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상황에서의 사제 양성: 필리핀 교회와 사회에 대한 교회 가르침의 적용

        로델 E. 앨리건 신부(Rodel E. Aligan) 신학과 사상학회 2015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5

        필리핀 상황에서의 사제 양성을 더 잘 이해하려면 이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쇄신 요구에 따른 교회와 사회에 대한 전망의 배경과 대조해 보아야 한다. 1991년 제2차 필리핀 전국 공의회(PCP II)가 다루었던 일반적인 질문은 이것이었다. 필리핀의 현재 사목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교회가 더욱 효과적이면서도 신뢰할 만한 복음화 일꾼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일반적인 답변은 이것이었다. 쇄신된 교회가됨으로써 그리고 통합적 복음화라는 사명에 충실함으로써 가능하다. “통합적 복음화”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영원성의 측면과 한시성의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가 상황을 진단하면서, PCP II는 경제·정치적 불균형을 이야기했고, 이 불균형이 우리가 누리는 문화생활의 부정적 요소 때문에 강화되고 있음을 목격했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PCP II는 교회가 사회 변혁이라는 자기 사명을 수행할 장소인 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필리핀 사회에 대한 이 전망은 하느님 나라에 뒤따르는 가치들을 드러내고 있다. 즉, 자유와 자주, 인간 존엄성과 연대, 사회 질서에 있어 윤리의 으뜸성, 발전 동력으로서의 정의와 사랑, 문화적 가치와 전통에 대한 존중, 목표로서의 공동선, 책임으로서의 참여와 봉사, 일치와 다양성, 창조와의 조화와 하느님과의 조화 등이 그것이다. 이 전망에 대한 교회의 일반적 응답은 전망 그 자체와 그 기초 요소들이다. 즉, 참제자들의 교회, 친교의 교회, 참여하는 교회, 통합적 복음화에 뛰어든 교회, 토착화된 교회, 가난한 이들의 교회 등이 그것이다. PCP II 10년 후인 2001년, 전국교회쇄신사목자문회의(NPCCR)는 PCP II의 이해가 여전히 유효하며 불균형도 전체적으로 똑같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경제·정치·문화·종교적 문제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기초교회공동체(BEC)처럼 의미 있는 진전도 많이 있었다. 쇄신의 목표들을 좀 더 단순화하자는 PCP II의 정신에 입각하여 NPCCR은 필리핀 교회의 9가지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즉, 통합적 신앙 양성, 사회 변혁을 향한 평신도에로의 권한 부여, 가난한 이들의 적극적 현존과 참여, 복음화의 중심점으로서의 가정, 본당을 공동체 중의 공동체로 만들기 위한 참여하는 공동체 건설 및 강화, 성직자와 수도 자의 통합적 쇄신, 젊은이들에 대한 동반,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 민족들을 향한 선교(Missio ad gentes)의 시행 및 교육 등이다. 2012년, 필리핀천주교주교회의의 사목 서한 “그리스도를 삽시다, 그리스도를 나눕시다”(Live Christ, Share Christ)는 필리핀 그리스도교 전래 500주년(2021년 3월 16일)을 의미 있게 기념할 수 있도록 필리핀 교회와 사회로 하여금 “새 복음화”의 빛 안에서 복음을 살아가는데 쇄신된 헌신을 하도록 촉구하였다. 2021년 희년에서 그 정점을 맞이할 새 복음화를 향한 9년간의 여정은 다음의 과정을 거칠 것이다. 통합적 신앙 양성의 해(2013), 평신도의 해(2014), 가난한 이들의 해 (2015), 성체와 가정의 해(2016), 공동체 중의 공동체인 본당의 해(2017), 성직자와 수도자의 해(2018), 젊은이의 해(2019),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의 해(2020), 민족들을 향한 선교의 해(2021). 이 우선순위들에 필리핀과 아시아 사제 양성의 도전 과제들이 자리하고 있다. 즉, 참제자 양성, 공동체로의 양성, 참여하는 리더십에 로의 양성, 섬기는 리더십에로의 양성, 복음적 청빈으로의 양성, 선교로의 양성, 대화자로서의 양성, 통합적 영성으로의 양성 등이 그러한 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사제 양성 토착화의 도전 과제도 남아 있다. To better understand priestly formation in the Philippine context is to set i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vision of the Church and society as inspir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s call for renewal. The general question that the Second Plenary Council grappled with in 1991 was: How can the Church be a more effective and credible evangelizer given the present pastoral situation of the Philippines? The general answer was: by being a renewed Church and by being faithful to its mission of integral evangelization. “Integral evangelization” means that the Gospel of Jesus Christ has both eternal and temporal dimensions. Surveying the national situation, PCP II described the imbalances of the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and saw these imbalances as reinforced by the negative features of our cultural life. From such situation PCP II proceeded to describe a vision of a society toward which the Church would carry out its task of social transformation. Such vision of Philippine society expresses the following values of the kingdom of God: freedom and sovereignty, human dignity and solidarity, primacy of morality in the social order, justice and love as driving force of development, respect for cultural values and traditions, common good as the goal, participation and service as responsibility, unity and diversity, harmony with creation and with God. The general response of the Church to this vision is the vision itself and its fundamental components namely: church of authentic disciples, church of communion, a participatory church, church engaged in integral evangelization, an inculturated church and church of the poor. In 2001, ten years after PCP II, the National Pastoral Consultation on Church Renewal (NPCCR) stated that the reading of PCP II is still valid and that the imbalances remained generally the same.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nd religious problems remained the same. Nonetheless there were many significant advances like that of the BEC. In the spirit of PCP II to make the goals of renewal more simple the NPCCR drew up nine pastoral priorities for the Church in the Philippines namely: integral faith formation, empowerment of the laity toward social transformation, active presence and participation of the poor, the family as the focal point of evangelization, building and strengthening of participatory communities that make up the parish as a community of communities, integral renewal of the clergy and religious, journeying with the youth, ecumenism and religious dialogue and animation and formation for Missio ad gentes. In 2012, the CBCP Pastoral Letter “Live Christ, Share Christ” challenged the Philippine Church and society for a renewed commitment in living out the Gospel in the light of the “New Evangelization” towards a meaningful celebration of the 5th centenary of Christianity in the Philippines (March 16, 2021). A nine-year journey for the new evangelization has been charted climaxing with the jubilee year 2021 as follows: integral faith formation (2013), the laity (2014), the poor (2015), the Eucharist and the family (2016), the parish as communion of communities (2017), the clergy and religious (2018), the youth (2019), ecumenism and interreligious dialogue (2020), and Missio ad gentes (2021). From all these priorities comes the challenge to priestly formation in the Philippines and in the context of Asia namely: formation of authentic disciples, formation to community, formation toward participatory leadership, formation to servant leadership, formation to evangelical poverty, formation to mission, formation as a person of dialogue, formation to integral spirituality. There also lies the challenge of inculturation on priestly formation.

