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국사회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신학적 고찰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김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0 No.17

        The rapid economic growth changed the life's appearance and the social figure in Korea. In 2010 there are almost 120 thousand foreigners in Korea which is full of the consciousness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o anywhere in our country they meet alie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Even though the economic growth has continued recently, the majority of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poor without receiving the favor from economic growth and live in social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21st century they are a new class of the poor in Korea. How do we understand this situation and how do we receive them in the Christian vis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first of all in the Bible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poverty, the appearance of the poor, God's consideration and affection to the poor and how does the class of social leaders and riches treat them. And we looked into Jesus Christ's teachings and activities to the poor. We investigated the reality of lif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 can identify the figur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ppearance of life of the poor in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Indeed, the poor in the Bible didn't make a bare living as the minority in the society. And they suffered the oppression and the exploitation of the political leaders and the rich. Now the alien workers don't get out of difficulty of low wa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nevertheless they labor in the industry of 3D and discharge the member of our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an becomes a me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so she is the wife of a man, a mother of her children and a housewife of a home. But the married immigrant woman and her family are in strained circumstance and suffer difficultie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prejudices. Through the prophets God asked to the people who protect the rights of the poor provide protection for the poor and established the rights of the poor through the book of the convent. Therefore, Israelites has the responsibility to give assistance to the poor. It is a testimony of the faith in God and the way of the blessing of God. In this teaching of the Bible we can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ich we have to determine a certain attitude to the poor in this age who are the alien work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swer is that the Church, the mystic body of Christ, and the Christian, the member of the Church, have to know the real life of the immigrants, recognize their rights and endeavor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with the men of good will. It is the testimony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 faith in this age.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회의 모습을 바꾸어 놓았다. 단일민족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살아온 우리사회에 2010년 현재 외국인체류자가 120만에 이르고 우리사회 어디서나 외국인근로자(alien worker)와 결혼이주자(married immigrant)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경제적 성장이 지속되어도 대부분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들은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가난하게 살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받고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들이 바로 21세기 초엽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형태의 가난한 사람(the poor)들이다. 이들을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poverty), 가난한 이들(the poor)의 모습,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하느님의 배려와 사랑, 지도층과 부유한 자들에 가난한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활동과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의 현실과 그들의 삶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의 삶의 모습은 바로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성서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당시 사회의 소수자로써 자신들의 삶을 제대로 꾸려 갈 수 없었고, 쉽게 왕과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로 고통 받고 있었다. 오늘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사회의 3D업종에 종사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저임금과 차별과 착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문화가정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한 가정에서 아내요 어머니로서 삶을 살고 있지만 대다수의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과 무시 속에서 궁핍한 삶을 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족들마저 그러한 삶을 살고 있다. 하느님은 당신 예언자들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요구하였고, ‘계약의 책’(book of the convent)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가난한 이들을 돌볼 책임이 있으며, 이들을 돌보는 것이 곧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증거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축복을 받는 길이다. 성서의 바로 이러한 가르침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이 이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인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들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 해답은 곧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와 교회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은 이주민들의 삶을 바로 알고 이들의 권리를 인정해야 하며, 이들이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선의의 사람들과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신앙을 증거하고 선포하는 길이다.

