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화 중심 설계 모형 개발

        박지아,최준섭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는 기술교육에서 설계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화 중심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기술적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설계 및 시각화관련 문헌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설계 모형 개발 준거의 하위 요소로 설계과정, 시각화 과정, 단계별 시각도구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시각도구란 내재적 이미지를 외재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구를 말하며, 시각화 과정이란 내재적 이미지와외재적 표현이 교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하위 요소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창출과 구체화에 핵심을 두고 시각화의 강조를 통해 설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계 모형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개발된 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또한 시각화 중심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수업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에 투입하여 학생들의 설계 능력에 유의한 변화를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적용 대상의 수업 사전․사후 t 검증 및 학생들의 서술형 수업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설계 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모형에 적용할 시각화 과정 및 시각도구의 준거를 통해, 설계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화 중심 설계 모형’을개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설계’ 단원에서 개발된 설계모형을 적용한 수업 과제를 투입한 결과, 학습자의 설계 능력 평균 변화값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이디어 창출과 교류 영역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for the improving the ability to desig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emphasizes visualizing by applying the visualizing process and placing visual tools in the design proces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three stages.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esign in technology education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sign process and visualizing in the design. According to this, the existing design models and visualizing elements used mainly in technology education were analyzed. The derived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were modified through the expert’s verification. The projects which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applied to were develop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design model. After the developed projects were carried out. After analyzing the result of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and descriptive learning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was developed to emphasize visualizing to improve the ability to design. The design model was focused idea generation and embodies the core emphasis of the visualizing. Second, the developed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was tested in the field. In the unit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Design’ on high school. It was confirmed that it significantly e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ability to design. It was also confirmed to greatly improve the ideation and communication stages in the design process.

      • KCI등재

        정보디자인 관점의 성학십도(聖學十圖) 분석 연구

        강성중 ( Kang Sung Joong ),박교영 ( Park Kyo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6 No.-

        일반적인 정보디자인 주요 개념들은 서구의 시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정보의 효율적 전달을 위해 고려되어야하는 원리, 요소, 역사들을 서구 문화 중심으로 해석되어 왔다. 정보디자인은 특정 문화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성격의 학문이며, 한국도 우수한 기록 문화를 보유한 나라로 다양한 유형과 형태의 정보디자인 관련 자료들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디자인의 방법론인 구조화, 시각화를 중심으로 우리의 기록문화 중 하나인 `성학십도`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의 기록문화가 정보디자인의 역사에서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성학십도는 퇴계 이황이 성인(聖人)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성리학의 핵심적인 내용을 열 개의 도해로 요약·정리한 책이다. 당시의 인쇄 기술과 표현방법의 한계 안에서 성리학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게 구조화와 시각화가 이루어졌으며, 조선 유교문화에 따른 정보 읽기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그래픽 요소 측면에서 위치, 방향, 원과 사각형의 형태 활용이 중심이 되며, 핵심 키워드로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성학십도의 가장 탁월한 우수성은 복잡하고 어려운 텍스트 중심의 성리학의 원리와 수행방법들을 사용자의 이해를 돕도록 10개의 그림을 활용하여 보다 쉽게 표현하고자 한 그들의 정신과 자세라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information design is formed by modern European approaches. This means various element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have been analyzed from viewpoints of Western culture. Information design is a science composed all over the world. Korea also has excellent documentary culture, and the sources of diverse types and forms related with the information design. This study has the purpose for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unghaksipdo(성학십도)`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Sunghaksipdo` is the book summarizing and regulating major Confucian philosophy theories and practical methodologies to guide a young prince for a wise leader with mixed explanation text and graphics. Within limited printing technique and expressional methods in Chosun dynasty,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to organize and visualize information are applied. With view of graphic elements, position, direction, abstract shape are main factor for visualizing. The important lesson from `Sunghaksipdo` is the spirit and attitude to convert and express complex and vast text data into easy and clear visualized information.

