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 밖 일상 체험활동의 청소년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이광호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1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xperiential activity that is currently being emphasized in educational reformations around the world,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routine experiential activity experienced by young people outside the school affects self-identity, sociality, and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experiential activity which is experienced by the young every day outside the school. Specifically, it is divided into subordinate domains which are nature experiential activity, interchanging experiential activity, and routine experiential activity.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are self-identity, sociality, and social competence which are us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xperiential activit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yonggi Province. The sampling size was a total of 1,281 people that comprised of 668 from 4th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613 from 3 years of junior high school. The data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by visiting the sample schools himself.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SPSS Win12.0.1 for Windows to achieve descriptive, facto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outine experiential activity and nature experiential activity greatly affected each other while the mutual effect was shown less between nature experiential activity and interchanging experiential activity as well as between routine experiential activity and interchange experiential activity. Second, a young person's experiential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person's sociality. Specifically, day-to-day experiential activity had the biggest effect while interchanging experiential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unlike nature experiential activity which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ity. Third, experiential activity of young person had a weak but a significant effect on self-identity(=0.1). In detailed analysis, routine experiential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value of regression coefficient but neither nature nor interchanging experiential activity had any significant effect. Fourth, young people's experiential activity showed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mpete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but nature, interchanging, and routine experiential activities all significantly affected the criterion of social competence. Lastly, young people's experiential activity showed great effect on sociality and social competence while it had weak significant effect on self-identity. 본 연구는 최근 세계 각국의 교육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이 학교 밖에서 체험하는 일상적인 체험활동이 자아정체성, 사회성, 사회적 역량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립변인은 청소년이 학교 밖에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체험활동으로 이는 구체적으로 자연체험활동, 교류체험활동, 일상생활체험활동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된다. 종속변인은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분석하기 위해 자아정체성, 사회성, 사회적 역량 등 세 가지 변인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표집된 자료이며 표집규모는 초등학교 4-6학년생 668명, 중학교 1-3학년생 613명으로 총 1,28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표집학교를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1 for Window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상생활체험활동과 자연체험활동 간에는 매우 큰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체험활동과 교류체험활동, 그리고 일상생활체험활동과 교류체험활동 간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체험활동은 청소년의 사회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는 일상생활체험활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류체험활동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반해 자연체험활동은 사회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체험활동이 자아정체성(=0.1)에 미약하지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는 일상생활체험활동만이 유의미한 회귀계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연체험활동과 교류체험활동은 자아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체험활동은 사회적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의 크기에 있어 차이는 있으나 자연체험활동과 교류체험활동, 일상생활체험활동이 모두 사회적 역량 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 체험활동은 사회성과 사회적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아정체성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관련 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임종임(Jong-Im Lim),이신숙(Shin-So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 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남지역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단체에 소속된 자원봉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ㆍ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활동 정도는 평균 3.36점이었고 사회적 자본형성의 정도는 3.47점으로 이들 점수 모두 중앙치인 3점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 사회복지 관련 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사대상자인 여성단체 자원봉사자의 사회복지 관련 활동의 정도는 계층인식, 연령, 사회복지 활동횟수, 사회복지 활동기간에 따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형성의 정도는 계층인식, 교육수준, 연령, 사회복지 활동횟수, 사회복지 활동기간, 사회복지 활동분야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활동과 사회적 자본형성 간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한 여성단체 자원봉사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복지 관련활동의 영향력은 복지에 대한 관심, 계층인식, 복지에 대한 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들 변인이 갖는 설명력은 46%로 매우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would affec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e subjects in study were 250 volunteer workers who belonged to a woman’s organization in Gurye-gun, Jeollanam-do.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ssessing the extent of social welfare activity by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and of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e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produced average values of 3.36(.86) and 3.47(.55)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the social capital establishment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00. Second,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we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perception of social class, age, activity frequency, activity period. And social capital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social class, education, age, activity frequency, activity period, activity field. Third, there i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Fourth, the influ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31%, and by the addition of variable factors on social welfare activity th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increased up to 46%, ascertaining that a 15% increase of th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brought up by social welfare activity.