      • 사제양성 과정 안에서의 성소식별

        이춘택(Lee Choontae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5

        Priest formation process has an object to lead the future priest to transform to Christ features answering to the world necessity. It is as a part of education, and this is the core of the Seminary, which is the heart of faith community. Seminary as an educational community charges two formation functions. One is to mature and accelerate Vocation; the other is to confirm Vocation through discernment. Discernment takes major role in all formation process. The individuality who felt God's calling becomes the subject of formation's goal and process. During the formation, human education forms fundamental ground for maturity of Holy calling. In this view, future priest ought to be formatted to show good character, emotionally stable and matured, friendly, and self-control as a human. In this study, during the formation in the boundary of human education, examines the Church research papers related to practical discernment to find out how to apply, and what kind of purpose and criteria they have. It starts from the discernment goal and conditions then move to seminarian's aim or motivation, human nature, temperament those mark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education goal. The purpose to be a priest and the motivation reveal the mark of Vocation. To mature this Vocation means that he takes the virtue of priesthood as to his important virtue, then to be changed. The value which seems to be important to him drives his personality. To understand how the acting motivation shows the Vocation mark is important. If seminarian shows definite value of Vocation he feels free mentally, if not the Vocation might be driven from compensation desire and emotional necessity. Through examining free will, emotional maturity and longing for priesthood, should remember there still lays the motivations to be purified. Through the education, seminarian formators are to realize the Vocation and to accompany with seminarian until the final decision to follow Christ. Most of all, through discernment, focus on God's will and act in the Holy Spirit existence and faith. The key to know that is real God's calling or not comes from the interpretation of which sees and conforms the accident and circumstances of people in the light of Gospel. To realize the circumstances and related peopled with the light of Gospel is the mark. Discernment requires techniques and capabilities to interpret the marks in whole aspect, because this discernment is made by human formator. Discernment requires educational sensibility to understand one human being deeply and specifically. Focus on each person's level of maturity or period of development. Gradual discernment process should give them the firm belief and assurance that discernment will be developed in education reliability and the unity of distinction. The discernment is to be examined in view of educational necessity, physical health, mental balance and stability, emotional and sexual maturity and desirable and also not desirable aspects. What are the criteria of general standard for discernment? How these criteria apply to formation process? Concrete examination is made not just positive or negative dimension. If absolute negative marks are found in formation, it means that the first step of discernment has started. In this step, try to search whether there lays abundant resources to overcome them beyond personal deficiency over negative marks. Discernment should be made in combining both the reality of Vacation and whole dimension of individuality. It is related to the judgment whether the seminarian who shows negative marks possesses hopeful attitude or holding the possibility to lead future priesthood. If there are confidences and reliabilities for concrete Vocation, then acknowledge objective factors for Vocation development. Above all, discernment applies to make a certain decision. Before enter to the Seminary, the purpose of discernment was to define the aptitude of basic natural disposition for for 미래의 사목자들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면모로 변형될 수 있도록 인도하려는 목적을 지닌 사제양성 과정은 교육활동의 일환으로 신앙공동체의 심장이라고 일컬어지는 신학교의 요체가 된다. 교육공동체로서 신학교는 두 가지 양성 기능을 담당하는데, 성소를 성숙시키고 촉진시키는 기능과, 식별을 통해 신학생들의 성소를 확인하는 기능이다. 그렇기에 성소식별은 양성의 모든 과정에서 중요한 과제를 지닌다. 사제양성의 목표와 과정은 하느님으로부터 부르심을 느낀 한 인격체를 대상으로 한다. 양성 과정 중 인간 교육이 가장 기본적인 바탕을 이루어야 사제성소의 성숙을 이루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미래의 사제들이 인간적으로 훌륭한 품성을 지니고 정서적인 안정과 성숙, 상호 인격적인 친교와 자기통제 등의 표지를 드러내도록 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제양성 과정 중 인간 교육과 관련된 영역에 국한해서 성소식별이 어떠한 목적과 기준을 가지고 양성과정에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교회문헌에 나타난 자료들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성소식별과 관련된 연구서적들을 분석하면서 내용을 전개해 나간다. 연구 내용은 성소식별이 지향하는 목표와 조건들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해서 신학생의 지향이나 동기, 인간적으로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질 등 인간 교육의 목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표지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주요내용을 정리해보면, 먼저 사제가 되고자 하는 목적과 이에 따르는 동기들과의 관계로부터 규정되는 원의는 성소를 드러내는 표지가 된다. 따라서 성소를 지니고 그 안에서 성숙되어 나아간다는 것은 사제직이 지닌 가치를 자신에게 중요한 가치로서 받아들여 변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개인적으로 중요하다 생각되는 가치들은 한 인격체를 방향 짓게 하는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행동의 동기가 과연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제성소의 표지들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사제성소의 명확한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 신학생이라면 내적으로 자유로움을 느낄 것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 보상을 받으려는 욕구와 감정적 필요에 의한 동기로부터 비롯된 성소일 것이다. 또한 신학생이 자유로운 의지와 정서적 성숙함으로 사제직을 열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여러 동기들 가운데 정화되어야 하는 동기들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신학교의 양성자들은 일정한 교육활동을 통해 신학생들의 성소를 구체화시키고 그들이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한 최종적 결정을 내리기까지 함께 동반하는 이들이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먼저 성소식별을 통해 성령의 현존과 믿음 안에서 하느님의 의향과 활동하심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복음의 빛으로 사건과 상황 그리고 관련된 사람들을 파악하여 성소의 표지들을 확인하고 해석한다는 것이 하느님의 부르심을 알게끔 해주는 단서를 드러내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식별작업은 양성자들이 지닌 인간적인 능력을 중재로 이루어지기에 성소의 표지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과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한 인격체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파악과 이해를 위해 성소식별은 교육학적 감수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양성과정이 지닌 의미에 주의를 기울여 성소자 각자가 지닌 성숙의 정도나 발달 주기에 관심을 기울여 점진적인 단계별 식별과정을 통해 성소가 이러한 교육학적 신뢰심과 분별의 일치 속에서 계발되리라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성소계발의 교육적 필요라는 관점에서 신체의 건강, 심리적 안정과 균형, 정서적이고 성적인 성숙도에 대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은 영역들에 관심을 갖고 식별에 임해야 한다. 성소식별의 일반적인 기준이 지닌 특성은 무엇이며 이러한 식별기준이 어떻게 사제 양성 과정 중에 적용되어야 하는가를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고 있다. 만일 성소식별 안에서 절대적으로 역기능적인 표지들이 발견된다면 식별 과정의 첫 단계가 시작된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인성적 결핍뿐만 아니라 인성에 대한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역기능적 표지들을 넘어서서 극복할 수 있는 풍요로운 자원들이 있는지 깊이 있게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즉 성소식별은 성소의 실재와 한 인격체의 모든 차원이 통합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부정적 표지들을 드러내는 신학생이 희망적인 태도나 자세를 지니고 있는지, 앞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있어서 사제성소를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과 관련된다. 성소의 적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요건들로서 자질이나 행동, 기능적 내용들이 있음을 확신하면서 성소를 성장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인지해야 한다. 성소식별은 무엇보다도 일련의 결정

