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기금 조례 검토

        유영미(Yoo Young-mi) 사회복지법제학회 2018 사회복지법제연구 Vol.9 No.2

        전례에 없던 재난이 국지적으로 발생하자 중앙정부의 지원과 대책을 토대로 지방자치단체의 신속한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이 인식되었고 무엇보다 재난관리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재난관리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함에 따라 관련 법의 정비와 함께 그 효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기반한 자치법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실제로 재난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참여 및 책임에 대한 조례가 다수 제정되었고 재난에 대응하는 조례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재산피해액 및 복구비의 증가 등의 이슈가 등장함에 따라 재난관련 예산 및 기금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중에서도 1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한 재난관리기금 조례의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재난관리기금 조례의 실효성 확보와 아울러 재난관리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발전하고 확립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기금 조례를 목적 및 정의, 조성 및 용도, 전달체계, 기금 운용계획 및 결산과 관리, 임대주택 이주지원 및 임차비원 융자로 구분하여 조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관리기금의 정의(용어), 기금운용심의위원회 중 특히 심의(제척사유)에 대해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운용계획과 결산에 관련된 정책에 대해서는 구체화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 거의 모든 재난관리기금조례의 내용이 유사하며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고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되거나 혹은 특성을 반영한 정책 및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조례의 내용은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기반한 재난관리기금 조례가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조례로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및 대상자들의 권리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재난 취약계층 관련한 이슈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It is recognized that the rapid response of local governments is important based on the support and measure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en the unprecedented disasters occur mainly locally. In order to establish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disaster management, the necessity of self - governing laws based on local community has emerged so that the relevant laws can be revitalized and their effects can be fully exercised. In fact, a number of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for the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in disasters, and the role of the ordinance in response to disaster has been noted. Recently, disputes related to the disaster related budget and the need for funds have been increasing as issues such as property damage due to recent disasters and an increase in restoration costs have appear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established by 17 local government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disaster management, and contributes to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and developing and establishing disaster management centered on the community The purpose is to. We analyze the content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by dividing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of each municipality into purpose, definition, creation and use, delivery system, fund management plan and settlement and management, rental housing support and lending loan source loan. As a result, some municipalities do not provide any defini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especially the deliberation of the fund management review committee, and do not specify the policy related to the operation plan and settlement. There is also.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tents of almost all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s are similar and lack specificity.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ordinances which prescribe policies and system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ous bodies or reflect characteristics are poor.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based on the communit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set as a statut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ights. Thir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ssues related to disaster vulnerability.

      • KCI등재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 - 법적․제도적․실천적 과제를 중심으로 -

        백정미,이창길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group and prepare legal,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in support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are: first, the unclear and limited concept and scope of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second, the limited legal stipulations for support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third, the problem of measuring the loss by disaster and finally lack of the customized and support system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group. A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trategy to minimize damage and increase resilience of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is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and enac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legislation; second, the establishment and legislation of customized support systems for each disaster response stage; third, systemic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damage; and fourth, public-private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for the vulnerable in disaster safety. 재난 및 안전에서의 취약성이 높고 회복력이 낮아 피해가 큰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체계의 문제점에대해 분석하고, 법적 · 제도적 · 실천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에서법적 · 제도적 문제점은 첫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개념 및 범위의 불명확성과 제한성, 둘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에 대한 제한적 법규정, 셋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안전 손실에 대한 측정의 문제, 넷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맞춤형 제도 및 지원체계 부족을 들 수 있다.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피해를최소화하고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법적 · 제도적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개념정립과 범위의 확대와 함께 통합적 안전관리 법제화, 둘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안전 대응단계별 지원체계 마련과 법제화, 셋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피해 측정 및 체계적 관리, 넷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맞춤형 제도 및 지원체계와 지역사회의 민관협력 구축이 있다.

