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탄도탄 요격체계의 방어영역 산출 기술

        정영숙,이진익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탄도탄의 방어영역(footprint)이란 탄도탄 요격체를 통하여 방어 가능한 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탄도탄은 지상 자산을 주 표적으로 하며, 탄도탄 방어영역은 이러한 탄도탄을 방어하기 위한 대탄도탄 유도무기의 주요 성능지표 중 하나이다. 기존의 무기체계에 대한 최적의 배치 및 운용, 신규 무기체계의 개발에 있어서 요구조건 도출, 뿐만 아니라 다수 무기체계를 복합 운용할 경우 이들의 상호배치, 임무할당 및 효율적 운용측면에서 방어영역의 산출은 중요하다. 방어영역 산출은 먼저 방어하고자하는 탄도탄의 특성을 파악하고 표적을 모델링한 후 시간에 따른 표적의 궤적 및 속도를 산출하고, 조기경보레이더를 포함한 탄도탄 방어체계의 성능과 대탄도탄 요격체의 요격 능력에 따른 요격여부를 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Footprint of a missile defense system is the defendable area on the ground by an interceptor. Main group of targets of ballistic missiles are the assets on the ground and therefore, footprint is one of the performance indices in missile defense. Due to this reason, computation of footprint is important for optimal deployment and operation of existing weapon systems, and derivation of requirements for new weapon systems as well as combined operation of various weapon syste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llistic missile threat is analyzed as the first step of footprint computation which is followed by modeling of the threat and then the trajectory and velocity of the threat is computed. The trajectory and velocity of the ballistic missile are used to determine whether it could be intercep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missile defense system including early warning RADAR and capability of the interceptor. The aforementioned process is established in more systematic manner in the present research.

      • KCI등재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기원, 역량, 그리고 미래 궤도-

        ( Christoph Bluth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4

        탄도미사일은 북한의 비대칭 전력의 핵심 요소이다. 탄도미사일의 개발과 실전 배치에 기저를 이루는 정밀한 전략과 북한의 탄도미사일에 의한 위협의 성격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대해 어떤 것들이 분석되어 왔는지, 다음과 같은 주요 쟁점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첫째,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한 북한의 기술적 역량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북한이 30년 넘게 소련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종류와 다량의 탄도미사일을 개발해 온 것에 대한 관찰 결과로부터 시작되었다. 가장 최근, 노동-2와 무수단이 북한의 미사일 전력을 과시하기 위한 군사 퍼레이드에 등장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미사일 개발을 위해 대규모의 외부 원조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이 미사일의 생산자이기 보다는 거래자이고, 더 발전된 로켓 추진체를 발전시키기에는 그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둘째, 북한의 탄도미사일로 인한 위협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그 정확도와 신뢰성의 부족으로 북한의 중·장거리 미사일은 지역 내 남한과 다른 나라들에게 제한된 위협만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만약 미사일이 핵탄두 공격을 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면 이러한 상황은 바뀔 수도 있으나, 북한은 핵탄두의 개발에 엄청난 시간을 투자해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미사일이 대륙 간 탄도 미사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진보를 필요로 하나, 지금 당장 실현 가능성이 보이지는 않는다. 북한의 기술에 있어 파키스탄과 이란의 의존성을 고려해볼 때, 이는 전반적인 탄도미사일 확산에 더 큰 함의를 암시한다. Ballistic missiles form one of the key elements of North Korea`s asymmetric capabilities. The precise strategy underlying the procurement and deployment of ballistic missiles and the nature of the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s remains unclear. This paper addresses the following central issues posed by what has been observed about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program: 1. How can we assess North Korea`s technological capacity to in develop ballistic missiles? This question arises from the observation that over period of three decades North Korea seemingly developed a significant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ballistic missiles, based on Soviet technology. Most recently the Nodong-2 and the Musudan were shown at a military parade to demonstrate North Korea`s missile might. But it has become increasingly clear that North Korea relies on very extensive foreign assistance to develop its missiles. The argument developed in this paper is that North Korea for the most part has been a trader rather than a manufacturer of missiles and that it lacks the capacity to develop more advanced rocket motors. 2. What is the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lack of accuracy and reliability means that North Korea`s medium and long-range missiles only pose a limited threat to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This may change if the missiles are used to deliver nuclear warheads, but it will take North Korea considerable time to develop warheads that can be delivered by its missile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ballistic missiles that can deliver nuclear warhead at intercontinental range will require technological advances by the North Korean missile complex that are not yet on the horizon. This has wider implications for global ballistic missile proliferation given the reliance of Pakistan and Iran on North Korean technology.

