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장소 재현의 로컬리티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Looking into Shin Gyeong-Rim’s poems, we can find the spots that he has visited are mostly poor regions such as old and inactive countryside and the Third World rather than central areas like cities or downtown areas. Shin Gyeong-Rim’s poetry are about people living in periphery areas and experiences in there, and the stories exhibit the potential resistance of periphery areas against central areas and the poet’s recognition of pursuit. Accordingly, this article figures out the locality of place reproduction shown in Shin Gyeong-Rim’s poetry and verifies the ground to maintain locality is the topophilia of local residents. In ‘the deconstructive viewpoint and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as text’, the poet sees the landscape as a sort of text written by the subject of producing power and reads it from a deconstructive perspective to capture the mechanism that central power operates on locals. It either destroys or marginalizes the cultural・ historical value of local areas that has been transmitted for a long time, and accordingly, the landscape of local areas has been exchanged with disparate landscape by central power. However, locals have maintained their own culture as leading a plain and carefree life that can be hardly found in central areas. This is ‘the ordinary value that the third space is equipped with’ and forms the ground where locality can be maintained ceaselessly. Most people think that a state’s identity may be weaker due to internalization, but the identity of the local, one of the subunits of a state, will never be deteriorated. In other words, as long as local residents keep having place-love, the identity of the place will be maintained despite external changes. This study on the locality of place reproduction shown in Shin Gyeong-Rim’s poetry highlights the local that has been discriminated relatively more as a new place and furthermore provides a solution to get rid of centralism that distorts the local as some kind of abnormality. 신경림의 시를 살펴보면 그가 찾아간 현장은 도시․번화가와 같은 중심지가 아닌 낡고 침체된 시골 벽지와 제3세계의 가난한 지역들이다. 신경림의 시는 주변 지역의 사람과 그 곳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그 이야기에는 중심에 대한 주변의 잠재적 저항과 지향에 대한 시인의 인식이 드러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신경림 시에 나타난 장소 재현의 로컬리티를 파악하여 로컬 거주민의 장소애가 로컬리티를 유지하는 근간임을 말한다. ‘텍스트로서의 마을 경관과 해체적 시선’에서는 경관을 권력의 생산 주체에 의해 쓰인 일종의 텍스트로 보고, 이를 해체적 시각으로 읽어냄으로써 중심 권력이 로컬에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포착하였다. 그것은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던 로컬의 문화・역사의 가치를 파괴하거나 주변화하고, 그에 따라 로컬의 경관은 중심에 의해 이질적인 경관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로컬은 중심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소박하고 느긋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며 그만의 문화를 지키고 있었다. 이는 ‘제3의 공간이 갖는 일상적 가치’로 로컬리티가 면면히 흐를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세계화로 국가의 정체성이 약해질지라도, 국가 하부단위인 로컬의 정체성은 초토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다수의 견해이다. 즉 로컬 거주민의 장소애가 있는 한, 장소의 정체성은 외적 변화에도 지속된다. 신경림의 시에 나타난 장소 재현의 로컬리티 연구는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았던 로컬을 새로운 장소로 부각시키고, 나아가 로컬을 비정상성으로 왜곡시키는 중심주의를 해소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된다.