      •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과 홍보 미디어 경로 연구

        김기선(Kim, Ki Seon),김종무(Kim, Jong Mo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본 연구는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보 미디어 경로를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수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2014년 3월15일~3월30일까지 수집된 총 268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지역주민의 기업호감도 결정요인은 ‘기업의 도덕성’과 ‘사회공헌’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삼성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이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기업 이미지 활동’,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이 높은 비중을 보였다. 셋째, 지역 주민이 느끼는 삼성과 지역사회와의 상호 이해와 협력정도는 3.41점, 협의 기구의 필요성은 3.79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지역주민의 참여의도는 3.62점의 결과를 보였고, 지역사회에서 삼성과 협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행정의 기업지원(68.7%)’이 다른 항목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홍보 관련 분석결과 첫째, 지역주민의 76.5%가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둘째, 지역주민은 삼성이 진행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해 낮은 인지를 보였다. 셋째, 지역주민들이 일반적으로 정보를 얻는 미디어 경로와 삼성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경로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 되어 삼성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홍보 미디어 경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and to present publicity media channel based on such investigation. To this end, 268 copies collected from residents in Suwon from March 15 to 30, 2014 were analyzed. First, analyzing the residents"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the decisive factor of residents" preference of business shows high numerical value in "morality of business" and "social contribution". Second, the residents"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shows high portion in ‘business image activity’, ‘fulfill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by business’. Third,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Samsung and community felt by residents are 3.41 points, the necessity of council is 3.79 points, the resi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is 3.62 points. To cooperate with Samsung in the community, supporting business by administration (68.7%) shows far higher ratio than other item. Analyzing the publicity related to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first, 76.5% of residents answered that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is necessary. Second, residents showed low recognition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media channel by which residents generally acquired information and the other media channel by which Samsung acquired information on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Thus, it is necessary to revise publicity media channel of social contributive activity by Samsung.

      • KCI등재후보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과 사회자본이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

        나동석(Ra, Dong-Seo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의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참여활동만족과 사회자본이 참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참여자가 활동에 대한 만족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에 대한 효과가 높을 것이며 특히, 사회공헌을 활동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사회자본이매개할 수 있다고 예측해 보았다. 그래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여활동만족과 참여효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는 사회공헌활동 참여자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과 참여효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에 있어서 참여자의 참여활동만족이 참여효과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자본을 형성하면 참여활동만족과 함께 참여효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것이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사업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지속과 유지를 위한 개선을 마련하기 위하여 사회공헌활동의 참여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참여자가 활동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사회자본도 얻도록 하는 방법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y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on the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Chungcheongbuk-do. It was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n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social capital obtained in the proces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could mediat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capital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ctivity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effectiveness. The data were surveyed on 241 participants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refore, whe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has a greater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the social contribution project and further improve the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 metho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a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o obtain social capital has been proposed.

      • KCI등재후보

        체육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노인체육복지를 중심으로

        김예성,박채희 한국체육정책학회 2012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0 No.2

        People and our society are more interested in the area of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welfare due to improvement of a living standard and promotion of people's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sent state of physical activity and welfar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welfare and at the same time to suggest need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physical activity and welfare based on voices of physical activity leaders and social workers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hysical activity programs were activat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social workers were aware of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results from the interviews suggested that physical activity leaders and social workers felt a coali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welfare especially in the area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was an essential part for older adults and our society as a whole. A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rograms in this area, training persons who have specialized in physical activity and mind of social welfare, and continued social investment in this field are important parts for improving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and activating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welfare in our society.

