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수(白水) 양응수(楊應秀)의 성리설과 18세기 낙론계에서의 반향(反響)

        유지웅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3 No.-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Yang Eungsu's Neo-Confucianism, a representative disciple of Yi Jae, while paying heed to the N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By doing so, this paper reasonably identifies Yang's academic identity,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Yang is not mentioned in the same way as his contemporaries Park Seongwon, Kim Wonhaeng and Lim Seongju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Nak School in 18th century. However, Yang is a highly symbolic figure among Yi's disciple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it was not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of Yi's writings unless one was very close to his teacher or had a high academic standing. This may explain his place in Cheonmun (泉門). Yang also maintained his identity as a member of the Nak School by presenting a critical view of the Ho School regarding the Horak controversy, which was a major concern of the scholarly community at the time, with most of Baeksujib (白水集) relating to Neo-Confucianism. He was also a faithful student of his teacher, summarizing the conclusion of Yi's theory of the mind as "the mind being made up two kinds of Qi (心有 二氣)." However, while Yang was identified as a the Nak School scholar, he also had an identity that diverged from the Nak School-centered position. For example, not only did he criticize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Kim Changhyeob, the master of the Nak School, but his way of arguing the key issues of the Horak controversy also vari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Nak School. His academic position was controversial within the Nak School, and his alumni criticized Yang's theory as being the same as the Ho School. Therefore, it would be a limited understanding to view Yang’s theory solely in the context of his being a 'successor' to 'the theory of the Nak School'.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Yang's academic identity. Specifically, the study will focus on Yang's membership in the Nak School and the criticisms his alumni had regarding his theories on moral culture. Ultimately, the success of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why Yang is a noteworthy figure in regard to the diversity within the N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and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his academic identity. 이 논문은 이재 문하의 대표적인 인물인 양응수의 성리설과 이에 대한 18세기 낙론계의 반응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동안 피상적으로 다루어졌던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론 내리고자 한다. 18세기 기호 낙론계 연구와 관련하여 양응수는 동문이었던 박성원, 김원행, 임성주 등과 비교해 볼 때 의미 있게 다루어진 인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양응수는 이재문하에서 매우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도암집(陶菴集) 간행에 깊숙이 개입해스승의 유고를 정리, 편집하는 일을 주도하였으며 동문 중에서는 유일하게 1년간 스승의 시묘살이를 했다는 상징성도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볼 때 천문(泉門)에서의 양응수의 위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양응수는 성리설에도 조예가 깊어 백수집(白水集)에는 대부분이 성리설과 관련된 것이며 당시 학계의 최대 관심이었던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에 대해서도 호론을비판하는 일련의 글들을 발표하여 낙론계 일원으로서의 정체성도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재 심설의 종지를 ‘심유이기(心有二氣)’로 정리하는 등 스승을 충실히 계승한 제자의 역할 역시 자임하였다. 이렇듯 양응수는 천문에서 동문들과 함께 낙학의 여론을 주도한 인물이었으며, 백수집을 보더라도 학문적 성과가 매우 뚜렷한인물이었다. 그동안 학계에서 양응수에 대한 논의는 주로 낙론의 ‘계승’이라는 측면에만 주목하였다. 그는 분명 낙론계의 정체성을 유지하였지만, 낙론계 중심 학맥의 입장과는다른 정체성 역시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그는 낙학의 종장이라 할 수 있는 김창협의 지각설을 비판하였을 뿐 아니라, 심유이기에 대한 해명에서도 낙론계 중심 학맥과는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응수의 학문적 입장이 낙론계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특히 동문들이 양응수의 성리설을 호론과 같다고 비판하는 것에서볼 때 그의 성리설을 단순히 ‘낙론’의 ‘계승’이라는 범주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해 합리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한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로 낙론계 일원으로서 그의 정체성과 그의성리설에 대해 동문들이 가지고 있었던 비판과 문제의식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것이다.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18세기 낙론계 성리설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왜 양응수라는 인물을 주목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음과 동시에 그의 학문적 정체성이 보다 명확해지는데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洛論系 學脈의 변모양상 연구

