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 야스퍼스의 ‘차축시대’를 통해 본 원불교의 ‘정신개벽’

        김명희(金明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제2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류의 ‘기술 문명’과 ‘정신문명’에 주목한 사람이 있었다. 독일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와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 박중빈(少太山 大宗師 朴重彬, 1891-1943, 이하 소태산)이다. 야스퍼스와 소태산은 서양과 동양이라는 상이한 공간에서 과학과 기술 문명이 가져오는 폐해를 직시하여 그 극복방법으로 ‘정신문명’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두되는 기술 문명과 물질문명의 폐해를 소태산의 ‘정신개벽’으로 극복하는 법을 탐색하였다. 특히 동시대를 살았던 서양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의 ‘차축 시대’를 통해 산업혁명 시대에 소태산의 ‘정신개벽’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소태산은 물질개벽이 문명폭력이 되지 않기 위해 정신개벽을 제안하였다. 인류는 법신불 일원상 진리(法身佛一圓相眞理)에 근거해 사은사요(四恩四要)의 신앙과 삼학팔조(三學八條)의 수행을 통해 물질문명과 기술 문명의 역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정신개벽이야말로 물질만능주의로부터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을 지켜낼 ‘생명 원리’라고 주장하였다. 야스퍼스의 ‘차축 시대’와 소태산의 ‘정신개벽’은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인간들을 ‘물질’로부터 해방시켜 ‘노예’와 ‘기계’가 아닌,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것이라고 선언한다. 정신문명에 기반한 ‘차축’과 ‘개벽’의 중심에는 ‘신앙’이 있다. 야스퍼스는 ‘철학적 신앙’을, 소태산은 ‘도학의 신앙’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학과 기술 문명 그리고 물질문명의 위기를 정신문명으로 극복할 것을 주창한 야스퍼스와 소태산을 고찰하였다. 특히 야스퍼스의 차축 시대를 중심으로 소태산 정신개벽의 의미를 조명하였다. In the era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wo people paid attention to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spiritual civilization" of humankind: the German philosopher Karl Jaspers (1883-1969)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少太山 大宗師 朴重彬, 1891-1943), the founder of Won Buddhism. While Jaspers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came from different worlds, the West and the East, both argued that humans must face up to the harmful consequence from the civ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vercome it with "spiritual civilization." This paper explores how the "Great Opening of Spirit" suggested by the Great Master Sotaesan overcomes the harmful effect of the technological and material civilization, which has been emphasized with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cept of "Axial Age" coined by Jaspers, who was contemporary with the Great Master Sotaesan, this paper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in the er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Great Master Sotaesan propose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to prevent the advent of materials from becoming civilized violence. Based on the "Truth in Il-Won-Sang of Dharma-kaya Buddha (法身佛一圓相眞理)," he taught that humanity could intercept the adverse effect of technological and material civilization with the belief in "Four Graces and Four Essentials (四恩四要)" and the practice of "Threefold Study and Eight Articles (三學八條)." According to the Great Master Sotaesan, it is the Great Opening of Spirit to be the "principle of life" that will protect human dignity and life from materialism. Jaspers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declared that their philosophies, Axial Age an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would lead humans, who were entering the er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having a full life with human dignity, not as only followers of materials or parts of machines. Based on the spiritual civilization, they both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faith at the heart of Axial Age an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More specifically, Jaspers" concept was centered in philosophical faith, while the Great Master Sotaesan suggested the faith of moral philosophy. This paper compares the philosophy between Jaspers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who commonly insisted on overcoming the crisis of civilization based on science, technology, and materials with spiritual civilization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Great Master Sotaesan"s Great Opening of Spirit through Jaspers" concept of Axial Age.

