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에 나타난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영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모자화 반응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고, 모자화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평가하는 진단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369명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자아탄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정으로 Scheffe-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모자화의 반응특성 차이는 모자화의 종류, 신체 접촉, 눈 맞춤, 아이의 성별, 아이의 연령, 어머니의 연령, 모자의 생각, 친밀감의 대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모자화에 나타난 자아탄력성은 남녀학생 모두 신체접촉과 눈 맞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에 남학생은 첨가물 수, 아이의 성별, 그림 속 자신에서, 여학생은 아이의 연령, 어머니의 연령, 모자의 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자화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sponsive characters of the mother and child drawings, seeking a possible application of the mother and child drawing test as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 ego-resili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69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you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survey was based on mother and child drawings and the ego-resili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t-test, χ² test, and Scheffe-test as a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les had a higher ego-resiliency rate than females, which showed the differences in students’ gender. 2. There was a significant mother and child drawing difference in kinds of mother and child drawing, body contact, eye contact, gender of child, age of child, age of mother, thoughts of mother and child and attachment to mother and child. 3.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body contact and eye contact in both genders for the ego-resiliency in mother and child drawings. Additionally, male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ttachments, gender of child and themselves in pictures. Female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f child, age of mother and actions of mother and child.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other and child drawing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measure ego-resiliency i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 파악을 위한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의 반응특성 차이 연구

        김미현,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에 따른 모자화 반응 특성을 알아보고, 모자화가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등에 있는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또래관계수준 파악을 위해 우정지각척도(FFIYC)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점수의 상, 하위 집단을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요인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에 따른 모자화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에서는 모형태, 모크기, 자 얼굴표현의 수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PDI에서는 자연령, 모자행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하위요인에 따른 반응 차이는 긍정요인인 자기표현, 인정, 도움에 따른 모자화 그림 반응특성은 모의 형태, 모자 표정, 모자 얼굴표현의 수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긍정요인의 PDI에서는 자의 연령, 모자행위, 친밀감을 느끼는 대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래관계 부정요인인 배타성, 갈등에 따른 모자화 그림 반응특성의 차이는 모 얼굴표현, 자 크기 등 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요인의 PDI의 반응특성이 나타난 항목은 자 연령, 생각하고 있는 것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자화가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according to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ther-and-child drawings as indicators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300 friends of adolescent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conducted Friendship Perception Scale(FFIYC) to identify the level of Friendship and peer relations. For the data analysis, the score and the subgroup were express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crossover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the episodes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in accordance with the peer relationship level of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 type, size of mother, etc. Post Drawing Inquiry(P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age, mother-and-child behavior.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response according to positiv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are mother shape, mother-and-child expression, etc. The Post Drawing Inquiry(PDI) response characteristics showed the child age, mother-and-child behavior, etc.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response according to negativ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are number of mother face expression, child size, etc. The Post Drawing Inquiry(PDI) response characteristics showed the child age, etc.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other-and-child drawings can be used as a tool to grasp the degree of peer relations in adolescents.

      • KCI등재

        유아의 정서행동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

        이정원,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5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other-and-child drawings are useful in reading five-year-old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five-year-old children. They were selected from 9 early-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S city. They took CBCL and mother-and-child drawing examination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emotional behavior: general group, subclinical group, and clinical group. Differences of reac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drawings were checked by crossov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a young child’s mother-and-child drawing reflects the child’s experience on his or her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Second, among the many indicators, facial expressions and physical contacts between the images show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size of drawing and eye contact between mother and child in the drawings can be regarded as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 CBCL is not very closely related to the scores of mother-and-child drawing examination, but the relationship is still meaningful. So, the two factors—namely, size of drawing and eye contact—can be useful indicators in examining a child’s level of emotional behavior. Again, mother-and-child drawings can be seen as the child’s expression of psychological status and emotion toward the mother.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정서행동수준에 따른 모자화의 유용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9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11명이며, 유아행동평가척도와 모자화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의 구성은 유아의 정서행동수준에 따라 일반집단, 준임상집단, 임상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 간의 모자화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모자화는 유아가 경험하는 어머니와 아이의 모자관계를 투영하고 있다. 둘째, 유아의 정서행동수준에 따른 모자화의 그림분석지표 중 모자화의 표정과 신체접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모자화의 크기와 눈 맞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행동평가척도 점수와 모자화검사 점수는 낮은 상관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행동수준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모자화 그림분석지표 중 모자화의 크기와 눈 맞춤이 의미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모자화는 유아가 느끼는 어머니와 관계에 대한 심리적 상태와 감정을 용이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에 따른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 반응특성 연구