      • KCI등재

        평양 토포필리아와 고도의 재장소화 - 이효석의 『은은한 빛』을 중심으로

        오태영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8 No.-

        이 글은 식민지 후반기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제국인/식민지인, 일본인/조선인, 여행자/정주자라는 중층적 구분 속에서 평양을 인식하고 표상한 주체의 평양 토포필리아와 그를 통해 발생한 평양의 재장소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국 일본인 여행자에게 평양은 전적지, 색향, 명승지 등으로 표상되면서 식민자이자 여행자의 낭만적 욕망의 전유물로 재장소화되었고, 피식민 조선인 여행자에게 평양은 식민 권력에 의해 변동하고 있는 폐허의 고도로 재장소화되었다. 그리고 이들 이방인들에게 평양은 노스텔지어적 시간관념에 의해 새롭게 인식되었다. 한편, 이효석의 「은은한 빛」에 나타난 호리 관장과 욱의 평양 토포필리아는 평양이라는 공간을 정주자로서 자신의 ‘삶의 장소’로 위치시키면서 거기에 애착을 보인다는 점에서 여타 일본인이나 조선인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그들의 ‘토지에 대한 커다란 애정’은 평양을 자신들의 삶의 장소로 위치시키고 거기에 애착을 드러낸 것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평양 토포필리아의 근원에는 고적이나 고물을 통한 고도 평양의 장소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효석의 「은은한 빛」은 근대 초기부터 제국 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인에 의해 고도, 전적지, 색향 등 익숙한 방식 속에서 인식되고 표상되었던 평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평양 토포필리아(topophilia ; 場所愛)를 갖고 있는 식민/피식민 정주자의 목소리를 통해 당시 조선문화의 지정학적 위상을 새롭게 주조하고 있었다. This writing examined on Pyeongyang(平壤) topophilia that recognizes and represents Pyeongyang in hierarchical division called imperial people/colonial people, Japanese people/Joseon people and travelers/settlers with the target of literary works of the latter half of the colonial period, and on the replacement of Pyeongyang generated through it. Pyeongyang was repositioned as exclusive possession of romantic desire of settlers or travelers, while being represented as battlefield, home of gisaeng and scenic areas, etc. to imperial Japanese travelers, and Pyeongyang was repositioned to colonial Joseon travelers as an ancient city of ruins that varies by colonial power. And Pyeongyang was newly recognized to these strangers by a nostalgia-like idea of time and was represented as a personal place. On the other hand, as the Pyeongyang topophilia of colonial/imperial settlers locates the space called Pyeongyang to their own "place of life" as settlers, and shows attachment to it in Elegant Light of Lee Hyo-seok,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ings of other Japanese people or Joseon people. Their "big affection on land" was that they located Pyeongyang as their own place of life and showed affection on there. And the placity of Pyeongyang, ancient city, was positioned through historical remains or antiques in the source of their Pyeongyang topophilia. The Elegant Light of Lee Hyo-seok was newly casting a geopolitical phase of Joseon culture at the time through voice of colonial/imperial settlers having Pyeongyang topophilia with the focus of the space called Pyeongyang that was recognized and presented in familiar ways such as an ancient city, battlefield and home of gisaeng, etc. since the early modern period by imperial Japanese people and colonial Joseon people.

      • KCI등재

        신경림의 「쇠무지벌」에 나타난 로컬리티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Sin Gyeong Rim’s 「Soemujibeol」shows strong emotional affinity to the unique, local life and customs that are getting farther and farther from our interest. And it is mingled with local persons’ ideological consciousness about life of which ground is being drastically lost and dismantled in the limping process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goal of this writing is to find the unique locality of Soemujibeol through placeness. Finding the local placeness buried in modernity,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local placeness found to be the new value of human recovery. The local persons of Soemujibeol did find vitality for life within “the brown fields” embracing the earth there and form community spirit along with the buzzy melodies of “Madang”. Therefore, we can see that Soemujibeol people’s identity, that is,the strong vitality and community spirit, is very deeply associated with “the brown fields” of Soemujibeol and the placeness of “Madang”. Such local people’s subjectivity and independence become the driving force to preserve Soemujibeol’s dynamicity and placeness. 신경림의 「쇠무지벌」은 우리의 관심사로부터 차츰 멀어져가는 로컬 고유의 삶과 풍물에 대해 강한 정서적 친화감을 보인다. 거기에는 우리나라의 파행적인 근대화의 과정에서 급격하게 기반을 잃고 해체되어가는 로컬인의 삶에 대한 이념적 의식이 맞물려 있다. 이 글의 목표는 쇠무지벌의 고유한 로컬리티를 장소성을 통해 찾는 것이다. 근대성에 의해 매몰된 로컬의 장소성을 찾고, 그것이 인간회복의 새로운 가치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쇠무지벌 로컬인은 “황밭들”의 흙과 몸을 섞으며 그 안에서 삶의 생명력을 얻고, “마당”의 신명나는 가락과 더불어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쇠무지벌 사람들의 정체성, 즉 강한 생명력과 공동체의식은 바로 쇠무지벌의 “황밭들”과 “마당”의 장소성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로컬인의 주체성과 자주성은 쇠무지벌의 역동성과 장소성을 지키는 원동력이 된다.