      • KCI우수등재

        영국 1834년 신빈민법 제정과 생계부양권리

        김자경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3

        This paper examines the strategic role of the 1834 Poor law Commission Report that became the basis for the enactment of the Poor Law Amendment (New Poor Law) in 1834. While the debate over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Old Poor Law rose after the Napolean Wars, it did not reach any fruitful resolution until the New Poor Law came into effect. This was due to landlords’ management of the poor relief in their local provinces in the form of paternalism, which culminated in a state where the poor relief was intertwined with customary traditions, thus making the poor-law reforms even a more challenging problem. As the 1834 Poor Law Commission Report was essentially a proposal suggesting an overhaul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of poor relief to the landlords with various backgrounds in this field, it needed to avoid sensitive issues such as ideological debates that landlords would be reluctant to consider. As such, the report did not touch upon issues of the financial problems of the administration, the landlords’ authority in the local administration of poor relief, or the cause of the poverty among the laborers. Consequently, the report could propose a reform that reflected the interests of landlords without undermining their authority. The report was enacted as the New Poor Law with overwhelming support in Parliament. This falls in line with A. Brundage claims that the New Poor Law obtained its continuity as a follow-up to its predecessor through upholding landlords’ authority in the administration of poor relief. Still, the report strongly criticized how the laborers’ right to subsistence was heavily dependent on the paternalistic management by the landlords and proposed the principle of less-eligibility to get rid of the right to relief. The New Poor Law distinguished poverty from indigence, declaring that the able-bodied have no right to relief. Therefore, in this aspect, the New Poor Law embodies discontinuity from the Old Poor La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wer class. 본 논문은 1834년 신빈민법 제정에 기초가 된 『1834년 보고서』의 전략적 역할을 살펴보면서 신빈민법의 제정 목적을 고찰하려 한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빈민법 폐단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면서 신빈민법 제정에 이르기까지 빈민법 폐단에 대한논의만 분분할 뿐 실제적인 개혁안이 나오지 않았다. 그것은 지주들이 온정주의 통치 방식으로 지방의 빈민구제를 관리하여 왔고, 그 결과 빈민구제가 관습과 얽혀져서 빈민법 개혁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였기 때문이다. 『1834년 보고서』는 빈민 행정에서 다양한 경험과 이해 관계를 지닌 지주들 앞에 던져질 개혁을 제안하는 보고서였기 때문에 이데올로기적 논쟁이나 지주들이 꺼려하는 민감한 요인들을 피해야만 했다. 보고서에는 빈민 행정의 재정문제, 지방빈민 행정에서의 지주들의 권한 문제, 노동자들의 빈곤의 원인에 관한 분석이 없었다. 따라서 『1834년 보고서』는 지주들의 권한을 훼손하지 않고 지주들의 이해를 반영하는 개혁안들을 보여줄 수 있었다. 『1834년 보고서』는 의회에서 압도적 다수로 지지를 받아 신빈민법으로 제정되었다. 이런 점에서 브룬디지의 주장처럼빈민행정에서 지주 권한이 지속됨으로써 구빈민법과 신빈민법은 지속성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834년 보고서』는 지주들의 온정주의 빈민행정 속에 얽혀있는 노동자들의 생계부양 권리를 강하게 비판하였고, 이를 제거할 수 있는 구제 원칙인 열등처우 원칙을 제안하였다. 신빈민법은 빈곤과 극빈을 구분하여 빈곤한 근로능력이 있는 노동자는 구제받을 권리가 없다고 선언하였다. 따라서 신빈민법은 아래로부터의 시각에서 보면 구빈민법과 단절성을 보인다.

      • KCI등재

        개인 탄원시에 나타나는 가난한 자들의 탄원 연구

        이일례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22 성경원문연구 Vol.- No.50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ecial structure in the lament of the poor which appears in the psalms of individual laments, and observes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The psalms of lament from the ones who are suffering from poverty consist of self-lament, God-lament, and enemy-lament. The poor experience a sense of loss of life amid economic exploitation, social alienation, and hunger. At the same time, the poor also experience abandonment and a deep despair 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like the fear of abandonment as well as emotional abandonment. But it does not stop there. They confess their pain of poverty as a self-lament. The worse the poverty gets, the deeper they lament. Here, self-lament gets connected to the God-lament. The poor meet God through the God-lament, and God lightens up their faces. They meet God as the one who frees them from poverty as well as the legal helper of the poor. In this way, the lament of the poor functions as the most direct and essential driving force that induces YHWH’s astonishing Magnalia Dei. Therefore, the lament of the poor changes their stance of suffering, and they disclose the sufferings caused by exploitation. They lament about the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caused by social structure. The poor do not hesitate to lament about the enemies’ affront (Ps 14:32, 35). The lament of the poor who experienced suffering amid the existential danger accelerates God’s act of salvation, and leads to the insight that liberation from poverty i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also has another important intention: Although the Hebrew terms referring to “the poor” — the subject that shapes the lament of the poor — and “the enemy” — the target of the lament of the poor — appear variously, and the understanding of “God”, the recipient of the lament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r characteristics of the lament, the Korean translation is overly uniform. Thus, this research presents one useful data and standard to understand the lament of the poor by analyzing the theological intention of each term although it accepts the existing translation and its uniform translation.

