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방이전에 지어진 경기도 지역의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 연구 : 광명, 광주, 성남, 시흥, 여주, 하남을 중심으로 Kwang-myung, Kwang-ju, Sung-nam, Si-heung, Yu-ju, Ha-nam

        나종현,전봉희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19 No.2

        Most studies on the Kyunggi province houses have mainly compared the ㄱ-shaped house of the province with the houses of other regions, but they have lacke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ㄱ-shaped house type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type resulted from an analysis of the census reveals that it had become a common house type in the middle of 19C and that it has reflected the practical needs of habitation since the late Choson dynasty: its layout, mainly open ㅁ-shaped form, has the tendency of overcoming its innate orientational disadvantage ; its structure, the use of four cross--beamed structure(平四樑) and additional bay(退間) has fulfilled the need of spatial enlargement and has liberated the column lines according to the spatial uses.

      • KCI등재

        18세기 초반 호론계 배사론(背師論)의 전개

        나종현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0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ron’s theory of ‘betraying own master’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problem of Yun Jeung's betrayal of his master, Song Si-yeol, was that Noron had constantly used as an attack logic against So-ron. However, after the fact that Yun's betrayal was formalized by King Suk-jong through the controversy over Garyewonryu(家禮源流) , it could served as the political theory of Ho-ron. Here, Kwon Sang-ha, who tried to defend the position of his school, played a great role. This allowed the theory of ‘Betraying own master’ had a greater effect than before. Yi Gan, Kwon’s diciple, who was accused of protesting against his master, wrote a text about the master. In this text, Yi criticized Yun and defend his own position. Yi Hyun-ik, a member of the Nak-ron, also criticized Yun Jeung and Na Yang-jwa, and defended the position of his own school. Through the King Gyeong-jong's reign and the early King Yeong-jo’s reign, theory of ‘Betraying own master’ was used as a mechanism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Noron loyalty. Han Won-jin, who was considered as the heir of Horon, argued that the So-ron had betrayed the master and King Gyong-jong and King Yeong-jo should punished them drastically. This appearance was also revealed without much difference in Yi Gan, who was philosophically arguing with Han. Yi also revealed same political ideas with Kwon-Han line’s, which runs from the theory of ‘betraying own master’ to the theory of ‘betraying own king’.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Ho-ron's theory of ‘betraying own master’ in the early 18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the theory was not simply due to Ho-ron’s inherent exclusivity, but the status and influence of the theor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이 연구에서는 18세기 초반 호론계 배사론(背師論)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윤증의 배사 문제는 노론에서 끊임없이 소론에 대한 공격 논리로 활용하였던 것이었다. 가례원류 사건을 거치며 숙종의 처분으로 윤증의 배사가 ‘공식화’되면서, 배사론은 단순한 공격 논리를 넘어 하나의 정치론으로 기능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사문(師門)의 입장을 수호하려 하였던 호론계 권상하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배사론은 호론계 인물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대표적으로 스승에게 학문적으로 반발한 혐의를 가지고 있던 권상하 문하의 이간은 스승에 대한 글을 지어 윤증을 비판하는 한편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였다. 낙론 계열의 이현익 또한 윤증의 배사 문제를 논하면서 윤증과 그를 옹호한 나양좌를 비판하였다. 경종대의 신임옥사와 영조대 초반의 의리 문제를 거치며 배사론은 충역론과 결합하여 노론 의리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 권상하로부터 호론의 적통을 이어받았다고 평가되는 한원진은 배사의 문제를 충역과 연결하고, 스승과 군주를 배신한 난적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원진과는 철학적 입장을 달리하여 논쟁을 벌였던 이간 또한 배사론과 충역론에 근거하여 노론 의리의 관철과 소론에 대한 강한 징토를 주장하였다. 18세기 초반 호론계 배사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서, 배사론이 단순히 그들의 태생적 배타성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정국 변화에 따라 그 위상과 영향력이 변화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도암 이재와 호락논쟁 ‒ 성리설과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

