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따른 학습실태 및 학습기술 훈련 요구의 차이

        이은화,강승희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earning conditions and the need of study skills training based on satisfaction in their major. For this study, a sample of 401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imes for questioning to their professors about their study methods and major problems, the domain which they want to be helped by professors about their academic performance, the domain which they study the most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the source which they consider on job searching after graduation, and the most difficult part in their studying of major based on satisfaction in their major.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ed for the study skills training based on satisfaction in their major except test-taking skills and the their attendance possibility to workshop about learning skill.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실태를 확인하고, 학습기술 훈련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40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실태 검사와 학습기술 훈련 요구도 검사를 실시하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만족도에 따른 학습실태의 차이에 있어서는 지난 한 학기 동안 교수님과 공부방법이나 질의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만난 횟수, 교수님들이 학업수행과 관련하여 도와주기를 바라는 영역, 취업을 위해 가장 많이 공부하고 있는 영역, 취업을 위해 가장 많이 도움을 받는 곳, 공부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 전공 공부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등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학습기술훈련 요구에 있어서는 학습법특강 참여 의사와 시험계획 세우기 항목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고, 대학정책의 수립과 운영에 관련된 몇 가지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조미수 ( Mi Soo Jo ),노정식 ( Jung Sik Roh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1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 6개교를 임의 선정하여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 407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스트레스, 전공만족, 진로태도성숙 변인에 대한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문제는 유의수준 α=0.5으로 설정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은 일괄투입(enterwise)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건강 스트레스는 독립성과 준비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 스트레스는 목적성에 정적(+) 영향을, 체격 스트레스는 결정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변인인 전공인식만족이 독립성과 결정성, 확신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만족은 목적성과 결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수업만족은 목적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건강이나 개인심리 스트레스와 같은 개인적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결정성이나 독립성, 준비성 등의 진로태도성숙이 높고, 전공만족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influences of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achieve that study purpose, whole 470 objects were sampled from 6 universities with dance major. The survey method was used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ignificance level of each problem was α=0.5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enterwise method. With those study methods and processes, the results as follows were drawn. Firstly, in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ffects of stres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health stress, which is the sub factor of stress, has positive effects on independency and preparedness. Also personal mental stress has positive effects on finality. However, physical stress has negative effects on determinacy. Secondly, in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major cognition satisfaction, which is sub factor of majo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dependency, certainty and determinac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finality and determinacy. However, subject·class satisfa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finality. As the result, the stress of personal environment such as health and personal mental is highe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bout determinacy, independency and preparedness is higher. Major satisfaction affect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us, major satisfaction and the stress could be important roles fo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 KCI등재

        조리 실습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방형욱 ( Pang¸ Hyong-wook ),박진영 ( Park¸ Jin-young )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조리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조리전공에 대해서 학습방법으로서 경험하는 조리실습의 서비스품질 요인이 전공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그들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 요인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어떤 조절효과를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1달간 실시하였으며, 4년제 대학교 5개를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8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2개의 조리 실습교육 서비스품질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수진&교육프로그램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환경&편의성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리 실습교육 서비스품질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 서비스품질(교수진&교육프로그램)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과 자기효능감(목표선택)에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품질(실습환경&편의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과 자기효능감(목표선택)에서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cooking practice learning methods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It also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major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a one month period from May 1 to May 31, 2021.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t five colleges. A total of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48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mainder were excluded as they were incomple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two cooking practice educational programs significantly impacted major satisfaction, as did the faculty and the educational program. However,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convenienc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major satisfaction. Thus, hypotheses 1 and 2 were partially supported because one aspect of cooking practi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ositively impacted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oderated the impact of cooking practi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assessed) and self-efficacy (goal selection) moderated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faculty and educational program) on major satisfaction. Howev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assessed) and self-efficacy (goal selection) did not moderate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practice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n major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체육계열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구성원 상호작용이 전공만족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성덕,이용국 한국스포츠학회 201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university member interaction of sports related majoring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50 sports related majoring students were selected from University in Seoul and Chungnam by the cluster sampling method. Out of the 350 questionnaires responded to, only 305 were used for data analyses because 45 were responded to incorrectl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in which recognize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university member interaction,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nsisted of items identified by Cho(2008) & Han(2009), Yoo, Choi, Yeu, Kwon, Kim, Lee and Kim(2010), Han(2014) and Lee(1999) & Son(2003) respectivel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whose validity was evaluated by an expert group and whose reliability was judged from the Cronbach's alpha values ranging from .59 to 90. Then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0.0 and AMOS 20.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first, it show tha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university member interaction affected major satisfaction. Second, it show tha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university member interaction affected school life adjustment. lastly, it show that major satisfaction affected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변인 연구

        임원균(Won Guen 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5 스트레스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특성, 생활경험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서울, 경기권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심리적 특성과 생활경험 변수를 투입하여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학과만족, 사회적지지, 취업스트레스, 낙관성,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일상적인 생활경험이 심리적 특성보다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긍정적인 생활경험을 제공하는 환경적 개입 강화가 필요하며, 동시에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에 대한 사회복지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traits and life experience that affe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The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279 college students who study in Kyunggi-do and Seoul.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general factors. Howeve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psychological traits and life experience shows that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Social support, Job-seeking stress, Optimism and Self-efficacy in order of importance affe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and thus life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psychological trai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environment building to provide positive experiences in daily lives to the students for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crease is important and also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students’ positive thinking is needed.

      • KCI등재

        무용전공자들의 다이어트 경험이 무용몰입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지연(Moon, Ji-yeon),백의선(Back, Ui-se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무용전공자들에게 있어 체중관리와 체형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크며 무용전공자에게 있어서 균형 잡힌 체형은 동작을 수월하게 표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고난이도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또한 무대 위에서도 훨씬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자신감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용 전공자들은 신체를 잘 다듬고 훈련함으로써 얻어지는 심리적, 외부적으로 얻어지는 효과가 무용 활동에 있어 매우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균형 잡힌 몸매를 유지하고, 예술적 감정을 아름답고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체형 및 체중관리를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무용전공자들은 일반인들 보다 더욱 더 체중관리를 소홀히 할 수가 없으며 그들에게 체형관리와 체중조절은 목표이고 과제이다. 다이어트를 통한 체형관리는 무용전공자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무용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경험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무용전공자들의 다이어트 경험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추후 무용전공자들에게 다이어트 경험을 지속시킴으로써 무용 활동에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students in dance major to control their weight and do certain fitness routines. Having a well-proportioned figure helps them not only accomplish high-level dances without difficulty but also look more beautiful, which makes them feel confident in the field. Therefore, they need to endeavor much harder than non-dance majors in dieting in order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through the dance movements beautifully and effectively. The effort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performing well on the stage and keeping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how well they can be immersed and improve self-efficacy in dancing by practicing diet. Keeping their bodies in shape would have a beneficial influence on their dancing activities and developing their abilities to do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