      • 사제 양성 안에서 드러나는 성소식별의 필요성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문헌 분석을 통한 고찰

        이춘택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인간은 개인의 요구와 필요,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에 상응하는 인간적이고 종교적인 가치를 선택하여 자신의 미래를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런데 다원화된 사회 안에서 다양한 가치가 현존하는 오늘날, 올바른 선택과 그 기준에 대한 숙고의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교육활동은 개개인이 보다 자유롭고 적절한 선택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삶의 목표와 이상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사제직의 부르심을 깨달은 사람들을 양성하는 교육 현장에서도 고려해 보아야 할 내용이 된다. 신학교의 교육과정에서도 성소자들이 보다 확실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며 삶의 한 형태로서 사제직을 선택하는 최종적인 결단의 순간에 부응하는 교육활동을 통해 사제 양성과정 중에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이후 발표된 교회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제 양성 과정 중 사제직 지원자들이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응답과 선택을 도와주는 교육활동으로서 성소식별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소 육성과 사제 양성에 대한 언급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문헌을 선별하여 살펴보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후속 문헌인 「사제의 직무와 생활에 관한 교령」(Presbyterorum Ordinis)와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Optatam Totius), 교황 바오로 6세의 서한 "Summi dei verbum"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Pastores dabo vobis", 가톨릭 교육성의 문헌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사제직을 열망하는 성소자들에 대한 신중한 성소식별의 필요성과 본성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이나 간접적인 형태로 제시된 내용을 참고문헌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회 문헌 분석을 통해서 성소식별이란 어떠한 활동인지 그 의미를 살펴보고 어떠한 영역에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성소자 안에서 드러나는 부르심의 표지를 발견하고 선택의 순간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종합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첫째, 성소식별은 현 시대의 교회와 문화적 상황의 요구에 더 적합한 사제직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여, 성소자들이 부르심을 깨닫고 보다 성숙한 자세로 응답하도록 준비를 도와주는 활동으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성소 식별이라는 사명에 합당한 교육자 또는 양성자를 준비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둘째, 성소식별은 신학교의 양성 과정에 부응하는, 적절한 식별의 영역들과 주요한 시기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부르심을 깨닫는 순간부터 최종적 선택의 순간까지 부르심이 점진적으로 무르익어가는 역동적인 양성의 여정 안에서 성소의 확신성을 검토하기 위한 적당한 시기와 차원들이 표현되고 있다. 신학교 교육 목표에 나타난 양성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덕목들과 자질들은 성소식별의 영역에서 하나의 성소 표지가 되고 있으며, 성직 후보자의 전 인격적인 차원에서 신중히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표지들을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사제직 지원자들의 인격형성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징후들과 일련의 장애물 가운데, 특히 심리적이고 정신병리적인 표지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의사, 심리 상담가의 의견과 조언을 필요로 한다. 셋째, 부르심에 응답하는 학생들이 사제직에 대한 열망과 지향을 어떤 외적인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충분히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부르심에 대한 온전한 의식을 지니고 사제직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르심을 깨달은 주체들 역시 성소식별 과정에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윤리적 확실성을 얻도록 해야 한다. 넷째, 문헌들 안에서는 정확히 어느 수준까지 성소식별이 행해지고 양성 과정 중 어느 시기에 어떠한 내용을 식별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들을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지만, 사제직에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사제직 지원자가 다른 신앙 여정을 찾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식별 기준과 시기별 성소식별의 판단 기준은 각 지역과 신학교의 특성에 맞는 양성 지침 안에서 그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비명시적 제안을 하고 있다. A man is the being who choose human and religious value corresponded to his/her demand, necessity and pursuit, and then freely decide the future. This world is pluralistic society having multiplicity values. Consequently making the right choice and the difficulty of deciding its standard are follow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ducation helps to pursuit man's life goal and ideal through free and adequate choice. These ideas should be considered in priest formation, too. He is the man who realizes God's calling to be a priest. Seminary education could help them to choose priesthood as their vocation, to answer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to be ordained. Also the curriculum could help them to choose a matured choice during the priest formation. Under these hypotheses,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ity of vocation discernment as an education system to help priesthood candidate who responds to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by church documents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documents which mentioned vocation discernment and priesthood formation; "Presbyterorum Ordinis" (the 2nd Vatican Council auxiliary document), "Optatam Totius", "Summi dei verbum" (Apostolic letter of Pope Paul Ⅵ), "Pastores dabo vobis" (Apostolic Exhortation of Pope John Paul Ⅱ),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document of Catholic Education Dept.) and other references that have direct/indirect mentioning about the necessity and the nature of vocation discernment. Also through examining these church documents, this study deliberated the meaning of discernment activity, how to discover the sign of calling in each person, what type of standard and field should apply, and then proposed collectively how we could help them at the moment of making a final decision. First; Vocation discernment starts from self-examination about what is the right priesthood meets the need of current church and cultural circumstances.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is activity helps to realize holy calling then answer with matured attitude. So, it is requested to have the proper educator/formator for vocation discernment. Second; Vocation discernment is supposed to do in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ing to satisfy Seminary priest formation curriculum. In other words, from the very moment of realizing holy calling to the final moment of choice, this formation maturing process is developed gradually. During the formation, the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e period to confirm the priesthood confidence would be expressed. The pursuing virtues and talents revealed through formation are the signs of holy calling in discernment field, so the confirmation of these sign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under whole personality dimension of priesthood candidate. Most of all, in current society, the negative indications that influence to form priesthood candidate's personality and other obstacles, specially mental and psychopathic disease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and discovered. In such cases, opinions and advices from the specialists, medical doctors and counselors to find out mental and psychopathic beacons are needed. Third; The environment for the candidates to make a free, voluntary choice for priesthood with full consciousness and eagerness, not by any other exterior forces, is focused here. Therefore the candidates should also actively involve in this discernment process to get the ethical confirmation. Forth; Even though, any specific standards regarding how far the discernment is made, what contents should be discerned, when is the proper timing during the formation are not mentioned in the documents, but when the judgment of being not adequate for priesthood is made, it is said to help candidates to seek for other religious path with distinct standards. Also, the documents proposed (not clearly) that discernment standards and judgment timing should be made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tandards in each Seminary.

