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의 규율작용

        손판도 ( Pan Do Sohn ),송영수 ( Young Su Song ),최임근 ( Lim Gun Choi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1981년부터 2013년까지 거래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상품시장 경쟁이 배당정책에 대한 규율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최근 연구에서 산업 내 시장경쟁과 배당정책 간에 규율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배당정책과 관련된 연구 중 La Porta, Lopez-De-Silanes, Shleifer, and Vishy(2000) 등의 연구에 따르면 기업 내 대주주의 착취로 인하여 소액주주들에 대한 보호가 낮은 국가에서 배당성향이 낮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대리인문제는 기업 배당정책에 매우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배당정책에서 이러한 대리인 문제뿐만 아니라 최근 시장경쟁의 규율도 대리인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배당정책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Allen and Gale(2000)의 연구에서 상품시장 경쟁이 기업 경영자의 기업재무정책에 유의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상품시장 경쟁이 기업 재무정책에 영향을 주는 이유중의 하나는 상품시장 경쟁의 규율효과로 인하여 시장으로부터 경쟁력이 떨어지는 경영자를 퇴출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투자자들, 즉 소유권자(소액주주 및 대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은 해당국가의 법률 및 기업 지배구조가 대리인문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제하며 기업 내부자, 즉 경영자 또는 지배주주들이 어떻게 현금배당을 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독점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혁신 및 경쟁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경쟁자의 부재로 인하여 경영활동이 매우 수동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Caves(1980)이 언급한 것처럼 나태는 경쟁의 적이라는 표현까지 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경쟁 정도는 배당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증거는 세 가지 가설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산출물효과가설로서 과잉투자 및 경영실패 등은 산업의 경쟁규율로 인하여 기업이 보다 더 많은 배당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 배당성향이 낮으며 또한 대리인문제로 인하여 산업집중도가 높고 잉여현금흐름이 많을수록 배당성향이 낮다는 것이다. 대체효과가설에서는 배당정책이 산업경쟁의 대체 수단으로서 작용을 하기때문에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보다 더 많은 배당(고배당성향)을 보다 많이 하며 대리인문제로 인하여 산업집중도가 높고 잉여현금흐름이 많을수록 배당성향이 높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약탈위험가설에서는 많은 현금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잠재적인 약탈위험이 발생하며 이러한 위험은 경쟁시장에서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산업집중도가 높을 때 배당성향이 낮으며 이러한 효과는 기업규모가 작을 때 확대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제시된 세 가지 가설이 한국기업에 지지되고 있는지를 검증하며 산업집중도 변수를 시장경쟁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여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집중도와 배당정책간의 산출물효과가설, 대체효과가설, 약탈위험가설을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에서 시장이 상대적으로 경쟁수준이 낮을수록 배당을 증가시킬 유인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obit 분석 모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결국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 관계를 설명하는 산출물효과가설이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리인문제와 관련된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 및 Tobit 모형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기업규모와 관련하여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 및 Tobit 모형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즉 시장경쟁이 낮을수록 소규모 기업이 보다 더 배당을 낮추는 정책을 취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증거는 약탈위험가설이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증거의 의의는 결국 시장경쟁이 기업의 재무정책에 중요한 규율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경영자는 시장경쟁이 재무정책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market competition disciplines firm’s dividend policy and also there is the interaction effect of market competition in terms of agency problem and firm size using sample data listed in KOSPI over 1981 to 2013. Recent studies find the evidence that market competition in industry disciplines firm’s dividend policy. It is possible that product market interaction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agency conflicts may be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decision to pay out excess cash to shareholders. La Porta, Lopez-de-Silanes, Shleifer and Vishny (2000) argue that product market competition can potentially have too opposing effect on payout policies. One possibility is that firms pay dividends because competition acts as an enforcement mechanism that exerts pressure on managers to distribute cash to their shareholders by increasing the risk and the cost of overinvesting. Allen and Gale(2000) suggest that market competition among firms may be a more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either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or monitoring by institutions. This evidence is explained in three hypotheses, which are an outcome effect hypothesis, substitution effect hypothesis, and predatory risk hypothesis. Outcome hypothesis suggests that overinvestment and management failure due to of discipline of market competition in industry induce the higher dividend payout propensity to firm. Also this hypothesis documents that firm with large free cash flow in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due to agency conflict between manager and shareholder has lower dividend propensity. The substitution effect hypothesis suggests that dividend policy is substituted by market competition and firm in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has propensity of higher dividend payout. Also firm with higher free cash flow in more industry concentration has higher dividend policy. Predatory risk hypothesis documents that firm with more cash has potential predatory risk from rival firms and this risk does not have power in competitive market and then firm in more industry concentration is more likely to have lower dividend payout. Additionally this effect is large in small firm. According to these hypotheses, we test three hypotheses using industry concentration as proxy for market competition and we find as follows. Using a large sample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KOSPI market, we test the linkage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dividend policy by using the regression technique with firm and time fixed effect and also Tobit regression. We find that firms in less competitive industries pay more dividends than firms in more competitive markets. Furthermore, inconsistent with agency theory, we find that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free cash flow. Additionally, we find the evidence that there is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firm size (small firm), which is consistent with predatory risk hypothesis. Overall,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the disciplinary forces of market competition induce managers to pay out dividend and these evidences are a key implication to firm managers and stakeholders.

