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lain Badiou의 존재론을 통하여 본 보편성논제

        김연미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research mainly depends on Alain Badiou’s ontology. Universality Thesis relying on Badiou’s Ontology is different from the ancient Greek, Plato’s or Kant’s. This paper is the first introduction of Badiou’s ontology into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At that point, this paper is a first test to apply Badiou’s ontology to legal universality in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Korea. Being based upon his philosophy, Universality Thesis can be cast new attention on us. In order to understand Alain Badiou’s philosophy, we need to understand his main terms such as ‘suture’, ‘event’, and ‘void’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these terms can be analysed into ‘rights-based principle’ or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institutional rights’ etc. in Dworkin’s legal philosophy, or not. First, H. L. A. Hart’s legal positivism as philosophy of language is a typical example of suture. Dworkin coped into a principle as a legal standard what Hart accepted legal discretion in part of legal void, or gap. Second, Dworkin argues that Nazi’s unjust law can not be justificated at the second interpretational stage. Dworkin’s institutional rights have the room to bring up the critic about the Meditations that Badiou regards ontology as the void. Of course, this paper does not make progress about these points enough. The part that this research is regarded as most importantly, is to set up and understand a new Universality these. And it is primacy to follow up Badiou’s book, Saint Paul: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To found a new Universality these, the last part in this paper is also followed up Heidegger’s “Elucidation of Hölderin’s Poetry” and Badiou’s thought as fusing poetry among four conditions. Heidegger made a detour, elaborating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 of art.” But the Universality in Badiou’s ontology is expressed as the subjectivity in fidelity. The Universality is only found upon the individual subject in the void. 보편성문제는 법철학의 핵심적 주제이다. 보편성논제는 오늘날까지 적극적으로 해명되지 않은 채 여전히 법규범의 속성이나 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이 글은 드워킨의 법철학이 존재론적으로 어떤 지형에서 논의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試論적 선행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보편성논제가 법학 이외에 종교와 문학, 그리고 정치와 수학과의 융합적인 차원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현대 프랑스철학에서 신플라톤주의자로 알려진 알랭 바디우(Alain Badiou)의 철학에 의거하여 새로운 보편성 정립을 시도한다. 바디우는 현대의 해체철학에서 보인 철학의 종언이 아니라 철학을 위한 새로운 플라토니즘, 데카르트적 근대이성의 혈통을 복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바디우의 존재론을 통해 발견되는 보편성논제의 핵심적인 주제는 ‘봉합’(suture)과 ‘사건’(event)이다. 논자는 첫 번째 드워킨의 법철학을 이해하는 試論적 작업을 바디우 철학의 핵심논제인 ‘봉합’을 통해 설명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전통적인 플라톤철학에 의거한 보편성논제와 달리 바디우의 ‘사건’개념에 의거하여 보편성의 새로운 의미들을 찾고자 하였다. 법적 관점에서 바디우의 존재론의 중요한 개념은 ‘사건’이다. 보편성논제로서 ‘사건’은 공백, 빠져나옴, 선과 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준다. 이 글은 바디우의 철학을 국내 법철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한다는 점에서 개괄적인 선행적 이해를 돕는 수준에서 논의를 개진하였다. 그런 점에서 바디우가 저술한 『사도 바울』의 저서를 쫓아가면서 보편성의 의미를 주체적 개별성의 차원에서 독해하였다. 또한 수학적 공리나 정언명령과 같은 보편성을 여러 문학적 詩論 작업에서 밝히는 것과는 달리 詩의 특징으로 규명하는 바디우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바디우는 하이데거가 훨덜린의 시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철학적 봉합이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그 봉합을 시적 보편성이라는 존재론으로 다시 정립하려고 하였다. 이 글에서 논자는 법적 보편성의 의미를 드워킨이 제공한 제도적 권리의 공백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구성적 해석의 2단계인 해석적 단계에서 바디우의 ‘사건’과 탈봉합이 발생할 수 있다는 試論적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라캉과 바디우