      • KCI등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BSC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호,홍정화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rporate BSC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hich relates t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BSC performance, and also performed empirical research. we produced questionnaire which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corporate BSC performance to experts who are specialized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31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xperts of social contribution and collected 220 questionnaires. With these collected questionnaires,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ignificant analysis, and also t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Furthermore, this paper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to corporate BSC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influence factors for constituent characteristic, BSC performance elevates as CEO’s will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employees’ concern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get stronger. Second, as influence factors for corporate characteristic,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which coincides with the corporate identity such as firm’s core value and imag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such as stockholding ratio of major shareholder and investment ratio of foreign investors do not present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The result that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effect both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also noticeable. Third, as influence factors for characteristic of local society, stages of concerns about local society has effect on BSC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a noticeable result which shows opposite result with that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concentrating on local society concerned area does not effect corporate reputation. And this paper found that when the corporate perfor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partnership establishment with local society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Fourth, as influence factors for social regulation characteristic, the media’s evaluation abou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has effect both on corporate reputation and BSC performance, and rating agency’s fair announcement abou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lso has effect both on corporate reputation and BSC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방향과 전략을 도출할 목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기업구성원특성, 기업특성, 지역사회특성, 사회제도특성이 기업의 BSC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사회공헌활동 및 BSC성과 관련 문헌조사와 함께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각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영향 요인과 BSC 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사회공헌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313부를 배부하여 22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대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분석,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어서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업구성원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최고경영자의 사회공헌활동 의지가 강할수록, 기업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 관심도가 높을수록 BSC 성과는 높아진다. 단, 유의성 측면에서 볼 때, 최고경영자의 의지보다는 기업 임직원의 관심도가 더 유의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기업이 추구하는 핵심가치, 이미지 등 정체성과 부합되는 사회공헌활동은 BSC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업의 대주주지분율이나 외국인투자지분율 등 지배구조는 BSC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사회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는 BSC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할 때,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 확립 등은 BSC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사회제도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언론기관 등의 평가는 기업평판과 BSC 성과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관의 평가는 기업평판 뿐만 아니라 BSC 성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20대 청년들의 사회활동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김정숙,강영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그간 청년정책이 주로 취업과 창업 등 일자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변화된 사회문화적 환경과 그에 따른 청년 사회활동의 변화에 주목하여 청년들의 사회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청년 사회활동 관련 법령과 정책을 분석하고, 해외 정책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20대 청년들을 대상으로 사회활동실태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집단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그들의 사회활동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지자체별 청년정책 담당자를 대상으로 청년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실태, 청년 사회활동 지원에 대한 지자체의 입장, 향후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 도출을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FGI 분석결과, 청년들은 사회활동에 대한 참여 욕구가 강한 반면,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했으며, 사회활동 참여 유형에 따른 청년들의 정책 욕구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담당자들은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 수준에서의 「청년기본법」이 시급히 제정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 사회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으로 4가지 범주를 설정하고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청년 사회활동 관련 법령 및 정책분야와 관련하여 ‘「청년기본법」 제정 및 청년 사회활동 관련 내용 추가’, ‘지자체 청년기본조례 및 청년정책기본계획에 청년 사회활동 참여 관련 내용 추가’를 세부과제로 제안하였다. 둘째,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한 공통 지원 방안으로 ‘청년 개인에 대한 지원으로 활동비 지원’을 ‘청년 사회활동 인프라 지원’과 관련하여 프로그램 지원, 공간지원, 인력지원, 행정지원을 제안하였다. 셋째,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맞춤 지원 방안으로 ‘비참여자 및 비진학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 ‘공공기관 대외활동 내용 재편’, ‘정책참여 활동 활성화방안 마련’, ‘청년 사회활동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 청년단체 지원사업 확대’를 제안하였다. 넷째,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 지원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정책과제로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시스템 구축’, ‘청년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제공’, ‘청소년 활동지원사업과의 연계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that youth policies to date have focused on jobs, in terms of seeking employment or entrepreneurship, identifies the present state of social activities by youth by focusing on changing sociocultural environments and resulting changes to such activities, and strives to extract policy methods to vitalize social activities by youth.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laws and policies relating to social activities of youth, and has reviewed foreign policy cases. Moreover,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present state of social activities for youth in their 20s. Then, this study has classified youth groups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nalyzing their experience of social activities in an in-depth manner, followed by FGIs with officials in charge of youth policies in regional governments on the present state of support projects for youth social activities, their opinions on supporting youth social activities and future improvements for vitalizing soc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urveys, interviews and FGIs analyses indicated that while the youth have had strong desires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but perceived the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to be insufficient, and the policy desires in the form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different between youth. The relevant officials emphasized the need to enact “Basic Act on Youth”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to vitalize the social participation by youth.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is study has set 4 dimensions for policy strategies for vitalizing youth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and presented detailed tasks. First, policy tasks relating to the laws and policies relating to youth included ‘Enactment of the Basic Act on Youth and addition of content relating to youth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and ‘Addition of contents relating to youth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in Basic Ordinance on Youth for regional governments and Basic Plan for Youth Policy’. Second, as an overarching support mechanism for vitalizing youth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this study has proposed supports for programs, space, human resources and administration relating to youth social activities infrastructure, named ‘Financial Support for Individual Youth for Social Activity’. Third, this study proposed customized support mechanisms by type, including ‘Customized support for non-participants and youth not attending post-secondary education’, ‘Reform of external activities for public institutions’, ‘Methods for vitalizing policy participation activity’, and ‘Increased support programs for regional youth organizations to reduce the regional gap in youth social activity. Fourth, this study has proposed the ‘construction of a social system for vitalizing youth activity in the society’, ‘constructing a support system for vitalizing youth activity in the society’, and ‘constructing a connection system with youth activity support projects’ as policy tasks relating to the building of support systems for youth participation in society.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활동참여 여부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강현정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affec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by taking 1,115 persons in baby boom generation (born in 1955-1963). To this end, first,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state of social particip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was grasped;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property of baby boom generation was analyzed; third,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affects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was ident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general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is found to be 3.437 points, the common level. The state of social particip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is found to be 77.7% in economic activity, 27.0% in volunteer activity, 79.3% in leisure and group activity and 28.2% in education (learning) activity, implying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volunteer activity is lowest. Second, checking the difference in the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as per the socio-demographic property,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is high if gender is female, schooling is higher, religion is there, job is office clerk/specialist, residence is in county and health is better and life level is higher. Third,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y is found to be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mostly affects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Nex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is found to be higher when participating in education (learning) activity and leisure and group ac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new welfare policy for the aged of baby boom generation.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 1,115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감 수준과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 변인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과 사회참여 실태를 파악하였고, 둘째, 베이비붐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감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주는 사회참여 영향변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전반적인 사회통합감 수준은 3.437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 실태는 소득활동은 77.7%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단체활동 79.3%, 교육(배움)활동 28.2%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감의 차이를 보면, 성별은 여성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직업은 사무관리/전문직인 경우, 거주지는 군 지역에 거주할 경우,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생활수준은 높을수록 사회통합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변인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으로, 교육(배움)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여가단체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사회통합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신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 신체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한 정책의 근거 모색