        나종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이 연구에서는 도암 이재 사상 구조를 다시 살펴보고 그 특징을 새롭게 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이재 사상의 특징과 의미를 다시 살펴보고, 조선후기 사상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는 데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이재는 18세기 노론 낙론 학계의 학문적·정치적 대표인물로서 강학 및 정치 활동을 통해 노론 낙론의 이념을 실현하려 하였다. 특히 이재를 중심으로 한 노론 낙론계는 호락논쟁을 거치며 호론의 ‘보수성’과 구별되는 철학적 ‘개방성’을 발전시켰고, 이는 정치적 개방성으로도 이어졌으며, 이후 북학파라는 새로운 학문 사조를 출현하게 하였다고 이해된다. 그러나 이런 거시적 전망을 지나치게 도식적으로 적용한다면, ‘보수성’을 견지했던 이재의 정치 사상은 그의 ‘개방적인’ 철학 사상과는 배치되어 사상으로서의 완결성을 획득하지 못하므로, 다소 불완전한 과도기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보수’와 ‘개방’의 도식적 구도 속에서 벗어나, 호락논쟁에서 보인 이재의 성리설과 그의 생애 동안 관철시켰던 정치사상을 서로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호락논쟁에서의 쟁점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재의 철학 사상 전체를 바라보면, 이재 또한 사물의 기질적 차이는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배움’을 통해 삿됨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사람과 금수가 다른 이유라 파악하였다. 또한 ‘배움’을 강조하는 이재의 태도는 학문 및 수양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성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었다. 그의 철학 사상은 정치 사상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 사상을 뒷받침하고 있던 것이었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Yi Jae’s thought and re-evaluate its characteristics. Yi Jae was a representative of Rak-ron in the 18th century and tried to fulfill Rak-ron’s ideology with his teaching and political activities. Especially,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Rak-ron developed its ‘progressiveness’ philosophically and politically, unlike Ho-ron who held extremely ‘conservative’ position. Rak-ron’s ‘progressiveness’ is also known as the foundation of Buk-hak, a new academic trend. In this point of view, however, Yi Jae’s thought which had shown both political ‘conservativeness’ and philosophical ‘progressiveness’ looks somewhat transitional and incomplete.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Yi Jae’s philosophical and political stance comprehensively, re-evaluate its historical meaning, and eventually, broaden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thought in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18세기 양주 조씨 조태채·조관빈 부자의 정치 활동

        나종현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7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conflict between the Bungdangs reached its peak, Cho Tae-chae and Cho Kwan-bin of the Yangju Cho family both served as key figures in Noron. Cho Tae-chae, who was surrounded by the Soron cousins and walked the path of Noron, quickly gained the trust of King Sukjong with his outstanding personality and practical skills, and grew into a key figure of Noron.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the conflict between Noron and Soron broke out over the problem of Geonjeo Daeri(建儲代理), and Cho Tae-chae was enshrined in Jindo Island and killed along with three other ministers of Noron. This solidified Cho Tae-chae's status as one of the 4 Ministers of Noron, which represented Noron's loyalty. Cho Gwan-bin, the second son of Cho tae-chae, had to live in exile with his siblings after Cho Tae-chae’s death. he serv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Noron Junron in the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after King Yeongjo's accession. I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the official evaluation of the Sinim Loyalty(辛壬義理) was forced to continue to change, and accordingly, Cho Kwan-bin's move, which insisted on the complete realization of the Sinim Loyalty of Noron, was also bound to have ups and downs. Cho Kwan-bin participated in the political world in earnest after the Sinim Loyalty was fully recognized, but did not budge from a strong position even at this time. 붕당간의 갈등이 극에 달했던 18세기, 양주 조씨 가문의 조태채와 조관빈 부자는 모두 노론의 핵심 인물로 활약하였다. 소론 종형제들과는 달리 조태채는 노론계열로 활동하였으며, 뛰어난 인품과 실무 능력으로 숙종의 신임을 얻어 노론의 핵심 인물로 성장하였다. 경종 때 건저대리(建建大里) 문제로 노론과 소론의 갈등이 일어나자, 조태채는 노론의 다른 세 명의 대신들과 함께 진도에 합사되어 살해되었다. 조태채는 본래 소론에 대해서 다소 유화적인 중간자적 입장을 보여주었고, 이로 인해 건저대리 당시에도 같은 노론 계열로부터도 의혹이 있었다는 일화가 전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신임옥사로 인한 희생으로 조태채는 노론의 충절을 대표하는 노론4대신의 한 사람으로 그 위상이 굳어졌다. 조태채의 차남 조관빈은 조태채가 죽은 뒤 형제들과 함께 유배 생활을 해야 했다. 영조 즉위 후 탕평 정국에서 노론 준론의 대표적 인물로 활동하였다. 영조대 급변하는 정국에서 신임옥사에 대한 평가, 즉 신임의리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계속 바뀔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노론의 신임충성의 완전한 실현을 주장한 조관빈의 정치적 행보에도 우여곡절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조관빈은 신임충성이 완전히 인정된 후 정계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이때도 강경한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러한 노론 준론으로서의 강경한 입장은 한때 영조에 의해 ‘화를 입은 가문의 후손’으로 옹호를 받기도 하였지만, 결국 말년에 영조에게도 당괴(黨魁)로 지목당해 처벌받기에 이르게 되었다.

