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의 도덕성과 존재의 도덕성: 자유의지에 관한 쇼펜하우어의 관점

        장효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2 No.2

        The concept of morality is always in the center of interest in educational practice and theory, as efforts to lead man to the right direction.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we can confirm our morality only by our moral act. Following this common notion of morality, moral education must provide some moral guidelines in everyday life. This idea of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relies on a specific view of 'free will'. In this view, man determines his own act because he has freedom to choose his act. We can call it 'morality of act'. However, in the Schopenhauer's view of 'freedom of will', 'free' is the particular quality of Will, the World as a whole, or the 'Thing-in-itself' in Kant's philosophy. Kant thought, through his analysis of the concept of freedom, that, though man is a part of nature and though his conduct is therefore necessarily determined, he is free and therefore capable of morality. Both Kant and Schopenhauer agree that man cannot be the exceptional being to necessity; that is sufficient reason. But Schopenhauer strictly distinguishes the two aspects of human character: 'empirical character' and 'intelligible character'. By virtue of this distinction, man can have 'morality of being' along with 'morality of act', and 'freedom of human will' in the genuine sense becomes possible. In this aspect of 'morality of being', the moral man is the one who realizes the very essence of his being, taking the dual nature of his character as seriously as possible. His morality emerges from his practical moral act directly caused by his 'compassion', which is also the way of forming his being as Will 사람을 올바르게 기르려는 교육적 관심에서는 언제든지 도덕의 개념 문제가 부각된다. 도덕에 관한 통념에서 도덕의 의미는 행위에만 국한되며, 도덕적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행위지침을 제시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 이런 식으로 규정되는 통념적 도덕은 자유 의지에 관한 한 가지 관점에서 따라 나오는 것으로서, 그 관점에서는 행동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 개인이 자신의 모든 행위를 결정하는 '자유'를 가진다. 그러나 자유의지에 관한 쇼펜하우어의 관점에 의하면, 자유는 총체로서의 세계 그 자체인 '의지'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이다. 그러나 '인간 의지의 자유' 라는 것이 가능한 것은 인간이 경험적 성격과 예지적 성격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존재의 도덕성에서 규정되는 도덕적 인간은 자신의 존재와 세계의 이중적 성격을 가장 세밀하게 인식하는 존재이다. 진정한 세계인식과 자기인식에 도달하는 그러한 인간의 도덕성은 구체적 행위에서 자비심을 통하여 나타나며, 또한 자비심은 의지로서의 그의 존재를 형성하는 경로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도덕적 미와 초등 도덕교육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본 글은 도덕적 미의 체험을 통한 도덕성의 함양 방향에 대해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미와 도덕 간의 조화와 통합을 인정하는 쉴러의 입장은 자율적인 통합적 도덕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초등 도덕교육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리는 도덕성의 미적 측면을 추가하여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목표를 인지적, 정의적, 미적, 행동적 요소가 조화롭게 발달된 자율적이고 통합적인 도덕성의 함양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초등학교 도덕교육은 미적 체험을 통한 감각과 이성의 조화, 자기 이해와 자아 정체성의 확립, 그리고 도덕적, 미적 감수성의 신장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rection for building morality through experiences of moral beauty. To achieve this purpose, at first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morality. The position, which F. Schiller recognized harmony and integration between beauty and morality, gives great suggestions 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which aims to foster the autonomous integrated morality.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the extension of goal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which aims to foster the cognitive, emotional, aesthetical, and active parts of morality so that cultivates an autonomous and harmoniously integrated morality, in addition to the aesthetic aspects.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elementary moral education strives for the harmony of sense and reaso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the establishment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identity, and the cultivation of moral, aesthetical sensibility.

