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창화 감독의 영화 <장희빈>을 통해서 보는 멜로드라마적 요소에 관한 연구

        김주영 ( Ju Young Kim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0 한국문화기술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popular narrative of Jang Hee-bin through the character that is Jang Hee-bin. As everyone knows, Jang Hee-bin is a woman who led a very dramatic life. Jang Hee-bin’s dramatic life provides good inspiration to content fictionists of posterity. Thus the character of Jang Hee-bin is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and is simultaneously recreated. Including the recently completed drama “Dong Yi”, there have been a total of eight series of videos were created regarding Jang Hee-bin. Furthermore, every time a video about Jang Hee-bin is recreated the public have shown great interest such as by comparing the new Jang Hee-bin with the old one. To be of continuous interest to the public surpassing time and space is not easy feat and yet Jang Hee-bin consistently stimulated the public’s interest and garnered attention. Then what aspect of Jang Hee-bin makes the writers to video plots keep trying to recreate? Moreover, why does the public keep watching the endless recreations of Jang Hee-bin? First of all, in order to determine where the public characteristics that Jang Hee-bin has arise from the genre of melodrama must be established. As one of genres of popular narratives, melodrama is also one of the genres that most closely relates to the public. Thus understanding melodrama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narratives. Video contents related to Jang Hee-bin can also be included in the genre of melodrama, to categorize it in further detail it could be classified as “historic melodrama.” Second of all, to analyze the melodrama factors in the videos in which Jang Hee-bin is a major character. As the subject of analysis I chose the movie “Jang Hee-bin,”by director Jung Chang-hwa which premiered in 1961. The reason why I selected an old piece rather than a new one is because this piece was the first video about Jang Hee-bin which gave root to a series of them. The melodrama factors borrowed from this piece make various changes to the person’s personality or the narrative’s episode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however Jang Hee-bin’s overall frame remains unchanged. Thu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lodrama factors of “Jang Hee-bin”by director Jung Chang-hwa I concluded that there would not be significan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popular narratives. Furthermore, seeing as how the melodramatic characteristics of Jang Hee-bin? which was the first in a series of Jang Hee-bin videos? prevail to this day, it should also be possible to observe the universal aspects of popular narratives that seem to surpass time and space.

      • KCI등재

        ‘장희빈 죽음 서사’의 현대적 변화와 공공역사

        나종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이 연구에서는 ‘장희빈 죽음 서사’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그것이 내포하는 역사의식의 변화를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희빈을 악녀로 보는 입장에서 구성된 ‘장희빈 죽음 서사’의 요소는 ‘죽음에 저항하며 발악’과 ‘세자에게 위해를 가함’의 두 가지로 파악된다. 역사적 사실과도 다른 이러한 요소의 정착에는 희빈 장씨를 악녀로 규정하고 정치적 갈등의 책임을 그녀에게 전가하는 크게 작용하였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장희빈 죽음 서사’가 점차 강화되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 새로운 서사가 시도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2000년대 초반까지의 여러 드라마에서는 악녀로서의 ‘장희빈 죽음 서사’를 구성하는 두 요소를 모두 반영한 작품도 있었으며, 하나의 요소가 탈락되더라도 악녀의 이미지는 더욱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희빈 장씨의 악녀 이미지는 고착화되었고, 대중은 그러한 악녀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향유하였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의 드라마에서는 희빈 장씨의 이미지가 크게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장희빈 죽음 서사’ 또한 변화하여 악녀 서사의 두 요소를 모두 배제하고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냈다. 공공역사의 측면에서 ‘장희빈 죽음 서사’의 현대화 과정을 분석하면, 먼저 역사콘텐츠이 대체서사로서의 성격이 강화된 측면을 주목할 수 있다. 새롭게 제시된 ‘장희빈 죽음 서사’는 이전까지의 악녀 서사를 따르지도 않고, 공식 기록을 따르지도 않았다. 한편, ‘장희빈 죽음 서사’의 현대적 변화 양상이 ‘책임지우기’의 역사의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측면은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역사학계의 조선 후기 정치사 연구 경향과도 배치된 이러한 역사의식은, 공공역사의 장에서 풀어나가야 할 과제를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and its implications for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a public history perspective. The narrative, based on the portrayal of Jang Hee-bin as a malevolent figure, is transformed through two key elements: (1) her defiance against death, and (2) the alleged harm she inflicted upon her biological son, the crown prince. These elements—though historically inaccurate—derive from the perception of Jang Hee-bin as a sinister woman and the attribution of political turmoil to her actions. In the modern era, the reinforcement of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is evident, particularly through visual media. However, during the 2010s, new narratives emerged. Notably, dramas up to the early 2000s depicted Jang Hee-bin as a villainess, retaining the narrative elements, and even when one element was omitted, her villainous image persisted. This portrayal became ingrained in public consciousness, eliciting active reception from the viewers. Contrarily, dramas from the 2010s onward manifest a distinct change in Jang Hee-bin’s depiction, prompting a corresponding change in the narrative. The new portrayal discards the villainess framework, introducing a fresh perspective.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history, the contemporary changes in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are noteworthy. First, th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content as an alternative narrative has gained significance. The newly presented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neither follows the previous villainess narrative nor the official record.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e contemporary changes in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reta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aking responsibility.” This consciousness of history, which is contrary to the tendency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llustrates the challenges in the field of public history.

