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친구 추천 기능 제안 - 하이퍼로컬의 위크타이 속성을 중심으로 -

        정 주 미,김 수 현,김 동 환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Metaverse is emerging as the 4th generation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NS, Metaverse ha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re both online and offline. Accordingly,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in a Metaverse service by integrating it with the encounter attribute, a practical attribute for inducing affection in offline. Methods The hyperlocal encounter attribute that triggers bonding is appli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 experiment including prototype exploration of virtual video and survey is conducted using Wizard of Oz methodology. The primary purpose of the experiment is to identify users tendency to make new friend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ose features and user interfaces. Resul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offline hyperlocal attribute is also valid within the Metaverse, and the number of encounters is a compelling attribute in making new friends in SNS. The higher the number of encounters, the higher the intimacy participants have felt on one another. Other practical attribute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re visual factors such as outfits of an avatar and sharing similar interests in the Metaverse. The latter attribut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riend recommendation methods of existing servic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 new SNS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by combining the affection attribute of hyperlocal. Based on the insights found in the experiment,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a more suitable form of friend recommendation for user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in the future. 연구배경 4세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메타버스가 떠오르고 있다. 기존에 사용된 서비스와 달리 메타버스는 환경적 특성이 존재하며, 해당 특성은 온라인뿐만이 아닌 오프라인 적 속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유대감을 유발하는 유효 속성인 마주침 속성을 메타버스 환경과 결합하여, 메타버스 환경 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신규 친구 추천 방식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유대감 속성을 유발하는 하이퍼로컬의 마주침 속성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유저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였다. 이후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여 친구 사귐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및 가상의 영상으로 Wizard of Oz 방법론을 실행하였다. 이후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당 기능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오프라인의 하이퍼로컬 속성이 메타버스 내에서도 유효하며, 마주침 횟수가 서비스 내 친구 사귐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참가자는 횟수가 높을수록 친밀하다고 인식했으며, 이 외에도 시각적 매개 및 기존 친구 추천 방식인 관심사 정보도 메타버스 환경에서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해당 연구를 통해 하이퍼로컬의 유대 속성을 결합하여 메타버스 환경의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친구 추천 방식을 제안하였다. 실험에서 발견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향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형태의 친구 추천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로컬크리에이터의 하이퍼로컬 미디어로서의 역할과 성장 가능성 모색

        곽선혜(Sunhye Kw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교통과 미디어의 발달은 지역성을 복잡하고 다층적으로 변화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하이퍼로컬 미디어는 세분화된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공동체의 형성과 유지를 지향한다. 로컬크리에이터들은 로컬 커뮤니티와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자생적인 지역사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위기가 국가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현재, 로컬크리에이터의 역할과 로컬 지향의 사회문화 양상은 점차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과 성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지역성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로컬크리에이터들의 성장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그들의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들이 지역과 지역공동체에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로컬크리에이터들이 하이퍼로컬 미디어로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대한 인식을 높이고, 그들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and media has led to complex and multi-layered changes in regional characteristics. In response, hyperlocal media aims to form and maintain local communities based on segmented regions. Local creators emphasize the need for local community and networks, growing as indigenous regional businesses. Currently, with the national issue of population decline and the risk of local extinction, the role of local creators and the trend towards local-oriented socio-cultural aspects are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exploring their activities and growth potential.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the growth potential of local creators who utiliz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resources,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eir activities. Furthermore, by establishing a practical foundation for what roles they can play in the region and its communit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raising awareness of the role local creators can play as hyperlocal media and explores their growth potential.