      • KCI등재

        재난안전데이터 코드 운영을 위한 시각화 정보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박종렬(Park, Jongyul),정세진(Jeung, Sejin),허신애(Heo, Shinae),고정완(Ko, Jungwan),김병식(Kim, Byungsik)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최근 재난은 대형화되고 급격화되어 다양한 인적·사회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재난 발생 후 뒤따르는 피해로 인하여 재난의 예방뿐만 아니라 재난이 발생한 시점의 상황 관리의 중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경험적 재난정보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재난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재난 담당자가 활용할 수 있는 체계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따른 신속한 상황관리 업무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코드 운영의 시각화 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상황관리에 투입하는 관계자들이 상황관리에 필요한 각종 자료(데이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상황 관리를 통해 재난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시각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난 담당자의 업무분석과 요구사항을 반영한 재난안전정보 시각화 정보제공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고, 향후 실질적인 시범운영 방안과 개선방안 도출을 통하여 실질적인 재난안전정보 활용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 disasters have caused a great deal of personal and social damage. In addition to the work of preventing disasters by examining subsequent damage, it is important to manage disasters in real time. Therefore, a variety of measures are prepared to utilize empirical disaster information to manage ongoing disasters. However, the current system available to disaster manager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necessity of a visualization system for safety data code operation in rapid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This system should address safety ope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so those involved in situation management can easily grasp appropriate data.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stablish a visualiz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he damage of future disasters by utilizing planned rapid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prototype of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that assesses and provides task analysis and requirements for the responding disaster officer.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such a practical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practical trials, an operation plan, and an improvement plan.

      • KCI등재

        웹툰의 사운드 표현에 관한 연구

        목혜정(Mok, Hae J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웹툰은 출판만화에서 사운드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던 방법을 발전시켜왔으며, 웹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직접 소리를 들려주기까지 한다. 직접 들리는 소리는 당연히 사운드분석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들리지 않는 사운드도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들리지 않는 소리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의 이론적 토대를 인지심리학의 이중부호 개념에 둔다. 작가는 자신의 청각적 기억을 시각적으로 기호화할 수 있고, 독자는 기억과 인출의 과정을 통해 시각화된 기호를 보고 사운드를 떠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웹툰의 들리지는 않지만 떠올릴 수 있는 사운드와 직접 들리는 사운드 두 경우를 본 연구는 함께 분석대상으로 한다. 구체적 분석을 위해서는 이론적 성과물이 있는 영화 사운드 분석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소리를 구성하는 세 요소인 음량, 음조, 음색은 음향학에서는 주파수 등으로 설명되고 직접 들을 때는 느낌으로 알지만, 시각적으로는 사운드를 표현한 글자나 이미지의 선의 굵기와 위치, 음원의 이미지 등으로 알 수 있다. 내화면 사운드와 외화면 사운드의 시각적 표현은 만화의 칸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칸 외부로 외화면사운드를 표현하지만 웹툰에서는 듣는 자를 강조하는 방법으로 칸 내부에 외화면 소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영화의 호러 장르가 장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웹툰에서도 호러 장르가 같은 효과를 위해 사운드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영화 사운드 분석 방법을 활용해 사운드를 이미지로 표현한 작품들을 분석해볼 때, 초창기 출판만화에서부터 시작한 사운드의 청각적 표현들이 계속 발전해서 웹툰에서 창의적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로 이동을 활용한 칸의 배치 및 소리표현의 방식들은 웹툰이 보여준 새로운 방법들이며, 칸 모양도 훨씬 다양해졌다. 직접 들려주는 소리로는 BGM이 가장 먼저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한 회의 분위기에 맞춰 음향효과까지 섞어 맞춤 작곡된 곡들이 사용된다. 그리고 스크롤 이동에 맞춰 소리를 들려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특정 순간의 음향효과나 특정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들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호러 장르에서는 특정한 이미지와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사운드를 같이 사용하여 장르적 효과를 배가시킨다. 이렇게 웹툰에서는 다양한 사운드 시각화 방법이 계속 창조되고 있으며 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웹툰이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융합의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Webtoon has developed the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sound visually. Also we can also hear sound in webto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web technology. It is natural that we analyze the sound that we can hear, but we can also analyze the sound that we can not hear. This study is based on "dual code" in cognitive psychology. Cartoonists can make visual expression on the basis of auditive impression and memory, and readers can recall the sound through the process of memory and memory-retrieval. This study analyzes both audible sound and inaudable sound. Concise analysis owes the method to film sound theory. Three main factor,Volume, pitch, and tone are recognized by frequency in acoustics. On the other hand they are expressed by the thickness and site of line and image of sound source. The visual expression of in screen sound and off screen sound is related to the frame of comics. Generally the outside of frame means off sound, but some off sound is in the frame. In addition, horror comics use much sound for the effect of genre like horror film. When analyzing comics sound using this kinds of the method film sound analysis, we can find that webtoon has developed creative expression method comparing with simple ones of early comics. Especially arranging frames and expressing sound following and vertical moving are new ones in webtoon. Also types and arrangement of frame has been varied. BGM is the first in using audible sound and recently BGM composed mixing sound effect is being used. In addition, the program which makes it possible for readers to hear sound according to scroll moving. Especially horror genre raise the genre effects using this technology. Various methods of visualizing sound are being created, and the change shows that webtoon could be the model of convergence in contents.