        趙成山(Cho Sung-San) 歷史敎育硏究會 2007 역사교육 Vol.102 No.-

        The disciples of Kim Chang-hyeop·Kim Chang-heup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had established academic tradition of the early Nak school. Kim Chang-hyeop's disciples had been characterized in the field of literature·Neo-Confucianism, afterwards some figures from that had joined Soron faction. Kim Chang-heup's disciples had had many of them leave brilliant achievements in the scope of literature·Neo-Confucianism, however what seems interesting to us is that they went through the Calamity of Noron literati of 1721·1722 and happened to take on a sudden conservative atmosphere in their academic tradition. As a result of this type of conservative trend, other figures who were closely related to Soron and were not actively involved with the movement of Anti-Policy of Impartiality had great difficulty in succeeding to Nak school. Under these circumstances, Yi Jae, who had not been under the instruction of Kim Chang-hyeop·Kim Chang-heup, happened to lead Nak school. The view of Yi Jae, in light of theory on the nature of the mind, was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at of Ho school, however he succeeded to realistic view of Song Shi-yeol, which was not much difference from that of Ho school.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Noron that was consistently lead only by Eui-ri centered basis. However Noron's Eui-ri gradually came to realize, thereby an academic trend which tried to get away from that was centered upon only Eui-Ri theory happened inside Nak school. Most of disciples of Yi Jae were faithful with Eui-ri theory, however some came to start to pay interest to the administrative theory whether or not it was limited. The interest paid to the administrative theory was mostly expressed through Ban-gye-surok. That was not a big change, but an important one in the academic tradition of Nak school. Nak school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had developed in closer relation with conflict between Gong-hong and Bu-hong conflict and division of Sipa(Party of Expediency) and Byeokpa(Party of Principle). Ever since outbreak of the Calamity of Soron literati of 1755, Noron's Eui-ri was mostly accomplished in the political world, therefore the academic world of Nak school would be able to be free from Eui-ri theory in a way, which gave birth to various academic trends thereafter.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which can explain division of the Nak school. Nak school in those times largely divided into disciples of Kim Won-haeng and that Min Woo-soo. Kim Won-haeng’s disciples stuck to that of Nak theory on the nature of the mind, rather closer to the position of Bu-hong and Sipa. On the other hand, Min Woo-soo's disciples took on a tendency of Gong-hong and Byeokpa with it closely connected to Ho school. They also seemed to get near to Ho school's side from the aspect of theory on the nature of the mind.

      • KCI등재

        도암 이재와 그 문인들의 낙학(洛學)적 사유

        이천승 ( Lee Cheon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이 논문은 조선후기 호락논변에서 낙학(洛學)의 견해를 대표하는 인물 중의 하나로 도암 이재(陶菴李縡. 1680∼1746)의 성리학설, 그리고 그 문인들의 강학활동을 통한 낙학계열의 전개양상 및 지향점을 검토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호락논변 연구에서는 이간의 사유를 낙학의 대표적 견해로 인식하면서, 여타의 낙학계열까지 인식의 확장이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이재는 조선 후기 노론계열의 정치적 영향력 및 당시 성리학계의 중심주제인 호락논변에 관한 견해들을 직간접적으로 표출해왔다. 그의 주장에는 한원진과 이간의 논변과정을 통한 문제의식의 일단, 예를 들어 미발의 순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질을 개입시키지 않거나, 성인과 일반인의 심은 그 본체에 있어 동일하다는 낙론계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이재의 견해가 한원진과 대척점에 있었던 이간의 주장과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었다. 