      • KCI등재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연구

        지은정(Ji Eun-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3

        본 연구는 내부노동시장 및 외부노동시장과 분절된 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이 취업과 취업의 질에 누적적인 영향을 미쳐, 장기간 근로빈곤노동시장에 머물게 함으로써 근로빈곤탈출을 저해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3~7차이고, 분석방법은 Markov 이행확률과 이산시간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 그리고 근로빈곤노동시장의 삼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근로빈곤유형은 최근으로 올수록 취업빈곤층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비경활 빈곤층은 점점 증가하여 근로빈곤층의 주된 유형이 되었다. 근본적으로 빈곤층에 대한 노동수요가 부족하며, 빈곤층의 취업자체를 저해하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장벽이 존재함을 볼 수 있다. 회귀분석에서는 근로빈곤노동시장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근로빈곤 이탈률이 감소하였다. 이는 한번 근로빈곤노동시장에 편입되면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근로빈곤노동시장 내에서 폐쇄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빈곤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근로조건을 보장하는 노동수요 활성화정책과, 근본적인 노동시장구조 개혁 및 빈곤층 노동에 대한 부정적 사회인식과 차별완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of working poor labor market segmented from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labor market affects employ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working poor. It Further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makes working poor to remain in the labor market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scape from a vicious poverty cycle. Data is based on the 3~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Markov's transition probability and discrete-time hazard analysis a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Korea labor marke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primary labor market,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the working poor labor market. The proportion of employed poor has been reduced, but the proportion of non economically-active working poor has been increased and has become the main group among the working poor. This shows that labor demand of working poor is fundamentally lacking and there are structural barriers that block working poor's employment itsel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longer working poor labor market participation is, the lower poverty-exit rate. This is an evidence of vicious poverty cycle that the poor have little chance to exit from working poor labor market, once they step into it. Therefore, the longer their participation in poor labor market, the more likely they would move only within the closed working poor labor marke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form labor market structure and to alleviate negative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about the poor labor while activating labor demand.

      • KCI등재후보

        중국 빈곤계층의 집단행동에 관한 연구

        유은하(Eunha Yoo)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8 국가와 정치 Vol.24 No.-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이 현재 세계에서 빈부격차가 가장 큰 국가군에 속하게 된 가운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국 빈곤계층의 집단행동이 빈부격차에서 비롯된 것으로 상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국 빈곤계층의 집단행동을 촉발시키는 직접적인 주 요인은 빈부격차의 확대가 아닌 절차적 부정 즉 정당하게 받아야 될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의 심각한 빈부격차가 빈곤계층 집단행동 발발의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배경으로 빈부격차와 본인의 현재 생활 및 국가에 대한 빈곤계층의 인식의 측면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빈곤계층의 인식이 점차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만약 중국의 빈부격차 문제가 크게 해소되지 않는다면 향후에는 빈부격차 확대가 빈곤계층의 주요 불만요인이 되어 어떤 식으로든 중국 사회의 안정을 위협할 수 있는 개연성은 작지 않다고 하겠다. Due to the fact that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in contemporary China, the socialist country, is the largest in the world, there is a tendency to be perceived that the increasing collective action of the poor in China is caused by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But, this study argued that a main factor that causes collective action of the chinese poor is not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but a grievance against procedural injustice. Poor people in Chinese society want to receive the full compensation that they should receive. This research also pointed out that the reason why the serious gap between rich and poor in China is not the direct cause of collective action of Chinese poor people is because of the comparative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life and the state of the poor, and that the perception of actors in a society is crucial for social actions. But,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at it is observ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poor, 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is gradually changing, if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remains unsolved, there is a good possibility that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will be a direct factor for collective action of the poor, and that so social stability, the first goal of the state leaders in China, will be threatened.