      • The construction of the exhibition evaluation system based on GUI by the visitor behavior analysis

        Masahiko Tokumaru,Daewoong Kim(김대웅)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e Museum conducts to be a place to take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 and visitors. The curator is devising an exhibition method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the exhibition is performed smooth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a current exhibition method is effective for visitors. Therefore, performing exhibition evaluation by questionnaire and pursuit observational survey, and the quality of the exhibi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rating have been improved. However, the questionnaire survey is unstable so that data change by a question item and questioner's subjective element strong and not accurate, and the pursuit observational survey is not efficient because the measurable number of visitors is restricted. Therefore, we collect more exact and objective data efficiently and think it desirable to perform exhibition evaluation. Tn this research, we constructed the system which collects objective data and evaluates automatically, and presents an evaluation result simply so that curators can grasp intuitively. In this system, we have them do Early Registration to evaluate more in detail when visitors visited, and carry PDA around when they move in the museum. This System collects the data of a visitor's action history automatically. All the data collection is performed without making a visitor conscious, and those are saved in a server after the visitor's sightseeing. Analysis and evaluation are performed from the saved data,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shown as information arranged visually. By this, curators can recognize the tendency of data intuitively. We want curators to use this system as one index which decides exhibition method. As a result, we are pleased if it leads to the improvement of visitor's satisfaction.

      • KCI등재

        시각화 전략이 학업 성취도, 개념 이해도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호르몬과 항상성을 중심으로

        정미선 韓國生物敎育學會 2009 생물교육 Vol.3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atic and dynamic visualizing strategy on the students' achievem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ymbolical conception learning focused on hormone and homeostasis. 39 students in the 10th graders at a high school in Busan were assigned to a static visualizing strategy group (Sv) learning with static visual materials(words and pictures) and 39 students to a dynamic visualizing strategy group (Dv) learning with dynamic visual using of macro-media flash program. Control group (Con), 40 students were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focused on the teacher's lect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achievem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visualizing strategy groups (Sv & Dv)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level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v and the Dv. And the learning continuous times of the Dv's was shorter than Sv's. The visualizing strategy, however, mad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hormone and homeostasis. Especially dynamic visualizing strategy was useful in symbolical conception learning but needed to take measure for using depending on students' learning continuous times.