      • KCI등재

        도덕(과)교육과 비판적 사고 - 관점주의적 도덕교육

        구분옥 한국니체학회 2011 니체연구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ietzsche’s perspective of moral philosophy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 for Moral Education, in which the crisis of the postmodernism dominates. Nietzsche’s perspective of moral philosophy is based on the argumentation ‘my’ moral decision or choice would be individual but also general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discussion in which the perspectives of others are partially accepted, my (subjective) perspective becomes my (objective) perspective that is more mature and more general. Perspective morality can be applied to students who are 12 or 13 years old. Therefore,this study will explore how the perspective of Nietzsche’s moral philosophy is embodied and used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is described as pluralism. Postmodernism is cynically argued because it’s often confused with (subjective)relativism or egoism. Therefore we might be missing generalism of morality that emphasizes the absoluteness and generality of morality. Do we have to return to modern moral philosophy to overcome the postmodern? No. The problems that postmodern creates can be solved by correcting and altering the negative aspects of postmodern. Here plays the critical thinking a critical role. There is a strong belief about the power of reason in modern rationalism. Therefore it has been hypothesizing the existence of ‘good itself’ or ‘absolute and general’ morality. The moral education that is based on generalism aimed that metaphysical morality, is regarded as the truth and has rationally recognised its righteousness. But this aspect is strongly deni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moral theory because that perspective, context, and constructive moral reconstruction is not allowed within it.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moral education, learning is rather a process in which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lives and they create their own morality through never-ending renewal of their perspectives. 이 논문의 목적은 도덕철학과 도덕교육의 문제를 니체의 관점주의를 통해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근대의 합리주의는 이성의 힘을 절대시한다. 근대 도덕철학 역시 ‘선 그 자체’ 또는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 원리위에 성립한다. 따라서 보편주의에 입각한 도덕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형이상학적인’ 도덕을 진리로 간주하고 그것의 당위성을 합리적으로 인정하고 수용하여 인격체로서의 삶을 영위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탈현대주의는 보편주의적 도덕철학과 도덕교육에 반론을 제기한다. 탈현대주의는 근대의 도덕 보편주의가 도덕의 구속적ㆍ당위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개인의 ‘구성적ㆍ관점적ㆍ맥락적’ 도덕 재구성 능력을 간과했다고 비판한다. 학습이란 삶의 현장에서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무엇인가를 습득하게 되는 과정이라고 볼 때 도덕규범이나 원리 또한 근본적으로 ‘나’의 관점에서 재구성되고 끊임없이 창조되어야 할 성질의 것이다.

      • KCI등재

        칼빈의 은혜론

        김선권(Sun Kwon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본 논문은 칼빈에게 은혜가 무엇인지, 그 개념이 실제로 그의 저술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개혁은 오직 믿음뿐만 아니라 오직 은혜를 강조했다. 칼빈의 은혜 개념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 행위에 관한 것이다. 인간 편에서 성자에게서 출발하여 성부의 은혜에 이르며, 하나님 편에서 성부에게서 출발하여 성자를 통해 은혜가 주어진다. 성령의 은혜는 우리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지체가 되어, 그리스도 아래 있게 하며, 그리스도를 소유하게 한다. 하나님이 은혜를 시작했다면 그 은혜를 완성한다. 인간 문화의 발전을 위한 은혜는 보편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차별 없이 주어지지만, 구원하는 은혜는 택자들에게만 배타적으로 주어진다. 특별 은혜에 참여하는 자는 일반 은혜의 영역에서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활동을 한다. 하나님의 구속 은혜는 주권적 은혜로 확장된다. 신,구약 구원의 길은 모두 은혜 언약에 근거한다. 언약의 실체인 교리, 믿음, 중보자, 하나님, 성령은 모두 동일하다. 실체는 같지만, 은혜를 전달하는 방식(이 땅의 혜택의 유무), 은혜의 분량(현현의 명확성의 차이), 은혜를 받는 대상(한 민족과 모든 민족)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한다. 구원의 길에 있어서 은혜 언약으로 하나님과 결속된 사람은 언약적 책임을 가진다. 신자의 행위는 하나님과 인간의 의지적 협력이 아닌, 전적으로 하나님의 행위인 동시에 전적으로 믿는 자 자신의 행위이다. 은혜는 효과적이며 활동적이다. 칭의와 성화는 구별되지만 분리될 수 없는 이중 은혜이다. 은혜는 선물로 받는 것이며, 하나님께 돌려드릴 수 없다. 대신 하나님께 감사하며 이웃에게 선물로 돌려준다. 하나님이 받으신 것처럼 이웃을 받는다. 윤리는 은혜의 윤리이다. 자신 안에 어떤 선한 것이 있다면, 은혜의 활동이며 은혜의 열매이다. 하나님이 은혜 주시면서 의롭고 거룩하게 하시는 이유는 순전한 삶 가운데서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기 위함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Calvin’s doctrine of grace. Grace is an act of God’s love for his children. The Reformation claimed sola fides and sola gratia. Calvin’s concept of Grace relates to the saving action of the Triune God.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allows us to become members of Christ, to be under Christ, and to possess Christ. If God has started the work of grace, he will hold it with grace until the end. While the general grac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is universally given to all without distinction, the grace of salvation is given only to those who are elect.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special grace shall also serve for the glory of God in the realm of general grace. God’s redemptive grace extends to his sovereign grace.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Testament are the same in the substance of the covenant of grace. Doctrine, faith, mediator, God, holy Spirit are all the same. In the way of salvation, those who are bound with God through the covenant of grace have a covenantal responsibility. As double grac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distinct but inseparable. Ethics is the ethics of grace. If there is something good within oneself, it is an activity of grace and a its fruit.