      • KCI등재

        시장의 경쟁정도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순자산과 순이익 간의 상대적 가치관련성

        정현욱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1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competition of market is associated with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nd equity. Mas-colell et al.(1995) of microeconomic theory explains that firm in high(low)-competition of market acquires normal(abnormal) profits. According to empirical tests on competition of market, firms in low-competition of market are linked to high-earnings management levels and high-information asymmetry level. In the respect, this study establishes null hypothesis that competition of market is not related to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nd equityWe examine the coefficient for interaction term(competition of market(HI)×equity and competition of market(HI)×earnings) using the approach of Ohlson model(1995). For a sample of non-financial listed firms(KOSPI) during 2001-2012, we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negative) coefficient for the interaction term of competition of market×equity(earnings). Additional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initial findings.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competition levels of product market potentially provide insights into investors consider before their portfolio sele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extant literature on value relevance by providing evidence that the competition levels of product market affect investor’ portfolio selection. 본 연구는 시장의 경쟁정도와 순자산 및 순이익의 가치관련성 간에는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귀무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수익성과 회계이익의 질(발생액의 질)이 높아질수록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은 감소하고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한다는 이세용(2014)과 Burgstahler and Dichev(1997)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Mas-colell et al.(1995)의 미시경제학 이론(microeconomics theory)에 따르면, 시장의 경쟁정도가 낮은 기업(독점기업)은 시장에서 가격결정자(price setter)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초과이윤을 달성하지만, 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은 기업은 시장에서 가격수용자(price taker)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정상이윤만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시장의 경쟁정도가 낮은 기업은 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은 기업보다 수익성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Ali et al.(2009, 2013), 유혜영 외(2013)와 신일항 외(2014)에 따르면, 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은 감소하고, 정보비대칭 수준은 완화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의 경쟁정도가 순자산 및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은 실증의 문제로 판단되어 귀무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시장의 경쟁정도와 순자산 간의 교호변수(HI×BV)는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났고, 시장의 경쟁정도와 순이익 간의 교호변수(HI×EPS)는 유의한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Biddle et al.(1995)의 방법론에 따라, 분석모형에 주당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포함하여도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투자자는 청산가치인 순자산에 보다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순이익에 부여하는 가치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개별기업의 특성요인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산업 내 경쟁정도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시장의 경쟁정도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시장의 경쟁정도가 개별 기업의 특성요인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하고,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경영자와 규제기관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시장 경쟁에 따라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최혁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9 세무와 회계 연구 Vol.8 No.2