        박영진(Youngjin Park)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3

        본 연구는 철학과 반철학의 관점에서 자크 라캉과 알랭 바디우의 관계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디우에 따르면 서구 사유의 역사는 철학과 반철학의 끊임없는 대화다. 주지하듯이 바디우 자신이 라캉 정신분석과의 비판적 논쟁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정립했다. 최근 출간된 『알랭 바디우 세미나: 자크 라캉』에서 바디우는 라캉을 반철학의 관점에서 다룬다. 바디우에 따르면, 라캉 반철학은 철학적 진리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철학적 작용의 실체를 폭로하며, 철학적 작용에 맞서 분석 행위라는 자기 고유의 행위를 제기한다. 그러나 라캉 본인은 반철학이라는 용어를 단 두 차례만 사용했을 뿐, 반철학에 대해 어떤 정돈된 논의도 남기지 않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철학과 반철학에 대한 라캉의 입장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제기에 입각해 본 연구에서 필자는 바디우가 제시한 라캉 반철학론의 주요 논점에 대해 비평하고, 라캉 본인이 철학에 대해 내어놓은 발언들을 분류하고, 이를 통해 라캉과 바디우의 관계가 “철학 vs 반철학”이라는 단순한 진영논리로 환원될 수 없는 뒤얽힌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이를 통해 『세미나: 라캉』에 대해 읽기를 제시하는 한편, 라캉과 바디우 및 철학과 반철학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hed ligh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cques Lacan and Alain Badiou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According to Badiou,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is constituted by the ceaseless dialogue between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It is well-known that Badiou elaborated on his philosophy through the critical dialogue with Lacanian psychoanalysis. In Lacan: Anti-Philosophy 3, Badiou addresses Lacan through the lens of antiphilosophy. According to Badiou, Lacanian antiphilosophy deposes the authority of philosophical truth, discloses the philosophical operation, and presents his analytic act against the philosophical operation. However, Lacan himself used the term “antiphilosophy” only twice in his entire intellectual itinerary. Moreover, he did not leave any systematic discussion about his antiphilosophy. How can one address Lacan’s position regarding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then? This article engages with this question. The author first reviews the main points of Lacanian antiphilosophy as presented by Badiou, classifies Lacan’s extensive and inconsistent comments on philosophy, and shows how Lacan and Badiou have an interlaced relationship,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simple antagonism “philosophy vs. antiphilosophy.” This will not only serve as a critical reading of the Badiouian version of Lacanian antiphilosophy but also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an and Badiou,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 KCI등재

        유한한 작품과 무한의 이념: 알랭 바디우의 미술론

        장태순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1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lain Badiou’s theory of fine art. Although Badiou has written several articles on fine art, he has not developed a comprehensive theory on the subject. This endeavor unfolds in three stages. The first involve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in general. For Badiou, art is one of the procedures for producing truth alongside science, politics, and love. Badiou terms the unique truth procedure of art as “artistic configuration,” with the work of art holding a significant position. Second, the study confirms Badiou’s position on the fine art. According to Badiou, art is about creating “Ideas.” Each artistic genre demonstrate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he universe in its distinct way, and fine art unfolds possibilities for a new world through the creation of forms. The third stage explores the reasons behind his endorsement of Pierre Soulages. According to Badiou, Soulages’s work creates an idea of infinity, thereby uttering the command of Badiou’s Ethics of Truth, “Continue.”

      • KCI등재후보

        인간 현존을 사유하는 하이퍼리얼 시네마로서 울리히 자이들의 영화미학 -알랭 바디우 영화론의 관점에서, <파라다이스: 소망>을 중심으로-

        최수임 ( Soo Im Choi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filmic aesthetics of Ulrich Seidl from the perspective of Alain Badiou`s thought of cinema. The Austrian director Ulrich Seidl produces the unique hyperreal cinema by hybridizing and overcoming both of the documentary and the fictional. Through this method, Seidl achieves providing the existential human-presence and the reflective thought about that. Alan Badiou thinks that cinema is the subject of the contemporary thought which makes the viewer understand the human presence. Cinema is a manifesto of the human presence for Alain Badiou. In that point, “cinema is an education, an art of living, and a thinking.” (Alain Badiou, Cinema, Polity Press, Cambridge, 2013, p.ix.) Paradies: Hoffnung (2013) is analyzed from this perspective in this article. Seidl presents in this film diverse people like teenagers, teachers, medical doctor, who all join and work in a summer weight-loss camp for the teenagers. A girl falls in love with her doctor, while the strict rules against the physical lust suppress the participants. She, Melanie, the daughter of Theresa, the heroin in Paradies: Liebe and niece of Anna Maria, the heroin in Paradies: Glaube, makes an adventure to realize her hope. Ulrich Seidl`s Images are highly real, but at the same time artificial. Those are seen as ‘the imitation of life’, rather than life itself. Seidl makes his own vision into the filmic images, into the hyperreal images. The photographic images in his film can be regarded also as a sort of antirealism, even if they are highly real. The Hyperreal Cinema created by Ulrich Seidl, a filmmaker of New Austrian Cinema, is relevantly to understand in the light of Alain Badiou`s thought of cinema, since it produces the contemporary thought through the cinematic images which project the human presence.