      • 성소자의 정서적 성숙과 가정

        유성모(Sungmo Yu)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3 누리와 말씀 Vol.53 No.1

        정서적 성숙은 자신의 진실한 정서를 알아채고 그것을 자기 자신과 타인들에게 표현하고 나눌 수 있는 관계하는 능력이라고 교회 문헌은 표현한다. 따라서 사제 양성에서 정서적 성숙은 양성의 4개 차원인 인성적, 지성적, 영성적, 사목적 영역을 형성하는 데 기초가 된다. 관계를 맺고 충동을 조절하는 능력과 관련된 정서적 성숙은 오늘날 도전받는 사제 정체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우선 사제 양성에 관한 교회 문헌이 언급하는 정서적 성숙을 다룬다. 교회가 제시하는 사제 양성의 4개 차원, 즉 인성, 지성, 영성, 사목의 차원은 정서적 성숙의 성숙과 연관성을 지닌다. 그리고 정서조절, 자기규제, 심리사회적 안정성, 심리 성적 통합이라는 4개 요인이 성소자의 정서적 성숙의 주요 요소로 제시된다. 이어서 정서적 성숙의 발달은 가정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다룬다. 정서발달은 주양육자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그 기초가 이루어진다. 생물학적-인지적 정서와 정서조절의 발달은 아이는 주양육자의 달램과 주의전환의 경험을 통해 내적 주의과정을 다룰 수 있게 되며 정서를 환기시키고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정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이론들에는 아기는 주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와 타인에 대한 표상을 만든다는 애착 이론과 인간가족을 하나의 정서적 장으로 구성원들이 정서적 자극을 상호적으로 주고받는 복합체라고 제시하는 가족 체계 이론이 있다. 기본적으로 이 두 이론을 근거하여 정서적 성숙을 위해서는 개인에게 안정적 애착형성과 가정의 정서체계로부터 분리-개별화가 필요로 함을 제시한다. 본고는 끝으로 정서적 성숙이 가정에서 시작된다는 이해에서 교회의 가르침은 이 같은 맥락에서 제시하고 있음을 밝힌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가정교서』에서 가정에서 아이는 부모의 온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 속에서 양육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과 『사제성소의 선물』에서 성소자가 내적 자유를 가지고 성소의 부르심에 따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분리-개별화된 정서적으로 성숙한 개인으로서의 양육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교회가 요청하고 있음을 고찰한다. The church documents express affective maturity as the ability to recognize one's authentic emotions and relational capacity to share them with oneself and others. Therefore, affective maturity in priestly formation is a foundation of the four dimensions of priestly formation, namely, the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dimensions. Affective maturity related to the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and control impulses can be considered the core of the challenge facing priestly identity today. This article first explores affective maturity mentioned in church documents on priestly formation. The four dimensions of priestly formation proposed by the church, namely,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dimensions, are related to affective maturity. Additionally, four factors, namely emotional regulation, self-regulation, psychosoci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and sexual integration, are presented as the primary components of the emotional maturity of seminarians. Next, this article discusses the psychological aspect of emotional development, stating that emotional development occurs within the family. Biological-cognitive emotions and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regulation enable a child to handle their internal attention process by experiencing the attentiveness and attention switching of primary caregivers, which helps develop the ability to express and regulate emotions. The theorie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emotional development include Attachment theory, which suggests that a child creates a representation of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rimary caregivers, and the Family system theory, which suggests that the human family is a complex system of emotional stimulation exchanged between its members. Essentially, according to these two theories, emotional maturity is attained through stable attachment formation and separation-individuation from the emotional complex of the family system. Finally,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church's teachings on affective maturity are presented in the context that emotional maturity develops in the family. Familiaris Consortio by Pope John Paul II emphasizes the need for children to be raised in a parenting style providing compassion and autonomy, and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emphasizes the need for seminarians to have internal freedom and follow the call of the priesthood as emotionally mature individuals. The church thus requires seminarians to be raised as emotionally mature individuals who have achieved separation-individuation from their family systems.

