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僧傳과 高僧文集의 集成 : 韓國高僧集의 集成 및 간행을 위한 試攷

        황인규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본고는 고승전류와 고승문집의 집성과 자료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고승전류는 고려의 『해동고승전』 및 『삼국유사』, 조선의 『동국승니록』과 『동사열전』등이 있지만 대개 중세 이후의 고승들의 것이다. 고대 고승들의 경우 중국과 일본의 고승전류에 실린 한국고승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고려 이후 등장하는 고승어록이나 조선시대 고승문집류, 중세이후의 고승비문 등도 고승 관련 자료 등이 추가 정리되어 『대장경』과 『한국불교전서』에 집성 번역되어 추가 간행되어야 한다. 고승이야말로 한국역사를 전개하고 한국불교를 주도하였던 주역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This paper shows a class of Goseung-jeon(高僧傳, highly virtuous Buddhist stories) and a collection and reference of Goseung-munjip(高僧文集, highly virtuous Buddhist story books). A class of Goseung-jeon are just like the 『Haedong-goseung-jeon(海東高僧傳)』 and 『Samguk-yousa(三國遺事)』 in the Koryödynasty and 『Dogguk-seongni-rok(東國僧尼錄)』 and 『Dongsa-yoel-jeon(東師列傳)』 in the Chosõn dynasty but most of them are Buddhist monks(高僧) after the middle ages. In the case of ancient Buddhist monks, they can supplement in Japan’s and China’s Goseung-jeon. And a quotation books from Buddhist monks after the Koryödynasty, a collection of Goseung-munjip or a monumental inscription of Buddhist monks after the middle ages should be classified, translated and republished on the Tripitaka and 『Hangukbulgyojeonsû(韓國佛敎全書)』. So we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Buddhist monk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Buddhism and expanded the Korean history.

      • KCI등재

        『삼국유사』고승담(高僧談)의 갈등 양식과 의미 -당(唐)『속고승전(續高僧傳)』·송(宋)『송고승전(宋高僧傳)』과 비교하면서

        강은해 ( Kang Eun-ha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matic elements of anecdotes about high priests in 『Samkukyusa』 in connection with literature from other countries, by comparing 『Samkukyusa』 of Korea with 『Seung Jeon』 of China. Thus, this study primarily focused on the Buddhist priests in the Shilla Dynasty such as 'Ja-jang', 'Won-kwang', 'Won-hyo', and 'Eui-sang' who were listed in 『Samkukyusa』 as well as 『Sok Goseung Jeon』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Goseung Jeon』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While the four Buddhist scholar-priests of the Silla Dynasty were described to be almost ideal saints in 『Seung Jeon』 of China, 『Samkukyusa』 described them in a relatively different manner. They were still described as the highest of scholar-priests, but with some flaws. Rather than admitting their wisdom and remarkable achievements that were noted in 『Seung Jeon』 of China, 'Il-yeon' showed the high priests' flaws in the anecdotes contained in 『Samkukyusa』 while concealing the actual theme of the anecdotes, thereby overcoming their flaws. The fact that the Buddhist priests of the Silla Dynasty were praised in 『Seung Jeon』 of China resulted from the courteous point of view of Chinese priest-editors such as Tao-Hsuan (596-667) and Zanning (919-1002). 'Il-yeon', the author of 『Samkukyusa』 reorganized the anecdotes of the high priests of Silla Dynasty that was based on 『Seung Jeon』 of China which had been released earlier. The differences between 『Seung Jeon』 of China and 『Samkukyusa』 hid the true meaning of the high priests' anecdotes as intended by 『Samkukyusa』. This article described the process by which one can discover the true meaning hidden in the descriptive structure.

