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차이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오대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Since schools began conducting online classes because of COVID-19 in 2020,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To learn why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nline classes was lower than that of offline class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by surveying 680 students. The research model assumed that class satisfaction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learning attitude, while interaction, class quality, and immersion in classes affect class satisfaction. The scores of interaction, class quality, immersion, and class satisfaction that students perceived in online classes were all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offline class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were lower than those in offline classes. The gap in class satisfaction was the primary reason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nline classes was lower than that of offline classes. Immersion in classes had the mos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classes, whereas interaction greatly influenced offline classes. Thus,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class satisfaction must be improved by increasing immersion. 2020년 코로나19로 학교에서 온라인수업이 전면 시행되면서 한국 등 많은 국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저하되었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생 680명을 설문조사해서 온라인, 대면수업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효과의 차이가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대면수업에서 수업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영향을 주거나 학습태도를 매개로간접영향을 주며, 수업만족도에는 상호작용, 수업품질, 몰입도가 영향을 준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학생들이온라인수업에서 인식하는 상호작용, 수업품질, 몰입도, 수업만족도의 점수는 모두 대면수업 때보다 상당히 낮았다. 수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에서도 온라인수업이 대면수업보다 모두 낮았다. 온라인수업의학업성취도가 대면수업 때보다 낮아지는 이유는 수업만족도가 낮은데 있었다. 그런데 상호작용, 수업품질, 몰입도가수업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은 수업방식에 따라 달랐다. 온라인수업에서는 몰입도,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영향력이가장 컸다. 온라인수업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수업 몰입도를 높여 수업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경기도 혁신학교 배움중심수업의 효과 분석 : 중학교 미술과 중심으로

        심혜정(Shim Hye Jung),박명선(Park Myung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미술과에 대한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목표달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중학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2일부터 9월30일까지(총4주간) 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만족도는 배움 기간에 따른 즐거움과 미술시간증가 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태도는 배움 기간에 따른 질의응답과 자기주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인식은 배움 기간에 따른 배움, 응용, 미술적 사고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에 대한 목표달성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중학교 미술과 배움중심수업은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변화 및 미술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배움중심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학생을 위한 미술교육을 하기 위해서 배움의 과정에 중심을 두고 수업을 설계하고, 교과목별 수업에서 학생의 배움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고찰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롭게 발전된 수업의 재구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tisfaction of class, c attitude, recognition, and achievement in art class centered on learning in middle school from Gyeonggi-do, called innovatio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investigation, 304 students were surveyed at S middle school in Gyeonggi-do from 2, September to 30, September, 2019.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First, the class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joy of learning and the factors of art class time increase. Second, the class attitud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estion-and-answer and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class depending on the period of learning. Third, Class recogni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pplication, and artistic thinking over the period of learning. Fourth, achievement in art class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all factors. In sum,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earning-oriented art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class satisfaction, attitude, changes in class recognition, and art and goals ultimat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the classes of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art education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urse of learning and to consider what students should learn in each subjec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ongoing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newly developed classes.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적 접근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정우정,박향숙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6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이나 사회가 공동으로 당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지식은 어느 전문 분야만의 분절된 지식이 아니라 여러분야의 것을 종합하여 응용할 수 있는 통합적 지식 즉 지식의 통합화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모든 관련 분야가 공통적으로 협력하고 기여해야 하는것이다. 특히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고,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공의 의식과 상호소통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대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통합적 안목을 기르는 방법으로 분과중심의 교육방법 보다는 통합적인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은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삶과 관련된 학습을 하기에 용이하며 과목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 제 7차 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교과통합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지식과 태도를 습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This research tried to measure the pupils'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integrating program of moral education class and fine art class in craft class. The research sample was 56 students of the elementary grade 5 students in Chunho-dong, Gangdong-gu, coeducational classes (class 1 and class 4).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the 22nd of June in 2009 to the 14th of July in 2009, and class 1 did 8 classes and class 4 did 4 clas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applied integrating approach of art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program created by this research conductor. On the other hand, in control group, it was applied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program for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ampling method was independent sample of t-test for inspecting the former homogeneity of each sample, and every sample was analyzed by SPSS v.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tated below: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did integrating class of fine art and moral education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who did ordinary craft class in terms of the average score of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research, it revealed that the newly created program designed by research conductor was helped the pupils to experience moral education in lif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observation, to understand better and deeper the matters, to be fulfilled the expression of feeling and academic curiosity through visualized and experienced art activities. In other words, integrating art education with moral education was more eleva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class.