        Tax avoidance reduces tax costs and generates non-tax costs. Tax avoidance has an effect on firm value. Market competition is an external governance structure that indicates the level of competition in the industry. Market competition differs by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according to market competition. In this study, market competition was measured using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Tax avoidanc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Desai and Dharmapala(2006). It is found that tax avoid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Tax avoidance decreases firm value as the effect of non-tax costs is significant and resource generated from tax avoidance is not used efficiently. It is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creases as market competition decreases. As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is low,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es.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es agent cost and private profit of management. Firms in low market competition are less efficient than those in high market competition. Resource generated from tax avoidance is not used efficiently as the market competition is less. Therefore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creases as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is low. The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creases as the market competition decreases. Market competition is the indicator of market 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increase as industrial concentration increases. 조세회피(tax avoidance)에 의해 조세비용은 감소하지만 비조세비용이 발생하며, 조세회피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시장 경쟁(market competition)은 외부지배구조로서 산업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산업별로 시장 경쟁 정도가 다르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에 따라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시장 경쟁은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조세회피는 Desai and Dharmapala(2006)의 연구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기간 동안 유가증권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세회피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회피로 기업가치가 감소하는 것은 조세회피로 인한 비조세비용의 영향이 크고 조세회피로 확보된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경쟁 정도가 낮을수록 정보 비대칭이 증가하여 대리인 비용과 경영자의 사적이익 추구가 증가한다. 또한 경쟁이 적은 산업에 속한 기업이 경쟁이 심한 산업에 속한 기업에 비해 효율성이 낮다. 따라서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조세회피로 확보된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한다는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은 시장 구조를 설명하는 지표로서 산업집중도가 높은 시장구조에서 조세회피의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 기업의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박서윤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the lower the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is differentiated by the size of the firm’s capital structure stability and financial risk ratio.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analyze whether the idiosyncratic risk determined by firm characteristics, not the market situ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acts as a mechanism of external corporate governance with the effect of market discipline to alleviate the opportunistic profit management, agent problem, and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of managers.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e debt ratio, which is a financial risk characteristic of a firm, has a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was established based on a study by Yu-jin Shin and Jeon-ok Kim(2016). The empirical analysis measured product market competition by using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HHI) based on the studies of Shin Il-Hang et al. (2014) and Son Seong-Gyu et al. (2014). The sales of individual firms in the same industry were divided by the sales of the entire industry and squared, and then measured by adding them by industry. The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measured by subtracting the market return from the actual return using the market-adjusted return model and analyzed as the variance of monthly and daily market-adjusted returns for the robustnes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of non-financial firm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in December during the period from 2001 to 2020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mpetition regression coefficient(HHI) of the product market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valu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suggested in this study, indicating that he higher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the lower the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Second, in the case of firms with a high deb ration,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he product market, the lower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However, for firms with low debt r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factor that investors do not recognize as a factor affecting idiosyncratic risk.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done on idiosyncratic volatility, due to growing interest by investors, there has never been a study as it is an investment risk that can be reduced by proper portfolio structure management.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to no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effect of external corporate governance on idiosyncratic volatility. In this respect,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on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is further embodied and expanded, and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financial statement write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at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provides usefulness for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decision-making. 본 연구는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고유변동성이 낮을 것이라는 가설을 실증 분석하고기업의 자본구조 안정성 및 재무적 위험특성인 부채비율의 크기에 의해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 고유변동성에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인지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시장상황이 아닌 기업특성에 의해 결정되는고유위험이 상품시장의 경쟁정도에 따라 다른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상품시장의경쟁정도가 시장규율의 효과(effect of market discipline)를 가지는 외부기업지배구조의 매커니즘으로작용하여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대리인 문제 및 정보비대칭 문제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또한, 부채비율의 크기가 상품시장의 경쟁정도와 고유변동성의 관련성에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신유진·김정옥(2016)의 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상품시장의 경쟁정도 측정치는 신일항 외(2014)와 손성규 외(2014)의 연구를 토대로허핀달-허쉬만지수(HHI)를 이용하여 동일산업 내 개별기업의 매출액을 산업 전체의 매출액으로 나누어제곱한 후 이를 산업별로 더하여 측정하였으며, 기업의 고유변동성은 시장조정수익률 모형을 이용하여연구결과의 강건성을 위해 월간·일간시장조정수익률의 분산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기간 동안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결과 첫째, 상품시장의 경쟁정도 회귀계수(HH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값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에서제시한 가설과 일관되게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고유변동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의 경우 상품시장의 경쟁정도와 고유변동성 간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고있어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 높을수록 고유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부채비율이 낮은기업은 이들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 고유위험에영향을 주는 요소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줄일 수 있는 투자위험인 고유변동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있는 추세로 인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고유변동성에 대해 조사하고 있지만 외부기업지배구조라는 기업의특성이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기업의 고유변동성에 대한 연구가 한 단계 더 구체화되고 확대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상품시장의 경쟁정도가회계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성을 제공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재무제표 작성자들에게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시장 경쟁에 따른 광고선전비 효과