      • KCI등재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에 나타난 구조 고찰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불법연구회를 창립한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소태산에 의한 개혁불교로서의 지향점을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현실에 입각한 불법의 원융성 회복, 둘째, 불법에 입각한 제 사상의 포용 정신, 셋째, 불법에 기반한 사회개혁을 전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 위에 소태산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 또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첫째는 불보(佛寶)와 법신불 일원상과의 관계이다. 한국의 불교는 사찰에 전통적으로 유래된 불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왔다. 근대의 여러 불교개혁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신화화된 불상은 불법의 진의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불심(佛心)의 상징으로 법신불 일원상을 봉안함으로써 불법의 근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는 법보(法寶)로서 『정전(正典)』을 텍스트로 하였다는 점이다. 『정전』의 원텍스트는 소태산이 친히 감수한 『불교정전(佛敎正典)』이다. 원불교의 핵심경전인 『정전』은 대승불교의 경전관에 의거하고 있다. 소태산 또한 시기상응의 정신에 입각하여 대중을 중시하는 경전관을 피력하고 있다. 셋째는 승보(僧寶)의 의미를 확대하여 승가의 사회화를 지향한 것이다. 즉, 재가와 출가를 동등하게 보고, 차별없이 교단의 운영자로 참여시킨 것과 이러한 평등을 기반으로 사회의 승가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는 대승불교가 궁극적으로 성취하고자 했던 세계관이다. 이처럼 소태산의 불교개혁은 불법의 근원에 입각하여 기존의 관습적인 불법승 삼보를 해체하고, 현대적인 의미의 삼보로 재구성한 것이다. 소태산의 사후, 개명된 현재의 원불교의 성격 또한 이를 잘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by launche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who founde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1924 that has been changed to Won-Buddhism in 1948. This writer think that Sotaesan presented 3 parts as the intention points of Buddhism reform by himself. Firstly, unifying material and spirit, politics and religion, monk and layman, life and practice etc., secondly, all-embracing of religious thoughts in the world based o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irdly, social reform based on the thoughts of Buddhism. The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launched by Sotaesan who reformed traditional Buddhism world, consists of 3 structural elements too. Firstly, it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k-ya Buddha whose another name is Il-Won(One Circle) in Won-Buddhism. The statues of the Buddha was worshiped as the great object of devotion in most of Korean temples. Sotaesan thought many statues of the Buddha treated as myths should be simplified for catching the true teachings of Buddha as like Buddhism reformers asserted in modern times. He enshrined Dharmak-ya-Buddha instead of Buddhist image to reveal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a. Secondly, Sotaesan completed Jeongjeon(正典) as the text of Buddha- Dharma. It contains the teachings of Buddha and Sotaesan. And Jeongjeon as Won-Buddhist core scripture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Mah.y.na Buddhism. He preached that the teachings in scriptures should be kept up with the times and be angled towards viewers of the public. Thirdly, Sotaesan planed to make traditional Samgha in Buddhism open to society. He put this plan into practice through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t was equally open to both monks and laymen. This system is from Mah.y.na Buddhism that criticized Samgha of the established order. He has broken up three treasures, that is, Buddha, Dharma, and Samgha in traditional Buddhism and reconstructed these to modern system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m. Today Won- Buddhists well maintain the heritage of the teachings of Sotaesan an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 KCI등재

