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장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자료적 가치

        나영훈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6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status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先生案). Accordingly, I will conduct a status review from Kyujanggak(奎章閣), which has the largest collection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and review the data values. Chapter 2 presented 80 types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in Kyujanggak and identified the character of each data. As a result, Kyujanggak confirmed the character of the institution that owns the largest number of the only data and most of the organization that owns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for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Chapter 3 describe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family information, Chulsin(出身; its mean pass the stat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government office information. These information provided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database of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Chapter 4 presented the data value of the Kyujanggak collection. First, Kyujanggak has more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than any other institution and was mostly the only data. Most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also had very high data credibility. Second, building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at Kyujanggak as a database could bring the total number of new officials to 46,000. This, along with the already established database,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human networks in the Joseon era. It can also lead to expansion of social and person research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rd,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housed in Kyujanggak, can, among other things, be used as a key source of research for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of Kyujanggak can establish a network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more than any data.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empirical data to understand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political system and numerous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시대 관청 제명기(官廳 題名記) 창작의 시대적 맥락

        구슬아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6

        This paper is a new attempt to read the creation traditions and tendenci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list(Ti ming-Ji, 題名記)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of the time in the Joseon Dynasty. In contrast to the private association of the bureaucrats, Ti ming-Ji is the official record of former and present government officials. And it emphasizes collective identity as bureaucrats. In order to grasp the contextual context, I first surveyed the present state of creation of Ti ming-Ji during the entire period of Joseon and listed it in the order of the times. And that the genre source is in the Ti ming-Ji of the Song and Won(宋元) Dynasty. There are two main aspects of the change. First in Early Joseon, it is emphasized that the Joseon dynasty secured new talent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ona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Emperor of the Goryeo period and to succeed the transplantation of the Joseon political order. This means that the adjustment is precise and accurate. It is also a pride that Joseon's politics has already established a rational system. In particular, senior bureaucrats encouraged lower-level official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evaluation, and if they supported the king, they would be rewarded through promotion. This is characterized by a sense of systematic order that drives the self-control and growth of new officials.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it is emphasized that damaged records should be restored and rebuilt through the war. It also shows a tendency to record the repair process in detail. And as the central government's maintenance has been completed, the literary subject is changed by local government. In this process, it emphasizes the political commitment that the leaders should play a role in fully communicating the edification of wages in the provinces in rela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creation of Ti ming-Ji until the Joseon dynasty was made mainly by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dividuals who worked at the relevant government offic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Joseon Dynasty, the making of the Ti ming-Ji in the province tends to be made in earnest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and to secure the standard of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revising the practice of the old one. Lastly, in the late-Joseon, there is a tendency to inherit the creation traditions of early Chosun and the Middle Age. And both the object of creation and the object of reception were expanded from gentry to the middle class. Ti ming-Ji emphasizes the identity of ‘politician’, especially based on hierarchical order. In addition, it reveals that the political order must be fully operated by each individual position at a given loca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Ti ming-Ji is a characteristic genre that was inevitably prevale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political order by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시대에 중앙조정과 지방의 관청(官廳)에서 제작된 제명기(題名記)를 대상으로 그 창작 전통과 경향을 당시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읽어내려는 시론(試論)이다. 사대부 관료들의 사적(私的) 연대인 계회(契會)와 달리, 제명기는 관청의 전․현임 근무자들의 공적 기록이자 관료로서의 집단적 정체성이 강조되는 자료로서 주목을 요한다. 조선 개국 이후부터 후기까지 창작된 제명기의 통시적 변화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조선 전기에는 고려시대의 유제를 극복하고 『경국대전』으로 표상되는 조선적 정치질서의 성공적 이식을 위한 질서의식이 강조된다. 학업과 인품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정치 인재상을 서술함으로써 조선의 인선(人選)이 엄밀하고 정확함을 과시하는 한편, 이미 조선의 정치가 합리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자부심을 표출하였다. 특히 사대부 고위 관료들이 하급 관원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에서는 후인(後人)들의 역사적 평가를 엄중히 인식하며 왕화를 보좌한다면 훗날 승진을 통해 그것을 보상받을 것이라고 독려함으로써 신진 관리들의 자기통제와 성장을 추동하는 계서적 질서의식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병란을 거치며 인멸된 기록을 복구하고 재구축해야 한다는 의식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한편 그 보수(補修)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록해두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중앙관청의 정비가 일단락됨에 따라 지방 통치로 시선이 전환되고 있다. 여기에는 중앙조정과의 관련 속에 수령들이 지방에서 조정의 교화를 온전히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정치적 사명감이 강조되어 있다. 조선 전기까지의 제명기 창작이 주로 해당 관청에 근무하게 된 개인들이 필요성을 자각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면, 조선 중기 이후 지방에서의 제명록 제작은 향리가 축적해온 구안(舊案)의 관행을 전면 수정하여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지방 통치의 준거를 확보하려는 의지에서 제도적․본격적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밖에 조선 후기의 제명기는 조선 전기와 중기 제명기의 창작전통을 그대로 계승하는 경향이 현저하되, 창작의 주체와 수신의 대상 모두 사대부에서 중인층으로 확대되었다. 제명기는 위계적 질서에 입각한 정명 사상을 바탕으로 ‘정치인’이라는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고, 각 개인이 정해진 위치에서 주어진 직분을 다함으로써 정치적 질서가 완전하게 운영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제명기는 제작 자체가 하나의 제도이자 문학적 결과물로서 조선이 새로운 정치적 질서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산생될 수밖에 없었던 장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관상감(觀象監) 관원의 친족 네트워크와 결속

