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류정월,윤인선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0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too.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text but also context. The stage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tions. Doggaebi gamto is one of them. It has thirteen members and they are over age 60. We choose two female tellers. Children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ir stories. They tell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every Saturday in a room which is located in the library. The room is their stag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We divided the "front" and "backstage" and investigated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Goffman. Frist, this paper studies environmental and visual signs in the stage to analyse nonverbal factors. Second, this paper focuses on meta-narrations which reveal the teller-audience relations to analyse verbal factor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religious context and traditional context. And to conclude, the two teller's performance have different code. One is vertical code and the other is horizontal code.

      • 연구논문 :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류정월 ( Jeong Wol Ryu ),윤인선 ( In Son Yoon ) 시학과 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20 No.-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too.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text but also context. The stage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tions. Doggaebi gamto is one of them. It has thirteen members and they are over age 60. We choose two female tellers. Children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ir stories. They tell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every Saturday in a room which is located in the library. The room is their stag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We divided the "front" and "backstage" and investigated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Goffman. Frist, this paper studies environmental and visual signs in the stage to analyse nonverbal factors. Second, this paper focuses on meta-narrations which reveal the teller-audience relations to analyse verbal factor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religious context and traditional context. And to conclude, the two teller`s performance have different code. One is vertical code and the other is horizontal code.

      • KCI등재후보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문학과 영상매체에 대한 연구

        안남일(An Nam-i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오늘날 우리 사회 전반에 부각되고 있는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현대사회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편화시키는 경향을 드러낸다. 이것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발달에 따른 포화상태의 지식과 정보를 액세스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발신하기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각종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디어 리터러시란 단순히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한정해서는 안 되며, 해당 미디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 평가하며 그러한 분석과 평가를 기초로 자기의 의견이나 사고를 표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문학텍스트와 함께 여러 방송사의 TV드라마 중에서도 KBS HDTV문학관의 드라마를 분석 대상 텍스트로 삼았는데, 그것은 이 드라마가 목표삼고 있는 것, 즉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고품질의 영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과거의 문학을 현 시대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오늘날의 문학을 발굴, 소개하고자 하는 기획의도가 오늘, 지금의 시점에서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판단에서 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의 초점은 《외등》에 대한 문학텍스트와 TV드라마의 리터러시 기능성에 맞추었다.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문학텍스트 읽기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련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박범신의 『외등』과 KBS HD문학관의 〈외등〉의 상호컨텍스트적인 의미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은 이데올로기적 분석, 자전적 분석,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분석, 신화적 분석, 제작요소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제작요소 분석’을 논의의 중심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Today, it is getting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hat are raised in the whole society. Also, there is a tendency to generalize Media Literacy in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 to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 of media environment, it can not help understanding and using every media in order to access to information, to estimate and to dispatch information. In here, Media Literacy means that it is not only the ability to access to media, but also the ability to analyze and estimate obtained information and to express one's opinion and thought, based on the analysis and estimation, then even to influence others. In this study, a drama from HDTV Literature, KBS were selected as an object to be analyzed, with literary text, because there is a enough common bond about planning intentions to reinterpret the past literature, and to excavate and introduce the current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t also aim to achieve images of high quality, as corresponding with the digital age. In this context, the point of study was focused on literary text from "The Outdoor Lamp" and the functionality of literacy in drama. So to spe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reading traditional literary text and the related aspect of Media Literacy, then tries to interpretate the meanings in the viewpoint of the interaction of context. Generally, the methods of approach is classified with ideological analysis, autobiograph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non-verbal communication, mytholog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and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was used to the main method of approach in this study.

      • KCI등재

        중국 공익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상관관계

        신인식(Shin, In Si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중국과의 국가적 경제 교류 확대와 우리나라 상품의 판매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중국 소비자들을 설득시키고 판매 촉진이라는 기업의 합목적성에 적합한 광고 전략과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모색해 보기 위한 방법으로 중국 공익광고 속에 내재되어 있는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공영방송인 CCTV가 제작, 방영한 10편의 TV공익광고를 대상으로 중국의 공익광고에서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접적 연관’, ‘간접적 연관’, ‘무관’의 3개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중국 공익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연관성 정도는 ‘직접적 연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TV공익광고의 언어적 요소가 시각적 요소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보조적으로 잘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 공익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연관관계가 ‘직접적인 관계’가 주를 이루는 것은 중국이라는 국가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민족 국가로 구성되어진 중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와 언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보의 전달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공 익광고가 의도하는 메시지의 전달에 있어서 광고 수용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정보 전달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서는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상호연관성을 최대화하는 ‘직접적인 관계’가 중요한 표현전략으로 작용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reative strategy inherent in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t is to find an advertising strategy and a creative strategy to promote sales and persuade Chinese customers for expansion of economic exchange with China and sales of Korean goods. In spite of many Limitations, on correlation of visual factors and verbal factors in Chinese service advertisements, ten TV advertisements produced and aired by CCTV, a Chinese public television, were analyzed in three types: ‘direct relation,’ ‘indirect relation,’ and ‘irrelevance.’ It is concluded that visual elements and verbal elements in Chinese service advertisements are directly related in most cases. This result means that the verbal elements assist the visual elements well so as to convey their meanings properly. This direct correlation comes from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China. Since China is composed of various peoples,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information delivery seems to be difficult to carry properly. Therefore, to attract the receivers’ interests and deliver information properly, ‘direct relation’ of visual elements and verbal element are used as an important strategy.

      • KCI등재

        일본 TV공익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신인식(Shin Insi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공익광고는 광범위한 목표 수용자 즉 공공을 대상으로 계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일정한 시간 내에 그들의 생각을 공공의 이익에 맞게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태도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익광고는 탄생 초기에 국가의 시책을 강요하거나 정권이 국민을 조직화하고 이데올로기를 강요하는 부정적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키고 실천하게 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공익추구와 사회통합을 위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 순기능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겠다. 공익광고가 사회구성원의 가치체계와 의식을 변화시키고 사회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목표 수용자를 설득하고 행동으로 전이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광고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공익광고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광고 표현 전략을 분석해 보고 향후 우리나라 공익광고의 커뮤니케이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일본의 TV공익광고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고 텍스트 내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연관성의 정도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영상 이미지와 언어의 상관관계를 직접적 연관 축어적 연관 간접적 연관 무관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일본 TV공익광고의 표현 전략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Public Service Advertising aim to direct the thoughts of the public toward the public benefit and to ultimately draw their intended changes in attitude within a certain time through planned communication targeting the public namely a broad range of target consumers. Korean public service advertising was once employed as a negative means to force the execution of national policies enable the regime to organize its people and to force ideology at its birth; however to date they have performed more positive functions in order to portray a crucial role in the pursuit of the public benefit of our society and in social integration. In order for public service advertising to achieve their original goals of changing the value system and awareness of the members of society and pursuing social problem-solving various strategies that will be able to persuade target consumers and convert them to behave should be inherent in advertising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dvertising expressive strategies inherent in Japan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 text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forthcoming Korean public service advertising communication. The study aimed at Japanese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as a research target. And then in order to identify the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visual factors and lingual factors within text the study class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video image and language into four types: direct matching literal matching only indirect reference and irrelevant and analyzed them. Focusing on the analyzed results the study looked into the expressive strategies of Japanese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