        소태산의 ‘淨土’관 연구

        지현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2 No.-

        In the Won-Buddhism, the Sotaesan Daejongsa’s Pure Land thought has been researched from the perspective of Yushim Pure Land thoughts. Some modern scholars have actively accepted the ideology of Pure Land by Dharmakaya Buddha to strengthen the faith of Won-Buddhism as the religion focusing on the Dharmakaya Buddha has weak faith. So, in this paper,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newly recognize the Sotaesan’s Pure Land thoughts based on the recent argument that the Sotaesan’s Dharma Assembly was formed centering on the Buddhism’s thought on the time which is led to Jeongbeop, Sangbeop and Malbeop. Through this method, this paper showed that though Sotaesan pursued Western Pure Land focusing on the Sambhogakaya Buddha as the Pure Land of conventional Buddhism while the Pure Land of new Dharma Assembly puruses the ‘real Pure Land’ in which the Pure Land is directly realized in the real world. Accordingly, the Sotaesan’s Pure Land is different from the ideological Pure Land which argues that ‘Pure Land really is located at the mind only’ and which is the core ideology for the Yushim Pure Land of conventional Buddhism. It is also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 of ‘real Pure Land’ which is far away from Western Pure Land’s ideology focusing on the Sambhogakaya Buddha.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Won-Buddhism needs to go in new direction focusing on these Pure Land thoughts. 원불교에서는 소태산대종사의 ‘정토’관을 대체로 유심정토사상이라는 관점 에서 연구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근래 일부 학자들은 법신불 중심의 신 앙은 신앙성이 약하다는 점에서 보신불에 의한 ‘정토’ 관념을 적극 수용함으로 써 원불교의 신앙성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소태산의 ‘정법회상’이 정법·상법·말법으로 이어지 는 불교의 시간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는 최근의 주장을 바탕으로, 소태산 의 ‘정토’관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성에 대해 주장했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소태산이 기존 불교의 정토를 보신불을 중심으로 한 서방정토의 희구였던 것 에 대해, 새 정법회상의 정토는 현실에서 정토를 직접 구현하는 ‘현실정토’를 추구했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소태산의 ‘정토’는 기존 불교의 유심정토사상이 가지고 있던 ‘정토는 오직 마음’에 있다는 관념적 ‘정토’와 차별화 되며, 보신불을 중심으로 한 서방 정토의 관념에서는 완전히 벗어나는 ‘현실정토’의 구현에 있다는 점이 그 특징 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러한 정토관을 중심으로 원불교학의 새 로운 방향성을 논해 갈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 KCI등재

        소태산의 구사일화 분석과 백학명과의 관계 연구

        이정재(李丁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부처시험 일화를 분석하여 불교와의 상관관계를 추적하였다. 일화의 내용을 살핀 결과 처화가 부처를 시험했던 장소는 선운사나 여타의 암자가 아닌 불갑사 본전이었을 가능성을 추정했다. 부처시험은 불교 배척이 아니라 당시의 불교적 관행과 절차에 대한 비판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소태산이 각 후 열람한 불서를 살핀 결과 재가신자로서 일정의 불교 수행을 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팔상록>과 <선요>는 초기의 입문 및 수행서의 징표로 보았다. 하나는 불교 고소설로 입문과정에서 접할 수 있는 것이다. 당시 도사 만나기가 절실했던 처화에게 큰 감동을 주었으며 진정한 도사가 내면적인 영웅성에 있음을 확신했던 책이라 보았다. <선요>는 불교 강원에서 행자를 마친 후 밟는 다음 단계로 사집의 하나다. 처화가 불교공부를 할 수 있었던 점은 불갑사의 한 암자인 용문암을 자주 드나들었다고 한 단서에서 출발했다. 용문암은 삼학리에서 지척에 있으며 모친 유정천의 이전 시가 댁이 있는 곳이다. 이런 배경이 용문암과 불갑사로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했다. 당시에 백학명은 역시 불갑사의 한 암자인 해불암(혹은 용문암)에서 독공 선수행을 하고 있던 시기다. 처화가 스승을 찾아 헤매이던 시기와 일치한다. 학명과의 이때 인연은 이후 소태산의 월명암 방문과 정산의 월명암 파견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학명과 소태산은 각 직후에도 교류를 했다. 그것은 한용운이 쓴 <불교대전>에서 찾아진다. 각의 직후 소태산은 학명을 만나 막 출간된 <불교대전>을 선물로 받는다. 이 책은 불교의 혁신과 불교의 대중화를 꽤했던 학명의 사상과 서로 일치한다.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alyzing the story. The place where he tests the Buddha was not a Seonunsa. It was estimated that it was Bulgapsa. And the test is criticized at the time the Buddhist practices and procedures. This is the origin of Buddhism-Hyeoksinron. The Bhuddist books he read were what the Buddhist practice. Especially ‘Palsangrok’ and ‘Seonyo’ saw as a sign of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documents. One is that you might encounter in an introductory course in Buddhism ‘Gososeol’. Especially had a great impression on ‘Cheohwa’ was desperate to meet a guru at the time. The book is a true guru was sure that the inner hero. ‘Seonyo’ is one of Buddhism after the issuer in Gangwon and stepping on to the next step ‘Sajip’. He often went to a hermitage in ‘Longmenam Bulgapsa’. ‘Longmenam’ is close to ‘Samhakri’, ‘Samhakri’ is where the old laws of the mother. Against this backdrop, Chohwa is able to connect seamlessly with ‘Longmenam’ or ‘Bulgapsa’. Baekhakmyeong was also carried out in the Haebulam (or Longmenam). It coincides with the time that he was looking for a teacher. Relationship with him, is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the ‘Wolmyeongam’. He exchanges after awakening. It is this connection with Buddhism War. Once enlightened, he receives the book as a gift. This book was quite an innov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Buddhism. This is consistent with the Buddhist test story. Fate of Choehwa and Hakmyoung is the result could naturally be forced to joi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Hakmyung seems very much like Choehwa. Since the behavior of construction Wolmyeongam shows that one. He helped Choehwa a lot. And like the will of the Buddhist innovation. At the time of Buddhism popularity through Daegakgyo of Yongseong, innovation through the Hanyongun theism, Buddhist practices such as Bannongbansun of Hakmyung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and Buddhism-Hyeoksinron of Sotaesan.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Hakmyung is, but here’s it. Sotaesan is walked the other way. Hakmyung and his clan are recorded Sotaesan to his student.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be consistent think of Sotaesan was planning a new recall and new ideas. Today, Buddhism and the relationship of Won Buddhism, and this situation can not confirm the identity. Wehave to wait what relationship between Sotaesan and Hakmyung is to be maintained