      • KCI등재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 바디우와 베케트

        박일형(Park Ilhyung)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1 현대영미드라마 Vol.24 No.2

        This thesis analyzes the framework of Alain Badiou’s criticism on Samuel Beckett and unravels its ethico-political implications. The objective is to go beyond summary and introduction of Badiou’s criticism and to point out its limitations. Furthermore, an attempt is made to expand the discussion of Badiou’s criticism, often heavily concentrated on Beckett’s novels, to theatre.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Catastrophe, a short piece that contains the most direct political homage among Beckett’s entire oeuvre, shall be undertaken. Badiou, known as the last patron of modernity in direct confrontation with postmodernism and a radical leftist, published four critical essays on Beckett in the 90’s. Interest in Badiou stems from the fact that his analysis provides a new potential in ethico-political interpretation of Beckett which was in a deadlock for quite a long time. Badiou reads the project of ethical thinking toward the image of subject and the other as opposed to absurdity and namelessness, and difference and repetition that existentialism or deconstruction focused on. Badiou opposes the critical tradition that links Beckett’s work with the annulment of the subject or a solipsistic world view, and thereby stipulates Beckett as a nonpolitical and apolitical writer. However, his argument reveals its limitation when Beckett’s work such as Catastrophe is read and analyzed more carefully. Because this particular piece shows how human life is manipulated by aesthetic representation and how the public’s ethical presumption and social consciousness are formulated by this process. Beckett appears to reveal the theatricality of politics that sustains and promulgates a political possibility rather than illustrate subjectivation based on a radically new event. What this piece discloses is not the possibility of subjectivation but the bare life that is excluded and silenced by political subjectivation.

      • KCI등재

        바디우의 사유체계와 분리공리

        오진영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 Research topics: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axiom schema of separation, which is focused on Alain Badiou’s philosophy. · Research background: The axiom of separation is the most basic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Badiou’s philosoph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oint that what is needed to understand Badiou’s philosophy is the consideration of the axiom of separa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research on the axiom of separation, which is fundamental in Badiou’s mathematical ontology, is not advanced. ·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s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eparation axiom, focusing on literature related to Badiou’s theories. · Research results: The axiom of separation proves the non-existence of the one and whol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Language is a mediation from consistent multiplicity to inconsistent multiplicity which is implied in the situation. · 연구 주제: 바디우(Alain Badiou)가 중점적으로 논구한 분리공리의 정체와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분리공리는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므로 현대철학에서 새로운 사유를 모색하고자 하는 바디우의 철학적 시도를 엄밀히 이해하기 위해 분리공리의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바디우의 수학적 존재론에서 공집합공리(공백의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연구는 다소 개진된 상황이지만 분리공리를 주제로 연구한 성과는 미진한 상태이다. · 연구방법: 바디우의 주저와 집합론의 텍스트에 관한 문헌연구 중심으로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의의를 분석한다. · 연구결과: 분리공리는 러셀의 역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 조건에서 일자의 비존재/전체의 비실존을 선언한다. 그리고 이 선언은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에 해당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대철학계는 바디우의 수학적 존재론에 주목한다. 국내외에서 그의 독창적 존재론과 사건 논의를 활용하는 후속연구가 점차 진척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후속연구가 바디우의 분리공리를 재전유할 수 있는 개념적 이정표 역할을 기대한다.

      • KCI등재

        바디우의 사건 개념에 대한 신학적 해석

        허석헌(Suk-Hun Huh) 한국기독교학회 202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9 No.-

