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현지원(Hyun, Jiwon),이연숙(Lee, Yeunsook),안소미(Ahn, Som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Housing space is the most basic living space in human life, and proper housing space is a space that directly affects human healthy life and happy life. Although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has already been studied in many advanced countries for a long time, the importance of "minimum housing standard" has been overlooked in Korean housing culture. In Korea,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s considered to exist but it is even becoming a exis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focusing on domestic articles.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echnique. A total of 32 preliminary studies on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in Korea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7, which was insufficient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s a subject that should be constantly of interest to the government, and it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In addition, research that reflects changes in households and social conditions should contin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research fo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n the future.

      • KCI등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요인의 특성 연구

        이성재(Lee Sung-Jae)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characteristic of factor in the substandard hous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n the case of Jeonju city.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made the most use of the '2005 census', classified the type of the substandard hous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by drawing the important factor to can be analyzed. And then, classified into three large groups to the dwelling environment, examined closely the characteristic in the substandard housing of minimum housing standar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grouping. The result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s. The lower housing supply ratio and apartment ratio in the housing(type 1), the higher the ratio of the substandard hous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the substandard housing of the bedroom standard have an effect on substandard hous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an the equipment standard in the detailed factor deciding substandard hous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e higher housing supply ratio and apartment ratio in the housing(type 3).

      • KCI등재

        주거권 보장의 관점에서 최저주거기준에 대한 행정법적 연구

        임성훈(Sunghoon Lim)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1 행정법연구 Vol.- No.66

        우리나라 주거기본법은 실정법적 권리로서 주거권 및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저주거가 완전히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최저주거기준이 국가가 최소한의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실효성 있는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최저주거기준이 임대인과 임차인의 법적 관계에 대한 국가 개입의 기준으로 작용함으로써 최저주거기준이 실효성있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법적인 개선 방안 마련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영국과 미국에서 주거적합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 준수에 관하여 임대인에게 규제를 부과한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영국은 2004년 주택법 이전부터 최저주거기준 및 다중주택(HMO)에 대한 등록제 및 사후적 규제 수단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량 임대인으로부터의 임차인 보호 강화를 위하여 2004년 주택법에서 다중주택에 대한 허가제도를 도입하고 최저주거기준을 주거위생안전평가체제(HHSRS)로 개편하였다. 그 이후에도 2016년 주택계획법에도 불량 임대인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조치를 도입하였고, 2018년 ‘인간 거주에 적합한 주택법’에서는 임차인이 임대인에 대하여 주거기준 보장을 직접 법원에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등 임차인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여러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오고 있다. 미국은 20세기 초중반에 주택규정에서의 주거기준을 도입하면서 각 지방에서 이를 집행하기 위한 여러 법적 수단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집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법원에서 주택규정상 주거기준 준수를 직접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주거적합성의 묵시적 보장’이라는 법리로 인정하였다. 그렇지만 미국에서도 이 법리가 특히 저소득층의 주거환경 보장을 위해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직면하여 저소득층에 대하여 주거적합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영국과 미국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최저주거기준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행정법적 집행이 시도되었으나, 재원 등의 부족으로 그 집행이 부족한 상황에서 임차인의 임대인에 대한 민사법상 직접청구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만, 미국의 논의에서 보듯 그 또한 저소득층의 주거적합성 보장에 있어 일정한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최저주거기준의 보장을 위한 행정법적 집행 또는 직접청구권의 인정 여부는 법리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어떻게 운용되는지도 그 실효성 확보에 관건이 됨을 알 수 있다. 행정법적 관점에서 최저주거기준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 영국과 미국의 주거기준과 비교하여 환경 및 위생과 관련한 불명확한 기준을 집행이 가능하도록 구체화하는 한편 공공주택이나 신규 주택에 대한 전반적인 주거수준 향상의 기준과 별도로 국가의 최소한의 보호의무의 기준으로서 주거 약자에 대한 지원 및 행정적 집행 및 법원의 판단 기준으로 적용될 있도록 최저주거기준의 충실화 및 그 기능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최저주거기준의 보장을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행정이 구체적인 기준 수립 및 조사·집행을 하되, 행정적 집행이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법원의 개입에 의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정과 법원의 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거권 보장이 취약한 주거 약자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국가 개입 수단으로,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의 보조금 지급 대상 주택에 대한 주택품질기준(HQS) 준수 여부에 대한 조사 제도를 참고하여, 주거급여 대상자 입주 주택에 대한 선별적 조사 및 집행의 우선적 도입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The Framework Act On Residence of Korea has stipulated the housing rights and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However,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minimum housing for a humane life is not yet fully guarantee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are being applie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minimum protective measur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eparation of administrative law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should be effectively guaranteed as a standard for administrative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ant and the landlor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experience of he UK and the US. Prior to the Housing Act 2004, the UK had a registration system of houses in multiple occupation(HMO) and ex post regulatory measures for the Housing Fitness Standard. Nevertheles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tenants from bad landlords, the Housing Act 2004 introduced a licensing system of HMO and the Housing Health and Safety Rating System(HHSRS). After that, measures to strengthen sanctions against bad landlords were introduced in the Housing and Planning Act 2016 and The Homes (Fit for Human Habitation) Act 2018 gave the tenant the right to claim the housing rights directly to the court. In summary, the UK has continuously come up with several measures to guarantee tenants" housing rights. The US introduced the housing standards in the Housing Code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and prepared various legal means to enforce them. But such enforcement was not carried out properly, and accordingly, the right of the tenants to directly claim the application of the housing standard in the court was recognized based on ‘the implied warranty of habitability’. However, even in the U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above legal principle is not well applied for the low-income class, various measures are being discussed for practically guaranteeing the habitability for the low-income class. In light of the experiences of the UK and the US,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forc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First of all, the current standards, which are less clear than those of the UK and the US, should be improved.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should be re-recognized as the standard of the state"s minimum protection obligation for the low-income class. In order to guarante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must first establish specific standards and conduct investigations and enforcement. It is desirable to enable collaboration between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and the courts by allowing the court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administrative enforcement. In addition, as a more realistic means of protecting low-income households, by referring to the system of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HUD), which checks whether subsidized housing meets Housing Quality Standards(HQS), the investigation of the housing of the tenants who receive housing subsidy and the correction order of substandard housing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읍,면 지역 최저주거기준 방향 설정 및 기준안 제시