      • 네트워크 맵핑을 위한 시각화 원칙

        이재원 ( Chae Won Lee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네트워크 맵핑``이 본질적이며 개념적인 소통에 있어서 효과적인 시각화 방법이라는 것을 전제로 이것의 중요성 및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네트워크 맵핑``이 몇 가지 시각화 원칙들에 근거하여, 창의적 소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맵핑의 과정에서 지도, 시각 디자인 등과 관련한 ``시각화 원칙``에 준거한 명확하고도, 기능적이며 심미성을 갖춘 ``시각 실험``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네트워크 맵핑은 지도의 제작 방법과 유사한 표현 기법에 근거하여, 지형적 재현으로부터 비물질적인 재현(텍스트, 추상적 개념, 심리 등)으로 소재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창의적 시각화 방법으로서의 ``네트워크 맵핑``의 시각화 원칙을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로서 여러 분야의 문헌조사를 통해 네트워크 맵핑의 새로운 개념적 가능성을 살펴보았고, 그것을 토대로 종합적인 시각화 원칙을 제안한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는 질문과 답, 관계성, 다변량 분석방법, 다양하고 풍부한 시각언어, 시간성, 크기의 극대화, 집단화, 복잡성으로 시각화 원칙들이 체계화됨에 따라 향후 디자이너들이 실제적 프로젝트 진행시 활용할 수 있는 근간을 제공했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s subject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Network Mapping`` as an effective visualizing method in which this can be fundamental and conceptual communication strategy.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network mapping can be the creativ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the several kinds of visualization principles. In this process of effective network mapping, explore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isualization which documents clear,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as well, in conformity of the visualization principles in relation to map, visual design etc. The material used for network mapping has expanded form geographical representation to conceptual representation, and includes knowledge, test, abstract idea, psychology, social networks, et. on the basis of how cartographic techniques are being adapted to network mapping as a visual method. The study suggests the visual principles of network mapping as a form of creative visualization based on the above notion of network mapping. The result of careful study a new possibility of concept of network mapping, and it presents the reason for the synthetic visual principles through referring to the investigation of various fields. Visual principles of network mapping synthetically consists of Q & A, relevancy, multivariate analysis, visual language, time, maximizing scaling, grouping, and complexity has signific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designer to use of these principles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roject.

      • KCI등재

        네트워크 맵핑을 위한 시각화 원칙

        이재원 ( Chae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본 논문은 ‘네트워크 맵핑’이 본질적이며 개념적인 소통에 있어서 효과적인 시각화 방법이라는 것을 전제로 이것의 중요성 및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네트워크 맵핑’이 몇 가지 시각화 원칙들에 근거하여, 창의적 소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맵핑의 과정에서 지도, 시각 디자인 등과 관련한 ``시각화 원칙``에 준거한 명확하고도, 기능적이며 심미성을 갖춘 ‘시각 실험’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네트워크 맵핑은 지도의 제작 방법과 유사한 표현 기법에 근거하여, 지형적 재현으로부터 비물질적인 재현(텍스트, 추상적 개념, 심리 등)으로 소재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창의적 시각화 방법으로서의 ‘네트워크 맵핑’의 시각화 원칙을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로서 여러 분야의 문헌조사를 통해 네트워크 맵핑의 새로운 개념적 가능성을 살펴보았고, 그것을 토대로 종합적인 시각화 원칙을 제안한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는 질문과 답, 관계성, 다변량 분석방법, 다양하고 풍부한 시각언어, 시간성, 크기의 극대화, 집단화, 복잡성으로 시각화 원칙들이 체계화됨에 따라 향후 디자이너들이 실제적 프로젝트 진행시 활용할 수 있는 근간을 제공했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s subject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Network Mapping`` as an effective visualizing method in which this can be fundamental and conceptual communication strategy.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network mapping can be the creativ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the several kinds of visualization principles. In this process of effective network mapping, explore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isualization which documents clear,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as well, in conformity of the visualization principles in relation to map, visual design etc. The material used for network mapping has expanded form geographical representation to conceptual representation, and includes knowledge, test, abstract idea, psychology, social networks, et. on the basis of how cartographic techniques are being adapted to network mapping as a visual method. The study suggests the visual principles of network mapping as a form of creative visualization based on the above notion of network mapping. The result of careful study a new possibility of concept of network mapping, and it presents the reason for the synthetic visual principles through referring to the investigation of various fields. Visual principles of network mapping synthetically consists of Q & A, relevancy, multivariate analysis, visual language, time, maximizing scaling, grouping, and complexity has signific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designer to use of these principles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roject.