      • KCI등재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김용균,장효선,최윤조,손홍규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6

        Global loss due to disasters has been sharply increasing in conjunction with intensifying disaster complexity and magnitude. In the last decade,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suffered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uncountable physical damages and severe economic loss caused by various disasters. In particular, social disasters have been rapidly escalating. A series of recent social disasters, such as the Hydrofluoric Acid Leakage at the Gumi Chemical Plant in 2013 and the Mauna Resort Collapse in Gyeongju and the Sewol Ferry Accident in 2014, show that the current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on the basis of hazard type, is neither comprehensive enough to deal with recently emerging disasters’ increased complexity and amplified magnitude, nor adequate enough to improve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Therefore, there is a critical need to develop a new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that bears in mind disaster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This research analyzed major disasters in the last decade, focusing on what types and patterns of disaster damage occurred; how quickly disasters precipitated damage; and when and how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operated according to their roles. As a result, this paper proposed a new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serve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n advanced disaster response system, which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disasters into account. 재난의 복잡화 및 대형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역시 지난 10년간 재난으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사회 재난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3년 구미 불산 누출 사고, 2014년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호 사고 등 최근에 발생한 대규모 사회 재난들은 재난발생 원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의 재난유형 분류 체계로는 최적화된 대응 방안을 찾기 어려운 재난들이다. 이처럼 복합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재난들에 적합한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재난의 발생양상, 진행특성, 대응기구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유형분류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주요 재난사례들의 피해 진행 양상, 중대본과 중수본 가동 시기와 역할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재난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대응체계 구축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재난유형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운영 발전 방안 연구

        남상훈,박해정 한국재난정보학회 201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9 No.4

        연구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의 재난안전 교육훈련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발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으로 재난안전분야 종사자의 재난교육 의무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발전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난안전의 24개 기능과 재난관리의 13개 역량 항목을 기초로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를 재난관리자, 재난실무자, 재난지휘자로 구분하여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교육수요를 파악한 후, 선진재난관리 요소와 과정의 브랜드화를 고려하여 재난안전분야의 교육훈련 과정 설계 안을 도출 하였다. 기본법 개정에 따라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전문화와 함께 교육 효과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 사항을 고려, 참여형 교육훈련 기법을 반영한 교육 운영 형태를 포함한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systematic design an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urriculum is intended for current disaster management professionals. Prior to analysis, disaster and safety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And based on 24 disaster safety functions and 13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items, priorities of their task ability were derived. Considering practical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the course curriculum is divided to target groups of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planning to reflect the elements of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o consider brand making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pattern.

      • 한국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연구

        저우링 한국엔터테인먼트협회 2019 엔터테인먼트연구 Vol.2 No.-

        장르영화연구와 개별사건연구의 방법을 응용하여 한국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를 탐구하고, 한국이 재 난을 소재로 한 영화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할리우드 재난영화의 모델을 벤치마킹한 것을 발견한다. 또 한 한국 토종문화가 녹아 있어 독특한 소재화 수단과 뚜렷한 현지색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영화 에 많은 창작 공간을 정책적으로 주었고 한국 재난 장르 영화들이 재난 서사를 통해 사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는 예술적 표현이자 삶의 실제 사진이며 그것은 실 제 세계의 예술적 표현이다. 재난에 임하는 인간의 공포심에 대한 예술적 묘사이며 재난이 닥쳐오는 순 간의 인간성에 대한 영화예술인의 해부다. 한국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는 사람과 사회 자연의 갈등과 갈 등을 잘 보여준다. 이 글은 한국 재난 영화의 호황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재난 장르 영화 연구의 몇 가지 틀에 박힌 이론을 요약하고 한국 재난 소재 영화의 형성과 발 전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서사 내용과 예술 수용, 표현 수단의 세 가지 관점에서 한국 재난 영화의 심 미적 가치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Using the methods of theme film research and case studies to explore Korean disaster film, it is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disaster film, South Korea has not only borrowed from the model of Hollywood disaster film, but also incorporated Korean culture to form its unique theme. Means and distinctive lo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government has given policy a lot of creative space for the film, which also makes it possible for South Korean disaster-type films to reflect social reality through disaster narratives, and it has certain social criticism. Disaster film is not only an expression of art but also a true portrayal of life. It is an artistic expression of the real world, an artistic portrayal of the fear of human beings facing disaster, and an artistic analysis of the human natu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Korean disaster-themed films more profoundly show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tween people, society and nature. This article makes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prosperity phenomenon of Korean disaster films, summarizes several framework theories of Korean disaster film research through specific case analysis, and systematically sorts ou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disaster movie films, focusing on narrative Starting from three perspectives: content, artistic acceptance and means of expression,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disaster films is analyzed.