      • [논단 2] 사제 양성 안에서 드러나는 성소식별의 필요성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문헌 분석을 통한 고찰

        이춘택 인천가톨릭대학교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A man is the being who choose human and religious value corresponded to his/her demand, necessity and pursuit, and then freely decide the future. This world is pluralistic society having multiplicity values. Consequently making the right choice and the difficulty of deciding its standard are follow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ducation helps to pursuit man’s life goal and ideal through free and adequate choice. These ideas should be considered in priest formation, too. He is the man who realizes God’s calling to be a priest. Seminary education could help them to choose priesthood as their vocation, to answer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to be ordained. Also the curriculum could help them to choose a matured choice during the priest formation. Under these hypotheses,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ity of vocation discernment as an education system to help priesthood candidate who responds to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by church documents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documents which mentioned vocation discernment and priesthood formation; “Presbyterorum Ordinis” (the 2nd Vatican Council auxiliary document), “Optatam Totius”, “Summi dei verbum” (Apostolic letter of Pope Paul Ⅵ), “Pastores dabo vobis” (Apostolic Exhortation of Pope John Paul Ⅱ),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document of Catholic Education Dept.) and other references that have direct/indirect mentioning about the necessity and the nature of vocation discernment. Also through examining these church documents, this study deliberated the meaning of discernment activity, how to discover the sign of calling in each person, what type of standard and field should apply, and then proposed collectively how we could help them at the moment of making a final decision. First; Vocation discernment starts from self-examination about what is the right priesthood meets the need of current church and cultural circumstances.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is activity helps to realize holy calling then answer with matured attitude. So, it is requested to have the proper educator/formator for vocation discernment. Second; Vocation discernment is supposed to do in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ing to satisfy Seminary priest formation curriculum. In other words, from the very moment of realizing holy calling to the final moment of choice, this formation maturing process is developed gradually. During the formation, the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e period to confirm the priesthood confidence would be expressed. The pursuing virtues and talents revealed through formation are the signs of holy calling in discernment field, so the confirmation of these sign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under whole personality dimension of priesthood candidate. Most of all, in current society, the negative indications that influence to form priesthood candidate’s personality and other obstacles, specially mental and psychopathic disease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and discovered. In such cases, opinions and advices from the specialists, medical doctors and counselors to find out mental and psychopathic beacons are needed. Third; The environment for the candidates to make a free, voluntary choice for priesthood with full consciousness and eagerness, not by any other exterior forces, is focused here. Therefore the candidates should also actively involve in this discernment process to get the ethical confirmation. Forth; Even though, any specific standards regarding how far the discernment is made, what contents should be discerned, when is the proper timing during the formation are not mentioned in the documents, but when the judgment of being not adequate for priesthood is made, it is said to help candidates to seek for other religious path with distinct standards. Also, the documents proposed (not clearly) that discernment standards and judgment timing should be made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tandards in each Seminary. 인간은 개인의 요구와 필요,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에 상응하는 인간적이고 종교적인 가치를 선택하여 자신의 미래를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런데 다원화된 사회 안에서 다양한 가치가 현존하는 오늘날, 올바른 선택과 그 기준에 대한 숙고의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교육활동은 개개인이 보다 자유롭고 적절한 선택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삶의 목표와 이상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사제직의 부르심을 깨달은 사람들을 양성하는 교육 현장에서도 고려해 보아야 할 내용이 된다. 신학교의 교육과정에서도 성소자들이 보다 확실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며 삶의 한 형태로서 사제직을 선택하는 최종적인 결단의 순간에 부응하는 교육활동을 통해 사제 양성과정 중에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이후 발표된 교회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제 양성 과정 중 사제직 지원자들이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응답과 선택을 도와주는 교육활동으로서 성소식별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소 육성과 사제 양성에 대한 언급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문헌을 선별하여 살펴보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후속 문헌인 「사제의 직무와 생활에 관한 교령」(Presbyterorum Ordinis)와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Optatam Totius), 교황 바오로 6세의 서한 “Summi dei verbum”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Pastores dabo vobis”, 가톨릭 교육성의 문헌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사제직을 열망하는 성소자들에 대한 신중한 성소식별의 필요성과 본성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이나 간접적인 형태로 제시된 내용을 참고문헌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회 문헌 분석을 통해서 성소식별이란 어떠한 활동인지 그 의미를 살펴보고 어떠한 영역에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성소자 안에서 드러나는 부르심의 표지를 발견하고 선택의 순간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종합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첫째, 성소식별은 현 시대의 교회와 문화적 상황의 요구에 더 적합한 사제직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여, 성소자들이 부르심을 깨닫고 보다 성숙한 자세로 응답하도록 준비를 도와주는 활동으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성소 식별이라는 사명에 합당한 교육자 또는 양성자를 준비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둘째, 성소식별은 신학교의 양성 과정에 부응하는, 적절한 식별의 영역들과 주요한 시기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부르심을 깨닫는 순간부터 최종적 선택의 순간까지 부르심이 점진적으로 무르익어가는 역동적인 양성의 여정 안에서 성소의 확신성을 검토하기 위한 적당한 시기와 차원들이 표현되고 있다. 신학교 교육 목표에 나타난 양성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덕목들과 자질들은 성소식별의 영역에서 하나의 성소 표지가 되고 있으며, 성직 후보자의 전 인격적인 차원에서 신중히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표지들을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사제직 지원자들의 인격형성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징후들과 일련의 장애물 가운데, 특히 심리적이고 정신병리적인 표지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의사, 심리 상담가의 의견과 조언을 필요로 한다. 셋째, 부르심에 응답하는 학생들이 사제직에 대한 열망과 지향을 어떤 외적인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충분히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부르심에 대한 온전한 의식을 지니고 사제직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르심을 깨달은 주체들 역시 성소식별 과정에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윤리적 확실성을 얻도록 해야 한다. 넷째, 문헌들 안에서는 정확히 어느 수준까지 성소식별이 행해지고 양성 과정 중 어느 시기에 어떠한 내용을 식별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들을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지만, 사제직에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사제직 지원자가 다른 신앙 여정을 찾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식별 기준과 시기별 성소식별의 판단 기준은 각 지역과 신학교의 특성에 맞는 양성 지침 안에서 그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비명시적 제안을 하고 있다.