      • KCI등재

        TV 역사드라마와 여성상의 변화 - 천추태후와 장희빈을 중심으로

        임홍갑,정성희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3

        본 논문은 TV 역사드라마의 변화 속에서 역사서에 기록된 여성들이 시대 변화에 따라 어떤 여성상으로 역사드라마에 그려졌는지를 천추태후와 장희빈을 중심으로 고찰해 본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TV 역사드라마가 역사를 서술할 수 있는 한 장르가 될 수 있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를 검토보고자 하였다. 역사나 역사소설은 ‘페이퍼(paper)’를 통해 역사를 그리고 있지만 역사드라마는 ‘영상(picture)’ 이라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역사 이야기를 펼쳐내는 장르이다. 불친절한 역사서의 기록을 등장 인물의 대화로 메꿔가는 역사드라마를 ‘사실(fact)’로 보기보다 하나의 ‘이야기(narrative)’로 이해한다면, 사실과 픽션이 혼재된 역사드라마는 또 다른 역사 서술의 장르로 인정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남성중심의 역사 기록에서 배제된 여성은 역사 기록에서 사료나 기록들이 양적으로 매우 적은데,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역사드라마는 빈곤한 여성 역사의 간극을 채울 수 있는 아주 적합한 장르이다. 역사 기록에서 남성에 비해 그 주체성이 결여된 여성의 이야기를 ‘반역사성’이 아닌 ‘탈역사성’을 통한 역사드라마의 재구성은 새로운 여성주의적 역사이며, 그 삶이 재현된 역사드라마에는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이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2009년 KBS에서 방영된 <천추태후>와 시대별로 끊임없이 제작된 <장희빈>을 중심으로 시대에 따라 달라진 여성의 위상이 역사드라마에 투영되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studies how TV historical dramas have described the image of women in history narrative, changed with the tim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V historical drama is a genre of historical narrative. The study focuses on Empress Chun Chu(千秋太后) and Chang Hee-Bin(張禧嬪). To this end, whether the TV historical drama is a genre of historical narrative or not was reviewed first. History and historical novels describe the history on paper, while TV historical dramas tell the historical stories using pictures. When TV historical dramas where conversations of characters fill the gaps in incomplete historical records are perceived as a narrative rather than the fact, TV historical dramas combining the fiction and the non-fiction can be recognized as a genre of historical narrative. More notably, there are few historical materials and records on women, who were excluded from male-dominated historical records. TV historical dramas, based on historical imagination, are one of the most ideal genres filling the gaps in the historical narrative that is poor in contents about women. TV historical dramas, which are reproduced by de-historicizing the stories of women that lack identity compared to the stories of men instead of anti-historicizing them, tell the new feminist history. The TV historical dramas reproducing lives of women reflect women's lives in the modern tim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ended to verify that the status of women, changed with the times, has been reflected to TV historical dramas, with a focus on Empress Chun Chu of KBS aired in 2009 and Chang Hee-Bin steadily produced and aired over time.