이 점은 당시 서울 경기지역 낙학계열 학자들 나름의 학문적 경향이 있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이간의 사유와는 다른 논증 진행 방식으로 심체의 순선함을 확보해 가려는 낙학계열의 전개양상까지 확장시켜야만 호락논변이 지니는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재의 호학에 대한 논변은 한원진이 아니라 그를 이어 호학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병계 윤봉구를 통해 진행되었다. 수암 권상하를 방문하거나 평소 윤봉구와의 교류도 있었던 이재는 호학내부의 흐름도 놓치지 않았다. 그러나 이재는 적극적인 반론으로 야기될지도 모르는 학계의 대립을 꺼려했고, 어느 정도 호학과 낙학의 입장이 선명해졌으므로 낙학의 지향점을 선도하는 역할정도에 그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그의 주장에는 이간이 도달한 결론처럼 심성의 일치라는 독특한 견해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재의 주장에는 기(질)의 맥락을 중시하는 호론의 대척점에서 본체인 리(성)와의 일치를 꾀하는 낙학의 문제의식을 읽어내는데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또한 호락논변과 같은 철학적 사유들은 당대의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동시에, 유가경전에 대한 이해 과정에서 이견을 보이면서 발생한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원문의 취지를 살리면서 학파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유가경전에 대한 이해는 사유의 출발지이기 때문이다. 낙론계 성리학의 한 흐름을 대표하는 도암 이재는 박성원, 이기경 등의 문인 제자들과 유교경전에 대한 토의과정을 담은 강설류의 저작을 남기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책을 통해 이재 자신의 주장 뿐 아니라 그와 의견을 같이 하는 제자들과의 집단지성의 결집체라는 점에서 낙학적 사유의 제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aper aims to confirm the view of Do'am陶菴 Yi Jae李縡, one of the figures representing the view of Nak School洛論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his book Lectures o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講說. This paper also aims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of the Nak School and its standard goals. Precedent research on Horak Arguments湖洛論爭 has recognized Oeam巍巖 Yi Gan李柬's insistence as a representative view of Nak School. Because of this, research on the other scholars in the Nak School has not been done enough. Do'am Yi Jae is an academic and historical figure of the Old Doctrine老論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is also worth to be studied because he has argued his views on Horak Arguments in various ways. Yi Jae expressed his view of Nak School in the course of a dispute with Byeonggye屛溪 Yoon Bong-gu尹鳳九, who represents Ho School湖學's position. Yi Jae's argument gives many implications for reading the question of Nak School, as it opposites to the Ho School's. Yi Jae's argument will help the general public better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Nak School, which insists every man can be a sage if their minds pursue the Innate Goodness性善. Philosophical reasons, such as Horak Arguments, also reflect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of the day. At the same time, this argument arose because of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Confucian Classics. Si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is the starting point for ideas in Joseon. Do'am Yi Jae, who represents a trend in the Neo-Confucianism of the Nak School, left the works of Lecture講說 after the process of discussing Confucian scriptures with his students. Yi Jae's books are the result of discussions with his students who share his views as well as his claims. Also, the books are the result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community. The original manuscript, Horak GangSeol 湖落講說, includes annotation of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from scholars who represent Ho and Nak School. Through this, we can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k School different from Ho School.