        윤희정 ( Hee Jeong Yu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2

        The federal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ed several housing policies attempting to improve living quality at Eup-Myun area(rural area), but those were mostly fund supports to reconstruct or repair houses. Existing minimum housing standard is focused on urban apartments and indoor space, but the houses of Eup-Myun area are scattered and are different from urban`s house spa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se area, and intended to propose suitable minimum housing standard for Eup-Myun area.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bout housing standard of England, U.S., Japan and South Kore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50 experts divided into 2 groups, professors of architecture and researchers on rural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of Eup-Myun area, it could be added to 2 household composition, be divided into 2 groups,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residents into facility guideline, be added to outdoor facilities, for example warehouse and open yard, and finally be inserted water quality into environment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ful strategies for rural housing standard.

      • KCI등재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최저주거기준미달 지속기간 영향요인 분석

        이다은,서원석 국토연구원 2019 국토연구 Vol.100 No.-

        본 논문은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가 미달기준을 충족시켜 주거빈곤에서 벗어나는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년이나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최저주거기준 미달 지속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년층의 주거빈곤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점유형태의 경우 차가보다는 자가거주자가 최저주거기준 미달에서 벗어나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으며, 차가의 경우에도 월세거주보다는 전세거주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정책의 경우 직접적인 주거지원은 주거빈곤으로부터 벗어나는 기간을 줄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통해 주거빈곤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비주거지원이나 주택금융지원보다 직접적인 주거지원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노인층의 주거빈곤 장기화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고령자 등 소외계층에 대한 포용적 주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도 함께 파악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decisive factors affecting the poverty-exit duration of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ere more vulnerable to escape from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an younger. In the case of housing tenure type, it was found that the poverty-exit duration of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for the homeowners was shorter than the renters. For the welfare policy, it was confirmed that direct housing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period of escape from housing poverty. In addition, the direct housing support was more effective than non-housing support or housing finance support in order to reduce the poverty-exit duration of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rect housing support policy may be more effective for reducing the poverty-exit duration of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n the short period. Moreover, this study also pointed out that inclusive housing welfare policy for underprivileged, such as elderly is strongly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참여정부의 무주택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정책의 내용과 성과