        최혁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1

        [Purpose]Market competition is the indicator of market structure. Market competition differs by industry, and the effect of advertising will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Corporate advertising is ultimately reflected in firm value affecting product differentiation, brand value,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dvertising expense according to market competition. [Methodology]In this study, market competition was measured using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effect of advertising expense on firm value is different compared to proper market competition when market competition is low or intense. [Findings]It is found that the advertising expense in low market competition have a smaller effect on firm value than other market competition. In the case of low market competition, a few companies have a high market share and market share is stable. When market competition is low,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market by changing the preference of consumers. Therefore, the effect of corporate advertising in low market competition is small compared to proper market competition.It is found that the advertising expense in intense market competition have a smaller effect on firm value than other market competition. In the case of intense market competition, entry barrier is low and market share of each company is low. When market competition is intense, product differentiation is not important, or market competition does not reach the proper level. As there is a proper barrier to entry and competition among existing companies is important, the effect of advertising will increase by product differentiation. Therefore, the effect of corporate advertising in intense market competition is small compared to proper market competition. [Implications]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advertising expense differs according to market compet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should be considered analyzing the effect of advertising expense. [연구목적] 시장 경쟁(market competition)은 시장 구조(market structure)를 설명하는 지표로서 산업별로 시장 경쟁 정도가 다르며, 시장 경쟁 정도에 따라 광고의 효과가 달라질 것이다. 기업의 광고는 제품 차별화, 브랜드 가치, 경영성과 등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에 반영된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에 따른 광고선전비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시장 경쟁은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시장 경쟁이 적은 경우나 시장 경쟁이 심한 경우에 적정 경쟁 상황에 비해 광고선전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장 경쟁이 적은 경우에 다른 시장 상황에 비해 광고선전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경쟁이 적은 경우는 소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으로 시장 점유율이 안정화된 상태이다. 시장 경쟁정도가 낮으면 시장은 독과점화되어 소비자의 선호를 변화시켜 시장을 변동시키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시장 경쟁이 적은 상황에서 기업의 광고는 적정 경쟁 상황에 비해 광고 효과가 작게 된다. 시장 경쟁이 심한 경우에 다른 시장 상황에 비해 광고선전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경쟁이 심한 경우는 진입장벽이 낮고 각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낮은 상태이다. 시장 경쟁이 심한 경우는 제품 차별화가 중요하지 않거나 아직 산업에서 적정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적정 경쟁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광고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작을 것이다. 진입장벽이 형성되고 기존 기업 간의 경쟁이 본격화되는 단계에서 제품 차별화에 따른 광고 효과가 커질 것이다. 따라서 시장 경쟁이 심한 상황에서 기업의 광고는 적정 경쟁 상황에 비해 광고 효과가 작게 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시장 경쟁에 따라 광고선전비 효과가 다르다는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광고선전비 효과를 분석할 때 시장 경쟁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소비자 선택기반의 항공사 노선경쟁력 모형개발 연구