      • KCI우수등재

        지역 기반 미디어의 하이퍼 로컬리즘과 지역성 범주 변화 : 부산 지역 기반 유튜브 채널 운영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강주현(Ju Hyun Kang)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edia based on Busan from a vantage point of hyperlocal media, a concept based in Western socie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eople, including a YouTube channel operator who produces content for the YouTube platform in Busan, a YouTube channel operator of a local media, and an activist of a local media civic group. First, the concept of locality assumes a geographical basis in that the content creators are located in a particular region, but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the locality of content creators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geography in which administrative work takes place. Rather, locality refers to a kind of social and collective identity. In terms of content produced by citizens, use by local user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large-scale issue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community-based local media is a means to increase citizen particip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whether civic participation is activated in that civic actors avoid making appearances in the media. Through local media activities of each of these actors, the local media gradually grew into a medium that communicates with the global/national audiences through local content. Within the physical local conditions, the content dealt with the local history, people, subject matter, and background. In addition, the value of travel or entertainment was included in the content and was advertis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addition, the content creators tried to establish social solidarity beyond the region by bringing in issues of universal value such as labor, human rights, and issues raised by civic groups. However, in this study, interest-oriented content that had no choice but to depend on the number of views was weak in revealing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Even if civic media fills the gap that traditional media has not filled, if it is not necessarily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local people, and the identity of the local media remains ambiguou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local value not only as a product value, but as a content closely related to life. Citizen YouTube producers did not have enough financial resources to generate their own revenue, and they often had to work other job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Local-based YouTube channel operators were producing and supplying local content with affection,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duty in a financially difficult situation. For community-based citizen media to be more active, policy support such as provision of equipment or programs and subsidies is required, rather than relegating local media as a problem to be solved by leaving it to market principle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he content, support such as video production and editing education and legal advice is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하이퍼로컬 미디어로서의 지역 주간신문의 가치와 방향성에 관한 탐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원숙경,안차수,이건혁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7 No.3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대면 소통의 제한은 일상 정보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했다. 지역 미디어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전문성과 다양성이 줄어들고 있다. 이로인해 지역 미디 어의 소멸 가능성이 커졌다. 지역 주간신문은 오랫동안 지역 정보를 전달해 온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이퍼로컬 미디어의 가치를 실현해 왔으나, 비즈니스 모델 변화와 다양한 미디어와 의 경쟁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주간신문이 가진 하이퍼로컬 가치 실현과 생존 방안을 찾고자, 신문 독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텍스 트마이닝 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지역 주간신문이 지역성 구축과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하이퍼로컬 미디어로의 지향이 지역 주간신문의 생존전략 중 하 나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지역 주간신문이 하이퍼로컬 미디어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 성을 유지하고,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 지역주민의 일상을 반영한 뉴스 제공, 지역 권력에 대한 대항 보도, 미디어 플랫폼의 다양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도출하였다. 특히 지역 독자들은 지역 주간신문의 디지털화보다 생활 친화적 뉴스와 정보제공을 더 선행되어야 할 과제로 여긴다는 연구 결과는 지역 주간신문 정책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서울 저층주거지의 커뮤니티 회복을 위한 캠퍼스 모아타운 계획방향연구

        방윤환(Bang, Yoon-Hwan),유해연(Yoo, Hae-Yeon)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irection of campus moatown planning to respond to the urban community deterioration caused by low-rise residential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in Seoul over the past decad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campus towns and moatowns and related policies, and studied related cases. The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we identified the respective emergence backgrounds and related systems of campus town and moatown. Second, by analyzing the cases of campus towns, we derived the complementarities of the existing cases and the need to connect with moatown projects. And third, we proposed the planning direction of campus moatowns for this purpose. Finally, stakeholders and experts related to the study were interviewed as needed.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linkage of campus and MoaTown projects to urban community recovery is positive and requires sharing of programs between universities and moatown, pedestrian paths that loop around the campus moatown to loosen physical boundaries, and forming hyperlocal communities.

      • KCI등재SCOPUS

        지역사회 자원 교환 서비스 프로브 연구: 자원 정의, 탐색, 협상 단계에서의 사용자 니즈를 중심으로

        김초롱(Chorong Kim),김진이(Jini Kim),우은지(Eunji Woo)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1

        Background : Local resources should be exchanged in a way that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cohesion, rather than solely enhancing individual benefits. Currently, challenges in defining resources and the absen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negotiation have posed barriers. In response, this research aims to uncover residents’ needs in resource exchange and to obtain service design implications. Methods : A probe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contextual user data in actual resource exchange scenarios. The probes consisted of two types: a web app service prototype that allowed local community members to experience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resource definition, exploration, negotiation, and exchange, and a diary template for recording subjective impressions. Over a period of 3 weeks, 6 residents participa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stages and requirements of resource exchange. Results : Four types of resources and two triggers for resource definition were identified. Six determinants for exchange were identified in exploring others’ resources. In the negotiation stage, the needs of ensure fairness and safety were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authentication and record-keeping could enhance the exchange experiences with neighbors. Conclusions : This study uncovers in-depth user needs at each specific stage of resource exchange and provides insights into specific service features. Thi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hyper-local community service design that contributes to community activation and resilience through neighbor-to-neighbor resource exchange.

      • KCI등재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의 인터랙션 및 효과 분석

        김초롱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학계와 산업계에서 걸쳐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의 가능성이 조명되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단일 사례나 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디자인 실행 차원에서 개별 플랫폼 개발 사례를 모아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을 위한 인터랙션이 로컬 커뮤니티 맥락에서 작동하는 방식과 그 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의 틀을 구축하고 이로부터 의도한 커뮤니티 효과를 내기 위한 플랫폼 디자인 고려사항 및 인사이트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 디자인을 위한 종합적인 이해의 틀을 구축하기 위해 32개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 사례를 정성 코딩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의 진입 지점, 주요 기능, 이로부터 촉발될 수 있는 인터랙션 및 주민 교류 방식, 그리고 커뮤니티의 역량 강화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하는 19개의 코드를 정의하였다. 이 코드들은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의 작동 방식과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토대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동시출현분석을 통해 상관관계가 있는 코드의 조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도한 주민 교류 및 커뮤니티 효과를 촉발하기 위한 플랫폼 디자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hile local community platforms have generated interest in academia and industry, previous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individual case studies or broad discourse analysis. Individual platform design implementation cases need to be analyz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understand how interactions for online social networking in the context of local communities and their effects, from which concreter design considerations and insights to achieve desired community effects can be discussed. This study, therefore, conducted a qualitative coding analysis of 32 local community platform cases using qualitative coding. This effort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19 codes, explaining various aspects of local community platforms, including access points, main functions, user interactions with the platform, interactions among residents facilitated by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s impact on improving community capabilities. These codes provid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systematically grasping how local community platforms operate and their overall effects. Furthermore, our analysis of code co-occurrence unveiled patterns of interrelated codes, which, in turn, guided the discussion of platform design implications aimed at facilitating intended interactions and achieving specific community objectives.