        박신영(Shin Young Park) 한국사회정책학회 2006 한국사회정책 Vol.13 No.1

        본고는 참여정부가 인식한 2003년 초반의 주택문제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정책 중 특히, 무주택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정책의 내용을 소개하며, 추진된 정책성과와 문제를 제시한 것이다. 참여정부가 출범했던 당시는 주택보급률은 100%를 달성함으로써 양적 부족은 해소되었으나, 주택 및 전세가격의 급등, 공공임대주택 재고부족, 주거수준이 열악한 가구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는 것이 요망되던 시기였다. 참여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주택 저소득층을 위해 도시내 다가구 매입임대주택 등의 공급, 국민임대주택의 공급,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감소를 위해 노력하였다. 2003년 이래 2006년까지 4년간 다가구 매입임대주택은 전부 합해서 10,971호가 공급되었으며, 입주자의 만족도가 높은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국민임대주택은 4년간 47만 4991호가 공급되었다. 아직은 입주물량이 많지 않아 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크지 않으나, 주택이 준공되어 입주가 이루어지면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 국민임대주택은 임대료가 건설비에 연동됨으로써 최하위 소득계층이 입주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점에서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주거기준은 주택법을 개정함으로써 법적인 기준이 되었으나, 참여 정부가 미달가구의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세식 화장실, 샤워시설을 갖춘 현대적 주택이 건설되고 재개발이 추진됨에 따라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의 무주택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정책에 비록 한계가 있으나, 역대정부의 노력에 비해서는 긍정적인 측면이 많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housing problems recognized by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evaluates housing policy for low-income family. In 2003 when participatory government was inaugurated, housing supply ratio exceeded 100 percent. But, low-income family who did not own house suffered from rapid increase of rent. To solve this problem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troduced public rental multi-household housing by purchasing and established 500,000 national rental housing supply plan for 5 years, and legislated national minimum housing standard into law. For 4 years from 2003 to 2006, 10,971 public rental multi-household housing by purchasing and 474,991 national rental housing have been supplied for low-income family. The residents of public rental housing are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and rent. However, there is still problem that the lowest-income family cannot afford to pay rent because the rent of national rental housing is determined by construction cost excluded government subsidy. In the case of national minimum housing standard, government did not act positively to lessen the number of low-income family lives under national minimum housing standard. Nevertheless, the number of household under national minimum housing standard decreased by supplying new modern type of housing and by redeveloping deteriorated housing. It could be said that Participatory government put special emphasis on housing policy for low-income family, compared with ex-governments of Korea.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주거환경 비교 분석 :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이다은,오지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5 No.1

        본 연구는 유형별 공공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을 중심으로 ANOVA, 다항로지스틱모형을 활용하여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입주자뿐만 아니라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은 공공임대주택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행복주택은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과 설비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 기준의 미달비율이 높아, 전반적인 주거환경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영구임대, 국민임대, 매입/전세임대 중 영구임대의 최저주거기준과 면적・방기준이 취약하였으며, 매입/전세임대는 구조・성능・환경기준의 미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매입/전세임대가 다른 공공임대 유형보다 임대 불안감이 높았고, 특히 임대료상승과 보증금 미반환에 대한 불안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housing by type at a microscale, using ANOVA and multinominal logistic models, based on the minimum and specific housing standard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ach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as well as resident characteristics, varied in meeting the minimum and specific housing standards. Second, Happy House turned out to have the worst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high proportion of this type did not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the remaining specific standards, excluding facility standards. Third, among permanent rental, national rental, and purchase/jeonse rental housing types,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poor by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area and room standards, while purchase and jeonse rental housing type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failure to meet structural,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standard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urchase/jeonse rentals had higher rental anxiety than other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In particular, anxiety about rent increases and the loss of deposits was hig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efforts are called fo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ailored support,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 KCI등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규모 및 특성의 변화(2005-2011)