        윤문길 ( Moon-gil Yoo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3

        우리나라 국제선 항공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국적 항공사의 수익성은 저비용 항공사를 제외하고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항공시장에서의 수익성 확보는 항공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수적 요소지만, 최근 수년간 국제선 시장의 성장추세에 비하여 국적항공사의 성장 추세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항공시장에서의 성장은 항공사의 경쟁력에 의해 견인됨으로, 항공사의 경쟁력에 대한 적절한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쟁력 평가를 항공사의 효율성 분석 또는 생산성 분석등의 연구를 통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연구는 항공사 조직 전체의 포괄적 성과에 대한 분석으로, 각 노선에서의 경쟁력 평가에는 적절하지 못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쟁력을 개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노선경쟁력을 대상으로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노선경쟁력이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나타나는 것임으로 소비자 선택을 고려한 노선경쟁력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항공사의 공급경쟁력과 항공사 특성경쟁력으로 분해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항공사의 현재의 경쟁력 입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노선경쟁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2010년~2015년의 여객수송 실적을 이용한 실증분석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통해 노선경쟁력을 분석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사 노선경쟁력 분석 모형이 고객선택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항공사 경쟁력 분석과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특성경쟁력을 가격, 서비스 품질, 고객관계관리등의 세부적인 속성으로 세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항공사 특성경쟁력에 미치는 각 속성의 영향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에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irline market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for past several years in Korea. However, even the market volume is enlarged, the legacy carrier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re financial profitability excepting low cost carriers. The profitability will be driven by the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s. With literature review, we can find many researches dealing with competitiveness in airline industry. However, most of them has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fficiency or/and productivity among airlines. In this paper, we focus to develop a model for evaluat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s in airline market. The market competitiveness can be divided into two attributes; supply and airline self competitiveness. Using customer choice model, we suggest a new model for analyz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airlines. From empirical analysis with historical data, we can find that our model will be good to evaluate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in each route or each regional market.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to drive some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Even we have tri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model in airline markets, our model may be expandable to further study eff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시장 경쟁 정도가 접대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최혁,유상열 한국상업교육학회 2021 상업교육연구 Vol.35 No.5

        시장 경쟁(market competition)은 산업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산업 내 상대적인 시장 점유율에 의해 측정된다. 산업별 시장 구조(market structure)에 따라 시장 경쟁 정도가 다르게 나 타나고, 시장 경쟁에 따라 접대비의 기업가치 관련성이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 정도가 접대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장 경쟁은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가증권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접대비는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대비 지출은 기업 투명성 증가 로 인해 경영자의 특권적 소비 보다는 시장 확대와 거래처 관계 개선을 위한 지출의 성격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접대비 지출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가 부정적인 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접대비는 기업가 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접대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 적인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경쟁도가 낮은 경우에는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대부 분 점유하고 있으므로 시장 변동이 어려운 상황이며, 접대비 지출을 통해 시장 확대와 거래처 확보 가 어렵게 된다. 시장 경쟁도가 낮은 경우에는 시장 경쟁도가 높은 경우에 비해 접대비 효과가 작 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에 따라 접대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실증 결과를 제시하 였다. 시장 경쟁은 시장 구조를 설명하는 지표로서 접대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effect of entertainment expenses on firm value differs according to market competition. Market competition pertains to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an industry or market, and we can measure it as the relative proportion of sales within the industry. The market competition will be affected by the market structure of an industry. We posit that the effect of entertainment expenses on firm value will vary depending on the market competition. This study measured the market competition using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Data were collected from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Our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entertainment expen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e expenditure on entertainment expenses is more like expenditure for market expansion and relationships than for perquisite consumption. Because the positive effect of entertainment expenses is more than the negative effect, entertainment expenses positively affect firm value. Second, we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entertainment expenses on firm value decreases as market competition decreases. When market competition is low, it is not easy to expand the market through entertainment expenses. The effect of entertainment expenses in the low market competition is small compared to high market compet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entertainment expenses on firm value differs according to market compet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arket competition affects the value relevance of entertainment expenses.