      • KCI등재

        소태산대종사의 성인관 연구

        양재호(梁載湖)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고는 한국 근대기에 형성된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성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양태로 변모하면서 정착되어 갔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불교는 유 · 불 · 도 삼교를 회통적으로 수용하였다고 하는데, 소태산 당시 이러한 가르침이 어떻게 수용되면서 원불교의 종교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수양연구요론』부터『불교정전』에 이르기까지 소태산의 성인관의 형성과 변화를 고찰하며, 나아가 불법연구회의 기관지인 『월말통신』이나 『회보』 등에 소개된 법설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면서 소태산의 성인에 대한 인식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소태산의 성인관은 초기 도교적인 수양을 통해 개인의 내적 완성을 지향하였다고 한다면, 후기로 갈수록 그 의미가 요 · 순의 치세나 석가모니의 중생구제와 같은 ‘외적 구제’의 측면이 더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곧 소태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인격은 ‘내적 완성’을 실현한 후, ‘외적 구제’를 향해 나아가면서 이를 완수하는 것이야말로 최상의 인격으로 설정하고 있다. 소태산에 있어 후천시대의 성인은 개인의 수양이 아니라, 중생의 구제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소태산은 성인을 ‘성자철인’과 ‘주세대성’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성향이 과거의 종교와 확연히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두 구분은 이후『보경육대요령』과『불교정전』에서 법위의 단계인 출가위와 대각여래위로 재구성되며, 이후 주세대성은 ‘주세불’의 개념으로 재해석되면서 원불교 성인관을 형성하게 된다. The present paper is aimed at examining in what way Sotaesan"s view of sage changed and took root since he had found Won -Buddhism during the near-modern age in Korea. As it has been taught that Won -Buddhism accepted Confucianism · Buddhism · Daosim in a synthetic manner, it is also the aim of this paper to explore how such teachings were admitted by Sotaesan initially and developed eventually into form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Won -Buddhism. In this study, focus is therefore placed o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Sot`aesan"s view of sage comprehensively by referring mainly to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Cultivation and Inquiry as well as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edited by Sotaesan personally in addition to his sermons published in Monthly Press and Bulletin , journals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 Dharma. In this context, it may be said that Sotaesan"s view of sage was oriented in the primary stage toward the individual internal self-completion through cultivation ofDaoism but came to give emphasis to "external salvation" like peaceful ruling of the Kings Yaoshun (堯舜) or relief of all creatures by Buddha as Sot`aesan approached to the later stage of his preaching, arriving eventually at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deal personality could be achieved in the process ranging from "internal self-completion" to accomplishment of "external salvation". In other word, Sotaesan viewed that a "sage", particularly of the post-heaven, could not be perfected by personal cultivation but only be accomplished by relief of all creatures. It is deemed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religions in the way that he recognizes and distinguish between sage-philosopher and great presiding sage, a view deemed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religions. The view of sage in Won-Buddhism has been formed as the concept of the presiding sage.