        김준홍 한국보건사회학회 201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신체활동 증진 정책의 목표 수립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수단 활용에서 요구되는 근거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제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 자본과 신체활동 간 관계,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 간 관계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제시하는기존 근거들을 전체적으로 문헌 검토하였으며, 그 후 사회적 자본, 신체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을아우르는 인과적 모형(구조방정식 모형) 설정과 검증을 통해 신체활동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목표로 하는 보건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유의할 점을 규명해내고 이를 통해 신체활동 증진과보건정책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진 근거중심의 정책을 위한 함의는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민들의 신체활동의 양적 지표도 중요한 정책목표가 될 수 있겠지만, 신체활동에서 느끼는 즐거움 혹은 만족도를 신장시키고, 나아가 건강을 증진시키겠다는 것 외에 사교와네트워크를 위한 동기 등 신체활동의 다양한 동기 요인들을 장려하는 질적 목표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 참여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정부와 민간의 노력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건강 수준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책 개입이 신체활동 증진 정책과 연계적 정책수단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전체 효과의크기는 사회적 참여, 신뢰, 신체활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므로 신체활동 향상의 목표로서 양적·질적지표들을 구상할 때 신체활동 증진이 실현되는 사회적 맥락을 특히 유념할 필요가 있으며, 시민들의 사회적 자본 축적 과정에 순기능을 하는 정책수단을 연계적으로 구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함의를 정책의 근거로 받아들인다면, 양적 목표 달성에 편중된 우리나라 New Health Plan 2010은목표의 재설정이 필요하고 지역사회 역량 강화를 단지 신체활동 증진 정책의 세부사업이나 그 수단으로 취급하는 것은 근거가 박약하다고 보이며 이 점에서도 목표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vidences needed to set policy objectives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 Korea using data of Leisure Time and Sports collected by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in 2007.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e-existing evidenc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physical activity, and level of subjective(self-reported) health and extended them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data. Focusing on the role of social capital(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reinforcing physical activity to promote level of health,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 participation had a direct and a indirect effect on level of health. Trust had only a direct effect. Physical activity played mediating role in affecting self-reported health in regards with social participation. These results gave evidences for enhancing social capital to promote the level of health. Other research finding was that physical activity only composed of quantitative index such as frequency or intensity of exercis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health, but physical activity compose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es had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gave evidences to reorient policy objectives into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bjectives in health policy for promoting level of physical activity.In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f social capital, physical activity,and self-reported health was validated.

      • KCI등재후보

        사회성여가로서의 대학생의 사회봉사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오세숙(Oh Sae-Sook),신규리(Shin Kyu-Lee)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4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ocial voluntary activity as new leisure domai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1) What is the factor structure of perceived constraints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among this sample? (2) Does the level of perceived constraints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influence life satisfaction? A convenience sample of people was obtained from 338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profile the sample. A 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 with a varimax rotation was adopted to determine if there were distinct constraint dimensions by these university students.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 dimensions was computed through the reliability procedure in SPSS for Windows. After checking the corelation coefficients, data then was analyzed by applying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whether the constraints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ve distinct constraint factors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emerged from the data: 'lack of ego-identity', 'lack of partner', 'psychology', 'lack of courage', and 'lack of awareness in arou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procedure to confirm and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s of each variable have goo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ptions of constraints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nstraints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ptions of lack of partner(β=-.221), lack of courage(β=-.115), and psychology(β=-.093) and those relationships were explained by 17 percent of adjusted R².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