      • KCI등재

        상품시장 경쟁과 감사보수 결정

        손성규 ( Sung Kyu Sohn ),신일항 ( Il Hang Shin ),이명건 ( Myung Gun Lee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6

        상품시장 경쟁은 시장 규율 효과(market discipline effect)를 통해 기업 입장에서 외부지배구조로 작동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외부지배구조로서의 상품시장 경쟁이 피감사 기업의 감사보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erschman Index)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품시장 경쟁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과 동시에, 상품시장 경쟁으로 측정한 외부지배구조와 기업 내부지배구조와의 상호작용이 감사보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품시장경쟁과 감사보수 간의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상품시장 경쟁과 감사투입시간 및 시간당 감사보수 사이에 나타나는 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상품시장 경쟁수준이 높을수록 감사보수가 증가한다면, 이러한 증가된 감사보수가 감사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 노력투입의 대가인지, 아니면 피감사기업의 고품질 회계감사 선호 효과에 기인한 프리미엄인지는 감사보수 결정 이후에 나타나는 회계법인의 감사투입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시장 경쟁과 감사보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강하게 유의한 양(+)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는 외부 기업지배구조로서의 상품시장 경쟁이 기업들에게 고품질의 회계정보를 산출하도록 하는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기업 입장에서 고품질의 회계정보를 산출하고 있음을 시장의 이해관계자에게 입증하고자 고품질 감사인을 통한 회계감사의 회계정보에 대한 인증 기능을 선호할 유인을 갖게 됨을 의미한다. 둘째, 외부지배구조로서의 상품시장 경쟁은 기업 내부지배구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감사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최대주주 지분율, 사외이사 비율, 감사위원회 설치 여부로 측정한 기업 차원의 내부지배구조가 건전한 경우 외부기업지배구조라 할 수 있는 상품시장 경쟁 수준이 낮아져서(즉, 산업독점도가 높아져서) 감사보수가 감소하는 상황에 처하더라도 고품질감사인이 제공하는 회계감사의 인증기능을 선호하는 현상이 유지되어 기업의 회계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분석 결과, 상품시장 경쟁과 감사시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존재한다. 이는 상품시장 경쟁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사보수가 높아지나, 이는 감사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 노력투입의 대가라기 보다는 피감사기업의 고품질 회계감사 선호 효과에 기인한 프리미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감사시장이 구매자 중심의 시장이어서 상품시장 경쟁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이 회계감사 용역의 수요자인 기업 입장의 논리에 의해 결정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상품시장 경쟁이 감사보수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나 채권자, 금융감독원과 같은 감독기관 등이 기업의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평가할 때 상품시장 경쟁 정보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감사보수 결정모형을 통해 보여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규제기관 입장에서는 각종 경쟁제한적 시장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의 효과성이 감사품질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As product market competi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mechanism of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the market discipline effect, the effect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on audit fees is of great interests to investo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 how product market competition measured by Herfindahl-Herschman Index affects audit fee decisions and how the interac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internal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audit fee decision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s clearly,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hour(or hourly audit fees). If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s, it could be resulted from auditor``s additional audit work or from the strong incentives of the firms to select high quality audits. We can find the cause of increased audit fees, through auditor``s audit hours followed by the audit fee decision. Namely, if we fi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hours followed by the audit fee decision, we can predict that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s is due to the strong incentives of the firms to select high quality audits.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prediction using empirical data from listed firms in Korean Stock Exchange. The data needed are collected from DataGuidePro database provided by FnGuide. A total of maximum 3,802 firm-year observations a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es. Using the above sample firm-years from 2003 through 2010, we first examine the averag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s. Analyzing the full sample, we find that, on average, product market competi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We also find that thes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s is more pronounced with the interaction with the largest shareholders holdings, the proportion of outside director in the board or the existence of audit committee. In our additional test, we find that product market competi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udit hours. This result suggests that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audit fees results from tthe strong incentives of the firms for high quality audit. In other words, this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on audit fees reflect the perspective of demand side of audit market, because Korea``s audit marke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uyer``s market. The contributions of our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r study extends prior study on the determinant of audit fees by focusing on the product market competition which has never been explored in prior study. Namely, our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as the determinant of audit fees, specially in designing the research model for audit fee decision. Second, our study provides new perspective for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fe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as external corporate governance and internal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 fees. Third, the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several valuable implications to the stakeholders in capital market. Investors need to refer the information on product market competition in evaluating the firm``s valu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ors, our study provide the implications that the policy on product market competition may affect audit quality.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market competitio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audit fees, the proxy for audit quality. Also,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nformation on product market competition is useful to investors, analysts, and regulators in making their decisions. This study shows the interesting results through the empirical results. But, there are still measurement error regarding test variables, for example, HHI. Future research will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our paper.