        임세희 ( Se Hee L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1차년도(2005), 4차년도(2008), 7차년도(2011) 복지패널을 활용하여 최저주거 기준미달가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는 감소추세이나, 감소의 폭이 줄어들고 있으며, 방수기준미달가구는 오히려 다소 증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최저주거기준은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의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기준미달가구의 규모가 비슷하여 우리나라 최저주거상황이 상대적으로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가구주가 여성, 노인, 장애인일 경우와 고등학교 미만의 학력인 경우가 많았다. 아동가구와 서울지역가구의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비율이 높았고, 이들 가구의 경우 감소추세가 정체된 듯 보였다. 소득빈곤과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간의 상관 관계는 낮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낮아지고 있었다. 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복지 정책 설계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주거복지정책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절대빈곤하면서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에 대한 우선적 개입과 동시에 보편적인 주거복지정책이 필요하며, 최저주거기준의 개선과 함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집행력과 제재력이 강화될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sub-standard housings using the first wave(2005), the forth wave(2008), the seventh wave(2011)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While the number of sub-standard housings are decreasing, widths of decrease are diminishing, and the number of housing below room standard are slightly increasing. The families of female, old and disabled household heads live more in sub-standard housing than male, non-old and non-disabled household heads. The families of household heads with less high school education also live more in sub-standard housing than those with more high school education. When families have children or live in Seoul, the number of families lives in sub-standard housing is outnumbered by the number of families do not have children or do not live in Seoul, and the decrease trend of sub-standard housing has stagnated. The correlation of income poverty and sub-standard housing is low and is continued to decline.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housing welfare policy away from income welfare policy. By priority, we should inter vene the families suffering from income poverty and sub-standard housing. Also we should carry out the universal housing welfare policy.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 to rental housing policy and improvement in minimum housing standards.

      • KCI등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임세희 ( Se Hee L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4

        본 연구는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거는 지역 내에 위치하며, 지역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지역특성을 주거 분석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결정요인 분석에 있어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HGLM)을 이용하여 가구요인 뿐만 아니라 지역요인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가구일수록, 비장애가구일수록, 자가가구일수록 기준미달주거에 거주할 확률이 줄어드는 반면에 아동수가 많으면 확률이 증가하였다. 지역요인의 경우 지역 내 공공임대주택이 많을수록 개별가구가 기준미달주거에 거주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세와 기준미달주거간에는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최저주거기준미달이라는 주거빈곤 위험에 노출된 가구의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경험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임차인 보호 및 국민기초생활보장가구 주거지원 정책에 대한 주거복지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sub-standard housing using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f housing. The housing is located in the districts and affected by the characters of the districts. So,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districts as well as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family, taking advantage of HGLM(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householder, higher educational level, non-public transfer recipient, non-disable householder, the ownership of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decreased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and the more children are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And the more public housing in the district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There is positive relation between higher rent of districts and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Through this study, It is know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which are at risk of households below minimum housing standards(sub-standard housing). Best of all, it is secured basis that the policy of public housing should be expanded. Also, this study offered the implications for policy of tenant protection and the housing support for public transfer recipient.

      • KCI등재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김용창(Yongchang Kim),최은영(Eunyoung Choi)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4

        최저주거기준은 자본주의 산업화 과정과 급격한 도농인구이동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노동자계급의 주거환경 악화와 공중보건위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쟁점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을 대상으로 최저주거기준이 제도화되는 역사를 살펴보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2011년에 개정된 새로운 최저주거기준을 적용하여 1995년 이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계열적 변화패턴과 지역별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0년 서울시의 미달가구는 50.1만 가구(136.8만 명, 14.4%)로 전국 평균인 11.8%에 비해 처음으로 높아졌으며, 2005년의 50.9만 가구에 비해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서울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감소추세의 정체는 다른 시·도, 다른 시기에는 한 번도 관찰된 바 없는 현상으로서 개별 가구의 독자적인 능력만으로는 주거환경을 개선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 가구 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울시의 기타 거처(1.3%) 및 지하·옥상 거주 비율(9.6%)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서울시의 주거환경이 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달가구의 공간적 분포는 동북권과 서남권 방면으로 양분되어 있고, 여성가구주, 중장년층, 이혼가구, 저학력 및 대학·대학원 재학생, 비아파트 거주가구, 15~20년 경과주택 등에서 높은 미달비율을 보이고 있다. Minimum Housing Standard is an instrument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public health and community hygiene, deterioration of working class housing conditions appeared commonly in the process of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and rapid rural-to-urban migr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histories of minimum housing standard in the advanced countries, and analyze the spatio-tempo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in Seoul Metropolitan since 1995. The analysis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census data on population and hous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in Seoul are 501,000 households(1.368 million person, 14.4%). This means Seoul has overtaken the national average 11.8% for the first time and there are structurally marginal band of households who can not improve the housing conditions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rate of Seoul households living in the marginal shelter including the basement and rooftop room is the highest in Korea means the housing quality issues of Seoul is serious. Spatial distribution of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standard is divided into the northeast area and the southwest area in Seoul. Main features of the households are female-headed families, middle and old-aged people, divorce families, lower educated people, under and graduate students, non-apartments, dweller in 15~20 year old ho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