      • KCI등재

        교구 사제를 위한 영적 양성의 필요성

        방효익(Bang, Hyo I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5

        새로운 것은 아닐지라도, 오늘날 사제들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들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것은 물론 성소자 부족현상이 두드러지면서 한편으로는 초기 양성(신학교 과정)에서 성소식별에 소홀함이 생기는 것이 아닌지 묻는 경우가 늘어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현대의 사제 양성』(요한 바오로 2세)에 입각해서 영적 양성에 관해 살펴보고, 계속 양성(사제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반성해보고자 한다. 사제가 될 때에 성실하게 살 것이라고 다부지게 마음먹지 않은 사제는 없을 것이다. 사제가 될 때 복음(하느님의 말씀)을 선포하기 전에 먼저 젖어들 것이라고 마음먹지 않은 사제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핑계와 자기만의 시간 갖기에 사제생활에서 첫 번째이어야 할 것이 서서히 밀려나고 있다. 이런 일들은 사제들이 자신의 사명이 무엇인지조차 잊어버리게 만든다. 많은 사제들이 인성적 양성은 물론 초기 양성의 부족함으로 자신과 자신이 하는 일에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이런 사제들은 복음화에 동화되지도 못하고, 다른 이들이 가지고 있는 것을 다 가지려는 강박감에 사로잡혀 사제로서의 기쁨을 질식시키고 있다. 많은 사제들이 계속 양성 프로그램에 열심히 참여할지라도 별 효과가 없거나 의미가 없다고 한다. 결국 사제들이 자신의 고유한 영성이나 사제직무 수행에는 관심이 없고, 개인적인 시간 찾기에 몰입한 나머지 때로는 다른 이들을 전혀 의식하지 않으면서 자기중심적인 목표만 세우고, 복음을 듣지 못한 이들이 더 이상 없는 것처럼 살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경제적인 안정에 매달리거나 무슨 수를 써서라도 권력이나 인간적인 영예를 얻으려는 생활방식에 쉽게 빠지게 될 것이다. 성소의 위기는 이미 한국 교회에서 시작된 지 오래되었다. 가정과 학교교육의 파괴에서 비롯되는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적 의식이 팽배된 오늘의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정서적인 성숙함과 영적인 탁월함 그리고 신앙과 말씀에 대한 지적인 능력을 갖춘 의로운 사제를 양성하기 위해, 또는 그런 목자를 바라보는 신자들의 행복을 위해 한국 교회는 영적 양성에 대해 정직하고 심각하게 물어야 한다. 과연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영적 양성의 초기와 계속 교육은 의미와 가치가 있는가? Many priests are not happy with themselves and their duties due to the lack of Initial Formation not to mention Human formation. As a result, they cannot be assimilated to evangelization and they are obsessed with getting all things which everyone else have. This leads them to smother the joy which they feel as a priest. Many priests complain of ineffective or meaningless Ongoing Formation in which they eagerly participate. According to them, priests eventually become ignorant of their own spirituality or doing their duties, getting so absorbed in finding personal time that they set self-centered goals without concern for others, and live as if every person had heard the Gospel. In addition, priests will easily stick to a sense of economic stability or try to grasp power or honor by all means. Vocation crisis has already started in the Korean church long ago. Above all, the Korean church has to ask about Spiritual Formation honestly and seriously to train the priests on emotional maturity, spiritual excellence, and an intellectual ability in faith and Gospel for today’s situation. It is a situation of overflowing individualism and self-centered mindset due to the destruction of family and school education system; We must ask. Is Initial and Ongoing phase of Spiritual Formation meaningful and valuable?

      • KCI등재

        사제 양성에 있어서 편집 성향에 대한 정신병리학적인 고찰: 인성 양성을 중심으로

        허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2 가톨릭신학 Vol.- No.40

        Recently, the Vatican Congregation for the Clergy, announcing the “The Gift of the Priestly Vocation” a guidebook for the priestly formation, mentions that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psychological experts about mental health should be considered and evaluated as well as the various human qualities of applicants for vocations to the priesthoo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help formators to know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and especially centered the character of paranoid tendencies seminarian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personality disorders and 10 types of personality disorders were briefly described, and among them, paranoid tendencies were focused on. Paranoid tendencies lie on a spectrum that ranges from the appearance of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characterized by a lack of trust, to the difficul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mildly suspicious tendencies. To help them, The formators who have knowledge of psychology, talk about their childhood, and learn how to improve their cognitive/emotional empathy, promote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ness, build trust, a positive atmosphere that can build trust,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 looked at the areas that formators should approach. It was emphasized that psychological evaluation can sometimes be performed if necessary, and that help can be obtained. 최근 교황청 성직자성에서는 사제 양성 지침서인 「사제성소의 선물」을 발표하면서 사제성소 지원자의 인간적 여러 자질과 함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심리학 전문가의 활용에 관한 지침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양성자가 심리학과 정신병리학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함께 동반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특히 편집 성향의 특징을 보이는 사제직 지원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격장애의 특징과 원인, 간략하게 10가지의 성격장애를 서술하였고 그중에서도 편집 성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편집 성향은 신뢰 결핍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성 성격장애의 모습에서부터 약하게는 의심하는 성향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습까지 다양한 스펙트럼 위에 놓여 있다. 이들을 조력하기 위해 양성자들은 심리학과 관련한 지식을 갖추고 그들의 어린 시절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인지적/정서적 공감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과 자율성과 연대감의 증진, 신뢰를 형성시킬 수 있는 양성 분위기, 자기개념과 대인관계에 있어서 양성자가 접근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살펴보았다. 때로 필요하다면 심리평가도 실시하여 양성에 있어 도움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신학교의 영적 지도