      • KCI등재

        기호학파 낙론계 심본선(心本善)의 이론적 구조와 도덕 실천적 의의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성리학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 누구나 도덕적으로 완벽한 인격을 갖춘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의 완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 행위의 주체가 되는 심이 도덕을 실천하는 것과 동시에 악의 원인이 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다. 성리학에서 인간의 도덕실천과 수양을 강조하는 것은 인간이 성인과 같은 진정한 도덕주체가 되려는 노력을 통해 모든 인간들을 선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도덕적 이상 사회를 구현하려는 목적의식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기호학파 낙론계 역시 도덕적 이상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미발(未發), 명덕(明德), 허령(虛靈), 지각(知覺)과 같이 심의 구조와 역량을 설명하는 개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낙론계는 심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통해 인간이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낙론계는 호론과 구별되는 심에 대한 견해인 심본선(心本善)을 주장했다. 성리학에서 인간이 도덕행위를 할 수 있는 근거는 심 안에 도덕원리이자 법칙으로서 성이 내재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는 성리학자 모두가 승인하는 바이다. 하지만 이이 성리설을 계승하는 낙론계는 성의 실재에 대해 확신을 하면서도 이것만으로는 도덕행위를 온전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이 성리설에서 리는무위, 기는 유위하기에 성은 무위한 것이며, 심은 유위한 것이기에 성은 유위한 심에 의해서만 실현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성이 사단과 같은 구체적인 감정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유위한 심의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기호학파 낙론계는 도덕실천주체인 심을 통해서도 도덕실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이 성리설에서 전제하는 ‘심시기’를 낙론계 역시 계승하기에 선악이 혼재되어 있는 기를 통해 구성된 심에서 도덕 가능 근거를 확보하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기호학파 낙론계는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본말론(氣本末論)을 통해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를 일반적인 기질과는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이론적으로 심 차원에서 도덕실천 가능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심은 기이지만,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맑고 순수한 것이기에 심의 본래 선하다”는 ‘심본선’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심본선의 이론적 배경과 구조, 그리고 심본선이 가지고 있는 도덕 실천적 의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결국 이 논문은 왜 기호학파 낙론계 성리학자들이 “심은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The aim of Neo-Confucianism is to enable all human beings to become sages with morally perfect characters. To attain this perfect character, human beings need constant moral self-cultivation; namely, they must make efforts to eliminate the causes of evil things. Thus, the moral conduct of human beings is dependent on the degree of their will and effort. Neo-Confucianism emphasizes each individual’s moral practice because they aim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The Nak School (洛學), which ran from the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lso developed various approaches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Historically speaking, this was the period when scholars had active discussions on concepts closely related to the mind (心), including jigak (知覺, cognition), myeongdeok (明德, bright virtue) and mibal (未發, the unaroused state of the emotions or thoughts). The Nak School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human beings to put morality into practice by having in-depth discussions on the mind. As a result, they suggested a somewhat distinctive idea, “simbonseon” (心本善). Simbonseon means that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s good because it is made up of the pure element of gi (氣), though the mind is itself gi. As noted by the general teachings of Neo-Confucianism, human nature enables human beings to morally behave. However, while the Nak School was certain about the reality of human nature, they did not think that it alone was enough to create a morally ideal society. It is because nature can only be manifested by the mind since nature is non-active. To be more specific, without the mind, nature by itself is insufficient to actualize morality. Thus, the scholars of the Nak School were deeply interested not only in human nature but also in mora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They believed that the mind has a special capacity to spiritually perceive objects. They, therefore, aimed to come up with the argument that human beings can morally behave through the mind. However, as followers of Yi I (李珥), they believed that the mind is linked with gi. Therefore, securing a pure and good state of the mind was not an easy achievement. To overcome this problem, they analyzed the min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ey secured the pure and good realm of the mind based on the roots and branches in gi. As a result, they suggested “simbonseon”, which means “innate goodness of the mind”. Simbonseon is a pure and good state of the mind, where morality could be put into practice. They presented a structure of the mind that enables human beings to put morality into practice. Accordingly, the theory of simbonseon of the Nak School can be evaluated a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mind linked with gi and providing a moral foundation for human beings in respect of the mind.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discussions on the Horak (湖洛) debate. Moreover, there were new discussions on Nakron (洛論), motivated by the work on the main figures of the Nak School. However, according to most of the work, Nakron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theory of Oeam Yi Kan (巍巖 李柬).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Yi Kan’s Neo-Confucian theory is similar to Nakron, but he is a scholar of the Ho School (湖學), not the Nak School. Therefore, understanding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Nak School based on the theory of Yi Kan may cause misunderstandings. For example, the ideas of the Nak School can be mistakenly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Oeam’s Neo-Confucian theory. In addition, simbonseon was mentioned several times in the secondary literature on Nakron. However, the structure, the background or the moral meanings of simbonseon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swer questions as follows: Why do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Nak School advocate that the mind is innately good?