      • KCI등재후보

        지역 텔레비전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탐색: - 울산MBC <돌직구 40>에 대한 사례 연구 -

        김진영,성민규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This case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 in which local journalism practices pose a challenge to, and interact with, hyper-capital-centralized media markets. We pay attention to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working for Dolgikgu 40, a local TV investigative journalism news program produced and aired by Ulsan MBC. We suggest that ‘de-hyperlocalism’, identified in the program, should not merely be seen as a counter-point to the hegemonic media market but evaluated for negotiations for the fluid idea of loc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지역 방송사 탐사보도프로그램 제작환경과 제작진들이 추구하는 ‘지역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작진들은 지역성 구현을 위한 규범적 인식을 가짐과 동시에 ‘탈’하이퍼로컬리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탈하이퍼로컬리즘은, 기술적인 문제에서 전국적인 이슈의 프로그램을 만들 때 중앙방송사와의 경쟁력에서 차이가 난다는 점을 인지하고 지역방송사에서 잘할 수 있는 것이거나 또는 최소한 지역과의 연계가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탈하이퍼로컬리즘 경향은 <돌직구 40>의 방송 소재 선정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탈하이퍼로컬리즘의 경향은 하이퍼로컬리즘이 비판의 지점으로 삼았던 지역 언론시장의 거대자본화 또는 시장경쟁력이라는 것으로 단순히 수렴될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탈하이퍼로컬리즘은 자본과 시청률 그리고 제한되고 열악한 방송제작 환경과 새로운 매체기술 발전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고 있는 지역 언론의 새로운 지평과 더불어 면밀히 탐색되어야 할 개념이다.

      • KCI등재후보

        AHP기법을 활용한 지역방송의 지역성 평가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영수(Kim Young Soo),강경수(Kang, Kyoung Soo)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본 연구는 AHP(계층분석과정: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통해서 지역방송인들이 지역성 개념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의 직종(기자, PD, 행정, 제작지원)에 따라 약간의 인식차이를 보였지만, 지역 기관에 대한 감시와 견제, 지역사회에 대한 심층적 접근과 환경 감시, 지역민의 권익 보장과 대변 등의 요인은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출입처 및 행정기관에서 일어난 사건, 지역 기관의 마케팅 창구, 방송권역 내 생활정보 전달, 지역민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 반영 등의 지역성 요인은 비교적 다른 요인에 비해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역방송사의 소유구조에 따른 지역성 평가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는 지역 민방과 지역MBC 두 집단 간 순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지역 민방은 사회적 지역성 요인 중 지역사회에 대한 심층적 접근과 환경 감시 요인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지역MBC는 신지역주의 요인 중 지역 기관에 대한 감시와 견제 요인을 가장 중요한 지역성 요인으로 평가했다. 2순위 또한 지역 민방은 사회적 지역성 요인 중 지역사회 공공적 이슈의 공론장 역할을 꼽은 반면, 지역MBC는 신지역주의 요인 중 지역의 정신적 삶과 물질적 환경 개선을 위해 사회자본 확충 요인을 꼽았다. 반면, 두 집단 모두 직종별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출입처 및 행정기관에서 일어난 사건, 지역기관의 마케팅 창구, 지역민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 반영 요인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방송의 실질적인 발전과 지역성 구현의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localism element perception of the Local Broadcaster’s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Most local broadcasters are similarly putting priority on the local surveillance and control, the deep approach and environment observation, and the right and interests of local residents. On the other hands, events which are occurring the news beat and administrative agency, marketing window of regional organization, delivering life information in territorial broadcasting areas, and the contents made by the local residents themselves are relatively low rank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localism are something differently positioned by the ownership type of local broadcasting company. The local commercial broadcasting companies practitioners placed the highest point on the deep approach and environment observation. Otherwise, the local MBC employees put priority on the local surveillance and control among the Neo localism elements. On the local commercial broadcasting sides, the second place is the public sphere function among social localism. On the local MBC sides is the expanding social capitals improving spiritual and material life. While, both sides are also putting relatively low ranked on events which are occurring the news beat and administrative agency, marketing window of regional organization, delivering life information in territorial broadcasting areas, and the contents made by the local residents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