      • KCI등재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 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어, 수학, 영어 교과 중심으로

        장지윤 ( Chang Jeeyun ),박인우 ( Park Innwoo ),김은진 ( Kim Eunj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주요교과인 국어, 수학, 영어를 중심으로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에서 교수 변인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과 학교 현장의 수업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교수변인으로는 수업방식, 피드백을, 학습자 변인으로는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를 선정하고, 이 변인들간의 관계 및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연구정보원이 2015년에 수집한 제6차년도 서울교육 종단연구(SELS) 자료 중 235개 일반계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 2,907명과 해당 학생들을 가르치는 국어교사 632명, 수학교사 648명, 영어교사 658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수업만족도, 자기주도학습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교과와 영어교과의 경우에는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의 숙제 피드백은 국어교과의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교과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피드백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수업에서 교사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설계·실행함으로써 교사-학생간의 원할한 상호작용과 자율적인 수업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homework feedback on students’ class attitude, classroom atmosphere,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re curriculum classes (Korean, Mathematics, English).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feedback on homework has an influence student’s learning. This search for relationships and effects between these variables was done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ried to provide positive support to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eoul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using panel data from 6th year (2015).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907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1,938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influenced the student’s attitude of class, classroom atmosphere, class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Especially,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homework feedback from the teacher influenced the class attitude, the class atmospher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Korean class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nglish clas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homework feedback on learners, teachers in the clas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mooth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and an atmosphere of autonomous class by designing and executing the student’s participating classes.

      • 초ㆍ중등학교 학급규모 감축의 교육적ㆍ재정적 효과

        권기욱 대구대학교 2005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1

        정부는 최근 초ㆍ중등학교 학급규모를 35명으로 감축하기 위한 대규모 학급규모감축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학급규모감축사업에는 막대한 재정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비-효율적 방법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급규모감축정책이 과학적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앞으로추진될 학급규모감축정책의 타당성 확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학급규모 감축의 교육적 효과와 재정적 효과를 기존 국내ㆍ외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급규모감축은 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ㆍ사회적 특성 및 교사의 과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정학급규모는 20명 정도로 보는 경향이 있다. 학급규모 감축의 소요경비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학급규모가 적을수록 감축단위당 경비가 더 많이 소요되고, 학급규모 감축은 우수한 교사확보가 전제되어야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effects of the class size reduction on education achievement and finances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e class size is student number of the class. The related the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s. The effects of class size reduction on education achievement and finances in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 size affects students' education achievement process and education achievement results. The effects are different as class size, texts, school years, social economics class, etc.. The priorities of class size reduction are as follow; Kindergarten and 1~3 school year in elementary school, 4~6 school year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er school. the largest class, the lower education achievement class, the class which contains many students of poverty home have to be reduced first and foremost in the same school year. Second, the class size reduction affects on students affec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ird, the class size have to be reduced accompany with middle/long time plan, obtain of effective new teachers for small class size and basic learning skills, and development of the teachers. Fourth, the class size have to be reduced accompany with many strategic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Fifth, The optimum class size is twenty students.