      • KCI등재

        이재 황윤석의 洛學 계승과 호남에 대한 자의식

        이천승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3 No.-

        Ichae Hwang Yunsŏk (頤齋 黃胤錫: 1729∼1791) left a massive amount of data that lively reveals various aspects of intellectual tradition of Chosun Confucianism as if we are on a time machine ride. This paper especially looks into his records regarding Horaknonbyŏn (湖洛論辨: intellectual debates between Ho and Nak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tradition of Nakhak (洛學), with the intention to see it in its relation to the Honam identity through the representative Honam scholar of the time. The issues of Horaknonbyŏn that divided the Ho and Nak school were the differing views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surrounding the human and nature. Hwang Yunsŏk, who had affinity to the Nak school through the family and schooling actively, supported the position of Nak. In his writing abou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Ho and Nak school discussion, he showed his Nak allegiance as he synthesized the causes and issues of Ho and Nak school division and the debate's ultimate debacle. He particularly pointed out that his teacher Kim Wonhaeng(金元行) emphasized the unique domain of human mind that was not identical with the general sense of Qi(氣) as a characteristic approach of the Nak school. While Hwang Yunsŏk tried to capture the socially changing atmosphere that pursued the broad learning, he did not become a substantial agent for the acceptance of Qing(淸) cultures 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s a representative Honam scholar of the time, he showed unusual affection for the regional culture. Nonetheless, the prejudice against Honam region was hardly abated. As his effort to overcome the Honam prejudice, he showed exceptional interests in Kim Inhu. For he thought the scholarship and integrity of Kim Inhu(河西 金麟厚: 1510∼1560) who had been neglected even in Honam were something that moved beyond the regional boundary. Kim Wonhaeng also encouraged the interests of Honam in Kim Inhu by mentioning Kim Inhu's Munmyochongsa discussion. Such influence of Kim Wonhaeng enabled the Honam man Hwang Yunsŏk to inherit the tradition of the Nak school as well as to reestablish the Honam tradition represented by Kim Inhu. Due to his profound affection and efforts for his regional culture, Hwang Yunsŏk came to leave an unusual legacy in Honam Confucianism until today. 이 글에서는 洛學의 지적 전통에서 湖洛論辨과 관련된 頤齋 黃胤錫의 기록을 검토하는 한편, 당대 호남을 대표하는 지식인의 호남에 대한 자의식이 어떠했는지를 연계시켜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황윤석은 호학과 낙학의 시말을 기록하는 글에서 그러한 분기현상의 원인과 쟁점, 그리고 말기적 상황으로 치닫는 과정을 낙학적 시각에서 정리하고 있다. 특히 그는 일반적인 의미의 기(氣)와는 구별된 마음의 독특한 영역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스승 김원행의 사상적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원행을 정점으로 낙학의 사상적 전통이 점차 희박해져 가는 상황에서 호남출신 유학자로서 황윤석의 선택지 역시 좁혀져 갔다. 비록 황윤석이 박물학적인 관심으로 변모하는 사회상을 담아내려고 노력했지만 국정의 운영이나 북학의 수용에 있어 실질적인 주체가 되지는 못했다. 또한 당대 호남을 대표하는 유학자로서 지역문화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지니고 있었지만, 호남에 대한 편견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었다. 황윤석은 호남의 편견을 시정하려는 노력차원에서 河西 金麟厚(1510∼1560)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심성논의가 지리한 공허함으로 빠져들거나 정쟁의 도구로 전락된 상황을 넘어서 유학의 기풍을 쇄신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그동안 호남에서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김인후의 학문이나 인격은 결코 호남차원에 국한되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원행 역시 김인후의 문묘종사 문제를 거론하면서 호남의 관심을 촉구시켰다. 이러한 스승의 영향은 같은 호남출신이기도 하였던 황윤석이 낙학의 전통을 계승할 뿐 아니라 김인후로 대표되는 호남의 전통을 재정립하고자 노력하는 적극적 계기가 되었다. 특히 그의 지역문화에 깊은 애정과 노력이 있었기에 오늘날까지 황윤석이 호남유학에 남다른 의미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재 황윤석의 낙학(洛學) 계승과 호남에 대한 자의식

