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초등 교과서의 편집디자인 개선을 위한 미국사례와의 비교 연구

        김덕순(Kim, Deok Soon),김정숙(Kim, Jeong Suk)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과 미국의 삽화, 편집 등 디자인적 사례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함으 로써 한국 초등 교과서 편집 및 디자인적 요소의 개선을 제고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갖는다. 조사 대상 교과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4개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적체제의 요인별 관련사항과 편집 디자인에 관한 레이아웃, 포맷, 타이포그래피 및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등 항목별 내용을 각 과목별 로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을 감안, 이들 요소로 하여금 학생들에게 학습의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내용의 이해를 높이며 이해력, 통찰력, 상상력 그리고 창의력 발달까지 감안하는 필요성이 요소별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을 적용한 분석결과에서 검출된 내용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의 디자인적 요소에 비해 과목당 종수 및 지면당 비율 등에서 결코 떨어지는 것은 아니나, 산만함으로부터 요소 간의 연계성 및 통일성 그리고 질적인 면에서 좀 더 향상시킬 필요가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토대로 볼 때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을 감안하여 적절한 수용과 기존의 장점을 더 부각시켜 학습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마킹처럼 지면의 단조로움 을 깨고 학습에 필요한 핵심내용을 돌출시켜 주목도를 높여주는 요소로 활용한다든지 문단에서 경우에 따라 왼쪽맞춤(뒤흘리기)이나 가운데맞춤 등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미지의 사용 개수나 스타일도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는 적절하면서 질적으로 공감대를 높일 수 있는 단조로운 사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교과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에게 학습의 동기를 부여해야 하며 학습내용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텍스트 외에도 이미지 등을 활용해 이해력, 통찰력, 상상력 그리고 창의력 발달까지 감안해야 하는 종합적인 도서이다. 그에 따른 편집디자인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와 내용을 보다 분명하게 하여 학생들의 이해흡수에 용이할 수 있도록 기획되어야 하므로 교과서의 편집디 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We can 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xtbook which is not only the core instrument of school education, but also the national basis of knowledge and national indicator of education. Thus, we continuously study and develop for progressive textbook. It is more important to watc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ith deep concern, because the elementary procedure is the basic study stage and socialization perio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hould produce adequately according to students' thinking faculty and development stage. These days, it is arisen continual troubles in elementary textbooks, therefore we have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textbooks. Upon the seventh education procedure policy, examination criteria of textbook implies outfaced elements, such as, typography, illustration, photos, icons, line & surfaces, and so on. Nevertheless, it is sill raised a lot of complaint about design and visual elements of elementary textbooks. That means students' low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of improvement on textbook design and visual elements. For these needs and our goal, we analyzed 12 elements of our elementary textbooks' design and visual elements and compared those with American elementary textbooks in order to examine our problems and alternative devices. We compared using cross-matching method with some elements, such as 4 subjects (English & Korean, Mathematics, History & Society, Science), 1~6 grades, and design & visual elements. The suggestiv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ypesetting is more various and sometimes bold in American elementary textbooks than ours. 2. In case of 'English' textbook, they use indent, initial, marking. we don't use those elements, but require examination in effect of attention and mutation. 3. We require to improve the quality in image expression. 4. We need to reduce style number of illustration and deco. image elements for systematic coordination.

      • KCI등재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정태호(Jeong Tae-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이 연구는 202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게 될 초등사회과 검정 도서의 발행을 앞두고 검정제로의 전환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여, 자율성과 다양성이 보장된 초등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미국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범위는 우리나라에서 교과서 관련 논쟁이 뜨거운 역사 영역을 범위로 선정하였고, 그 중에서 특히 5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미국 혁명 이전의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교과서의 미국 혁명 이전의 역사 영역에서 제시된 인물은 총 100명이었으며, 이 중 4종 교과서에 모두 공통적으로 제시된 인물은 16명이었다. 단원 구성에 따라 연대기적 구성을 적극 반영한 교과서도 있었고,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과서도 있었다. 인물에 대한 학습은 단원 도입, 코너 활용, 본문 서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었으며, 출판사에 따라 제시하는 내용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인물도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검정 교과서에서도 내용의 왜곡이나 오류가 없다면 인물의 선정, 단원의 구성, 인물에 대한 평가나 업적 등에 대해 집필진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다양한 교과서가 출판될 수 있도록 검정 기준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four kinds of American textbook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guarantee autonomy and diversity b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transition to the test system ahead of the publication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Authorized books to be used in the school field from 2022. The scope of analysis was selected as the hottest history area in Korea, and especially the historical figures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presented in the fifth grade textbook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100 people in the history area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in American textbooks, of which 16 were presented in common in all four textbooks. There were textbooks that actively reflected chronolog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unit, and there were textbooks that operated flexibly. There were various methods such as introduction of unit, corner use, text description and there were some people who showed great difference in contents presented by publisher. Therefore, if there is no distortion or error in the contents in the Korean textbooks, the criteria for testing should be changed so that various textbooks can be published by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writers about the selection of characters, the composition of the unit, the evaluation of characters, and achievements.