      • KCI등재

        명종말~선조초 고봉 기대승의 정치 활동

        나종현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논총 Vol.59 No.-

        이 연구에서는 기대승의 정치 활동을 재구성하고, 당시의 정국 속에서 그의 정치 활동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기대승은 기묘사림의 후예로서 가학에 입각하여 도학 사상을 근간으로 하였다. 그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척신정치의 청산과 사림 정치의 실현이라는 정치적 입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기대승은 명종말 문과에 급제한 후 정치활동을 시작하였고, 어린 연배에도 불구하고 신진사류를 대표하는 인물로 기대를 받았다. 이에 권신 이량으로부터 고담준론을 일삼는다고 탄핵을 받기도 하였지만, 이량의 실각과 함께 조정에 복귀한 후에는 신진사류의 중심으로 입지를 굳건히 하였다. 선조 초반 정국에서 명종대 권간으로 인한 구체제의 혁신을 둘러싸고 개혁에 미온적이었던 구신 세력과 개혁에 적극적이었던 신진사류의 갈등이 구체화되었다. 낭천제와 문소전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은 격화되었으며, 급기야 신진사류들은 또 다른 사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위기감에 휩싸였다. 이 시기 기대승은 이황과의 협조 속에서 신진사류를 대표하여 정치 개혁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는 기묘사화 이후의 정치적 사건들에 대하여 시비를 명백히 할 것을 요구하고, 사림의 정치적·학문적 정당성을 천명함으로써, 신진사류가 주장하고 있던 정치 개혁의 기반을 닦으려 하였다. 그는 문소전 문제와 같이 신구갈등을 촉발시킨 문제에 대하여서도, 개혁에 미온적인 구신 세력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이들로부터 신진사류의 중심으로 지목받았다. 결국 김개를 비롯한 구신 세력에 의해 축출될 뻔한 사건을 겪으면서, 정치적 위기의식 속에서 고민하던 기대승은 이황의 조언을 받아 정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후 정치 개혁은 이이로 대표되는 신진사류 중에서도 후진들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 분석

        나종현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70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frontational Narrative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has evolved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Firstly, the study analyzes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early 2000s. The analysis reveals a continuous strengthening of the presentation of the ideological history of late Joseon through the ‘Confrontational Narrative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The textbooks that have been part of the certified textbook system since 2009 are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resulting in a reduced proportion of pre-modern history. Consequently, the narration of the late Joseon historical period has been consistently abbreviated. Among the nine textbooks currently in use, it is challenging to locate a textbook that discusses the ideological history of late Joseon beyond the scope of the ‘Confrontational Narrative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This situ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the late Joseon history and various constraints with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Firstly, the academic discourse on Neo-Confucianism and Silhak is not extensive enough to replace the existing textbook structure. Secondly, achieving a diversified range of perspectives within the current textbook system proves to be challenging. To foster a broader spectrum of viewpoints concerning the ideological history of late Joseon within Korean history textbooks, in-depth discussions within academia and history education are imperative. 이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조선 후기 사상사’에 관한 서술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특히 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에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해방 이후부터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사상사를 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를 통해 설명하려는 인식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에는 성리학의 공리공담적 성격을 강조하고 그 부정적 영향을 서술하였던 것에 비하여, 후기로 갈수록 조선의 통치 체제 및 통치 집단과 성리학의 관계가 보다 집중적으로 서술되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사상사를 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로 파악하는 인식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교과서 검정화 이후에는 전근대사와 근현대사를 통합하여 서술하면서, 전근대사의 서술 비중이 감소하였다는 특징을 보인다. 그에 따라 조선시대 및 조선 후기 사상사에 대한 서술도 지속적으로 축약되었다. 교육과정을 검토하면, ‘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는 약화된 듯 보인다. 그러나 현재 통용되는 9종의 교과서 중에서 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를 벗어나 조선 후기 사상사를 서술하는 교과서는 찾아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상황은 역사학계에서의 조선 후기 사상사 연구 현황과 역사교육 현장에서의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성리학과 실학에 대한 문제 제기가 교과서의 구도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는 않은 상황과, 현행 검정 교과서 체계에서도 실제 관점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상황 등이 그것이다. 한국사 교과서에서 조선 후기 사상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화는 학계와 역사교육 현장에서의 풍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 KCI등재