      • KCI등재후보

        高句麗 佛敎 初傳 再考

        표영관(PYO Young-kwan) 고구려발해학회 2008 고구려발해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고구려불교의 전래시점과 전래 방법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공식기록인『三國史記』372년 전래 의견과, 『梁高僧傳』에“高句麗聞道之始”로 기록되어 있는 曇始의 390년 경 전래 의견, 『梁高僧傳』에 등장하는“高麗道人”의 366년 이전 활동 의견 등이 있었다. 각각의 기록은 시기와 전법자를 달리하면서도 고구려에 처음 불교를 전했다는 공통의 내용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록은 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상인 불교가 유통되는 과정에서의 개별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372년을 공식적인 불교의 전래인 公傳으로 보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런데 담시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불교사상은 공전으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372년 이후에도 수차례의 새로운 전래를 통하여 보완되어 완성되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고구려인들이 불교사상을 처음 접한 것은 언제일까? 공전과는 다르게 初傳은 명확한 시점을 찾기 힘들다. 전래의 경로 역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양고승전』에 등장하는 고려도인의 존재이다. 고려도인의 존재는, 적어도 366년 이전에 이미 고구려에 명망 높은 高僧이 존재했다는 근거로서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초기 고구려 불교는 담시가 입국하기 이전까지 매우 영세함과 곤란을 면치 못했음을 담시의 입국과정에서 짐작할 수 있는데, 이보다도 50년가량이나 앞선 시점에 고승이 출현했다거나, 고구려에 불교가 널리 일반화되어 있다는 논리는 납득하기 어렵다. 또『양고승전』에 등장하는 道人의 용례를 분석해 볼 때‘고려도인’이 고구려 고승을 지칭하는 것이라면 고려도인이라는 표현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고에서는 새롭게『양고승전』에 등장하는 佛圖澄의 戎貊敎化기사에 주목해 보았다. 중국 측 사서에서 고구려를 貊으로 표현하는 것은 다반사이지만, 연칭으로 사용된 융맥이라는 표현에서는 누구를 지칭하는지 정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다만 융맥은 북방이민족의 범칭으로 사용되거나 遼東의 居住民을 지칭하는 것 등으로 확인되는데, 고구려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 또 불도징이 활약한 後趙와 당시 고구려가 매우 밀접했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불도징이 교화했다는 융맥의 무리에 고구려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해보았다. 본 논문이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지는 못한다고 해도 사상의 유입과 관련하여 향후, 보다 심층적인 연구주제가 될 만한 항목이라 전망한다.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Goguryo(高句麗) introduced Buddhism officially in A.D. 372 which became 2rd years of King Sosurim(小獸林王). It was the first historical record that Buddhism was transmitted into the country of the East Sea. And yet, it can not seemed that Goguryo people touched Buddhism thought at first time. In relation to Goguryo’s introduction of Buddhism in B.C. 372 and to Goguryo’s previous introduction of Buddhism eariler to B.C. 372 year, this essay treated the former as the formal introduction of Buddhism(公傳) and looked upon the latter as first introduction of Buddhism(初傳). Generally, because the introduce or the acceptance about The religion and the thought took many step and was established the foundation, it is needless to deny historical record about the introduce of Buddhism in Goguryo dynasty. Therefore, the related records, including the B.C. 372 year story, the propagation story of Buddhism of Damsi(曇始), The ‘ Goryo Taoist’(高麗道人) story, the Rong-Mo(戎貊) or the Buldojing(佛圖澄) story, and etc., showed one of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Goguryo. But these historical records became fragmentary writing in most cases. For example, the related record of the Rong-Mo(戎貊) appeared on the historical documentaries of 『Yian-Goseung-zhuan(梁高僧傳)』but did not on the historical documentaries as 『Bubwonjurim(法苑珠林)』. It seems that these point at issue is problem to be solved.