        이천승 ( Cheon Sung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3 No.-

        이 글에서는 洛學의 지적 전통에서 湖洛論辨과 관련된 이齋 黃胤錫의 기록을 검토하는 한편, 당대 호남을 대표하는 지식인의 호남에 대한 자의식이 어떠했는지를 연계시켜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황윤석은 호학과 낙학의 시말을 기록하는 글에서 그러한 분기현상의 원인과 쟁점, 그리고 말기적 상황으로 치닫는 과정을 낙학적 시각에서 정리하고 있다. 특히 그는 일반적인 의미의 기(氣)와는 구별된 마음의 독특한 영역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스승 김원행의 사상적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원행을 정점으로 낙학의 사상적 전통이 점차 희박해져 가는 상황에서 호남출신 유학자로서 황윤석의 선택지 역시 좁혀져 갔다. 비록 황윤석이 박물학적인 관심으로 변모하는 사회상을 담아내려고 노력했지만 국정의 운영이나 북학의 수용에 있어 실질적인 주체가 되지는 못했다. 또한 당대 호남을 대표하는 유학자로서 지역문화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지니고 있었지만, 호남에 대한 편견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었다. 황윤석은 호남의 편견을 시정하려는 노력차원에서 河西 金麟厚(1510∼1560)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심성논의가 지리한 공허함으로 빠져들거나 정쟁의 도구로 전락된 상황을 넘어서 유학의 기풍을 쇄신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그동안 호남에서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김인후의 학문이나 인격은 결코 호남차원에 국한되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원행 역시 김인후의 문묘종사 문제를 거론하면서 호남의 관심을 촉구시켰다. 이러한 스승의 영향은 같은 호남출신이기도 하였던 황윤석이 낙학의 전통을 계승할 뿐 아니라 김인후로 대표되는 호남의 전통을 재정립하고자 노력하는 적극적 계기가 되었다. 특히 그의 지역문화에 깊은 애정과 노력이 있었기에 오늘날까지 황윤석이 호남유학에 남다른 의미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 Ichae Hwang Yunsok (이齋 黃胤錫: 1729∼1791) left a massive amount of data that lively reveals various aspects of intellectual tradition of Chosun Confucianism as if we are on a time machine ride. This paper especially looks into his records regarding Horaknonbyon (湖洛論辨: intellectual debates between Ho and Nak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tradition of Nakhak (洛學), with the intention to see it in its relation to the Honam identity through the representative Honam scholar of the time. The issues of Horaknonbyon that divided the Ho and Nak school were the differing views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surrounding the human and nature. Hwang Yunsok, who had affinity to the Nak school through the family and schooling actively, supported the position of Nak. In his writing abou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Ho and Nak school discussion, he showed his Nak allegiance as he synthesized the causes and issues of Ho and Nak school division and the debate`s ultimate debacle. He particularly pointed out that his teacher Kim Wonhaeng(金元行) emphasized the unique domain of human mind that was not identical with the general sense of Qi(氣) as a characteristic approach of the Nak school. While Hwang Yunsok tried to capture the socially changing atmosphere that pursued the broad learning, he did not become a substantial agent for the acceptance of Qing(淸) cultures 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s a representative Honam scholar of the time, he showed unusual affection for the regional culture. Nonetheless, the prejudice against Honam region was hardly abated. As his effort to overcome the Honam prejudice, he showed exceptional interests in Kim Inhu. For he thought the scholarship and integrity of Kim Inhu(河西 金麟厚: 1510∼1560) who had been neglected even in Honam were something that moved beyond the regional boundary. Kim Wonhaeng also encouraged the interests of Honam in Kim Inhu by mentioning Kim Inhu`s Munmyochongsa discussion. Such influence of Kim Wonhaeng enabled the Honam man Hwang Yunsok to inherit the tradition of the Nak school as well as to reestablish the Honam tradition represented by Kim Inhu. Due to his profound affection and efforts for his regional culture, Hwang Yunsok came to leave an unusual legacy in Honam Confucianism until today.

      • KCI등재

        19세기 洛論系 지식인들의 神 관념 이해와 그 경세학적 의미

        조성산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2 사총 Vol.107 No.-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concept of Sin (神; extremely pure force) of the Nak school intellectuals, which is centered on the students of O Hui-sang and Hong Jik-pil in the 19th century, and its social context. Existing studies have not focused much on this concept from the 19th-century Nak school. Sin of the Nak school was to inherit the idea of damyeon ji gi​(湛然之氣; extremely pure force) in the Horak debate in the 18th century through Huang Gan’s hyeong gi sin ri (形氣神理; form, force, extremely pure force, principle) discussion in the 19th century. This position on the concept received much criticism from the Song Byeong-seon, Yi Hang-ro, and Yi Jin-sang schools, which were the Nak school’s rivals at the time.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Si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cademic identity problem of the Nak school. It has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equality, in that Sin is inherent in all beings and things, and change, in that Sin changes all beings and things because it essential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gi (氣; force). These aspects have become important ideological foundations for the heart and mind theory and the statecraft theory upheld by the Nak school intellectuals. The theory of Dongdo seogi (東道西器; Eastern ethics and Western technology)-which emphasized reformation-and the argument to reject the West based on internal moralism were based on this concept of Sin. 본 글은 19세기 吳熙常, 洪直弼의 문인들이 중심이 되었던 洛論系 지 식인들의 神 관념의 내용과 그것이 가졌던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 였다. 기존 연구에서 19세기 낙론 학계에서의 신 관념에 대해서 많은 부 분 그 연구가 부족하였다. 낙론계의 신 관념은 18세기 호락논쟁에서 논 의되었던 담연지기를 황간의 형기신리 논의를 통하여 19세기에 새롭게 계승하는 것이었다. 이 신 관념에 대한 입장은 당시 낙론계의 경쟁학파 였던 宋秉璿의 淵齋學派, 李恒老의 華西學派, 李震相의 寒洲學派로부 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러한 점에서 이 신 관념은 낙론계의 학문적 정 체성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다. 이 신 관념은 두 가지 중요한 특성 을 가졌다. 첫째는 모든 존재와 사물에 신이 내재한다는 균등의 특성이 었고, 둘째는 신은 본질적으로 氣인 이유로 변화한다는 특성이었다. 이 두 가지 특성은 그들의 심성론과 경세론의 중요한 이론적 기초가 되었 다. 변통을 중시한 東道西器論과 內修論에 입각한 교화적 斥邪論은 이 러한 神 관념을 기반으로 형성되고 있었다.