      • 요격 파편분산에 대한 안전구역 설정방안 연구

        이희진,이연수,이승만,송경록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탄도탄을 방어하기 위한 유도무기 개발에 있어 탄도탄 요격시험의 수행은 매우 다양한 제약조건이 존재하며, 영토 및 영해의 면적이 좁고, 대부분의 지역에 인구가 분포하고 있는 국내 여건 상 탄도탄 요격시험은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탄도탄의 요격 후 그 파편이 지상에 낙하하여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방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요격 시험 등 경험적인 결과가 반영된 다양한 파편 분산 모델이 개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진국의 요격 파편 모델을 소개하고, 국내 시험장 여건을 고려하여 개발해야 할 탄도탄 요격 파편 모델에 대한 개발 방안 및 탄도탄 요격 시험의 안전구역 설정방안을 제안하였다. Ballistic Missile intercept test is carried out during the Missile Defense systems development process, there is a very wide range of restrictions. South Korea has narrow territory and people lives in most areas. Accordingly, intercept test in South Korea, Safety is a top priority.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various studies of post-engagement ground effects model have been made.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models are included empirical data like real-target intercept test results. so, we introduce the following topics. intercept debris models of the U.S., the methods of developing a intercept debris models with restrictions of South Korea’s test sites. and the methods of set up a safety zone.

      • KCI등재후보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한반도 탄도탄 방어체계 최적 구축방안

        장준건,이연수,윤부원,허정행 한국방위산업학회 2018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5 No.2

        North Korea currently has a variety of ballistic missiles, which pose a direct threat to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System(KAMD) "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Peninsula environment in an early stage.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n Anti Ballastic Missile Early Warning system and proper securing of the integrated operational control system and the means of interception. In this study, For creating a multiple layers of missile defense systems, a simulation model is developed and applied to provide the most effective deployment methods and required Forces. In addition, it will analyze the defense capabilities of the each Required Forces operation alternatives using genetic algorithms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alternative to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System applied with multiple layers defense concepts. 북한은 현재 다양한 종류의 탄도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한반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 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를 조기에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탄도탄 징후감시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일원화된 작전통제체제와 요격수단을 적정 확보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사일 다층방어체계 구축을 위해 모의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가장 효과적인 최적배치 방안과 소요전력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소요전력 운용대안별 방어능력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다층ㆍ복합적 방어개념을 적용한 효과적인 한국형 전구 탄도탄 방어체계 대안을 도출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북한 장·단거리 미사일 위협 대응체계 연구

        김세일(Sea Ill Kim),나태종(Tae Jong Na)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사회 Vol.4 No.1

        On May 4, 2019, North Korea fired short-range projectiles around the Northern Hodor Peninsula in Wonsan, and then on May 9, the North fired missiles believed to be short-range from the Sinori region in North Pyongan Province, 13 times in total in 1919. North Korea s short-range multiple rocket launchers and missiles are 240-300mm multiple rocket launchers and KN-02 and Scud C-type missiles with a range of about 70-300km, and our radar system is limited to detect, so we must develop a long-term long-range system to prepare for them. To defend North Korea s short-range missiles, the Iron Dome system operating in Israel and the THAAD system, a high-altitude strike system, are needed to defend long-range missiles. For the defense of the North s short and long-range missiles, a similar weapons system such as Iron Dome or THAAD could be introduced early, or an effective defense network could be established if it can be developed and responded by developing itself. North Korea s short-range and long-range missiles are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long-range missiles should be prepared for reckless surprise or provocations by the North by establishing a ballistic missile defense and Kill Chain system for the defense of South Korea by threatening its East Asian neighbors and allies such as the U.S.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work with th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ADD) or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epare for possible provocations at any time by securing its own technical skills. 북한은 2019년 5월 4일 원산 북방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발사체 수발을 발사하였고, 이어서 5월 9일에는 평안북도 신오리 지역에서 단거리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19년 들어서 총 13회나 발사하였다. 북한의 단거리 방사포 및 미사일은 240·300㎜ 방사포와 KN-02, 스커드 C형 미사일로 사거리가 약 70-300㎞ 이내로 우리가 보유한 레이더로는 탐지가 제한되어 대응이 다소 어려움으로 장기적으로 장사정포요격체계를 개발하여 대비하여야 하겠다.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방어를 위해서는 이스라엘에서 운용하고 있는 아이언돔 시스템의 무기체계와 장거리 미사일 방어를 위해서는 고고도 타격체계인 THAAD체계가 필요하다. 북의 장·단거리 미사일 방어를 위해서는 아이언돔이나 사드와 같은 유사한 무기체계를 조기에 도입하거나, 자체 개발하여 대응 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방어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단거리 및 장거리 미사일로 단거리는 한반도내 있으며, 장거리는 멀리 동아시아 주변국 및 미국 등 우방국을 위협함으로 한국형미사일방어를 위한 탄도탄미사일방어(BMD) 및 킬체인(Kill Chain) 체계를 조기에 구축하여 북의 무모한 기습이나 도발에 대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방과학연구소(ADD)나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협업하여 자체 기술력 확보로 언제 있을지 모를 도발에 상시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겠다.