      •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 연구 –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

        송승규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2021 기독교문화연구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를 비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아모스 A단계와 예레미야 A단계에 나타난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 아모스가 ?????(ʾebyȏn)과 ???(dal)을 사용한 구절들을 분석하였다. 아모스 2장 6b-7a절, 4장 1절, 5장 11-12절, 그리고 8장 4-6절을 분석하였는데, 아모스는 그의 신 탁에서 ?????(ʾebyȏn)과 ???(dal)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강조의 효과를 나타 냈다. 아모스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는 대 로 기원전 8세기의 집약농업 역학에서 착취당한 농민들이다. 3장에서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를 분석하였다. 2장 32절에서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고아와 과부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램버트의 연 구 결과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8세기의 농민들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장 28절의 ‘가난한 자’는 재판을 공정하게 받지 못하는 부류의 사람들 인 고아, 과부, 외국인 등을 총칭하여 나타낸 단어이다. 20장 13절에 나타나 는 ‘가난한 자’는 예레미야 자신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상황에 놓 인 사람들을 지칭한다. 22장 16절의 ‘가난한 자’는 요시야와 관련하여 나타 난다. 따라서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인식을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사이에는 차이점과 공통점이 동시에 나타난다. 아모스는 엘리트 지배계층에게 착취당 하는 농민들을 명확하게 그 대상으로 하지만 예레미야는 착취당하는 농민들 은 물론, 토라에서 제시하는 고아, 과부, 외국인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 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아모스의 신탁에서 농민에 집중되었던 ‘가난한 자’ 의 의미가 예레미야의 신탁에서는 농민들을 포함하여 예레이먀 당시의 사회 적 약자였던 고아, 과부, 외국인, 그리고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사람들을 총 칭하여 이르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mos an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ts meaning of ?????(ʾebyȏn) and ???(dal) in Amos A and Jeremiah A. In Part 2, I analyzed Amos’ phrases using ?????(ʾebyȏn) and ???(dal). Amos 2:6b-7a, 4:1, 5:11-12, and 8:4-6 were analyzed, with the effects of emphasis on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ʾebyȏn) and ???(dal) in Amos’ oracle. Amos’ understanding of the “the poor” is, as most scholars agree, the peasants who were exploited in the dynamics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of the 8th century BC. In Part 3, I analyze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2:32, it seems to be used as a generic term for orphans and widows, including foreigners. However, according to Lambert's study, the poor in this passage were analyzed to be similar to the peasants of the 8th century. “The poor” in 5:28 is a generic term that refers to orphans, widows, foreigners who were judged not with justice. “The poor” in 20:13 refers to those who are in political oppression, including Jeremiah himself. “The poor” in 22:16 appears in connection with Josiah. Hence, “the poor” in this phrase is in line with Amo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conclusi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ppear simultaneously between Amos' “poor” and Jeremiah's “poor”. Amos clearly targets peasants who are exploited by the elite ruling class, but Jeremiah also used the image of the exploited peasants as well as the orphans, widows and foreigners in the Torah.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poor”,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peasants, was expanded to include the collective term for orphans, widows, foreigners, and politically oppressed people who wer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Jeremiah's day.