      • 소규모 중학교에서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간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노영순(Ro Young Soon),도기섭(Do Ki Seop)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소규모 중학교의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간의 학업성취도를 비교ㆍ분석하여 이들 소규모 학교의 입장에서 어떤 수업방법이 더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적합한 교수ㆍ학습방법에 대한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조사 연구하고 수준별 이동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2010년도 1학기 중간고사 수학과 지필평가 성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집단 협동학습을 위한 학급편성을 위하여 지필평가 성적을 바탕으로 최상위, 상위, 중위, 하위수준의 4등급으로 학생들을 4~5명씩 8개 조로 나누어 1학급 4개 조로 2학급을 구성하였다. 특히 연구 대상학교가 소규모이므로 수학교사가 1명뿐이므로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해 보조교사 1명을 채용하여 모두 2명의 수학교사가 수준별 이동수업을 담당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규모 협동학습이 상위집단(심화반)과 하위집단(기초반)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였다. 연구의 결과 현실적으로 소규모 학교에서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은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학급을 편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의 성적 분포에서 양극화와 중간수준의 학생들이 하향 편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규모 학교에서의 수학 교과 지도는 소집단 협동학습에 의한 지도가 더 적절하고 효과적이라는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suitabl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mall-sized school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a level-centered class and small cooperative learn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t will be selected through two questionaries. 1. Is there a meaningful discrepancy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level-centered class and small cooperative learning in a discretionary level-based class for high-level students? 2. Is there a meaningful discrepancy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level-centered class and small cooperative learning in a discretionary level-based class for low-level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aries, academic achievement is compared after testing the high-level students and low-level students in C Middle School of Pyeongtaek, Gyeonggi-do. Each are tested for thirty-two hours over eight weeks. As a result, there is the meaningful discrepancy in academic achievement for both high-level students and low-level students, that shows that small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have more of a positive effect than the level-centered class in progressing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elow. Firstly, it is difficult to divide the diverse classes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ability in the small-sized school. So if the level-centered class continues the same as the present, the middle-level students’ score will be concentrated so much in the low that the polarization of the mathematics evaluation score range will be exacerbated. This result demand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e developed to emphasize the needs of ou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ly, new teaching materials must be constructed to make the students feel a sense of achievement in attaining their goal which is a proper task for the high-level, middle-level and low-level students rather than inducing the competence of the small cooperative learning among each class. Thirdly, it is necessary to manage a special program for treating a loss of studying as well as considering a suitable role for the students who have no change in achievement because of the chronic heavy loss of studying. In the seventh revised curriculum, it is widely recommended for every school to use a level-centered mathematics class, but there is another choice for flexible selection in school by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maximize the study effects considering the school’s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in the seventh revised curriculum. So in the school it is necessary to search constantly for the flexible management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develop and apply an appropriate class model that is applicable to the school regarding several conditions for both school and students.

      • KCI등재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수업의 복합적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용석(Kim, Yo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4년도(중학교 2학년)부터 2017년(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에 대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다양한 종단적인 변화양상과 수학수업(태도, 분위기, 만족도)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에 대해 연구한 김용석(2020b)의 후속연구로서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에 대해 그룹별 수학수업 분위기, 만족도의 종단적인 변화가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과 그 경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1456명, 68.3%)과 2그룹(677명, 31.7%)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학수업 태도는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는 수학수업 태도를 매개로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가 수학수업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과 그 경로는 그룹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since the factors constantly change and have a complex effect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longitudinal studies to predict and analyze their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on students from 2014 (2nd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 (2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 In addition, this is a follow-up study by Kim(2020b), who studied various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direct influence of mathematics class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and paths of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for each group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mathematics class that directly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students in group 1 (1456, 68.3%) and group 2 (677, 31.7%) is directly affected by the mood and satisfaction of mathematics class. Mathematics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attitude of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mood and satisfaction of mathematics class on mathematics class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path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 KCI등재