        ‘장희빈 죽음 서사’의 현대적 변화와 공공역사

        나종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이 연구에서는 ‘장희빈 죽음 서사’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그것이 내포하는 역사의식의 변화를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희빈을 악녀로 보는 입장에서 구성된 ‘장희빈 죽음 서사’의 요소는 ‘죽음에 저항하며 발악’과 ‘세자에게 위해를 가함’의 두 가지로 파악된다. 역사적 사실과도 다른 이러한 요소의 정착에는 희빈 장씨를 악녀로 규정하고 정치적 갈등의 책임을 그녀에게 전가하는 크게 작용하였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장희빈 죽음 서사’가 점차 강화되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 새로운 서사가 시도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2000년대 초반까지의 여러 드라마에서는 악녀로서의 ‘장희빈 죽음 서사’를 구성하는 두 요소를 모두 반영한 작품도 있었으며, 하나의 요소가 탈락되더라도 악녀의 이미지는 더욱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희빈 장씨의 악녀 이미지는 고착화되었고, 대중은 그러한 악녀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향유하였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의 드라마에서는 희빈 장씨의 이미지가 크게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장희빈 죽음 서사’ 또한 변화하여 악녀 서사의 두 요소를 모두 배제하고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냈다. 공공역사의 측면에서 ‘장희빈 죽음 서사’의 현대화 과정을 분석하면, 먼저 역사콘텐츠이 대체서사로서의 성격이 강화된 측면을 주목할 수 있다. 새롭게 제시된 ‘장희빈 죽음 서사’는 이전까지의 악녀 서사를 따르지도 않고, 공식 기록을 따르지도 않았다. 한편, ‘장희빈 죽음 서사’의 현대적 변화 양상이 ‘책임지우기’의 역사의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측면은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역사학계의 조선 후기 정치사 연구 경향과도 배치된 이러한 역사의식은, 공공역사의 장에서 풀어나가야 할 과제를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and its implications for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a public history perspective. The narrative, based on the portrayal of Jang Hee-bin as a malevolent figure, is transformed through two key elements: (1) her defiance against death, and (2) the alleged harm she inflicted upon her biological son, the crown prince. These elements—though historically inaccurate—derive from the perception of Jang Hee-bin as a sinister woman and the attribution of political turmoil to her actions. In the modern era, the reinforcement of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is evident, particularly through visual media. However, during the 2010s, new narratives emerged. Notably, dramas up to the early 2000s depicted Jang Hee-bin as a villainess, retaining the narrative elements, and even when one element was omitted, her villainous image persisted. This portrayal became ingrained in public consciousness, eliciting active reception from the viewers. Contrarily, dramas from the 2010s onward manifest a distinct change in Jang Hee-bin’s depiction, prompting a corresponding change in the narrative. The new portrayal discards the villainess framework, introducing a fresh perspective.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history, the contemporary changes in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are noteworthy. First, th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content as an alternative narrative has gained significance. The newly presented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neither follows the previous villainess narrative nor the official record.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e contemporary changes in “Jang Hee-bin’s Death Narrative” reta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aking responsibility.” This consciousness of history, which is contrary to the tendency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llustrates the challenges in the field of public history.

      • KCI등재

        병계 윤봉구의 생애와 정치·사상적 역할

        나종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7 No.-

        Yun Bong-gu was a descendant of a family associated with the Seoin Noron faction, and this trait was distinctly evident in his personal life and relationships. He received his education under Kwon Sang-ha, a former disciple of Song Si-yeol.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discourse surrounding Human Nature was initiated by Kwon Sang-ha’s disciples, marking the inception of the first segment of the Horak debate. Yun exhibited the tenets of Horon ideology, which accentuated the impact of one's temperament. This ideological stance laid the groundwork for Yun to emerge as a prominent figure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Horak debate, characterized by intellectual clashes with the Rakron faction. Yun Bong-gu inherited his political position from his predecessor. As his mentor Kwon Sang-ha was a notable representative of the Noron faction, Yun assumed the mantle of the Seoin Noron early in his life. Throughout King Yeongjo's reign, Yun served as a Sallim, representing the Noron Junron. He staunchly adhered to an unwavering stance, advocating for Noron's Sinim Uili principles, which eventually precipitated a profound confrontation with King Yeongjo. Yun's engagements mirrored the prevailing tendencies within the Horon Sanrim, a component of the Noron Junron faction, during the complex political landscape of the Tangpyeong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