        방효익(Hyo-Ik Ba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8 No.-

        이 소논문은 “하느님의 사람”(1티모 6,11)인 사제 양성자와 사제 지망생들 사이에 영적지도라는 차원에서 제기되는 문제들(목적과 영성)을 살피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사목현장에서 공신력을 잃어가는 문제의 사제들이 늘어나는 이유를 양성, 특히 영적 지도라는 차원에서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교황청 가톨릭교육성이 “현대의 사제 양성”(Pstores dabo vobis)의 권고에 따라서 “신학교 양성자의 양성에 관한 지침”(Directive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Seminary Educators, Congregation for Catholic Education of Seminaries and Institutes of Study, 1993. 11. 4)에서 “영적 준비”(No. 55)와 “영적지도”(No. 61)가 바로 우리가 기댈 주제이다. 영적지도의 목적을 말하면서 영적 지도에서 하느님과 그분의 은총이 중심주제가 되지 못하는 이유를 다섯 가지로 요약했다. 오늘날 본당 공동체에서 여러 가지 나약한 모습으로 말미암아 문제의 사제들이 많다는 소리가 높아간다. 인간적 노력도 필요하지만 전적으로 하느님께 의지하려는 노력이 앞서야 할 것이다. 하느님께서 이끄시는 대로 맡겨드리고, 성체 앞에 머무는 시간을 많이 할애할 수 있는 사제가 되어야 한다. 사제생활과 사제 영성의 원천인 성체성사로부터 사제의 삶이 시작되기 때문이며, 바로 거기에서 성덕이 샘솟기 때문이다. 성덕이 탁월한 사제는 공신력을 갖추게 된다. 성령께서 함께 해주시기 때문이다. 영적지도의 초점은 성덕을 갖춘 사제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역경 속에서도 하느님과 함께 자생능력을 갖춘 사제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신학교에서 겪었던 초라한 양성자로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영적 지도자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자기 확신”(Self conviction)은 대단했지만 “자기 인식”(Self knowledge)을 거부하던 이들에게 하느님의 뜻이 달리 있었음을 설득시키느라 힘들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른다. 모든 방면의 인간 교육이 그렇듯이 사제를 양성하는 일은 하나의 예술이다. 하느님의 말씀이 젊은이들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내적인 동의기간을 거쳐 다시 외적으로 당신을 드러내시는 예술이 바로 사제 양성이다. 영적 지도자 역시 잠시라도 자기 사명과 소명을 잊을 수 없는 연약한 예술가, 성령과 함께 훌륭한 예술가이다. 사제 지망생들과 함께 기도하고, 같이 성찬의 전례를 집전하는 것이 하루 일과 중에 가장 중요한 순간이라고 가르쳐주어야 한다는 것아 쉽지는 않았지만 기쁨이었다. 다음은 영적지도와 영적성숙의 관계에서 파생되는 문제들을 다루고 싶다. This short essay explores, for a man dedicated to God(1 Tim 6:1), matters relating to the goals and spirituality imparted to prospective priests through the spiritual guidance of seminary educators. One can trace any "untrustworthiness" on the part of priests to the processes that formed them, and in particular to the spiritual guidance they received. The Holy See's Congregation for Catholic Education's studies "Modem Day Priest Formation" and "Directive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Seminary Educators"(Congregation for Catholic Education of Seminaries and Institutes of Study, 1993.11.4) offered "spiritual preparation"(No 55) and "spiritual guidance"(No 61) as the main ways to ensure trustworthiness. This essay examines the purpose of spiritual guidance, arguing that God and His grace should be at the center of spiritual guidance, and pointing out five reasons why this doesn't seem to be the case in actual practice. We hear a lot about "problem priests" these days in spiritually impoverished parish communities. It is more important to rely totally on God than on human efforts. Priests should just entrust everything to God, and spend more time before the Host. A priest's life begins with the Eucharist from which he receives the spirituality that forms his holy virtues. Priests, full of holy virtues, can be trusted because the Holy Spirit is with them. Spiritual guidance should focus on the formation of such holy priests, who can bear whatever difficulties may come with the help of God. By looking back on my experience as a common formation director at the seminary, I can imagine the ideal spiritual assistant. I remember the difficulty in Persuading People who were full of self-conviction but lacked the self-knowledge that God's will could be different from their own. In common with other forms of human education, training priests is a kind of art. "Words" enter the hearts of young candidates, waiting there until they are accepted and can manifest themselves to the outside world. A spiritual assistant is a kind of simple-minded but excellent artist who never forgets his mission and calling. Although it was never easy, it was a joy to prove to seminarians that praying and celebrating the Eucharist together were the most important daily endeavors. Then, I will deal with issues arising from the functional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spiritual assistance and spiritual growth.