      • KCI등재

        재난자원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재난 위험성 평가

        김승우(Kim Seung-Woo),이정미(Lee Jungmi),장대원(Jang Dae Won),전재준(Chon Jae Joo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위험성 평가연구는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재난유형에 따른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험성 평가 방법으로 「2018년 재난관리자원 비축ㆍ관리계획 수립지침(행정안전부)」을 사용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자료는 최근 20년간 우리나라에 발생된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이다. 자연재난 5개 유형(태풍, 호우, 대설, 강풍, 풍랑)과 사회재난 10개 유형(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통신, 환경오염, 의료, 가축전염병, 전염병, 기타인적사고)에 대해 229개 시군구(세종시, 제주시, 서귀포시 포함)를 평가하였다. 위험성은 5단계의 안전도 등급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로 자연재난 중 태풍, 호우, 대설에 대한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한편, 사회재난은 화재, 교통사고, 가축전염병, 기타 인적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재난관리자원의 비축 및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Disaster risk assessment should be assessed proactively for the efficient disaster resources management. Risk assessment was thus performed for th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with type of disaster in this paper. It is used as 2018 Guideline for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or the risk assessment. The data for the assessment is collected with the recent 20 years of th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The types of the natural disaster are typhoon, heavy rain, heavy snow, strong wind, and high waves and those of the social disaster are fire, collapse, explosion, traffic accident, communic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 medical treatment, contagious animal disease, infectious disease, others human accident. The number of the assessed local government is 229 including Sejong, Jeju, and Seogwipo. Risk is classified into five levels. In the main results, Typhoon, heavy rain, heavy snow in the natural disaster are assessed to high risk relatively. On the other hand, Fire, traffic accident, contagious animal disease, other human accident in the social disaster are assessed to highly risky type compared to other types. This risk assess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ing of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과 재난복원력 연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

        양기근,서민경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2

        Pupose : Out of the nation’s total population of 50 million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women, etc.) is about 36 percent, with 1 in 3 people surveyed as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and the tren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the organization in charge, budget, and legal system related to this matter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disaster resilience of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which are more vulnerable to disasters, so thar disaster damage from them can be minimized. Methods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laws and support system, of the U.S., Japan, and Kore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resilience support system, along with case study of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based on the study on disaster vulnerability and disaster resilience of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Conclusion : Currently, Korea is centered on overcoming physical, institutional, and information barrier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construction and administrative against the “support system of disaster vulnerable people in case of disaster” and in disaster management manuals, but as with Japan, enhancing community response capabilities should be emphasized and sufficient on-site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n disaster safety and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In addition, the manual should be shared with individuals as well as various entities in the community (hospital, business, welfare facilities, schools, organizations, etc.) and should be design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anyone. 연구목적 : 우리나라 총 인구 5천만 명 중 재난안전취약계층(아동, 노인, 장애인 여성 등)은 약 36%로 인구 3명 중 1명이 재난안전취약계층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담당조직, 예산, 법제도 등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으로부터 더 취약성을 보이는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복원력을 향상시켜 재난의 취약성에 의한 재난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취약계층이 재난취약성과 복원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 사례연구와 함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을 위한 미국·일본·한국의 재난안전취약계층 관련 법률과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 현재 한국은 “재난 시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체계”에 대하여 소방·건축·행정 분야에서의 물리적·제도적 정보의 장애물 극복 중심으로 진행되며, 재난 관리 매뉴얼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매뉴얼을 소지하고 있는 개인이 위주가 되지만, 일본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 대응력 제고가 강조되어야 하며,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충분한 현장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매뉴얼의 공유대상에 있어서도 개인 외에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병원·기업·복지시설·학교·단체 등)로 이루어져야 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 KCI등재