      • KCI등재

        18세기 중반 기호 낙론계 심론 - 심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유지웅 ( Yoo Ji-wo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이 논문은 18세기 중반 기호 낙론계 심론, 특히 심기에 대한 논의 양상을 도암 이재(陶菴 李縡, 1680~1746)와 그의 문인들인 백수 양응수(白水 楊應秀, 1700~1767), 미호 김원행(渼湖 金元行, 1702~1772)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기호학파 낙론계의 사적 흐름에서 18세기 중반은 낙학의 종지(宗旨)가 비교적 선명하게 부각된 시기였다. 특히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이었던 미발과 성범심에 대한 낙론의 입장은 미발심체선, 성범심동으로 귀결되며, 이러한 입장의 이면에는 결국 심과 기(질)의 관계 즉 심기를 어떻게 해명하는가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재, 양응수, 김원행은 낙론의 입장인 미발심체선과 성범심동을 공유하지만 그 논증 구조에서는 상호간의 입장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이재는 심을 기 자체만으로 해명하지 않고 항상 성(리)과의 합일을 통해 성인과 범인의 심이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심과 기질을 구체적으로 구별하여 설명하지 않음으로써 오는 언어표현상의 문제점도 발견된다. 반면 이재의 문인들인 양응수와 김원행은 심기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양응수는 심을 구성하는 기를 신기(神氣)와 혈기(血氣) 두 개의 기[心有二氣]로 전제하고 신기를 통해 성인과 범인의 심이 동일함을 설명하고 혈기를 통해서는 성인과 범인의 심이 다름을 설명한다. 그 결과 양응수의 입장은 동문들로부터 심(체)에 선악이 있다는 호론과 동일하게 귀결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반면 김원행은 심을 구성하는 기를 청탁(淸濁)이 섞여 있는 것을 전제하는 기질과는 차별적으로 이해하여 심기 그 자체의 도덕적 영역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심기에 대한 김원행은 입장은 인간 누구나 보편적으로 동일한 마음이 실재함을 존재론적 차원에서 확인하려는 낙론의 입장을 충실하게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재를 비롯한 양응수, 김원행 모두 호락논쟁의 과정에서 낙론의 입장을 반영한 성리설을 제시하지만 그에 따른 세부적인 논증 구조와 관련해서는 각각 차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diversity in the theory of the mind of the Nak School in the middl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Doam Yi Jae, Baksu Yang Eungsu and Miho Kim Wonhaeng. The main point of the theory of the Nak School was highlighted with relative clarity in the middle 18th century. All of Yi Jae, Yang Eungsu, and Kim Wonhaeng discussed in the study maintained that the state of the mind-substance before aroused feelings, which reflects the position of the Nak School, should be good and that the sages and ordinary people should have the same mind, but they presented diverse discussions about their positions about the mind, especially its interpretations based on Li and Ki. First, Yi Jae refused to elucidate the mind only with Ki itself and tried to highlight the good of morality more clearly always through the unity of Ki and Li.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Kim Wonhaeng and Yang Eungsu developed their discussions in a direction of offering more detailed explanations about Ki that made up the mind. Kim, in particular, understood Ki that made up the Mind differently from temperament whose premise was the general mix of clear and muddy, developing his discussions in a direction of securing the moral domain of the mind itself. Unlike him, Yang Eungsu set a premise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Ki, which made up the mind, including mind-vital force and blood-vital force and explained that the sages and ordinary people had the same mind in the aspect of the former and different minds in the aspect of the latter. As a result, his theory of the mind was criticized for sharing the same logic with the Ho School, which argued that there should be both good and evil in the mind, by his alumni.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Yi, Kim, and Yang all proposed Seong Li theories reflecting the position of the Nak School's theory but had differences from one anoth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d based on Li and Ki.