      • Moralit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Geoffrey M. Hodgson 한국공공선택학회 2016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4 No.1

        애덤 스미스는 사람들은 이기적 동기(사익 추구)뿐만 아니라 ‘도덕적 동기’에 의해서도 행동한다고 생각하였다. 찰스 다윈은 스미스의 그러한 인간 동기를 ‘진화적으로’ 옹호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스미스와 다원의 주장을 거의 무시해 왔다. 최근 인간은 이기적일 뿐만 아니라 협조적임을 증명하는 실증적 연구들이 자주 제시되 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은 ‘도덕성’(morality)을 이타주의 또는 협조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에 다윈은 도덕성의 특징과 역할을 분명하게 구분하였다. 특히 다윈의 주장 은 순수한 이기심(사익추구)이라는 일반적 생각과 도덕성이 효용 또는 선호의 문제로 축약될 수 있다는 기존 관념에 반대하였다. 도덕 철학자들 간의 보편적 견해에 따르면 도덕적 판단은 순전히 선호나 효용 극대화의 문제로 취급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윈 에 의하면 도덕성이란 ‘옳은 일을 하는 것’(doing the right thing)을 말한다. 도덕성 은 선호나 효용에 우선되는 ‘정의’(justice)의 개념을 수반하며, 도덕적 판단은 감적적 느낌이나 이성적 주장에 의해 보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도덕성은 편리, 관습, 순응 등의 문제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도덕적 감정은 학습된 문화적 규범이나 규칙에 의해 앙양된다. 또한 도덕성은 사회적으로 감정적 규칙들과 관련된 ‘집단적’ 현상이다. 본 논문은 ‘다윈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도덕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도덕 성은 진화적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현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핵심적 주장은 ‘도덕성이 진화적·사회적 현상이기 때문에 개인 의 선호나 효용으로 축약될 수 없다’는 점이다. Adam Smith regarded individuals as driven by moral motives as well as self-interest. Charles Darwin also provided an evolutionary vindication of Smith’s view of human motivation. But it was ignored by most economists. There is now an enormous body of empirical research confirming that humans have cooperative as well as self-interested dispositions. But many accounts conflate ‘morality’ with altruism or cooperation. By contrast, Darwin established a distinctive and vital additional role for morality. Darwin’s argument counters the idea of unalloyed self-interest and the notion that morality can be reduced to a matter of utility or preference. A widespread view among moral philosophers is that moral judgments cannot be treated as matters of mere preference or utility maximization. Morality means “doing the right thing”. It entails notions of justice that can over-ride our preferences or interests. Moral judgments are by their nature inescapable, and are buttressed by emotional feelings and reasoned argument. Morality differs fundamentally from matters of mere convenience, convention or conformism. Moral feelings are enhanced by learned cultural norms and rules. Morality is a group phenomenon involving deliberative, emotionallydriven and purportedly inescapable rules that apply to a community.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amine the moralit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Moral motives have evolutionary origins and are sustain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morality is a social as well as an individual phenomenon. Thus, main argument in this paper shows that morality cannot be reduced to individual preferences or utility.

      • KCI등재

        도덕과교육은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김상돈 ( Kim Sang-d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5

        도덕과교육은 학생들의 도덕성의 변화 내지 발달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이 ‘어떤 도덕성’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도덕과교육이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도덕교육이론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서 논의되는 도덕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도덕성에는 인지적 요소뿐만 아니라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이미 통합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토대로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도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원론적 견해를 지지하면서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을 활용하여 발달 단계를 고려한 도덕과교육의 목표는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더욱 강조된 도덕성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defines morality in moral eduction theories as moral traits and moral characters to make change by moral education and then analyzes the morality of L.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result, its morality presupposes an integrated elements including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lready. This paper basically agrees that the morality as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also must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approach.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be set up along with development stages and that emotion and behavior should be more stressed than cognition for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based on moral education theories of Plato and Aristotle.