      • KCI등재

        『심지관경(心地觀經)』의 경전성립에 대한 고찰

        한명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8

        『대승본생심지관경(大乘本生心地觀經)』 (이하 『심지관경』)은 사은사상(四恩思想)을 설한 경전으로 현교에서는 부모, 국왕, 중생, 삼보에 대한 불교윤리를 정의하는 경전으로 중요시되었다. 일본의 공해(空海)는 『심지관경』을 전거로 사은사상을 강조함으로써 진언종(眞言宗)을 근거로 국가와 사회에 대한 불교의 외호 역할을 자처했는데 그것은 경전에 많은 밀교적 소재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심지관경』의 성립사적 위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경전의 도입부분에는 『화엄경』과 같이 다양한 계층의 대고중(對告衆)과 신중(神衆)이 등장하며, 이후 내용 가운데 『법화경』의 사례와 같이 중생이 불성을 찾는 비유도 볼 수 있다. 경전의 사상은 중관사상과 유가유식의 이론들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후기 대승불교 시대 유가행중관파의 기조를 따르고 있다. 경전에 설한 실천원리 가운데 주목할 것은 관심다라니(觀心陀羅尼)들로 경전에는 지관(止觀)의 수행에 입각해 설한 것이지만 『금강정경(金剛頂經)』의 오상성신관을 구성하는 통달보리심(通達菩提心)․수보리심(修菩提心)의 다라니와 일치한다. 『심지관경』은 보살수행 가운데 보현행원의 서원을 중시한다. 현교의 경우 대보살이라도 모든 중생이 해탈에 이르기까지 윤회하면서 중생을 구할 수 있는 능력은 미성불의 단계에서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후기 대승불교시대 대보살은 과거 이미 성불한 것으로 묘사된다. 7세기 중반 밀교시대에는 비로자나여래(毘盧遮那如來)의 신변(神變)과 같이 법신불이 일체지지(一切智智)를 통해 중생계를 법신의 체(體)로 수용하면서 중생을 구제하는 밀교의 성불관이 정착되는데, 『심지관경』은 현교와 밀교 보살실천의 과도기적 시기에 출현한 경전으로 추정된다. The Visualizing Stage of Mind Sutra(心地觀經, VSMS) that preached Four Favors(四恩) was considered important in all East Asian countries as it defined Buddhist ethics for parents, kings, sentient beings, and Three Treasures(三寶).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VSMS which quotes various elements of Sutras and Tantras. First of all, what can be seen in VSMS is the emergence of various classes of sentient beings and gods as it is found in Ornament Sutra(華嚴經), and as in the case of Lotus Sutra(法華經) it is found many metaphors that showings the idea of Tathanggata Garbha. The VSMS follow the basis of the Yogacarya(瑜伽行) of Mahayana Buddhism in the late period and the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like Visualizing Dharani(觀心陀羅尼) which was developed to the Dharanis of Visualization of Five Classes of Accomplishment Body(五相成身觀) in Vajra Peak Tantra(金剛頂經). The VSMS emphasizes the Yoga of Bodhisattva's practices, and the inevitability of Bodhisattva’s to live in the realm of sentient beings so that the Bodhisattva should accomplish the Perfection of Wisdom(一切智智) by Yoga of Visualizing Stage of Mind by way of chanting Visualizing Dharani and should save sentient beings by emanating magical body of Four kind of Buddha’s bodies. These examples suggest the clues to identify the time of appearance of VSMS which era is estimated about 7th century, which is between advent of the Exoteric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 Visualizing Service by Service Design Tools and PCN

        Kyung Mi Bae,Youn Sung Kim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8 No.9

        This study focuses on visualizing service by service design tools and PCN diagram in process innovation.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phenomena will be review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how innovation is perceived in the fields of Operations Management and Service Management. Such discussion clarifies fundamental concepts of innovation, emphasizes essentials of service innovation, and gives base for future SOM research. Then, drawing from the literatures of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SOM) and innovation, a service innovation case of IKEA, Gwangmyeong in Korea, is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how both service design tools and PCN diagram can be used. The overall methodology is employed with a grounded analysis approach and an interpretative alternative. The study finds both approaches as a decision support tool and diagnostic model for assessing inputs, evaluating outputs, allocating resources, and improving success rate of service innovations in S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