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탈북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Jung, Hyung-soo),양정호(Yang, Jung-h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2

        본 연구는 학업 및 대학 생활 전반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 가운데서도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입학 전 사회경험과 자발적 선행학습을 통해 대학 수학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하였고, 북한에서는 꿈꿀 수 없었던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그 자체, 그리고 과제 발표와 동아리 활동 등 입학 초기의 성공적 적응 경험과 지도교수의 배려와 동기의 따뜻한 시선이 큰 힘이 되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탈북 시기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인 북한이탈 주민 대학 입학 특별전형의 적용과 탈북대학생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 발생, 사적 인간관계에 의존한 탈북민 지원 정보의 취득 및 탈북민이라는 특수한 배경으로 인한 취업 걱정은 원활한 대학 생활 적응의 장애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대학생들이 대학 입학 전 충분한 대학 수학 준비를 하도록 제도적 정비와 대학에 입학한 후 지속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탈북대학생이 처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지원, 탈북민 지원 관련 정보 제공 체계의 보완 및 홍보 강화, 그리고 공적 차원에서 탈북대학생이 민간 탈북민 조력자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 형성의 창구를 마련 할 것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e thought were having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including academic studies, to see why they could have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and what was difficult about their successful university life.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they prepared enough for university study through social experience and voluntary prior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they could live in a university that they could not dream of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ir early success experiences, such as presenting assignments and club activities, and the warm eyes of their guidance professors. However, the application of a uniform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of defection made them difficult. In addition, the lack of detailed university scholarship support system, lack of an official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worries about employment due to the special background of North Korean defectors became obstacles to university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ed that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should prepare sufficient university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customized support was needed based o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continued interest after entering univers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deliver information on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to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It also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to form relationships so that they can receive help from private organizations.

      • KCI등재

        탈북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형수(Jung, Hyung-soo),양정호(Yang,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업 및 대학 생활 전반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는 탈북대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 가운데서도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학업 성적, 대학에 대한 애착, 교우관계 등 대학 생활 전반에서 본인이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심층면담의 유형 중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입학 전 사회 경험과 자발적 선행학습을 통해 대학 수학에 대한 사전 준비를 하였고, 북한에서는 꿈꿀 수 없었던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그 자체, 그리고 과제 발표와 동아리 활동 등 입학 초기의 성공적 적응 경험과 지도교수와 동기의 따뜻한 배려가 큰 힘이 되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탈북 시기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인 북한이탈주민 대학 입학 특별전형의 적용과 탈북대학생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 발생, 사적 인간관계에 의존한 탈북민 지원 정보의 취득 및 탈북민이라는 특수한 배경으로 인한 취업 걱정은 원활한 대학 생활 적응의 장애 요인이 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대학생들이 대학 입학 전 충분한 대학 수학 준비를 하도록 제도적 정비와 대학에 입학한 후 지속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탈북대학생이 처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지원, 탈북민 지원 관련 정보 제공 체계의 보완 및 홍보 강화, 그리고 공적 차원에서 탈북대학생이 민간 탈북민 조력자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 형성의 창구를 마련할 것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e thought were having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including academic studies, to see why they could have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and what was difficult about their successful university life.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thought they were having a successful college life and whose average graduation percentag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Results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they prepared enough for university study through social experience and voluntary prior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they could live in a university that they could not dream of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ir early success experiences, such as presenting assignments and club activities, and the warm eyes of their guidance professors. However, the application of a uniform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of defection made them difficult. In addition, the lack of detailed university scholarship support system, lack of an official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worries about employment due to the special background of North Korean defectors became obstacles to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ed that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should prepare sufficient university learning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 that customized support was needed based o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continued interest after entering univers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deliver information on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to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It also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to form relationships so that they can receive help from private organizations.