      • KCI등재후보

        A Study on Dividing the Functional Sphere to Measure the Level of Morality - focusing on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박균열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4

        Morality is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 value judgment and action. Thus the moral problem could seem to have to do with that of value direction in all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In this sense, unification consciousness may also be explored in the level of morality. Functional spheres of diverse forms need to be contemplated in order to enhance unification consciousness. Concluded courses of these spheres are similar to those of statistical factorial analysis. The existing morality have been taken account of under the concept of moral reasoning, and such concepts as moral judgment, moral sensitivity, moral implementation and so on have appeared in compliance with an extension of it. a territorial theory has been brought up as reverberations to this approach. The territorial theory emphasizes attributes of conventions. After this study analyzes conventional changing process of morality measurement theory, which has measured valu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 it points ou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proposes that moral func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 alternative. We arrive at implications through measurement of unification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it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

        이인태,박균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3

        Th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activated in all branches in the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of South Korea. Specially moral education has taken core role for character education. Because moral education has well organized system as follows: theory and practice, university and curriculum to train teachers for moral education. Current moral education has shown some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morality. This problem could also be brought in character education. Verification of teaching is a very important course of action in school education. It must be devoted to make foundation to start next stages. In measuring the morality, even the moral psychology has taken very important position, its role has been limited to make solid base the academic position. In Korea, moral psychology must be the found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propose that teachers for character education can deal with process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related character construct, (2)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implementation, and (3) Analysis of results and sugges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Each steps has been shown with specific examples. Based on thes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moral competence will be used in moral education. Moral competence can imply to give construct factor which is very important source in measuring the morality. 현재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은 범교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덕과 교육은 학교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 역할을 수행한다. 왜냐하면 이론과 실천, 양성기관과 교육과정 등에서 모든 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행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인 경향이 그러하듯이,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효과 검증은 향후 교육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성 측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주로 도덕 심리학 분야에서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도덕 심리학적 조류는 또 하나의 교과 이론에 안주하고 있다. 도덕 심리학에 대한 이해는 도덕과 교육에서 효과성 검증을 위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현장 교사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검증 절차를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도덕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해 볼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화면을 통해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단계를 제시한다. ①도덕과 성취기준 분석 및 관련 인성 구인 추출, ②측정 문항 선정 및 측정 실행, ③측정 결과 분석 및 향후 교육 시사점 도출의 단계. 본 연구는 향후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 측정 면에서의 과제를 제시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은 국가 교육과정 설계상에서 효과 측정을 위한 명확한 구인을 설정하는 데 제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적 역량 개념을 도덕과 교육과정 속에 포함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하곡학파 수양론의 도덕 심리학적 이해 − 도덕적 인지의 실행 문제를 중심으로 −