      • KCI등재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 남북한 소설 읽기와 글쓰기 -은희경의 「빈처」와 정현철의 「삶의 향기」를 중심으로

        조경덕 ( Cho Kyoung-du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7 No.-

        이 논문에서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로서 남 · 북한 소설을 각각 한편씩 제시하고 그 텍스트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은희경의 「빈처」와 정현철의 「삶의 향기」이다. 두 작품은 모두 결혼 이후 가사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문제의 당사자인 남편이 아내와 아들의 일기를 읽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두 작품의 소재와 작중 모티프는 유사하지만 결말의 내용은 차이가 있다. 공통점은 두 작품을 비교하는 준거가 되는 동시에 남한과 북한의 사회 · 문화의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매개가 된다. 분단된 지 60여년이 넘었어도 가정사의 문제점은 남한이나 북한이나 비슷하다는 발견은 학습자로 하여금 현재 지니고 있는 분단 의식을 되돌아 보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삶의 향기」의 결말은 주인공이 자신의 이전 생각을 반성하면서 갈등의 해결이 암시되는 데 비해, 「빈처」의 결말은 갈등 해결여부가 모호하게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결말의 차이는 남한 소설과 북한 소설의 존재방식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특히 「삶의 향기」의 분명한 결말은 북한 소설의 계몽 · 교육적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삶의 향기」와 「빈처」의 비교 · 분석은 소설 텍스트를 문화론적인 시각, 예술론적인 시각에서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글쓰기의 유형이자 설명 방법으로서 비교와 대조의 효용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ase of reading the North and South Korea short story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education of reading the North and South Korea novel aims at the university students`s ability to understand Nor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for overcoming the recognition of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Bin-Cher, it means a poor wife, is Eun-Hee-Kyoung`s short story and Sal-Mi-Hyang-Ki, it means the perfume of life, is Chung-Hyoun-Chul`s short story. Eun is South Korea`s writer and Chung is North korea`s. Two work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subject matter and a diary-motif. They confirm that North and South korea is a nation and share similar culture and the social system, for example patriarchy. But The difference of two work`s ending represents that a view of literature based social ideology is different to each other. Finally, student can write a essay about the North and South Korea short story with the method of comparisons and contrasts.

      • KCI등재

        『東人詩話』의 간행과 대일본 유출

        오용섭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9 No.-

        Dongin-Sihwa was published four times in Korea: first edition (1477), second edition (1639), third edition (revised second edition, 1639~64) and fourth edition (1664). In 1687, Kikuchi-houmei (菊池鵬溟) was published in Japan based on the manuscript from Lee Myoungbin. However the publishers did not obtain the original first edition during the process. Thus the erroneous second edition had both Kim Soo-on and Yang Seong-ji’s prefaces mixed together. Since then, the publisher of the third edition (revised second edition) noticed the mistakes in the second edition and corrected them all. But the fourth edition again contained the previous mistakes as it wa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This paper closely investigates the four editions of Dongin-Sihwa, its mistakes, revisions and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separate editions. It further discusses its spread from Korea to Japan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Japan edition. These new facts will help many researchers of this field. 『동인시화』는 초간(1477), 중간(1639), 중간 수정(1639~64), 중간 번각(1664) 등 4차례의 간행이 있었다. 그러나 중간 당시 온전한 초간본을 저본으로 삼지 못하였다. 그래서 중간본은 김수온과 양성지의 글이 합성되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이후 중간 수정본에서는 이를 바로 잡았지만 중간 번각본에서는 오류가 있던 중간본을 저본으로 삼았기 때문에 오류는 다시 발생되었다. 이 글에서는 오류의 발생과 수정사실, 간행 회수, 판본간 편성의 특징, 대일본 유출과 간행, 일본 간본의 저본 등을 살폈다. 밝혀진 새로운 사실들은 향후 이 분야의 연구자에게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