      • KCI등재

        외암 이간의 철학사적 지위 재검토-낙론 확립 과정에 미친 그의 영향을 중심으로-

        배제성 범한철학회 2024 汎韓哲學 Vol.112 No.1

        이간은 호락논쟁에서 낙학을 대표하는 참여자로 널리 알려졌지만 실제로 그는 호학의 일원이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최근의 호락논쟁 연구에서는 호학과 낙학이라고 하는 학파적 맥락이 부각되면서 이간의 철학사적 위치는 다소 모호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진전된 학계의 인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그러한 맥락 안에서 이간의 철학사적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그것은 특히 낙학의 종지로 알려진 심・기질 분변의 입장을 수립하는 과정에 이간이 끼친 영향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시도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이간이 직접적으로 낙학의 학자들과 소통하면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을지라도, 그의 주장이 이후 낙학의 형성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Oiam Yi Gan’s Position in the History of Philosphy in Joseon. Yi Gan is well known as a prominent participant in the Horak debate within Nak school. However, this evaluation is controversial, because he actually belonged to the Ho school, not the Nak school. Recently, since academic trend focusing on context of the debate among the schools has extended, Yi Gan’s position has become more ambiguous. While actively embracing this advanced understand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Yi Gan’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detail within that context.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his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laim that mind-heart is distinct from temperame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doctrine of Nak school. Through this, we will discover that Yi Gan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유학사적 위상과 그 영향

        박학래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50 No.-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who led the academic debate in all directions and led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in the academic division that accelerated from the 19th century regardless of Kiho and Yeongnam academia is Ganjae Jeon Woo. He was more intense than anyone else in his consciousness to inherit the academic views and heritage of the Yulgok school. He was more intense than anyone else in his desire to inherit the academic views and heritage of the Yulgok School. Therefore, he not only criticized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proposed by Lee Hang-ro and Ki Jeong-jin of Yulgok's lineage, but also raised bold criticism against the theory proposed by Lee Jin-sang of Toegye's line. And through this, he took the lead in inheriting and protecting Yulgok's studies, which he understood as the orthodoxy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he presented his theory through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review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senior Confucian scholars. He also criticized his theory against the criticism of other schools at that time and paid close attention to establishing his theory. In addition, he expanded his academic influence by producing disciples nationwide, unlike the leaders of other schools who produced disciples within a geographically limited range. Through lectures that lasted for about 50 years, he promoted academic unity and homogeneity within the school and constantly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on academic topics with nearly 2,000 disciples, through which he tried to confirm and inherit the orthodoxy of Joseon Confucianism. And his disciples continued this academic position and view not only when he was alive, but also after his death, and decorated the tradition of studying in Korea. In this paper, I tri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Ganjae Jeonwoo's academic position and broad academic activities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through his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awareness, and his academic fellowship. And his academic status wa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his academic debate, and his academic influence was to be confirmed through the size of the disciples of the Ganjae school, the distribution by reg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disciples. 기호 학계와 영남 학계를 불문하고 19세기 이후 가속화한 문호 분립과 학파 분화 속에서 전방위적으로 학술 논쟁을 이끌며 근현대 한국 유학의 맥락을 이끈 대표적인 학자 중 한 사람은 田愚(1841∼1922)이다. 누구보다 율곡학파의 학문 전통과 유산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식이 강렬하였던 그는 같은 율곡 계열의 李恒老, 奇正鎭 등이 제기한 성리설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퇴계 계열의 李震相이 제시한 성리설에 대해서도 과감한 비판을 제기하며 스스로 주자학의 정통이라 이해한 栗谷學의 계승과 수호에 앞장섰다. 그뿐만 아니라 주자학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선배 유학자의 성리설에 대한 체계적 검토를 통해 ‘性師心弟’, ‘性尊心卑’ 등 자기 학설을 구체화하였으며, 자신의 학설에 대한 당시 다른 학파의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하며 自家說 확립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지역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문인을 배출한 다른 학파의 宗匠과 달리 전우는 전국적으로 문인을 배출하며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학자였다. 50여 년 동안 지속된 강학을 통해 그는 학파 내 문인들의 학문적 결집과 동질성을 도모하며 2천여 명에 육박하는 문인들과 끊임없이 학문적 주제에 대해 문답을 주고받았고, 이를 통해 조선 유학의 정통을 확인하고 계승하고자 하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의 문인들은 전우가 생존하였을 때는 물론, 그의 사후에도 이러한 입장을 지속하며 조선 유학 전통의 대미를 장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우의 학문적 입장과 폭넓은 학문 활동이 조선 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그의 학문 연원과 학통 인식, 그리고 그의 학문 교유 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의 학문적 위상을 그가 펼친 학술 논쟁과 연관하여 검토하고, 그의 학문적 영향력을 간재학파 문인들의 규모와 지역별 분포, 문인들의 활동 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