      • KCI등재

        미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내용구성 체제 분석

        홍미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textbook for American elementary school which may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Unit framework of social studies textbook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The implications resul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textbook should be improved by including various and abundant information of teaching and studying. Second, various content composition formats in accordance with each unit and subject should be us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opriat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textbook for the level and interest of students. Fourth, it is needed to make good use of concrete material and story that are close to the life of stud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narrative composition which makes a connection between the learning content and method. Sixth, it is needed to use the questions that arouse students’interest and attention and aim for the learning objective. Additionally,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study and support of textbooks and curriculum books. 본 연구는 미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3종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과정 수시부분개정체제에 따른 한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개발 방향과 내용구성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 사회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첫째, 사회교과서는 많은 자료를 좁은 지면에 압축하여 제시하는 형태에서 적합한 자료를 선정‧조직하여 실제 학습에 적극 활용되도록 변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교과서는 단원과 주제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내용구성방식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교과서는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외형체제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교과서는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소재나 이야기를 다각도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회교과서는 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연계하는 내러티브적 구성방식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사회교과서는 단원의 목표를 지향하는 질문방식을 체계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사회교과서 내용구성 체제를 위하여 사회 교과용 도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 초등교육의 변화

        이길상 한국교육사학회 2003 한국교육사학 Vol.25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changes in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from 1945 to 1948, so called,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period. At first the real situation and urgent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at the moment of liberation is examined. Cleaning of colonial legacy in educational system, building and remodeling of school buildings, establishing new teacher training programs, supplying more textbooks were some of the problems at stake. The most prominent changes in educational system were the abolition of discriminative system and the adoption of democratic system, introduction of compulsory education, and reform of curricular system. In this article these three aspects are explained with pertinent documents and educational statistics.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y is also one of the most outstanding changes occurred at that time. Elementary school entrance rate increased from 54% in 1945 to 73% in 1948 approximately. Explosive increase in school students caused many educational and social problems. Serious shortage of teachers demanded some temporary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it caused the decrease of teachers' level of professional expertise. Textbook shortage was also a serious problem caused by the increase in student numbers which could not solved in a short time. Beyond these a lot of different problems emerged. A great amount of educational finance was required to meet these educational needs. Because of limits in legal sources, however, unlawful educational funds such as parents' donation was flourished and made a negative influence on Korean educati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ree years, from 1945 to 1948,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is that elementary education reached to a level of universal education, and some experiments to democratize educational practices were made without many successes. Transition from Japanese imperial education to American democratic education was only a superficial phenomenon.

      • KCI등재

        한국 학부모들의 미국 초등학교 교과에 대한 인식

        박행모(Park Heang Mo)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American textbooks by Korean parents residing in America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American schools and the degree of using American textbook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gave 50 questionnaires to 37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community school in Columbus of Ohio State, U.S.A., collected and analyzed 40 questionnaires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question of knowing the progress of learning at school, they showed the highest answer at “through information from school”. 2) On the question of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ntrolling students in America, “use of sticker” was highest and major subjects in American schools included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3) As a result of presenting more difficult subjects than Korean ones to parents, social studies was most difficult, followed by science and English and the difficulty of social studies was because cooperative learning related to social culture was required more. And easier subjects compared to Korean ones were mathematics,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subjects requiring textbooks by students when they study were social studies, science, mathematics and English. 4) Children’s most favorite subjects were mathematics,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on the question of giving textbooks to each child, higher graders felt no needs of individual textbooks and in teaching styles, lower graders took part in more cooperative learning.

      • KCI등재

        심층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황수아,최한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본 논문은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감정노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개념적 인식 수준은 어떠하며, 그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을 겪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경력 10년 이하의 초등교사 9명을 심층면담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개념적 인식 수준은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직업 활동이 끊임없는 감정관리를 요구하며, 그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같은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초등교사가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대상은 크게 학생, 학부모, 관리자로 나눌 수 있다. 학생과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주요 원인은 모욕적인 말과 행동,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 거부 등이며,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연령 차이에 따른 무시, 모욕적 언사, 수업에 대한 간섭 등이다. 그리고 관리자와의 관계에서는 교육 외의 업무 부과 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들은 감정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대방 이해하기, 자신의 감정을 바꿔 표현하기, 서로 관계 맺기, 학교생활과 자신을 분리하기’ 등의 감정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