다. 그러나 자료들에 근거한다면, 염상섭과 나혜석의 교류는 김우영이 아니라 나혜석의 오빠 나 경석을 매개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교류가 시작된 때는 나혜석이 도쿄에 도착해 사립여자미술학교에 입학한 시기인 1913년 무렵으로 보인다. 염상섭의 초기 문학관과 문단 활동을 이해하는 데는 나혜석과 나경석 두 사람과의 연결 고리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자계』의 필자들이 『학지광』의 필자들과 대부분 우호적 관계를 유지했던 것과 달리 염상섭은 1910년대 『학지광』의 주도 세력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문필 활동을 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그가 이 시기 부르주아 민족주의 우파 그룹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문필 활동을 했다는 사실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이광수와의 관계도 이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Yeom Sang-seop is one of the most famous writer who wrote critical essays and short stories and novels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t is necessary to study early modern critical essays of Yeom Sang-seop for understanding his early modern short stories and novels. It is not so difficult to find a literary theory in critical essays which were written by Yeom Sang-seop in early modern peri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to grasp the point of early modern critical essays of Yeom Sang-seop that were written from 1918 to 1924. The first essay of Yeom Sang-seop was published in the Yeojagye(여자계) in 1918. The magazine Yeojagye that carries the Yeom`s first article was published in Tokyo by some Korean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Japan. Na Hye-suk(나혜석) recommend him as a writer of the magazine. The most important theme of early modern critical essays of Yeom Sang-seop is women`s problem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Korean society. He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condition of the society to realize freedom and liberty of women. He thought that the way of solution of a labor problem is similar to the way of solution of women`s problem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Korean society. He thought that the causes of the both problems are same. He thought a desire for expression is more important than a way of logical thinking for writing critical essays. He wrote critical essays to show realities of life. Most of his literary critics are focused on practical critic of literary works that are written in early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He asked early modern Korean writers to express deep and wholesome thought. He said that the wholesome thought was obtained through a process of serious thinking about life. He emphasized the value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He also emphasized the value of individuality and self-consciousness. The process of thinking itself was important for him as well as result of the thinking. The purpose of writing was not to enlighten the public but to join with the public for him. He tried to describe a reality of public life and tried to improve a given condition of public life.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발간사> 연구

        안남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4 No.-

        This research is the roundup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First Publication) in Japan’ and the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Jouranl of Korean Studies”55,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5) and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 Before 1910’(“Jouranl of Korean Studies”58,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6). This research takes its subjects of following volumes: 5 volumes of Hakwoo(Classmate), which is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in Japan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and 10 volumes of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THE HAK KIE BO(Bulletin of Academic World), Geundae-Sajo(Modern Trend), Hakjigwang, Yeojagye(Women’s World), Samkwang(Three Light), Hyundai(Modern Times), Geumgangjeo(Vajra), Hakjo, THE KAICHUCK, Hakhae except 8 volumes of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published before 1910. The ‘First Publication’, which is focused on this research, is essential data for guessing the direction of the magazine, since it contains the purpose, intention and the way of publi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agazine, representative keyword of each magazine is identified and the meaning inside is presented.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magazine has its meaning on that it is the outcome of exploring how Korean international student recognized the reality and overcame it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Japanese colonial era.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와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12)의 후속 연구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의 종합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5종 잡지와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8종 잡지를 제외한 나머지 10종(<학계보>, <근대사조>, <학지광>, <여자계>, <삼광>, <현대>, <금강저>, <학조>, <개척>, <학해>)의 ‘창간사 및 발간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창간사’와 ‘발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이 녹아있는 만큼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특히 연구 대상 잡지의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를 통해서 각 잡지의 대표적 키워드를 확인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