      • KCI등재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Korean Universities andKorean Language Level of Vietnamese Students’in Korea on University AdaptationSooyeon Kim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iversity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level on university adaptation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155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Jeonnam D university, who received a questionnaire written in Vietnamese and analyzed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iggest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studying abroad in Korea were discrimination against Vietnamese in Korean society, lack of employment-related information, loneliness, and cost of living or hous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stay in Korea, year of birth, understanding of Korean lectures, and school adaptation of Vietnamese student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 the high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Lastly, the higher the level of Korean,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n college adapta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y adjustment was university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linkage with programs that enable various exchanges and interactions with Koreans and the policy approach of related institu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universities in Vietnam was suggested. Key Words: International Students from Vietnam, Cultural Adjustment Stress, Adjusting to University Culture, Korean Language Level, Satisfaction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김 수 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전남 D대학교 155명의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베트남어로 쓰인 설문지를 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유학 생활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끼는 어려움은 한국 사회의 베트남인에 대한 차별, 취업 관련 정보의 부족, 외로움, 생활비 또는 주거비로 분석되었다. 둘째,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체류 기간, 출생연도, 한국어 강의 이해 정도와 학교 적응 간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만족이 높을수록 대학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만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베트남 유학생들의 한국 및 대학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한국인과의 다양한 교류 및 상호작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연계와 관계 기관의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베트남 출신 유학생, 문화 적응 스트레스, 대학 문화 적응, 한국어 수준, 만족 □ 접수일: 2022년 7월 30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동신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ksytina@hanmail.net)

      • KCI등재후보

        A Latent Class Analysis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신성만,박명준,박영근,정정운,오종현 한국상담학회 2018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Vol.8 No.1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1) identify the latent status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lated to risky sexual behaviors, 2)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statuses, and 3) examin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among the latent statuse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y b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statuses in relation to risky sexual behaviors: “daters,” “monogamous safe,” “monogamous exposed,” and “multipartner exposed.” Students with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ultipartner exposed status than to the other status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scores and grade point averages among the latent statuses. Specifically, individuals in the multipartner exposed status had the lowest grade point averag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 than did individuals in the other latent statuses. The findings are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and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especially in relation to individuals in the multipartner exposed status.

      • KCI등재

        개인 및 대학특성이 대학생활을 통해 형성하는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 : 대학생활 적응과 소속감을 중심으로

        박희진,황정원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social capital and how students’ social capital i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their adjustment and sense of belonging to such institutions. Methodology and data: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7th and 8th year data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Both 2 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in the data set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Findings: The analyse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ocial capital vary depending on the following factors: whether or not they take extracurricular lectures, confidence and perspectives on relationships, whether they attend a 2 year or 4 year program, or whether they attend a public or private school. In addition, the analyses concludes that students’ perception of the campus climate regarding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ctual amoun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also discovers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capital regarding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heir sense of belonging.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policies to better support students’ adjustment to their institution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sense of belonging to such institutio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기 성인들의 대학생활을 사회자본이론을 활용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탐색적인 시도이다. 사회자본은 외연적 측면(관계), 정의적 측면(신뢰와 규범), 혜택의 측면(정보와 자원)으로 구성되는 데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의 외연적 측면을 대학생활이라는 제한된 범위에서 살펴보고자, 교수와의 관계와 친구 및 선후배(교우)와의 관계를 변수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두 가지인데, 먼저 개인의 특성 및 대학의 특성이 대학생활 중 형성하는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사회자본이 대학생활 적응과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 중 고교졸업 이후에 해당하는 7~8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기 성인기 대학생활을 통해 형성하는 사회자본은 학과강의 외의 강의 참여여부, 인간관계의 자신감 및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특성(2・4년제나 공・사립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구성원들이 학내 상호작용이 용이하고 이를 장려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여길수록 실제로도 활발한 교수・교우 간 교류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대학생활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수와의 관계와 교우와의 관계 모두 대학생활 적응과 소속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대학의 학생적응 지원, 학교 및 학교에 대한 소속감 제고 등을 위한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