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1900년대 문헌에 나타난 주식류 변화에 관한 고찰

        백선희,안빈,이강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4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4 No.6

        This study reviewed the main-meals in 1900's Korean cook books. Boiled rice, gruel and thin gruel were mainly made of rice. As the additional ingredients, miscellaneous cereals, vegetables, potatoes, seafoods, meats and eggs were used to substitute for rice and to improve of preference. we observed some sort of main-meats were diminished and/or disappeared, changed its side ingredients to obtain foods easily, and also its cooking style has been gradually gelling to simplify.

      • 조선시대 조리서에 나타난 주식류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양훈(Kim, Yang-Hun),안빈(Ahn, Bin) 한국외식산업경영학회 2019 외식산업경영연구 Vol.15 No.2

        Main Meals of Joseon Dynasty were searched and assessed based on inherited culinary books and related datas. Major grain material of main meals was rice and buckwheat flour was widely used for some kinds of mandu and noodles. Boiled rice, gruel thin gruel and mandu were As the Additional ingredients, m iscellaneous cereals, seafoods, vegetables, potatos, meats were added to substitute of rice and improve of preference. This study reviewed for transition and progressive traces of main meals as its respective periods. Culinary Bookss of Joseon Dynasty, Eumsikdimibang, Yorock, sarlimkyungze, Wonheangeulmijungrieugwe, Eumsikbangmun, Kyuhapchongseo, Joseonmussangsinsikyorijebyup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reviewed. Some of the main meals were disappeared, canged its side Foodstuffs to easily acquired foods, and also its cooking methods has been gradually modified into combinient types.

      • KCI등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의점 도시락 구매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 요소에 관한 연구

        이다현,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research is identifying visual factors affecting purchase of convenient store packed-meal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Previous studies have not covered mobile applications on purchase of convenient store packed-meals and this inspired the research topic. Document analysis and online survey are mainly implemented and 4 visual factors; typography, product image, main color, brand logo have been set as a research variables. It is revealed that consumers recognize product image prior to the rest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are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product image. In conclusion, the product image should encourage consumers to have expectation on packed-meal and need to deliver credibility at the same time. Hence, the application should be designed to solely spotlight product image to lead consumer’s concentration on it. The research can be further expanded by including non-visual factors as its variables or increasing scale of survey samples.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의점 도시락 구매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 요소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주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신생 환경을 반영한 편의점 도시락 구매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점에 착안해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조사와 설문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토대로 서체, 제품 이미지, 주조 색, 브랜드 로고의 4가지 시각 요소를 변수로 설정했다. 설문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4가지 시각 요소들 중 제품 이미지를 먼저 식별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구매 의사 역시 시각 요소에 좌우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품 이미지는 소비자에게 도시락의 맛에 대한 기대감과 신뢰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의 시선이 온전히 제품 이미지에 집중될 수 있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추후 연구의 보완 방향성으로는 비 시각적 요소를 변수로 추가하거나 설문 대상을 늘리는 방향으로 검토해볼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외식식품 중 중식과 분식의 주식류 및 후식류에 대한 당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이진원 ( Jin Won Lee ),황진봉 ( Jin Bong Hwang ),남궁배 ( Bae Nahmgung ),박장우 ( Jang Woo Park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4 산업 식품공학 Vol.18 No.2

        국가 식품 영양성분 자료구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6개 권역(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유통되고 있는 외식식품의 총당 함량을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및 경상도의 6개 권역별에서 수거한 중국음식(12종)과 분식 중 주식류에 포함되는 18종류 및 후식류(떡(11종), 빵(8종))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중국음식의 경우 탕수육, 간자장, 자장면 및 군만두의 경우 최대 각각 10.346 g/100 g, 2.409 g/100 g, 1.589 g/100 g 및 1.988 g/100 g 수준의 총당 함량이 분석되었으며, 양념을 비롯한 소스가 첨가된 중국음식의 경우 총 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분식 중 주식류의 경우에서는 떡볶이, 냉면류 및 국수류와 같이 고추장을 비롯한 다양한 양념을 첨가하여 섭취하는 식품이 만두국, 떡만두국 및 우동 종류보다 총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냉면의 경우 최대 7.194 g/100 g의 총당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식사 후 또는 한끼 식사로 이용하고 있는 분식 중 후식에 포함되는 빵류 및 떡류의 경우 가래떡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빵과 떡에 대한 총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찹쌀도우넛과 팥속(팥앙금)을 첨가한 찹쌀떡의 경우 모든 권역에서 총당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각각 19.602 g/100 g 및 30.339 g/100 g의 높은 총당 함량이 분석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otal sugar content in take-out foods by using HPLC analysis. Samples of take-out food were collected from six regions in Korea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 do, Jeolla-do, Gyeongsang-do). The samples consisted of 30 main dishes (12 Chinese dishes and 18 flour-based dishes) and 19 desserts (11 rice cakes and 8 breads). In case of Chinese food, the maximum total sugar content of Tangsuyuk, Ganjajang, Jajangmyeon, and Gun-mandu was 10.346 g/100 g, 2.409 g/100 g, 1.589 g/100 g, and 1.988 g/ 100 g respectively. The total sugar content in seasoned Chinese food with sauc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hinese food. In case of flour-based food as a main dish, flour-based food seasoned with red pepper paste and many sauces such as Tteokbokki, Naengmyeon, and Guksue had a higher total sugar content than Mandutguk, Tteokmanduguk, and Udong. In particular, Hoe-naengmyeon had the highest total sugar content of 7.194 g/100 g. Also, desserts (rice cakes and breads), except for Garaetteok, had a high total sugar content with the highest in Glutinous doughnut and Glutinous rice tteok with red bean paste, which among all the regions analyzed had a maximum total sugar content of 19.602 g/100 g from Gyeongsang-do and 30.339 g/100 g from Seoul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