      • KCI등재

        현대 한국사회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신학적 고찰

        김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17 No.-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회의 모습을 바꾸어 놓았다. 단일민족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살아온 우리사회에 2010년 현재 외국인체류자가 120만에 이르고 우리사회 어디서나 외국인근로자(alien worker)와 결혼이주자(married immigrant)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경제적 성장이 지속되어도 대부분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들은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가난하게 살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받고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들이 바로 21세기 초엽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형태의 가난한 사람(the poor)들이다. 이들을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poverty), 가난한 이들(the poor)의 모습,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하느님의 배려와 사랑, 지도층과 부유한 자들에 가난한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활동과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의 현실과 그들의 삶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의 삶의 모습은 바로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성서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당시 사회의 소수자로써 자신들의 삶을 제대로 꾸려갈 수 없었고, 쉽게 왕과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로 고통 받고 있었다. 오늘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사회의 3D업종에 종사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저임금과 차별과 착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문화가정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한 가정에서 아내요 어머니로서 삶을 살고 있지만 대다수의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과 무시 속에서 궁핍한 삶을 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족들마저 그러한 삶을 살고 있다. 하느님은 당신 예언자들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요구하였고, ‘계약의 책’(book of the convent)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가난한 이들을 돌볼 책임이 있으며, 이들을 돌보는 것이 곧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증거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축복을 받는 길이다. 성서의 바로 이러한 가르침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이 이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인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들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 해답은 곧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와 교회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은 이주민들의 삶을 바로 알고 이들의 권리를 인정해야 하며, 이들이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선의의 사람들과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신앙을 증거하고 선포하는 길이다. The rapid economic growth changed the life’s appearance and the social figure in Korea. In 2010 there are almost 120 thousand foreigners in Korea which is full of the consciousness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o anywhere in our country they meet alie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Even though the economic growth has continued recently, the majority of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poor without receiving the favor from economic growth and live in social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21st century they are a new class of the poor in Korea. How do we understand this situation and how do we receive them in the Christian vis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first of all in the Bible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poverty, the appearance of the poor, God’s consideration and affection to the poor and how does the class of social leaders and riches treat them. And we looked into Jesus Christ’s teachings and activities to the poor. We investigated the reality of lif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 can identify the figur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ppearance of life of the poor in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Indeed, the poor in the Bible didn’t make a bare living as the minority in the society. And they suffered the oppression and the exploitation of the political leaders and the rich. Now the alien workers don’t get out of difficulty of low wa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nevertheless they labor in the industry of 3D and discharge the member of our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an becomes a me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so she is the wife of a man, a mother of her children and a housewife of a home. But the married immigrant woman and her family are in strained circumstance and suffer difficultie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prejudices. Through the prophets God asked to the people who protect the rights of the poor provide protection for the poor and established the rights of the poor through the book of the convent. Therefore, Israelites has the responsibility to give assistance to the poor. It is a testimony of the faith in God and the way of the blessing of God. In this teaching of the Bible we can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ich we have to determine a certain attitude to the poor in this age who are the alien work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swer is that the Church, the mystic body of Christ, and the Christian, the member of the Church, have to know the real life of the immigrants, recognize their rights and endeavor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with the men of good will. It is the testimony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 faith in this age.

      • KCI등재

        빈곤층의 거주 지역에 따른 근린환경과 사회적 관계

        김남줄(Kim Nam-Jool)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7 亞細亞硏究 Vol.50 No.2

        This study examines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social relations among five different residential areas of the poor. The data show that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building areas in cities have better residential facilities but have more problems with regard to minor crim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than other areas. Since the areas have strong negative reputation, the poor in the areas want to move out. On the other hand, rural areas have poor residential facilities but have good reputation and little problems with regard to crim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poor in the rural areas want to stay in their present regions. In general, the poor has only a few resources getting from social relations. In case of the resources getting from relations with family and relatives, regional difference disappears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size of the family and relatives. With regard to the support from friends and neighbors, urban-rural social relations seem to appear except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building areas. The poor in rural areas receives or expects the greatest informal support, the poor in the urban-rural mixed areas next, and the poor in the old poverty areas in cities the least. While the support from fellow workers and fellow believers is not related to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poor, the support from social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seems to be related to density of the popula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poor in the areas. The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for the poor are concentrated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building areas in cities. So the poor in the areas receive more support of the kind. The poor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building areas in cities makes the most of the formal resources from government by the laws and public institutions, while the poor in rural areas makes the least of those resources. On the whole, the policy of the rental apartment buildings for the poor can be judged positively, although there are problems occurring due to concentration of the poor.