      • KCI등재

        북한의 군사적 모험주의에 대한 일본의 대응

        아쿠츠 히로야스(阿久津 博康,Hiroyasu AKUTSU)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3

        본고는 북한의 군사적 모험주의와 다양한 도발 행위에 대한 일본의 대응과 최근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와 핵 실험 단행에 대한 일본의 조치를 확인하는 동시에, 일본 정부가 8월 30일 총선거를 앞두고 발표한 안전보장과 방위력에 관한 간담회 제언, 주요 정당의 매니페스토(manifesto/정책공약) 등에 표명된 정책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1) 북한의 군사적 모험주의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 탄도 미사일 방위를 중심으로 한 거부적 억제의 강화가 중심이고, 징벌적 억제에 대해서는 미국에 의존하는 동시에 비군사적인 무역 ․금융제재가 중심인 점, 2) 북한의 핵 ․미사일의 위협이 증대하는 현재에도 이러한 기존의 조치를 강화하는 한편, 독자적인 타격능력을 포함하는 징벌적 억제 능력의 향상에 대한 제안도 부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새 연립 정권 내부의 의견 차이로 인해 거부적 ․징벌적 억제를 통한 대 북한 정책이 즉시 이행될 것인가는 의문시된다. This essay briefly reviews Japan’s response to North Korea’s military adventurism with focus on the North’s most recent ballistic missile launch and nuclear test. The essay first confirms Japan’s policy toward North Korea as a “dialogue and deterrence”-based principle with the objective of “comprehensive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abduction, nuclear, and missile issues” and then takes a particular look at the deterrence side. The essay points out that Japan’s measures have mainly been focused on denial deterrence capabilities involving ballistic missile defense and maritime security and fully depended on the US, Japan’s only formal ally, and also on non-military trade and financial restrictions or sanctions for punitive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s provocations. By analyzing the Japan’s response to the North’s long-range ballistic missile launch on April 5 and nuclear test on May 25 and also by analyzing policy proposals from Prime Minister’s security advisory group and major political parties including the new ruling coalition parties, the essay concludes that arguments have emerged for strengthening Japan’s own punitive deterrence capabilities in restrained manners but that divergent policy preferences within the new coalition government would likely restrain those arguments from becoming actual policies in the near future.

      • 다중-모델 기반 표적 추적 기법과 순간낙하점 계산 기법을 이용한 다기능 레이더 자원관리 연구

        김상현,최한림,권혁훈,김윤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4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초고속 표적을 추적하는 다기능 레이더에 대한 레이더 자원 관리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가정된 초고속 표적은 적의 영토에서 발사되어 날아오는 탄도탄이다. 또한 오직 하나의 다기능 레이더만이 다수의 탄도탄을 탐색, 탐지 및 추적하는데 사용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한정된 레이더 자원으로 인해 다수의 탄도탄을 장거리에서 정밀하게 추적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레이더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종의 레이더 자원 관리 알고리듬을 제시하였다. 이 알고리듬을 적용하기 위해서 다중-모델 기반 표적 추적 기법과 순간낙하점 계산 기법이 사용되었다. 최종적으로 탄도탄 방어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해 레이더 자원 관리 알고리듬의 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In this paper, radar resource management method for the multi-function radar which is used to tract multiple hyperspeed targets with limited radar resources is studied. The hyper-speed targets are assumed to be ballistic missiles which are launched from enemy territory. Also it is assumed that only one multi-function radar is used to search, detect and track these multiple ballistic missiles. In this scenario it is hard to track the multiple ballistic missiles accurately which are coming from afar because the radar resources are limited. To use the limited radar resource effectively in this paper a sort of radar resource management algorithm is proposed. For this algorithm, the multiple-model based target tracking method and instantaneous impact point calculation method are used. Finally the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simulation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radar resource management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