      • KCI우수등재

        강원도 고성지역에 분포하는 알칼리 현무암질 마그마의 상승경로

        길영우(Youngwoo Kil),신홍자(Hong-Ja Shin),고보균(Bokyun Ko) 한국암석학회 2007 암석학회지 Vol.16 No.4

        강원도 고성지역에는 여러 종류의 포획암과 포획결정을 내포한 마이오세 현무암들이 화산전(volcanic plug) 형태를 이루며 분포한다. 이들 화산전중에서 운봉산화산전의 근원마그마는 지하 160 ㎞ 깊이에서 형성되어 지표로 올라왔다. 전암화학분석, 구성광물의 평형온도 및 압력은 운봉산화산전을 형성한 화산암이 알칼리현무암이며, 결핍된 석류석 페리도타이트의 0.2-2%의 부분용융에 의하여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이 마그마는 감람석, 단사휘석, 사장석을 각각 75-110 ㎞ 40-52 ㎞ 37-54 ㎞ 깊이에서 정출하였으며, 맨틀포획암인 스피넬 페리도타이트를 지하 57-67 ㎞에서 포획하여 지표에 빠른 속도로 올라왔다. Miocene basalt plugs in Goseong contain a large variety of crustal and mantle xenoliths and xenocrysts. One of basalt plugs, Unbongsan, are derived from 160 ㎞ depth. Whole-rock geochemistry and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of mineral phases indicate that Unbongsan volcanic rocks are alkali basalts and the source magma of the alkali basalts was generated from about 0.2-2% partial melting of depleted garnet peridotite. Crystallization pressures and temperatures of mineral phases within ascending magma of Unbongsan alkali basalt indicate that olivines, clinopyroxenes, and plagioclases were crystallized at 75-110 ㎞, 40-52 ㎞, 37-54 ㎞ depth, respectively. The ascending magma of Unbongsan alkali basalts enclosed mantle xenoliths at about 57-67 ㎞ depth.

      • KCI등재

        건국신화의 불교 관음설화적 변용 연구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조와 「고주몽신화」를 자료로 하여-

        이보용(Lee, Bo-Yong)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9

        이 글은 불교 관음설화를 중심으로 하는 신화의 지속과 변용을 통해 신화적 성격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관음을 친견하는 설화로 구체적인 예증을 들어서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의 원효가 만난 불교 관음설화를 중심에 두고 논의하고자 한다. 원효가 만난 관음설화에서는 다른 불교설화에서 볼 수 없는 신화적 윤색이 극심하고 신화소를 계승해 이를 불교설화적 전통에 맞게끔 변형하는 면모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거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이야기를 승계하는 근거와 변형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주제이다. 원효의 문헌설화를 대상으로 여성신격이 가지고 있는 생식력 신화소의 지속과 변화 및 고대 신화와의 총체적 상관성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식력 신화소는 여신의 생식력을 나타내는 화소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신모신화 또는 곡모신화의 전형으로 파악되는 유화의 생식력을 준거로 하여 이 신화소가 후대의 불교 관음 설화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불교 관음설화」속 관음의 생식력 관련 설화에서 화소를 모두 6개로 추출하고 이를 통해 유화신화의 연속적인 양상을 살폈다. 신화소가 대응하며, 신화소의 체계를 살피면서 이것이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달라진 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이 신화소는 고대의 건국신화적 의미를 가지면서 건국신화의 주인공을 탄생하게 하는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원효설화에 이르러서는 특정한 관음보살의 생식력을 가진 이야기 요소로 바뀐 점을 찾아낼 수가 있었다. 그 결과 민중의 전승 의식 속에서 신화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중세불교적인 의미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바뀐 것을 규명할 수 있었다. 신화는 해체되면서, 불교 관음설화로 변형되었음이 실제적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이 이 논문에서 얻은 결과이다.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he fertility mythology motif in the folktale Wonhyo. Fertility mythology is a motif that represents the reproductive power of a goddess. It tries to find out how this mythological institution was succeeded in the later generation of the ancient world by conforming to the fertility of Yuhwa(柳花), which is typically identified as the archetypes of the myths. This paper extracts a total of six motifs from Wonhyo"s Buddhist-related narrative and examines the successive aspects of the emulsifying myth. As the motifs responded and examined to form a system, the authors wanted to find out what had changed in the historical situa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motif had an ancient, mythical meaning and served a crucial role in creat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founding myth. In the Wonhyo legend, there is a point that it changed into a story element with the reproductive power of Avalokiteśvara(觀音菩薩).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ransformation of the myth into a means for strengthening the medieval Buddhism, whereby the form of mythology was altered in the people"s consciousness. As the myth was de-constructed into a legend, this virtually confirms that myths are transformed into Go Seung-dam(高僧譚).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