      • KCI등재

        소태산 대종사의 생명철학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소태산(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가 본 궁극적 존재는 법신불(法身佛, Dharma–kāya Buddha)이었다. 소태산은 법신불을 거시적으로는 우주적 존재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미시적으로는 인간을 포함한 존재의 미세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법신불의 나타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소태산의 생명철학은 법신불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법신불은 의식 · 에너지 · 생명의 세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소태산은 생명에 대하여 이중적 철학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는 미분과 분화, 전체와 개체, 통일과 다양, 삶과 죽음이라는 매우 상반되는 개념들을 사용하여 생명의 본질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려 하였다. 개체생명체인 인간은 신앙과 수행을 통하여 전체생명의 세계로 확장 · 진입이 가능하며, 그 궁극의 상태가 대각·해탈이다. 생명의 개념이 지닌 양면적 모순을 통합하려는 소태산의 생명철학은 파란고해에 휩싸인 이 세상 속에서 광대 무량한 낙원을 건설하려는 그의 의도와 부합된다. The ultimate being according to Sotaesan(1891~1943) was Dharmakāya Buddha. Sotaesan recognized the Dharmakāya Buddha not just as an universal being in a broader context but also as every single tiny being which is the manifestation of the Dharmakāya Buddha in a micro-perspective. Therefore, Sotaesan’s Life philosophy is basis on the Dharmakāya Buddha. Dharmakāya Buddha has three characteristics; consciousness, energy and life. Among those, Sotaesan approached life in a dual structure. He attempted to access the essence of the Life by using the concepts in contradiction as follows: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whole and entity, unity and diversity, and life and death. Human as an individual living being can enter or expand to the universal realm through faith and practice, and gradually attain the ultimate realm of Great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Sotaesan’s Life philosophy which unifies the contradiction of the concept of life correspond to his intension of establishing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 KCI등재