        김은숙(Eun-Sook Kim),정영인(Young-In Chu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2

        본 연구는 모자화 반응특성에 따라 아동의 심리적 어려움을 진단하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 소재의 초등학교 2곳의 4∼6학년 464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에 따른 모자화의 반응특성 연구를 위해 상관계수를 통한 일치도와 집단분류를 위해 기술통계와 동질성 검사를 위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부적응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간 모자화 그림지표에 따른 반응특성의 차이에서 아이상의 표정, 어머니상의 표정, 모자상의 크기, 모자상 신체접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심리적 부적응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간 모자화 PDI지표에 따른 반응특성의 차이에서는 아이상 연령, 아이상 행위, 모자상 행위, 모자상 생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자화가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을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mother and child drawings as a tool for diagnos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responsiv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64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gi-do Province to investigat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 and child drawing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hildren descriptive statistics for consistency and group classification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ss-tabulation for a test of homogene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between a group with low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a group with hig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 index of mother and child drawing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of child image and mother image, size of mother-child image, and physical contact with the mother-child image. Second, as for the differences in respons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DI of mother and child drawings between the group with low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group with hig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of child image, action of child image, action of mother and child image, and thought of the mother-child image. Thus, through these results of study, it was found that mother and child drawings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hildren.

      • KCI등재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 반응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비교 연구

        정영인(Young In Chu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9

        본 연구는 20-30대 미혼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모자화 반응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를 알아보고, 모자화가 기독교 교육현장에서 청년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거주 중인 20-30대 미혼 남녀 273명(기독교인 130명, 비기독교인 14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모자화 그림검사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 차이를 비교한 결과 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모자화 반응특성 차이는 아이상에서 형태, 표정, 신체부위 생략, 어머니상에서 형태, 표정, 모자상에서 종류, 신체 접촉, 눈 맞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모자화의 반응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은 기독교인은 아이상에서 크기, 어머니상에서 표정, 크기, 모자상에서 신체접촉, 크기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비기독교인은 아이상에서 형태, 얼굴 표현, 크기, 모자상에서 눈 맞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자화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하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독교 청년의 심리를 파악하고, 비기독교인과의 차이를 통하여 20-30대 미혼 청년들의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과 신앙인으로서 정체성 확립 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to fi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mong 20-30 years old singl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nd use the drawing as a tool to identify their actions in Christian education institute. Participants were 273 (130 Christians and 143 non-Christians) singles who are 20-30 years old in greater Seoul areas.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mother-and-child drawing tes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t-test, χ²-test, one way-ANOVA, and Scheffe-test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Christians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stat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non-Christians. 2.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among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rmality, expression, omission of body parts of child figures, and formality, expression, kind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body contacts, eye contacts of mother figures.3. Among Christian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ze of child figures, and expression, size, body contact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size comparison of mother figures. Among non-Christians,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formality, facial expression, size, eye contact of mother and child figures of child figures. This study suggests the mother-and-child drawing can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20-30 years old singl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lso, this study recommends to use the drawing as a fundamental resource to acknowledge Christians’ actions an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Christian education by comparing 20-30 years old singl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 KCI등재