        김윤경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본 논고는 도덕적 인지의 실행 문제가 현대 도덕 심리학과 하곡학파 수양론의 공통된 문제의식이었다고 보고, 그 이론과 대안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하곡학은 콜버그(Kohlberg)의 도덕 심리학이 신경과학에 힙입은 직관주의의 도전을 받고, 다시 합리주의를 보완하거나 직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시도가 발생하게 된 몇 가지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먼저 하이트(Haidt)를 중심으로 한 직관주의가 도덕적 추론은 도덕적 행동과 연결되는 힘이 매우 약하며, 도덕적 처리 과정은 직관을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도덕적 의사결정 자체에 추론이 개입될 틈이 없다는 문제의식을 들 수 있다. 이는 지행합일(知行合一)명제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그러나 하이트는 직관을 선천적 모듈과 사회적 문화화를 통한 복합체로 이해하고 문화화를 더욱 강조한 반면, 하곡학파는 도덕 주체의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반성적 성찰을 중시했다. 이런 도덕주체의 문제는 블라지(Blasi)의 도덕정체성론과 상통한다. 블라지는 콜버그가 말하는 도덕적 추론이 실행으로 연결되지 않는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행위 주체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겉으로 도덕적으로 보이지만 그 동기는 사익의 추구나 관습적 내면화 요인 등으로 부도덕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하고, 진실성을 지닌 자아와 도덕성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도덕적 주체, 자아의 문제는 자기 자신의 감찰자로서 양지의 본래적 회복을 중시하는 하곡학의 견해와 유사하다. 또 블라지가 제시한 자기기만의 문제도 하곡학파의 가도의(假道義)론과 상통한다. 블라지의 정체성론을 더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직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을 제시한 도덕 심리학자는 나바에츠(Narvaez)다. 나바에츠는 통합윤리 모형과 도덕적 메타인지를 통해, 도덕적 전문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덕적 직관과 도덕적 추론을 대등하게 통합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이는 격물궁리(格物窮理) 공부가 치양지(致良知) 공부로 수렴되는 것으로 본 하곡학파의 수양론과 유사하다. 하곡학에서 치양지는 양지의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시켜 완전성을 회복하는 것인데, 치양지 과정 중에 구체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지적인 탐구로서 격물궁리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하곡학과 도덕 심리학이 공유하는 도덕의 문제는 시대를 관통하는 인간의 실존적 고민을 보여주며, 전통사상의 현대화 필요성을 일깨워 준다. This paper sees that to implement moral perception was the common issue of the modern moral psychology and the self-discipline theory of Hagok School, and analyzes and compares thses theories and their alternatives. In the theory of Hagok School exist several critical questions same as the ones which arose as a series of attempts by Kohlberg's moral psychology to make rationalism better or overcome the limits of intuitionism after the moral psychology was challenged by the intuitionism reinforced by neuroscience. The first critical question is that the moral reasoning of Haidt's intuitionism is not strong enough to be connected to moral action, and because in that theory the moral processing is automatic by intuition and thus there is no room for reasoning to work in the moral decision-making. This is clearly observed in the proposition of Jihanghapil. However, whereas Haidt understands intuition as a complex originated from both an innate module and social enculturation and thus emphasizes enculturation aspect more, Hagok School put more stress on active and voluntary and reflective self-examination. Such issue of moral subjec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Blasi's moral identity theory. Blasi saw that in order to solve the synchronizing issue that moral reasoning is not connected to practice in reality, the subject of action must form a moral identity first. In addition, he argued that we must keep in mind that even when someone looks moral, he or she could be immoral due to the tendency of pursuing one's own interest or customarily internalized factor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the self of sincerity with morality. The issue of moral subject and self is similar to the view of Hagok School which emphasizes ‘Yangji’s restoration to its original state as a self-inspector. In addition, Blasi’s issue of self-decepti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gadoui of Hagok School. It is a moral psychologist Narvaez that developed Blasi’s identity theory and proposed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s of intuitionism. Narvaez suggested an educational method which can improve moral professional technique through an integrative ethical model and moral meta-cognition. In this process, he devised a method to integrate moral intuition and moral reasoning evenly. This is similar with the self-discipline theory of Hagok School which saw that studying kyukmulgungri would converge on studying chiyangji. In Hagok School, chijangji means yangji’s recovery of moral sensitivity to restore its integrity, in which process Hagok School saw kyukmulgungri occurring as an intellectual inquiry to understand specific situations and find an alternative. The moral questions shared by Hagok School and the moral psychology show the existential concern of human that penetrates the times and enlighten the needs to modernize traditional ideas.

      • KCI등재

        도덕심리학의 흐름 및 쟁점과 도덕과교육의 과제

        이정렬 ( Jeong Ryeol Lee ),정창우 ( Chang Woo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7 No.1

        Moral psychology is a field of study about the cause and mechanism of moral or im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Moral psychology as one of scientific backgrounds for moral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whol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moral education through descriptive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and adolescents`` moral developmen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ffer an overview of history and influential theories in the field of moral psychology, discuss core current issues in this field, and then, finally, explore tasks and new direction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moral education. Moral developmental theories ar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research methods, the way of defining morality and moral domain, and the focus of viewing human nature. These theories have usually different viewpoints, come into conflict with one another, or try to integrate strengths of each of those approaches. As a result, these characteristics can give insights and ideas about human morality and integrated morality. Studies in the area of moral psychology suggest the convergence towards moral development and the cultivation of moral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cognition, emotion and action, the integration of moral domain and conventional domain, and the integration of universal morality and the specific and contextualised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