        기획논문: 한국신종교와 여성 : 소태산의 여성관과 원불교여성교무의 현재

        박혜훈 ( Hei Hun Park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22

        원불교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주요 가르침은 그가 직접 저술한 『원불교 정전』에 잘 표현되어 있다. 궁극적인 진리를 상징하는 일원상의 진리, 원불교 신앙을 설명하는 사은과 사요에서 소태산은 여성이 우주의 모든 존재와 조화를 이루는 은혜롭고 평등하며 주체적인 존재임을 밝히고 있다. 특히 사요 가운데 자력양성이란 교리는 초기교서에서는 남녀권리동일이라 표현되어 있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존재로서 평등세계 실현의 주체자임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의 억압되었던 여성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이 이상세계실현의 길이 된다고 보았던 소태산은 원불교 교단내의 조직과 제도로서 여성의 권리를 현실화시킨다. 남성과 동등한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여성의 성직을 인정하는 여성교무제도를 확립한다. 또한 원불교 조직의 토대가 되는 교화단에서도 최상위단인 수위단부터 남녀를 동등하게 구성하며, 남녀공동대표를 구상하는 등 남녀의 차별적인 요소를 철저히 배제해 갔던 것이다. 이러한 소태산의 교법 정신에 바탕하여 현재 원불교 여성교무는 남성과 차별 없는 종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여성교무의 결혼이 인정되지 않는 관례법을 비롯한 몇 가지 불평등의 요소가 표출되고 있으며, 이는 소태산의 선진적인 의지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불교 100년을 앞두고 있는 지금, 불평등하고 차별적인 문제를 함께 풀어가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하게 요청되며,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Ven.) Sotaesan Pak- Jung-Bin`s (1891~1943) primary teachings are well expressed in The Principal Book of Won-Buddhism (Wonbulgyo Chongjon), which he has directly written. The Truth of Il-Won-Sang (One Circle Image) symbolizes the ultimate truth; the faith of Won-Buddhism is described in the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Here, (Ven.) Sotaesan reveals that women are merciful and equal principal presence, which harmonizes between the universe and all existence. In the Early Scriptures of Won-Buddhism, men and women`s equality is clearly stated especially in the doctrine of The Four Essentials: Developing Self-Power. As women being equal to men, it emphasizes that women are the principal presence in creating a world of equality. (Ven.) Sotaesan believed that creating an ideal world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restoration of conventionally oppressed women`s rights. He made women`s rights a reality through 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inside the Won-Buddhist order. The establishment of Won-Buddhist Women Priest institution granted women equal status as men and acknowledged women to serve actively as reverends. In addition, Edification Groups being the foundation of Won-Buddhist order; even the highest rank of the edification group, Head Circle Council, is constructed equally of men and women. Joint gender representation was also conceptualized to completely eliminate the elements of gender discrimination. Based on (Ven.) Sotaesan`s doctrine, current Won-Buddhist Women Priests are performing their duties equally to men as a role of reverend. However, there are some elements of inequalities that exist as a customary law such as the disapproval of Won-Buddhist Women Priest`s marriage. This displays the fact that (Ven.) Sotaesan`s precocious spirit is not being reflected properly. Celebrating centennial of Won-Buddhism in few years, desperate efforts to solv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problems are required and in-depth study will be needed to be continuously made.

      • KCI등재

        원불교 교강 선포의 근 · 현대 종교사적 의미 -불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방룡(金邦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7 No.-