        청소년의 교우관계 선별을 위한 모자화(Mother-and-child drawings) 타당화 연구

        김미현(Kim, Mi-Hyun),이근매(Lee, Keun-Mae)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선별하는 도구로서 모자화의 타당화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등에 있는 청소년 699명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교우관계 선별을 위해 아동․청소년 교우관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모자화 검사에 대해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일치도, 반분신뢰도, 내적 일치도를 구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모자화 검사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청소년 교우관계검사와 모자화에서 추출된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첫째, 청소년 대상 모자화 점수지표에 의한 신뢰도는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신뢰도, 반분신뢰도, 내적 일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예비연구의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일치도는 매우 높은 신뢰로운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분신뢰도 값과 내적 일치도는 적정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모자화 채점지표 대한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반분신뢰도와 내적 일치도는 예비조사보다 높은 신뢰도 값을 나타내며 적정수준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청소년 대상 모자화 채점지표에 의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는 모자화 채점지표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추출된 하위요인은 2개의 요인이다. 모자화의 요인 1은 크기, 형태이며, 요인 2는 모자상 종류, 표정, 신체접촉, 눈맞춤으로 나타났다. 공인타당도를 위해 아동․청소년 교우관계검사와 추출된 2개의 요인분석 결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모자화 채점지표가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선별해 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s a tool for selecting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For this study, 699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tested using the Korean Inventory of Peer Relationships (KIPR) to assess how they select mother-and-child drawings and their friendships. SPS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the inter-rater agreement, intra-rater agreement,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determined for the mother-and-child drawings test. In order to verify validity,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mother-and-child drawings test, and the correlation was obtained with factors extracted from the KIPR and the mother-and-child drawings test.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score index for adolescents was verified through inter-rater-agreement, intra-rater-agreement,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Second,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of the score index for adolescents resulted in two factors being extract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in the drawings was size and shape, and the second factor was shapes, facial expressions, physical contact, and eye contact depicted in the mother-and-chil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the concurrent validity, the results of the two factor analysis and the KIP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 KCI등재

        부모 동거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 반응특성 연구

        정영인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mother and child drawings and mental health between a group with parents and a non-cohabiting group for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33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the Seoul metropolitan universities. The mother-child test and mental health test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test as a post-hoc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groups not living with parents had a higher social mental health score than the groups living with parent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child’s facial drawing, expression, omission of child’s body parts, mother’s facial drawing, expression, omission of mother’s body parts, eye contacts of mother and child and behavior of mother and child in PDI the groups living with parents. The groups not living with par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s facial drawing, age of child, age of mother and thoughts of mother and child in PDI,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igure of mother and child. In conclusi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as correlated with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mother and child drawings according to whether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Also this could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their mental health.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와 동거하는 집단과 비동거 집단 간 정신건강과 모자화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3명이며, 연구도구는 모자화와 정신건강 검사이다. 자료 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é-test를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동거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정신건강 차이를 알아본 결과 비동거 집단이 동거 집단보다 사회적 정신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자화의 반응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를 살펴본 결과 동거 집단은 아이상의 얼굴 표현, 표정, 신체 부위 생략과 어머니상의 얼굴 표현, 표정, 신체 부위 생략, 모자상의 눈 맞춤, PDI에서는 모자의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동거 집단은 아이상의 얼굴 표현과 PDI에서는 아이의 연령, 어머니의 연령, 모자의 생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어머니상과 모자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부모와 동거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모자화의 반응특성 차이를 알 수 있었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서 모자화가 부분적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 수준 파악을 위한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의 활용가능성 연구

