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사건(事件)』론 ― 고마쓰가와 사건과 1960-70년대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3

        Since Shōhei Ōoka's Jiken was published in 1961, it is obvious that Jiken was influenced by the Komatsugawa incident. The fact that Jiken described boy’s murder as an ordinary juveniles crime story instead of the Komatsugawa incident is an evidence of anti-reaction to the social awareness interpreting Komatsugawa incident only as a national matter. In the current thesis, I tri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juvenile crime in 1960s and the trial described in Jiken for examining the problems that Ōoka wanted to point out.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Jiken in 1970s, I endeavored to figure out the issue of juvenile crimes and executions that were formed in Japanese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To comment, Ōoka sought a real and ideal solution through Jiken by describing a juvenile crime without considering any political and ideological issues. He urged understanding of the juvenile delinquency at that time, and pointed out inconsistencies in the outcome of the trial in reality. He also tried to explain the juvenile trial realistically and critically through mystery-suspense plots to excite the reader's interest. After reading Jiken with these points of view, Jiken can be regarded as a novel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as well as Komatsugawa inciden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dealt with trial matters only. Thus, Jiken can be considered as Ōoka’s social accusations and comments on wrong rulings, such as juvenile executions, and as a work that revealed the problem of a boy in death row in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사건(事件)』은 집필 시기가 1961년이라는 점에서 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년의 살인을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평범한 이야기로 풀어낸 점은 고마쓰가와 사건을 민족적 틀에서만 해석하려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본고는 『사건』에서 묘사한 소년범죄와 재판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여 오오카가 소설을 통하여 지적하고자 한 현실의 문제점과 그에 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1977년 단행본으로 출판된 이후의 수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960년대와 1970년대 일본사회에 형성된 소년범죄와 사형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그 결과, 오오카는 『사건』에서 정치적, 사상적의 문제 보다는 소년범죄에 초점을 두고 당시 횡행하고 있는 소년범죄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현실의 재판 결과에 대한 모순을 지적하여 오오카가 추구한 이상적 결말을 제시하며 문학을 통한 진정한 해결을 도모하였다. 또한, 소년의 살인을 다루는 재판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설명하면서도 추리적 요소를 통해 재판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양상을 갖추며 독자의 흥미를 불러 일으켰다. 『사건』을 이와 같은 오오카의 시도로 다시 읽을 때 재판소설로 읽던 기존의 관점에서 나아가 소년범죄 문제와 고마쓰가와 사건의 소년사형과 같은 잘못된 판결에 대한 오오카의 사회 고발과 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1960-70년대 일본의 소년 사형수의 사건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함께 볼 수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