        ‘교강(敎綱)’이란 ‘교리의 강령’이란 뜻으로 1920년 4월에 소태산 박중빈이 부안 변산의 봉래정사에서 새 회상의 교리 강령으로 ‘인생의 요도 사은 · 사요와 공부의 요도 삼강령 · 팔조목’을 선포한 사건을 말한다. 소태산은 교강을 선포하기 이전 ‘불법(佛法)에 대한 선언’과 ‘일원상(一圓相)의 구상’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과 ‘불법연구회 (기성조합)’란 당시 교명에서 알 수 있듯이, 소태산이 선포한 교강의 핵심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현실 생활 속에서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920년 당시 불교계는 불교잡지와 불교사, 불교사상 등에 관한 다양한 서적이 출판되면서 불교의 교리에 대한 정보가 다양하게 유통되던 시기였다. 특히 전국으로 번진 3.1운동으로 인하여 불교는 물론 사회적 변화의 흐름에 대한 정보들이 종교계를 중심으로 전파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불교개혁론의 흐름이 있었는데, 이를 주도한 대표적 인물이 백용성과 권상로 및 한용운 등이었다. 소태산은 이러한 개혁 불교의 움직임을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교강선포에 이어 불법연구회를 창건하기에 이른다. 소태산은 특히 학명과 조우하면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는데, 학명은 백파 이후 교와 선과 율에서 가장 뛰어났던 백양사 문중을 대표하는 고승이었다. 학명은 교와 선 및 율 그리고 문학 등의 방면에서 당대를 대표하는 고승이었으며, 중국과 일본의 고승들과 선문답을 나눌 정도로 선에 뛰어났던 선승이었다. 소태산의 ‘교강’ 선포가 지니는 (한국) 근 · 현대 종교사적 의미는 한마디로 ‘시대화 · 생활화 · 대중화를 표방하는 개혁불교가 이 땅에 출현했다’는 것이다. 소태산은 ‘우리가 배울 바도 부처님의 도덕이요, 후진을 가르칠 바도 부처님의 도덕’이라 하여 ‘불교 회상을 만들겠다’는 포부와 그러한 정체성을 분명히 하였다. ‘Doctrine’ means ‘the teaching of creed’ and refers to the case that Sotaesan Park Jung-Bin declared "fourfold grace · four essentials as an important path of life and three creeds · eight articles as an important path of study’ at Bongnaejeongsa Temple in Byeonsan, Buan, in April 1920. Sotaesan went through ‘the declaration of Buddhist truth’ and ‘the planning of Ilwonsang’ before the proclamation of the doctrine. The core of the Sotaesan"s doctrine was a concrete way to implement Buddha"s teaching in real life as shown by those processes and the name of ‘Buddhist research association’ at the time. The Buddhist world of 1920s was the period when the various informations on Buddhist doctrines were distributed in various ways, in accordance with various published books and magazines on Buddhist history and thought, etc.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the religious world, information on the flow of social change as well as Buddhism w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from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was a trend of Buddhist reform. Baek Yong-sung, Kwon Sang-ro, and Han Yong-un, etc. were the leading figures of the trend. Sotaesan was self-aware of this movement of reform Buddhism and founded ‘Buddhist research association’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doctrine. Sotaesan wa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encounter with Hakmyeong, the representative monk of Baekyangsa Temple. In terms of doctrine, Seon and discipline, he was the most prominent monk among the family members of the Baekyangsa Temple after monk Baekpa. Hakmyeong was a revered monk representing his time in the fields of doctrine, Seon, discipline, and literature. He was a great Seon master who shared Seon riddle with some revered Chinese and Japanese monks. The modern · contemporary meaning of religious history on the proclamation of ‘the doctrine’ is that ‘reform Buddhism, which advocates per iodization · habituation · popularization has emerged on this land’. Sotaesan made clear his ambition and identity to create Buddhist world by saying, ‘It is the morality of Buddha that we learn, and it is the morality of Buddha that we teach younger generations’.