        최진숙,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회피, 애착-불안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모자화가 대학생의 애착 회피와 불안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A시, B시, C시 등 3개시에 있는 2년제 이상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친밀한 관계 경험 척도(ECRS)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차원과 모자화 각 지표 간 상관관계에서 애착-회피는 표정, 얼굴표현 수와 정적상관이 있고, 애착-불안은 모자상의 크기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회피 차원의 상·하위 집단 간의 모자화 반응특성에서는 어머니상의 표정, 아이상의 표정, 눈맞춤, 모자행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 차원의 상·하위 집단 간의 모자화 반응특성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아이상의 크기 비율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모자화가 대학생의 애착-회피, 애착-불안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nd use them as tools to identify college student's avoidance and anxiety dimensions of attachment. Participants were 340 col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three areas of Gyeonggi-do.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Scale (ECRS) and Mother-and-Child Drawing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ttachment dimens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showed that avoidance-attachmen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cial expression and number of facial parts and anxiety-attach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ize of mother and child figures. Second, high and low score groups of the avoidance-attachment dimension in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eye contact and actions of mother and child. Third, high and low score groups of the anxiety-attachment dimension in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revealed difference only in size ratio of child figure to mother’s. This research suggests the Mother-and-Child Drawing can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avoidance-anxiety dimensions of attachment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성인의 애착유형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 연구

        최진숙,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intended to figure out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based on adult's attachment types and provide with fundamental data for identifying adult's attachment types. Subjects for the study were from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to under sixty-year-old adults in middle adulthood, residing in Kyung-ki-do and Choong-chung-do. To analys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based on adult's attachment types, analysis of frequency, Chi-Square test or Variance Analysis(F-Test) were applied to mother figures, child figures, mother and child figures, and PDI by attachment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mother figures facial expressions and numbers of face par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Second, for the child figures facial expressions and numbers of face parts also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s. Third, for mother and child fig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ize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ratio of mother-and-child figures, and eye contact. Fourth, for PD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age and conformity of thinking in mother and child. This research presented a case for the fact that the Mother-and-Child Drawing can be used as an identifying tool for adult's attachment types. 본 연구는 성인의 애착유형에 따른 모자화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성인의 애착유형 선별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충청도의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발단단계상 성인 초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부터 성인 중기에 해당하는 60대 미만의 성인으로 이루어졌다. 성인의 애착유형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애착 유형별로 어머니상, 아이상, 모자상, PDI 각 문항에 대해 빈도분석, 비율검증(X2 검증) 혹은 변량분석(F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상에서는 표정과 얼굴표현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아이상에서도 표정과 얼굴표현 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셋째, 모자상에서는 모자상의 크기 비교, 모상에 대한 자상의 크기 비율, 눈맞춤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넷째, PDI에서는 아이의 연령과 생각하는 모습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는 모자화가 성인의 애착유형을 선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장애아동 모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역할 만족도에 따른 모자화 (MCD) 반응특성

        이남희 ( Lee¸ Nam-hee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3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모의 자아존중감 및 부모역할 만족도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에서 발달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모 16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장애아동 모의 자아존중감 상·하 집단 간에 모자화 그림 반응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자화 검사에서 아이상과 어머니상의 공동지표 6개 모자상의 크기비교, 눈맞춤, 신체접촉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에 대해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아존중감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94.5%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모의 부모역할 만족도 상·하 집단 간에 모자화 그림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상에서 신체형태, 크기, 위치, 아이상에서 신체형태, 위치, 표정, 모자상에서 눈맞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대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아동 모의 부모역할 만족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51.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 모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역할 만족도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 차이를 검증하였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서 모자화 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research was conducted on 163 mothers using the development center in Seoul to investig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ccording to self-esteem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re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MC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lf-esteem group of mothers of with disabled children are as follow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the 6 types of common index, the size comparison, eye contact, and physical contact in MC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lf-esteem group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The discriminative power to accurately predict the high self-esteem group and lower self-esteem groups was 94.5%. The result of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MC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group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mother figure such as body shape, size, position, and in child figure such as body shape, position, expression, and mother-child figure such as eye contact. The discriminative power to accurately predict the upper and low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groups was 51.5%.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in MCD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according to the self-esteem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CD test as an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