        창의⋅인성 활동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종수(Jong Su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첫째, 창의⋅인성 요소를 포함한 창의⋅인성 활동을 구안하여 적용한다. 둘째, 창의⋅인성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 셋째, 창의⋅인성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하도록 한다. 방법 연구자가 재직하는 00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00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2개반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참고로 2개 반을 선정하였다. 1반을 실험반으로 다른 1반을 비교반으로 나누고 2021년 5월 3일부터 7월 6일 까지 약 2개월 동안 13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30명)은 창의⋅인성 활동으로 수업한 반이고 비교반(30명)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 수업을 한 반이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학습활동은 다르게 하였다. 지도내용은 같은 수준으로 지도하였다. 실험반에서 창의⋅인성 활동으로 한 수업과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 수업을 한 반의 비율은 4:6로 지도하였다. 본 연구자가 2학년을 담당하여서 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제적인 수업은 연구자가 실험반과 비교반을 지도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단원별 학습내용을 설정하고 창의⋅인성 활동을 하였다. 이를 수업에 적용햐여 봄으로써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학습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둘째, 창의⋅인성 활동이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 수업과 비교하여 보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학습태도에 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창의⋅인성 활동에서는 보통 수학 수업에서 무시되고 있는 하위권 학생들도 수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학업성취 수준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창의⋅인성 활동으로 수업한 실험반은 비교반 보다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vise and apply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containing creative and personality elements. Second, it improves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Third, creativity and personality activities are used to positively change learners'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60 students in two classes in the second grade of 00 High School located in 00 Metropolitan City where the researcher works. Two clas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idterm exam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grade, and the first class was divided into a research class and the other class was divided into a comparative class, and 13 classes were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May 2 to July 5, 2021. The research class (30 students) was taught as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and the comparative class (30 students) was taught based on traditional textbooks.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research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were different. The contents of the map were taught at the same level. In the research class, the ratio of classes with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and classes with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classes was 4:6. This researcher was in charge of the second grade, so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econd grade. The actual instruction of the class was guided by the researcher in the research class and the comparison clas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is study, the learning contents for each unit were first set and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applying this to the class, it was possible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Seco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compared to traditional textbook-centered classes for students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ranks. Third, in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low-ranking students, who are usually ignored in math classes, also became interested in the class, showing an improvement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research class taught as creative and personality activit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class.

      • KCI등재

        대학생의 영어능력과 수업참여 적극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신일(Han Shinil),이석열(Lee Sukyeu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학생의 영어능력과 수업참여의 적극성 정도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지와 실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영어강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학생 차원의 효과적인 영어강의의 설계 전략과 대학차원의 수강지원방안을 수립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A대학교에 재학 중인학부생 중에 영어강의를 수강한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영어능력, 학업성취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강의에서 학생의 인지적 요소인 영어능력과 정의적 요소인 수업참여 적극성 정도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그리고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강의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요인이 모두 충족될 때 영어강의 수업 효과성이 극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어강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유발이 있을 때, 학생들은 영어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강의를 수강하는 데 영어능력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여전히 중요한 영향 변인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 재확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ir higher or low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to see the influence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155 students were sampled from an English medium class of a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and English proficiency test and survey were done. And, other information such as course exam scores was also collected after the class end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y result shows that; ① The differences exist i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higher or lower levels of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activeness of class participation, ② Whe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skills of students are high enough, their scores are highest in their class satisfaction and course achievement, ③ Active class particip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lass satisfaction, ④ It is revealed that the English proficiency is still one of strongest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medium class. In conclusion, educ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for English medium instruction of Korean universitie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 KCI등재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혜승(Hye-Seung Kang),이하나(Ha-Na Lee),정주영(Ju-Young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8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 15일까지 B시 소재 D 대학교와 J시 소재 D 대학교 재학생 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경로모형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몰입은 온라인 수업의 질(β=.25, p=.021) 및 수업만족도 (β=.51, p<.001)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는 온라인 수업의 질(β=.08, p=.311), 수업만족도(β=.66, p<.001), 학습몰입(β=.25, p=.002)의 영향을 받았다.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 모두에서 학습몰입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질적 개선 및 대학교육에서의 지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online class qualit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students at universities in B and J Cities between August 1 and August 30,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software. The findings showed that learning engagement was affected by online class quality (β=.25, p=.021) and class satisfaction (β=.51, p<.001). Furthermore, academic achievement was affected by online class quality (β=.08, p=.311), class satisfaction (β=.66, p<.001), and learning engagement (β=.25, p=.002). Learning engagement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lass qualit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and deriving support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university education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