        이 논문은 유한한 인간이 무한한 하나님을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에 관한 신학적 물음에서 출발한다. 이 논문이 추구하는 목적은 알랭 바디우의 사건의 개념으로부터 신학적 물음에 대한 대답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바디우의 집합론으로부터 파생되는 상황, 비일관적 다수성, 공백, 개입, 진리, 주체, 사건과 같은 주요 개념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개념들을 신학적으로 재해석할 가능성을 검토한다. 바디우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세 가지의 신학적 해석의 지점들을 제시한다. 첫째, 바디우의 무신론적인 존재론이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적 존재 신학의 한계를 극복하려 시도해 온 부정신학의 전통과 공명한다는 점에서 기독교 신학적 해석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 둘째, 공백으로 존재하는 진리는 사건을 통해 현시될 수 있다는 바디우의 주장은 하나님의 실재를 내재적 초월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셋째, 은총의 사건에 충실하려는 결단을 통해서 출현하는 되어가는 주체에 대한 바디우의 긍정은 신을 인간적 경험과 이성으로부터 이해할 가능성을 차단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초월에 위배되지 않는 인간적 자율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결론에서, 바디우의 사건 개념으로부터 우리는 사건이 하나님과 주체를 매개하는 접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starts with a theological question about how a finite human being can meet the infinite G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n answer to the theological question from Alain Badiou’s concept of the event. First, I analyze the main concepts such as situation, inconsistent multiplicity, void, intervention, truth, subject, and event derived from Badiou’s set theory,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se concepts theologically. Through an analysis of Badiou’s main ideas, this article presents three points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First, the option of Christian theological interpretation is open in that Badiou’s atheistic ontology fundamentally resonates with the tradition of negative theology, which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etaphysical onto-theology. Second, Badiou’s argument that truth that exists as a void can be revealed through events suggests a way to understand God’s reality as an immanent transcendence. Third, Badiou’s affirmation of the subject that emerges through his/her determination to be faithful to the event of grace not only avoid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God from human experience and reason, but also helps the understanding of human autonomy that does not violate God’s transcendence. In conclusion, from Badiou’s concept of the event, I argue that the event can function as a contact point between God and the human subject.

      • KCI등재

        바울 담론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 바디우와 아감벤을 중심으로

        오형엽(Oh Hyung-yup)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이 글은 바디우와 아감벤을 중심으로 바울 담론을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윤리적 주체와 메시아적 시간구조를 통한 문학비평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현대문학 이론 및 비평에 도움이 될 만한 하나의 참조 틀을 마련하려 했다. 바디우의 바울 담론은 ‘보편적 개별성’으로서의 ‘진리에 대한 요구’라고 요약될 수 있다. 바디우는 ‘진리 과정의 주체’와 ‘보편적 개별성’이라는 핵심적 주제를 ‘율법과 진리’ ‘담론들의 이론’ ‘주체의 분열’ ‘죽음과 부활의 반변증법’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고찰한다. 바디우의 바울 담론은 신학적 담론과 현대철학의 사유를 접목시켜 ‘진리’와 ‘주체’의 윤리적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문학비평적 가능성을 풍부히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첫째, 바디우가 설정한 진리 생산 절차의 현대적 지평인 정치, 과학, 예술, 사랑이라는 네 가지 범주 이외에 신학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바디우가 설정한 진리 생산 절차인 정치, 과학, 예술, 사랑이라는 범주 이외에 신학을 새롭게 포함하더라도, 이 다섯 범주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보다 세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신학과 예술, 혹은 신학과 문학이라는 유적 절차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바울 담론의 문학비평적 가능성도 좀 더 가시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아감벤의 바울 담론은 ‘무효화와 탈주체화’ ‘절단과 잔여’에 근거한 ‘메시아적 시간구조’에 대한 탐구라고 요약될 수 있다. 아감벤은 바울의 서신을 무효화와 탈주체화의 전략을 통해 현실의 법을 중지시키고 유예시키는 메시아적 힘으로 해석하고, 메시아적 시간구조가 내포하는 특수한 아포리아에 관심을 가진다. 아감벤의 잔여 개념은 ‘남겨진 자’뿐만 아니라 ‘남겨진 시간’에 대한 사유로 펼쳐져 메시아적 시간구조를 규명함으로써, 그동안 문학이론이나 비평이 참고해온 진보적 시간관, 회귀적 시간관, 종말론적 시간관, 순간적 시간관 등과 차별성을 가진 구원적 시간관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중요한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메시아적 시간구조가 내포하는 기억과 희망, 과거와 현재, 충만과 결여, 기원과 종말 등과 같이 특수한 결합방식으로 관계하는 ‘아포리아’는 문학작품에 내재된 시간구조를 해명하는 데 새로운 시야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wished to consider what we can think of the theoretical issues of the subject and the ethical horizon after the death of the subject announced by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ere excellent in revealing the dynamics of the structural mechanism constructing the subject but had limitation to think of the subject only as a part of the very mechanism. Jacques Derrida, Alain Badiou, Giorgio Agamben, Slavoj Z' iz' ek cobsider deeply St. Paul’s Christianity Disscussion commonly. And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in view point of cobsidering of Walter Benjamin' political philosophy. Alain Badiou emphasizes the subject as the faithful follower of the event and the truth, while Giorgio Agamben tries to look at for the way to expand the ethical horizon in terms of inactivation without restoring the subject like Alain Badiou. Both thinkers wrote important books on St. Paul, in which St. Paul plays as the conceptual persona enacting their thoughts theoretically. St. Paul is referred to by Alain Badiou as the revolutionary subject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situation of law, while treated by Giorgio Agamben as an apostle to make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law inoperative.

