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마을굿에 대한 관(官)의 개입과 소통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를 중심으로-

        오문선(Oh, Moon-seon) 서울민속학회 2019 서울민속학 Vol.- No.6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사당제로 지정되어 있는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가 주목받게 된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을 대표하는 향토축제의 발돋움이다. ‘급변하는 산업사회에서 전통적인 향토축제로 설 자리를 잃고, 축제를 상실한 도시인의 갈증을 풀기 위하여’ 서울을 대표하는 향토축제로 발굴되면서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의 절차가 도시축제로서의 규모와 위상에 맞게 재창조되었다.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가 서울시의 대표 향토축제로 발굴된 배경에는 국가적 차원의 정치전략에 의한 문예중흥운동과 그 연장선상에서 국가적 대사(大事)였던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앞두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내세우려는 국가적 계획, 이에 따른 서울시와 용산구청의 참여, 향토축제협의회로 대표되는 학계의 관심과 민속학자 개인의 연구활동 등 여러 차원이 층위를 이루고 있다.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가 서울시를 대표하는 향토축제로 재창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재창조를 위한 충분한 연구가 부족했고 당굿을 주재하는 무녀 등 주요 참여자가 소외되는 등 여러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것이 충분치 못했다. 그러나 전문학자, 서울특별시, 용산구청 등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하였고, 공적기관의 개입이 일방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지역민의 소통에도 상당히 관심을 두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만하다. 원주민을 중심으로 일정한 지역에 기반하여 전승을 유지하여 왔던 서울 마을굿은 압축성장기를 거치며 전승력을 잃어간 후, 주로 행정기관에 의존하여 전승을 이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행정기관으로 대표되는 공적 기관의 지원과 관심 등이 현재 서울 마을굿 전승의 결정적인 요건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이제 행정기관은 마을굿의 소극적 보존방법인 문화재 지정 제도를 넘어서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는, 행정기관이 서울의 마을굿을 보전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개입과 소통의 방식을 점검하고 보다 경쟁력있는 대응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중요한 참고 사례로서 의미를 갖는다. The most decisive movement that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Seoul No. 20, received attention was when it was became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before the 1986 Asian Games and 1988 Seoul Olympics. As it was discovered as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for relieving the desire of the urban people that are in thirst for festivals because there is no place for traditional local festivals in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ociety’, the procedure of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was recreated according to the scale and status as a urban festival. In the background of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being discovered as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there are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movement on reviving culture and art due to political strategy on a national level, a national plan for emphasiz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before the national big event of the Asian Games and the Olympics, particip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Yongsan-gu Office, an interest from the academic world represented by the Local Traditional Festival Council, and research activities by individual folklorist.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being recreated as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there were limitations in collecting and reflecting the opinions from various fields and local residents including the lack of sufficient research for recreation and neglecting the main participants such as the female shaman that performs the Danggut (ritual). However it can be evaluated very positively because there were participations from various relevant fields such as the expert scholar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Yongsan-gu Office, and there was considerable amount of focus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without the unilateral intervention by the official agency. Village Gut (Ritual) of seoul that was succeeded and passed down based on certain region centrally of the natives passed through the compressed growth period of Seoul to lose the power of passing down, and it is more being dependent mostly on administrative agencies to enable the succession. Due to such circumstances, support and interest from the official agencies represent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are the decisive requirements of succeeding the Village Gut (Ritual) of Seoul in the present. The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seek various methods beside the system of designating as the cultural asset that is the passive preservation method difficult to accommodate the range of changes for adapting to the urban society. In this regard,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has significanc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administrative agencies inspecting the method of intervention and communication for preserving and activating the Village Gut (Ritual) of Seoul, and to establish the competitive response system.

      • KCI등재

        17세기에 의례화된 송대장군

        최종성(Choi, Jong 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송징, 송장군, 송대장군 등의 담론과 실천은 전남 완도에 집중되고 있으며, 자료상 탈-완도의 가능성도 높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조 7년(1629) 소위 이충경 옥사를 기록하고 있는 의금부의 재판기록인 ??역적이충경문서(逆賊李忠慶文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자료)를 통해,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등 한반도 중북부에서 의례화되었던 송대장군을 만나게 된다. 이충경을 비롯한 해서 및 관서 지역 출신의 하층민들은 상경거사(上京擧事)를 실행에 옮기기 전에 최영 및 남이와 더불어 송대를 모시는 장군제를 비밀리에 거행하였다. 『역적이충경문서』에 자주 등장하는 최영, 남이, 송대 등 3장군의 의례야말로 그간 송징 자료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17세기의 틈을 메워줄 뿐만 아니라 완도 중심의 편중성을 덜어주는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15세기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서 송징은 호국신사의 신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6세기 『석천집』에서는 지역의 민중영웅으로서 송대장군이 유자들의 비웃음 속에서 소박한 무당굿을 흠향하는 신령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17세기 『역적이충경문서』에서는 상경거사를 획책하는 사회적 약자들 속에서 반왕조를 원조하는 장군신으로서 송대장군이 의례화되었다. 3세기에 걸친 편린들 속에서 괴력과 비극을 겸비한 송대장군의 종교적 힘과 그 발산을 확인할 수 있다. 민중들의 종교적 상상력과 감수성은 적장(敵將)도 역장(逆將)도 그리고 또 다른 적장(賊將)마저도 호국신사(護國神祠)의 주인으로, 때론 위민(爲民)의 영웅신으로, 급기야는 반왕조의 희망을 지지하는 신령으로도 전략화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였음을 실감하게 된다. It is reported that the folktales and rituals related to Song Jing(宋徵), Song Janggun(宋將軍, General Song), and Song Daejanggun(宋大將軍, Great General Song or General Song Dae) are only in the neighborhood of Wando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17<SUP>th</SUP> century ritual to general Song Dae in central and northern inland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State Tribunal Report on Rebel Yi Chung-gyeong’s Cabal (逆賊李忠慶文書). Yi Chung-gyeong and his followers sacrificed a horse to God, hanging three portraits of generals Choe Yeong, Nam Yi, and Song Dae(Song Jing) in Anbyeon, Hamgeong Province. The naratives of Song Da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irst two. It is believed that they accomplished the heroic merits while alive, but got a wrongful death from their political opponents. This contradiction between good deed and false charge is used efficiently to maximize their own religious power. Yi Chung-gyeong’s cabal recognized three generals as the powerful deities, and also ritualized general deities for their rebellious dre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