      • KCI등재

        한국 농식품의 대중국 수출경쟁력 분석

        강상구(Sang Goo Kang)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전자무역연구 Vol.14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 농식품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시장에서 한국 농가공식품의 수출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한국 농식품의 수출확대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은 중국의 농식품의 수출입 자료를 이용하여 무역특화지수, 시장비교우위지수, 시장점유율확장비율-수출유사성심화비율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 한국 농식품의 수출경쟁력을 게산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제1장 서론이며, 제2장에서는 한국 농식품의 일반적인 고찰, 제3장에서는 중국시장에서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하고 제4장에서는 한국 농식품 수출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은 결론이다. 결과: 중국시장에서 한국 농식품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무역특화지수는 HS 17, 22품목을 제외하고 모두 수입특화품목으로 분류되어 수출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시장비교우위지수는 2014년 현재 모두 1보다 적은 값을 가져 비교열위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MSER-ESDR은 미국을 제외한 인도네사아, 말레이시아, 일본에 대해서 수출경쟁력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수출경쟁력 확보방안으로 첫째, 국경간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 확대 둘째, 권역별 진출타킷 설정을 통한 소비자공략 셋째, 유통물류시스템 개선을 통한 비용절감 넷째, 한중FTA의 활용을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 다섯째,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정부 수출지원정책 강화를 제시할 수 있다. 독창성/가치: 한중 FTA가 발효됨으로써 위기에 봉착한 한국 농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 중국시장에서 한국 농식품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재 한국 농식품의 경쟁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수출경쟁력 확보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export promotion of Korean Agri-food market in China, by analyz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food. By doing so, it is to help the future of agri-food export in Korea. Composition/Logic: It calculated the Korea agri-food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China market. It uses import and export data of agricultural products in China with trade-specialization index,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market share expansion rate-intensifying the export similarity rate.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introduction in Chapter 1, general investigation of Korea agri-food in Chapter 2, analyz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for the China market in Chapter 3 and exploring the measures for the Korea agri-food’s export competitiveness in Chapter 4. And the conclusion is in Chapter 5. Findings: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is unable to secure export competitiveness except for HS 17, 22 items, because Korean agri-food is classified as import speciality items. Th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having a value less than 1, seems to be comparatively disadvantageous in 2014. Finally, MSER-ESDR appears to be recover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for Indonesia, Malaysia and Japan, except for the U.S. Therefore the measures for export competitivenes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expanding export through cross-border e-commerce, second, targeting consumers via setting goals by region, third, saving cost by improving distribution & logistics system, fourth, expanding market share with the use of Korea-China FTA, fifth, enforcing the export supporting policy of the government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riginality/Value: This paper analyses Korean export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China market. It is intended to seek a breakthrough of Korean agriculture facing a crisis of Korea-China FTA. It is significant for examining the current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food and providing the measures to secure the export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