        나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3

        This paper was analyzed on the list of “UngwanSeonsangan(雲觀先生案)”, which is a list of members of the Gwansanggam(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Bureau)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we extracted a Kinship Network of Gwansanggam(觀象監)’ government official and found that they had strong connections. And while this strong cohesion revealed the self‒group knowledge and monopoly of officialdom, it also confirmed that it had the effect of inheriting and maintain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Gwansanggam(觀象監)’ work. The reason they formed a strong tradition of victory and marriage was to fully inherit and develop knowledge. It was efficient to inherit knowledge from within these same relatives in the pre‒modern times. And knowledge of astronomical work basically leads to the cooperative publication of “almanac(曆書)”, based on the tradition of household knowledge. And this was a meaningful bond in that the Gwansanggam(觀象監)’ government official was able to cultivate relevant knowledge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se examples show that while there were exclusive, closed groups of interest‒bound professionals, the tradition of passing on technology and knowledge and focusing on inter‒group cooperation certainly coexisted. 본 논문은 조선후기 관상감 관원의 명단인 『운관선생안(雲觀先生案)』을 중심으로, 음양과 중인들의 관직 중심 친족 네트워크를 추출하고, 이들이 강력한 결속을 다지고 있었던 현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강력한 결속력은 한편으로 자신들 집단만의 지식과 관직의 독점적 양태를 드러냈지만 이와 함께 관상감 업무의 전문성을 계승하고 유지하는 효과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관상감 관원의 친족 네트워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은 단순히 대에 걸친 세전 양상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형제와 외척(外戚), 처가(妻家) 관계 등 다양한 혈연 네트워크를 통해 결속을 다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들의 결속이 기술・지식의 전승과 삼역관이라는 일종의 전문지식체계를 구성하여 전문성을 유지하는 효과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조기교육을 통해 가내에서 해당 직종의 전문가로서 훈련받았고, 역서 편찬을 위해 협업으로 간행에 참여하여야 했는데, 이들은 평소 친족 네트워크로 결속된 친밀한 인사들이었다. 이들 관상감 관원은 이러한 그들만의 지식을 담보로 ‘삼역관(三曆官)’이라는 다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전문지식집단을 구성하였다. 이들이 강력한 세전과 통혼으로 친족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은 이와 같은 집단지식체계를 구축하여 지식을 온전히 계승하고 나아가 발전시키는 토대로 삼으려 한 것이었다. 전근대시대에서의 지식전달은 이처럼 동일한 친족 내부에서 계승하는 것이 효율적이었으므로, 이와 같은 집단지식체계 구축을 위해 강력한 결속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천문학 업무의 집단지식체계는, 기본적으로 가계 지식의 전승을 기반으로 역서의 협동 간행으로 이어져, 음양과 중인이 조선시대 내내 관련 지식을 양성하며 조선 사회의 중요한 한 축을 유지시켜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속이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례는, 이들 전문직 중인이 이해관계로 묶인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집단의 모습도 존재했지만, 이뿐 아니라 기술과 지식을 상호 전수하며 집단 내부의 협동을 중시했던 전통도 분명 공존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