      • KCI등재

        박용래 시의 장소 표상과 로컬리티

        한상철(Han, Sang-chul)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8

        박용래 시에 등장하는 수많은 정경들은 주로 ‘집-고향’과 ‘고향-마을’ 표상의 이중적 계열화에 따라 장소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집, 고향, 마을’을 둘러싼 반모더니티적 표상들이다. 이들은 조형적 공간으로 설계된 것이기보다 체험적으로 감지된 세계감의 장소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박용래의 장소 표상이 지니는 본질적 의미는 단지 향토적 서정의 세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반모더니티 체험에 근거한 로컬리티적 장소애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대략 세 가지의 논지로 구체화된다. 첫째, 그의 시에 등장하는 집과 고향은 주인이 부재하는 정경으로 묘사되지만, 동시에 현대적 삶에서 소외된 다양한 ‘손님’들로 채워져 있다. 시인은 이 반모더니티적 존재들이 만들어내는 유기적 관계망을 통해, 집-고향에서 고향-마을로 이어지는 배경 공간을 복합적인 세계의 비의가 담긴 장소애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둘째, 그의 장소 표상은 반모더니티 정서에 기원을 둔 망향 의식을 구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시적 주체의 세계감은 식민지 말기부터 한국 전쟁으로 이어진 전쟁 체험, 강경상고 졸업 후 시작된 은행원 시절의 대도시 체험 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다. 동 킹만 전시회 체험 등에서 나타나는 그의 예술관은 이러한 사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셋째, 집-고향-마을 표상에 내재하는 반모더니티적 성격은 그의 장소 표상을 전통적 서정성이나 향토성의 구현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반근대, 반문명이라는 비판적 로컬리티의 속성과 연결시켜 시적 세계감을 확장시키는 기제로 변화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representations of places in poetry of Yongrae Park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eeling of the world.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al locality in his poems. Places in his poems represent home, home town, and village. These representations mean not formative spaces but experiential places. Topophilia is embodied in the process of the representation of ‘home-home town-village’. Furthermore, it forms the basis of anti-modernity and anti-civilization in poems of Yongrae Park. There are three main points in the body. First, the poet makes space of multiple topophilia through relational networks with anti-modernity. Second, the representation of place in his poems embodies nostalgic consciousness originating with anti-modernity. In this process, the feeling of the world as the main agent in the poem i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war and big cities directly and indirectly. Third, anti-modernity inherent in the representation of ‘home-home town-village’ ambivalently changes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 of place in his poems. It is not only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lyricism and local color but it is also connect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al locality which include anti-modernism and anti-civiliz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하천 지역 자연 발생 마을의 생태계 문화서비스 고찰 : 청주 권역 미호천 주변 마을을 대상으로

        서자유,김승회 충북연구원 2022 지역정책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미호천을 충북지역 자생문화의 근원으로 이해하고 그 가치를 재조명하기위해 시작되었다. 한국인의 자연관에 바탕한 생태계 문화서비스를 찾고자, 지역의 중심이 되는 하천과 그원류, 그리고 하천을 따라 형성된 자연 발생 마을의 유산을 수행적 리서치하였고, 참여형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미호천의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생각하였다. 대상지의 범위는 미호천의 발원지와 청주권역 미호천 주변 마을로 하였다. 발원지로서 마이산, 칠장산, 보현산을, 주변 마을로서 청주시 청원군 북이면 송정리부터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까지 열여덟 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리서치 결과를 통해 하천이 주는 생태계 문화 서비스와 한국의 자연관 및 마을 문화를 살펴보았다.. 각 마을들의 가장 큰 상징적 요소는 마을 이름과 그 유래에서 발견되었다. 미호천이 빚어낸 경관미, 미호평야에서 이루어진 농경 생활, 자연물에 부여한 상징성과 그것을 경외하는 전통신앙이 미호천의 마을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마을의 문화유산은 하천이 주는 생태계 문화 서비스에서 ‘유산 및 신성시하는 유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하천 생태계는 지역 문화 발생의 영향력을 가지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