      • KCI등재

        연구논문 : 18세기 잉글랜드 워크하우스(Workhouse)의 성격 변화

        강명수 ( Myung Su Kang ) 영국사학회 2013 영국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18세기 잉글랜드 워크하우스의 역사를 도덕경제의 쇠퇴라는 사회경제적 변화와 연관 지어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1601년 제정된 엘리자베스 구빈법은 두 가지 핵심 사항을 담고 있다. 첫째 이 법은 구빈을 개별 교구의 책임으로 규정했고, 둘째 구빈시설을 통한 빈민 노동을 적극 권장했다. 두 번째 사항은 이후 워크하우스의 건립으로 구체화되었다. 워크하우스는 17세기 말 존 캐리(John Carry)와 존 벨러스(John Bellers) 같은 사회개혁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빈민들을 갱생시켜, 협동 공동체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교구와의 갈등과 재정 문제로, 끝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1723년 시행된 워크하우스 심사법은 빈민의 고용과 숙식을 위해 교구행정가들이 워크하우스를 구입하거나 임대하는 것을 합법화함으로써 워크하우스 역사의 전기를 마련했다. 이 법은 워크하우스 입소를 거부하는 빈민에게서 구빈 수혜 자격을 박탈한다고 명시했다. 교구행정가들이 노역장 운영의 중심으로 부상함에 따라 워크하우스의 목표는 구빈 비용 절감에 맞추어졌다. 이에 따라 워크하우스는 빈민 갱생이라는 기존의 목표를 잃어버리고 도제 연수를 알선하거나 고아를 돌보는 시설로 전락했다. 워크하우스 입소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빈민들의 불만은 높아져갔다. 실제로 이러한 불만은 1765년 서퍼크(Suffolk)에서 소요사태를 야기했다. 그러나 워크하우스는 더욱 더 엄혹해졌다. 결국 워크하우스는 도덕경제를 바탕으로 빈민들을 다시금 사회로 환원하는 시설에서 자본주의적 감시와 통제를 통해 수동적인 빈민노동자를 양산하는 시설로 변화하여갔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a history of the English workhouses in the context of a socio-economic transition, the decline of moral economy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Elizabethan Poor Law of 1601 which combined previous scattered poor laws carried forward the two principles that parishes should play a role as poor relief agency and that the able-bodied poor should be set to work in institutions. The second prescription led to establishing the workhouses. It was not until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at social reformers including John Carry and John Bellers began to build the workhouses. They intended to give the poor, alienated form community, opportunity to learn skills and letters in the workhouses. Their ultimate goal was to rehabilitate the poor and reconstruct cooperative community. However, they turned out to be unsuccessful in accomplishing the goal in the end, because of conflicts with parish authority and financial problems. The Workhouse Test Act of 1723 which was enacted by assistance of the parish authority and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SPCK),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the workhouses, prescribing that it shall be lawful for parish officers to purchase or hire any house or houses for the lodging, keeping, maintaining and employing any or all the poor. As a result, Parish officers have gradually taken over the workhouses from social reformers. Furthermore, the act said that in case any poor person refuses to be lodged in the workhouses, he or she would not be entitled to ask or receive relief. And then, the poor were forced to enter the workhouses inevitably. As the parish officers came to take over the workhouse, their aim was nothing more than reduction of relief cost. Therefore the workhouses lost the previous role of rehabilitating the poor, and were reduced to agencies which arranged apprenticeship or nursed illegitimate children. The inevitability of entrance into the workhouses provoked the poor to have antipathy against them. Actually the animosity resulted in a riot in Suffolk during 1765. Despite the fact that the leaders of mob insisted the poor should be maintained, enjoy liberty and be their own masters as before, the workhouses became more rigorous. Finally, the workhouses were transformed from the institutions of restoring the poor to the society based on moral economy into those of bringing up the passive laboring poor through capitalistic control and supervision.