      • 포교성성 소속 선교단체들의 18세기 중국 현지인 사제 양성의 형태적 특성과 경향

        장동훈(Jang Donghu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포교성성(Congregtio de Propaganda Fide) 직할 선교 단체였던 파리외방전교회의 최대 관심사는 성성의 원의에 따른 선교 지역의 현지인 사제 양성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이에 대한 연구들은 성성의 원의에 따른 방인 사제 양성이라는 ‘기조’에 집중한 나머지 양성 과정의 ‘내용’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거나, 근래 한국교회의 사제 양성에 대한 연구들처럼 양성을 신학교라는 ‘공간적 개념’에 한정한 나머지 개별 신학교사로 그치거나 신학교의 건립 연원 정도의 논의에 머무는 수준이다. 혹은 양성 과정의 구체적 내용 분석을 시도했을지라도, 조선대목구, 또는 특정 신학교 등의 개별사의 의미를 보다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보편교회 차원의 연구나 내용적 기원에 대한 고찰은 여전히 부족하다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대기 순으로는 조선대목구의 방인 사제 양성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던 19세기 이전의 세기에 해당하는 전사(前史)이며, 내용적으로는 조선이라는 지역교회보다 상위의 차원인 아시아 교회, 나아가 보편교회 차원의 연구에 해당한다 말할 수 있다. 성성 소속 선교단체들(파리외방전교회, 나폴리 성가정신학교)의 중국 방인 사제 양성을 위한 여러 시도들은 18세기를 거치며 하나의 전형으로 갈무리되어갔다. 그리고 이렇게 전형화된 방법론은 논의와 권고를 넘어 ‘규격’으로 성문화된다. 1803년 중국 사천 대목구에서 열린 시노드 문서가 그것이다. 시노드를 기준으로 18세기 중국 현지인 사제 양성의 속성을 정리하자면, 신중한 후보 선발과 신학교에서의 길고 실증적인 평가를 통한 양성, 라틴어의 강도 높은 교육, 유럽식 양성, 선교활동을 지향한 양성 방향 등으로 축약된다. 길고 실증적인 신학교에서의 양성은 결과적으로 포교성성이 특전들을 통해 열어둔 약식 교육을 통한 장년층 후보자들의 선발 가능성을 점차 사문화시켰다. 실제로 일반신학교에서는 특전의 적용이 매우 이른 시기에 종료되었고, 이러한 시스템의 성문화 이후 시기에 해당하는 조선의 경우는 특전을 적용한 서품자의 사례를 찾을 수 없다. 길고 실증적인 신학교에서의 양성과 재검증 기간은 성직에 대한 식별과 선발의 신중함일 수 있겠지만, 실례를 본다면 꼭 그것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과정을 모두 이수했을지라도 “절박한 필요성 없이는” 서품을 보류했던 당시의 관례들처럼 방인 사제는 지역교회에 헌신할 원자들이 아니라 여전히 선교 체제라는 과도기적 환경에서 요구된 재원들로 이해됐다. 때문에 적어도 18세기가 투사한 그들은 후일 지역교회를 책임질 사제단의 일원이라기보다는, 우선은 선교 체제가 요구한 ‘선교사’들이었다. The primary concern of direct control mission organizations of Congreg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peoples, Order of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as local priest formation in mission site following Congregation’s original intention. The studies on this issue until now showed rather focused on ‘intention’ of Congregation about local priest formation, relatively neglected ‘contents’. Like the studies on Korean Church priest formation, they were restricted to ‘space concept’ as to seminary, so the studies remained as an individual seminary foundation or each catechist. Even though they tried to examine the specific formation contents in the formation process, it is still insufficient about examining the meaning of Mission Station of Jo-seon or typical seminary on the basis of universal Church or the conceptual origin, to overview the meaning organically and integrate. This study is rather a pre-history in substance, before the 19th century when local priest formation in Mission Station of Jo-seon has performed seriously. In contents wis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regarded on Asian Church, superior of Jo-seon Church, further more universal Church dimension. Many experiments from direct control mission organizations of Congreg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Peoples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Naples Holy Family Seminary) to make Chinese local priest has ended up as to one pattern through the 18th century. This selected method came to be a ‘written statute’ through discussions and proposals. That is the Synod document in 1803 held in Mission Station of Sa-cheon in China. Putting in order of Chinese local priest formation attribute on the basis of this Synod, it can be arranged like these; to be careful about candidate selection, formation through long and actual evaluation in seminary, hard Latin education, European way of formation and formation pointed to mission activities. Long and actual formation eventually became extinct of possibility of aged priest candidates selection which was opened by privilege of Congreg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peoples. Actually privilege application in ordinary seminary finished in early period of time. Case of Jo-seon which come under after ‘written statue’ period, there is no ordained priest who has applied it. Long and actual formation and reverification period could be prudent attitude of careful consideration of discernment and selection of priesthood, but when we look up the concrete cases it does not mean that only. There had been customs to reserve the ordination after finishing all those courses if they did not have ‘desperate needs’. It was understood that local priest candidates were not to devote to local church, but they were just talented men needed by transitional situation of mission system. So, they who projected in the 18th century were not the member of priests responsible for local church, but firstly they were the missionaries needed by mission system.

      • ‘목자로서의 사랑’을 구심점으로 한 신학교의 양성계획

        이춘택(Lee Choontae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2

        사제 양성은 교회의 주요 사목 영역이다. 신학교는 시대의 변화에 새롭게 적응하기 위하여 양성계획을 쇄신해 나갈 것을 요청받는다. 따라서 본고는 사제양성계획이 지닌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여 성직 후보자들이 참된 목자로서의 정체성을 지니도록 도와주는 통합적 교육 요건에 대하여 고찰한다. 양성의 장소요 양성 공동체인 신학교는 양성계획의 구체적인 설계를 위해 교회의 가르침에 근거한 이론적 전망과, 현실적인 요청을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사회 문화적 필요와 합의된 가치 그리고 두드러진 특징에 대한 탐색과 상황분석이 요구된다. 그리고 양성목적이 불분명한 상태에서 양성과정을 계획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방향성을 상실하게 되므로, 보다 통일되고 일치된 양성방향을 설정하고 다양한 교육 활동뿐만 아니라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교육내용들이 서로 일관성을 지니게 하는, 구체적인 양성목적과 세부영역에서의 목표 가 무엇인지를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부터 교육내용과 필요한 수단방법이 무엇인지, 어떠한 기준으로 양성과정을 평가할 것인지의 방향이 설정될것이다. 사제직은 사랑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므로 자신을 포기하고 복음화를 위하여 온전히 헌신하도록 하는 ‘목자로서의 사랑’은 사제의 삶에 핵심적 요소이다. 그것은 그리스도를 닮기 위해 사제로서 수반되는 활동과 사제로서의 삶에 통일성을 이루어주는 내적인 원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신학교는 그리스도의 삶을 본받으려는 신학생들의 성소를 지속적으로 성숙시키기위하여 그들의 흥미와 발달정도에 관심을 가지고, ‘목자로서의 사랑’을 공동체안에서의 매일의 삶을 통해 체험토록 교육내용을 마련한다. 이러한 신학교의 양성계획과 그 목적에 충실할 경우, 사제 지원자들은 ‘목자로서의 사랑’으로 성 화되어 자기 자신을 교회와 세상을 위한 사랑의 봉사에로 온전히 헌신하게 될것이다. Formation plan is important pastoral field in the Church. Seminary is requested to reform its formation plan in order to reflect the spirit of ages. This study comprehende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formation plan, and then examines the integral educational requirements which help to maintain true pastoral identity for priest candidates. Seminary is the formation place and formation community. So Seminary should analyze theoretical prospect based on Church’s teaching for detailed design of formation plan. And also Seminary analyzes concretely and effectively socio-cultural needs, its consensus value, investigation and situation analysis of prominent characteristics to realize current requests. If formation purpose is uncertain, then to plan formation is impossible, eventfully lost its way. Hence, to set up specific formation purpose for the unified plan, to keep consistency betwee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basic educational contents for community life are required. From these efforts, it will be established what are the education contents and necessary means, how to evaluate formation process, and the standard of evaluation will be adopted. The priesthood is fulfilled through sincere accomplishment of Caritas pastoralis. Giving up themselves and wholly devoting for evangelization are essential elements in priest life. That is intrinsic principle of pastoral activities as of Vicar Christ and gives the unity in priest life. Seminary prepares educational contents those are to experience ‘Caritas pastoralis’ through daily community life along with seminarian’s interests to mature ‘Holy Calling’ which is to imitate Christ. When seminarian is faithful to formation plan and its purpose, priest candidates could be sanctified in ‘Caritas pastoralis’, and then could devote themselves wholly to chaste love activities for the Church and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