      • KCI등재

        알랭 바디우의 국가론 연구

        장태순 ( Chang¸ Tae So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알랭 바디우는 『존재와 사건』 9장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극복하는 자신의 국가론을 전개한다. 엥겔스는 국가가 태초부터 존재한 것이 아니라 계급 대립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계급 대립이 사라지면 국가도 소멸함을 주장하였다. 레닌은 엥겔스의 생각을 받아들이며, 특히 국가가 사라지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폭력혁명이 필연적임을 역설하였다. 바디우는 상황 상태라는 존재론적 개념에서 출발하여 국가를 설명한다. 그는 국가가 사회경제적 조건인 계급으로부터 만들어졌지만, 계급 자체로부터는 분리된 것이라는 엥겔스와 레닌의 생각을 상황 상태 개념을 통해 정당화한다. 또한 그는 국가의 본질이 관료제와 공권력이라는 생각의 존재론적 기초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바디우는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국가론의 두 가지 점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첫째로 그는 국가가 지배 계급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생각에 반대하여, 국가는 지배 계급의 이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의미의 관리와 강제를 행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로 그는 계급 대립이 사라지면 국가도 소멸한다는 마르크스주의의 생각에 반대하여, 국가는 모든 사회역사적 상황에 필연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바디우가 추구하는 정치는 국가의 필연적 소멸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공백과 초과와의 새로운 관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Alain Badiou’s theory of the State exposed in Chapter 9 of Being and Event has two sources : the Marxist conception of the State proposed by Engels and Lenin, and the mathematical ontology based on the set theory. Engels argued that the state did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but was created through class confrontation, and that if class confrontation disappeared, the state would be abolished. Lenin adopted Engels’ idea while emphasizing the violent socialist revolution which was inevitable for the abolition of the state. Badiou describes the state starting from his ontological concept of ‘the state of the situation’. His set theory based ontology gives a justification of Engels and Lenin’s idea that the state was, while created from the socioeconomic classes, separated from the classes themselves. He also presented the ontological basis for the idea that the essence of the state is bureaucracy and public force. However, Badiou did not agree with the classical Marxist state theory on two points. First, in opposition to the Marxist idea that the state is for the interests of the ruling class only, he argued that the state performs administration and coercion in the general sense. Second, contrary to Marxism’s idea that the state will abolish if class conflict disappears, he argued that the state inevitably exists in all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As a result, Badiou’s politics is not aimed at the inevitable extinction of the state, but rather a new relationship with the void and the excess.

      • KCI등재

        주체와 윤리적 지평 : 바디우와 아감벤의 '바울론'을 중심으로

        김용규 새한영어영문학회 2009 새한영어영문학 Vol.51 No.3

        This paper tries to consider what we can think of the theoretical issues of the subject and the ethical horizon after the death of the subject announced by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in the field of theory since 1960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has been arrang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tructure. Structuralists and poststructuralists attacked the dominant status of the subject by regarding it as the effect of ideological interpellation, linguistic signification, modern disciplinary regime, and psychological misrecognition. They were excellent in revealing the dynamics of the structural mechanism constructing the subject but had limitation to think of the subject only as a part of the very mechanism. Against this grain, Alain Badiou and Giorgio Agamben take upon the problem of the change which poststructuralists had considerable difficulties dealing with. Badiou emphasizes the subject as the faithful follower of the event and the truth, while Agamben tries to look for the way to expand the ethical horizon in terms of inactivation without restoring the subject like Badiou. Interestingly, both thinkers wrote important books on St. Paul, in which St. Paul plays as the conceptual persona enacting their thoughts theoretically. St Paul is referred to by Badiou as the revolutionary subject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situation of law, while treated by Agamben as an apostle to make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law inope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