      • KCI등재

        왕양명의 치양지와 소태산의 삼학 비교 연구 - 허령불매(虛靈不昧)와 정신수양을 중심으로 -

        박성호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3 한국종교 Vol.5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왕양명의 핵심사상인 ‘치양지’와 원불교 소태산의 수행강령인 ‘삼학’을 내용과 실천 방법 차원에서의 비교 연구를 통해 수행상 핵심개념 간의 내재적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연구범주를 삼학 중 정신수양으로 한정하고 이후 사리연구와 작업취사로 순차적인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내용상에서 양지의 ‘허령불매(虛靈不昧)’와 소태산의 ‘정신’을 비교하였다. 소태산은 정신을 마음이 두렷하고 고요하여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경지라 이름하는데 여기서 고요하다는 것은 양지의 존재론적 속성인 허(虛)와 통하고, 두렷하다는 것은 양지의 인식론적 속성인 령(靈)과 통한다. 또한 불매(不昧)는 그 영지를가로막는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지와 정신이 모두 ‘텅 비어 고요한 가운데 영령한 인식작용을 갖추고 있는 내심의 본래 상태’를 의미한다는 점과 그것들이 성품과 둘이 아닌 통일적 구조에서 성 자체의 본래적 비춤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그 동질성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실천 방법상에서 살펴보면 양명의 ‘정좌(靜坐)’와 소태산의 ‘좌선(坐禪)’은 모두 정할 때 있어서는 내심의 집중을 통해 모든 번뇌와 망상을 제거함에 따라 정신이 항상 고요하고 맑은 상태를 갖도록 하였고 동할 때 있어서는 주어진 일마다 일심 집중하는 단련을 통하여 정신의 온전함을 확보함으로써 동정일여(動靜一如)의 공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양명의 수행 방법의 결론인 사상마련(事上磨鍊)과 소태산의 수행 방법의 결론인 무시선법(無時禪法)과의 비교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ntrinsic connections between the essential concepts of practice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on Wang Yang-ming’s core idea, Zhiliangzhi(致良知), and The Threefold Study(三學), which represents the code of conduct advocated by Sotaesan in Won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methodology. However, this paper narrows its scope to concentrate on the notion of cultivating the spirit among the Threefold Study. Subsequent comparative studies and further analysis will be conducted in a sequential manner. Firstly, from a content perspective, the notion of “spirit” according to Sotaesan was analyzed alongside liangzhi(良知)’s “xuling bumei(虛靈不昧).” Sotaesan describes the mind as a state of clarity and tranquility, free from discernment and attachment. Herein, the tranquility is synonymous with “xu(虛),” an ontological attribute of liangzhi, while clarity resonates with ling(靈), liangzhi’s epistemological attribute. Moreover, “bumei(不昧)” can be understood as the absence of discernment and attachment that obstructs its spiritual wisdom. This comparison reveals that both “xuling bumei” and ”spirit“ signify ”the intrinsic essence of the heart, suffused with spiritual perception, amidst emptiness and tranquility.” Subsequently, when examining their practice methods, both Yang-ming’s “quiet sitting(靜坐)” and Sotaesan’s “sitting meditation(坐禪)” stress achieving a consistently calm and clear state of mind by eliminating all disturbances and delusions through deep inner concentration. When in action, they both encourage unwavering concentration on each given task, ensuring mental wholeness and mirroring the practice of One Suchness in Action and Rest(動靜一如). Such parallels hint at future comparative explorations between Yang-ming’s approach of cultivating liangzhi in eveyday life and Sotaesan’s Timeless Meditation technique.

      • KCI등재

        보조 지눌과 소태산 박중빈의 선사상 비교

        김방룡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본고는 보조 지눌과 소태산 박중빈의 선사상을 비교한 논문이다. 모두 여섯 가지의 문제의식에 대한 해명을 통하여 지눌과 박중빈 선사상의 동이점을 밝히고 있다. 첫째,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 박중빈은 지눌의 선(禪)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지눌과 소태산은 선(禪)을 어떠한 방식으로 설명하여 접근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셋째, ‘깨침의 대상으로서 ‘마음’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넷째, ‘마음을 깨치고 닦아 나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돈오점수와 소태산의 견성ㆍ솔성ㆍ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다섯째, ‘구체적인 선수행의 내용으로 지눌과 소태산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정혜쌍수와 소태산의 무시선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여 설명하였다. 여섯째, ‘화두를 통하여 깨달음에 들어가는 방법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이러한 수행법을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간화선과 소태산의 의두연마로 나누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Seon of Bojo-Jinul with that of Sotaesan-Pakjungbin. I made the sameness and the difference clear within their Seon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following six problems. First, how does Sotaesan-Pakjungbi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accept Bojo-Jinul's Seon? Secondly, how do Bojo and Sotaesan approach and explain Seon? Thirdly, how do they understand 'the mind', the object of enlightenment? Fourthly, what do they present about the method to practice and enlighten 'the mind'? I explained comparatively about the method with Donojeomsu(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of Bojo and the Enlightenment to the Nature, Fostering the Nature, and Utilization the Nature of Sotaesan. Fifthly, what do they present as the concrete contents of practicing Seon? I divided into two parts of Bojo's Jeong-hyea-ssang-su(practice of both meditation and wisdom) and Sotaesan's Mu-si-seon(practice meditation continually). Sixthly, how do they understand the method to enlighten through Hwadu and why do they present these practicing ways? About those problems, I compared Bojo's Kanhwa Seon(Meditation) with Sotaesan's Euduyeonma(Training in Abstruse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