      • KCI등재

        구티에레즈의 가난에 대한 연구 : 영성 신학적 관점으로

        최정훈(Jung-Hoon Choi)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9

        메데인 문헌과 푸에블라 문헌에서 나타난 라틴 아메리카의 가난에 대한 신학은 연대성과 사회 정의와 관련된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라는 가난의 영성을 제시했는데, 구티에레즈의 신학은 이러한 흐름의 시초라고 평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는 페루 신학자인 구티에레즈의 가난과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을 영성 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가난과 가난의 영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특징과 공헌, 한계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 평가했다. 그는 성서를 기반으로 ‘부끄러운 처지’로서의 물질적 가난과 ‘영적 어린이’로서의 영적 가난, 이 두 가지 의미의 개념을 제시한다. 그리고 세 번째 의미로서의 가난은 ‘연대와 저항에의 투신으로서의 가난’이며 후에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란 말로 표현되는데, 이것이 그가 제시하는 가난의 영성이라고 볼 수 있다. 가난의 원인을 없애기 위해 가난한 이들과 연대하여 가난한 이들 세계에 들어가 스스로 가난한 이가 되는 이 실천(prassi)이 바로 구티에레즈의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다.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은 공동체적이고 현실적인 영성이며, 동시에 하느님 중심적, 그리스도 중심적인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이 영성 안에 관상과 실천이 통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티에레즈는 이 영성을 통해서 가난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관점을 제시했고, 현실에서 고통받고 있는 가난한 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가난의 구조적인 원인에 대해서 주목하고, 연대적 가난 안에서 물질적 가난과 영적 가난이 어떻게 통합되는지 설명한다. 하지만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 가난한 계급에 들어가는 것으로 환원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가난한 이들이 느끼고 행하는 것을 교회가 따라야 할 진리인 것처럼 절대화하는 인상을 주는 위험성도 보인다. 교회는 이 위험성을 경계하면서도 구티에레즈의 의미있는 영성적 기여를 받아들여야 한다. 가난한 교회, 가난한 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희생적인 교회의 모습이 복음 선포라는 자신의 본연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할 것이다. The theology of poverty in Latin America in the Medellin and Puebla documents suggested the spirituality of poverty as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related to solidarity and social justice, and Gutierrez’s theology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of this tren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overty and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of Peruvian theologian Gutierrez from a spiritual theological perspective. An attempt was made to organize the concept of poverty and the spirituality of poverty that he suggests, and to analyze and evaluate its characteristic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Bible, he presents the concept of two meanings of poverty: material poverty as a ‘scandalous situation’ and spiritual poverty as ‘spiritual childhood’. And ‘poverty as a commitment to solidarity and protest’, which is later expressed as the‘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defines poverty as the third meaning, which can be seen as the spirituality of poverty that he suggests. This practice (prassi) of becoming poor by entering the world of the poor in solidarity with the poor in order to eliminate the cause of poverty is Gutierrez s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is a communal and realistic spirituality, and at the same time has theocentric and Christocentric characteristics. So we can see that contemplation and practice are integrated in this spirituality. Through this spirituality, Gutierrez presented a new theological perspective on poverty, aroused interest in the poor who are suffering in miserable reality, focused on the structural causes of poverty, and explained how material and spiritual poverty are integrated in solidarity poverty. However, there is also the danger of giving the impression that he reduces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to entering the poor class, and absolutizes what the poor feel and do as if it were a truth that the church should follow. The Church must be wary of this danger, yet accept Gutierrez’s meaningful spiritual contribution. The poor church, a sacrificial church that prefers the poor, will effectively carry out its mission of proclaiming the gosp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