        Disaster Perception, Preparedness, Management and Nursing Competency -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ospital Nurses

        Suk Jung Han,Ji Hye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subjective disaster perception, preparedness, management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y. The study subjects were 197 hospital nurses who were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in Korea (n=117) and Japan (n=80). An independent t-test, ANOVA, χ2-test, ANC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ompar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using SPSS WIN 21.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ere measured as 3.22±0.64 for Korean nurses and 2.81±0.84 for Japanese nur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preparedness and main authority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factors affect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y include career, country, main authority of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preparedness, safety perception, disaster experience, all of which accounted for 30% of the variance i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nursing education to develop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mong hospital nurses.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병원간호사의 재난인식, 재난대비, 재난관리 및 재난역량을 비교분석하고, 재난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한국(n=117)과 일본(n=80)의 종합병원 이상 간호사 총 197명이었고, 자료분석은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독립 t-test, ANOVA, 교차분석, ANCOVA, 편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난간호역량(총5점)은 한국 3.22±0.64점, 일본 2.81±0.84점으로 한국 간호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재난인식, 재난대비, 재난관리주체, 재난관리조직성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난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력, 국가, 재난관리주체, 재난대비, 안전인식, 재난경험 순이었으며, 재난간호역량에 대해 30.0%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재난간호역량을 갖추기 위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재난취약계층이 재난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기초자치단체 재난관리예산을 중심으로

        김창진(Chang Jin Kim)양기근(Gi Geun Ya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3

        본 연구는 재난취약계층이 재난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난취약계층으로는 고령자, 기초수급자, 장애인, 등록외국인 및 다문화가정을 살펴보았고, 재난 회복 탄력성으로는재난의 회복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의 모든 근간인 재난관리예산을 대리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 및 방법은 2013년~2017년 5개년의 기초자치단체 226개를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 중패널수정 표준오차 모델(PCSE)과 일반화적률법(GMM)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비율은 재난관리예산에 일관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고령인구 비율은 유의수준 10% 내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취약계층을 전부 활용한 재난취약계층은 유의미한 영향을미치지는 않았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장애인 및 고령 인구와 재난 회복 탄력성 간의 시사점과 현재 우리나라 재난관리예산에 있어서의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disaster vulnerability affects disaster resilience, focusing on the elderly, recipients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t, the disabled, registered foreign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s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The disaster management budget of a local government was used as a surrogate variable for disaster resilience. The data collected from 226 basic local governments in five years from 2013 to 2017 were analyzed by PCSE and GMM.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sistent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size of disaster management budget, whil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0%. However, disaster-vulnerable popula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on how disaster resilience is related to the disabled and elderly and how to manage the disaster management budget to support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 재난안전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인용 ( Park In Yong ) 한국정책연구원 2016 한국정책논집 Vol.16 No.-

        재난이 점점 복잡화, 다양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이 국민들에 대한 지속적인 재난안전 교육을 통하여 재난안전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우리나라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 재난안전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발전방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안전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성인들에 대한 교육기회의 확대이다. 둘째, 재난안전교육 전문 인력의 확충이다. 셋째, 일반 국민들에 대한 체계적인 재난안전교육 실시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체험이나 실습위주의 재난안전교육 기회 확대이다. 마지막으로 교육대상자의 욕구에 바탕을 둔 재난안전교육의 실시이다. Disast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The way to respond effectively to such a disaster is to strengthen disaster safety capabilities through continuous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th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disaster safety educa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Korea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expansion of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dults who are relatively alienated from disaster safety education. Second, expans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pecialists. Third,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ovided for systema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Fourth, it is the expans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opportunity focusing on experience or practice.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desire of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