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민윤영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1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into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Fromm’s theory, biophilia means the love of life and necrophilia means the love of death. Fromm linked necrophilia with the love of machines by contrasting mechanical things and organic life, and suggested the distinction between biophilia and necrophilia is not only psychologically but also morally fundamental. The article argues that such moral distinction is something law should be fully aware of at the dawn of the 4th revolution. We are facing a critical challenge to defend the value of human life against the emergence of smart machines, such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It is even said that a mass of useless humans might appear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replace humans at work. At this peril, law needs to provide itself with the right tools neede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uch new situation correctly and to prepare for the future. The article claims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could provide useful perspective for that end. Applying Fromm’s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law should shift its paradigm from the binary of human and non-human to that of life and non-life, embracing its new role as the promoter of biophilia. In addition, it analyzes the necrophilous tendencies in current Korean legal system through the example of its treatment of animals, and also warns the danger of metaphorically comparing robots to animals in legal discourse related to robots. It also suggests it is necessary for law to recognize the potential necrophilous tendencies of human-robot relationships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robot regulations in a way that promotes biophilia. 이 글은 프롬의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 개념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법이 가져야 할 방향성을 고찰한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명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고 네크로필리아는 죽음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데, 프롬의 이론에서 네크로필리아는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으로 새롭게 해석된다. 흥미로운 것은 프롬에게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심리적이면서 도덕적인 문제로 설정된다는 점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인간의 로봇화, 로봇의 인간화가 말해지고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으로 인해 ‘쓸모없는 인간 계급’이 등장할 가능성마저 말해지는 지금의 상황에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법의 방향성을 모색할 유용한 개념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법이 과학의 발전을 도모하면서도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이 생명에 대한 사랑을 대체하지 않도록 하는 파수꾼으로서 기능할 때, 바이오필리아를 확대시키는 생명의 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특히 법적 상징계에 인공지능 로봇 등의 기계를 위치시킴에 있어서 지능적 기계와 동물이 비교되는 상황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인간-비인간(non-human)’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생명-비생명(non-life)’의 패러다임으로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또한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법적으로 규율하는 미래적 과제에 임할 때에, 그 관계가 자기애적이고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일 가능성을 인식할 필요성도 제안해보았다.

      • KCI등재

        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의 방향

        노희정 ( Noh¸ Hui-jeong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4 No.1

        본 논문은 바이오필리아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해 탐색한 글이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물학적 진화의 원리에 기초한 유전적 성향이나 인간-자연의 공진화에 따른 문화적 성향과 관련이 있는 가설이다. 이에 본 글은 정신분석학적, 진화론적, 미학적, 문화적 관점에서 이러한 바이오필리아 가설의 타당성 혹은 유용성을 검토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자연의 가치에 대한 9가지 관점, 바이오필리아의 성향 그리고 자연가치에 대한 아동의 가치발달의 특징 및 단계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검토와 논의를 기초로 하여 바이오필리아를 함양하기 위한 세 가지 환경윤리교육의 방안을 제안한다. 그 세 가지 방안은 바로 생명중심적 추론능력의 개발, 생태적 덕성의 함양, 그리고 간접적 자연경험이 아닌 직접적 자연경험 활동의 강화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based on Biophilia. The biophilia hypothesis is also related to the genetic predisposi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is also related to the cultural propensity according to the co-evolution of humans and nature. This article examines the validity or usefulness of the biophilia hypothesis from psychoanalytic, evolutionary, aesthetics and cultural perspectives. In addition, nine perspectives on the value of nature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biophilia tendenc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alues o f nature are discussed. Finally, based on these reviews and discussions, I propose three ways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for cultivating biophilia tendencies. It is the development of life-centered reasoning ability, cultivation of ecological virtue, and reinforcement of experiential activities.

      • KCI등재

        플라워카페의 바이오필리아, 소비자 태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친환경 인식의 조절효과 탐색

        우미나(Mi-Na Woo),손수연(Soo-Yeoun Soh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6

        최근 플라워카페는 차와 음료를 매개로 하여 개인적 사색, 친교, 업무상 미팅, 문화적 모임 장소 등 제3의 공간으로서의 소비자에게 감성적 요소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바이오필리아에 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플라워카페 수가 늘어나고 있는 데 반해 바이오필리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플라워카페에서 바이오필리아 인식에 따른 소비자 태도 및 친환경 인식에 대한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플라워카페의 경영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최근 3개월 이내 한 번 이상 플라워카페에 방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2023년 9월 11일부터 9월 17일(7일간)에 걸쳐 조사하였고, 277개의 데이터를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요인 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성립되어 설정한 가설 모두 채택이 되었다. 그중에서도 바이오필리아 하위변인 중 무형적 요소가 유형적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 관계를 보였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Flower cafes have evolved into multifaceted cultural venues, offering emotional experiences to patrons as a distinctive “third space” for personal 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business engagements, and cultural gatherings facilitated by tea and beverages. Concurr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surge of interest in biophilia. Despite the burgeoning number of flower cafes, the nexus between these establishments and biophilia remains a largely uncharted domain. This study endeavors to elucidate the interplay between consumer attitudes and eco-friendly consciousness in the context of biophilia awareness within flower cafes. Our objective is to provide insights and data german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lower cafes in light of these relationships.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under investigation, with all initial hypotheses receiving empirical support. Notably, within the spectrum of biophilia sub-variables, intangible elements exhibited a notably more pronounced influence in comparison to tangible factor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erative for the formulation of a tailored differentiation strategy that takes cognizance of these nuances in the flower cafe industry.

      • KCI등재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생명자본의 관점에 관한 연구

        강병호(Byoung-Ho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Cannes Film Festival)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2020년 2월 아카데미 작품상도 받아 기념비적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격렬하게 뒤틀린 계급격차, 계급의 분노와 같이 계급(class)간 갈등을 주제로 논평한다. 영화 <기생충>은 마르크시즘(Marxism)의 정형화된 계급투쟁 구도보다“악한이 등장하지 않는 비극”, “문화로 체화된 내재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주장한 기체화(substrate)된 현대사회의 계급관계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영화 <기생충>은 이념 대립이 과잉인 한국사회에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기생충>이란 키워드는 문화 콘텐츠가 아닌 정치권의 논쟁에서 차용된 경향도 발견할 수 있다. 기생충을 좌파 선동 영화라 치부하는 주장도 있지만 정작 사회주의가 국가이념인 중국에서는 개봉을 금지시켰다. 반면 이어령은 영화 <기생충>이 이분법적 시각으로 사회현상을 바라보지 않고 겹 시각(dual view)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주장하며 긴장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눈을 잃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은 생명자본론 (vital capitalism)에 기초한다. 생명자본론은 계급투쟁 갈등에서 역사발전 근인을 찾지 않고 생명이 가진 고유특성 토포필리아(topophilia), 네오필리아(neophilia), 바이오필리아(biophilia)로 역사와 사회를 해석한다. 또한 문명 발전을 홉스 (Hobbes)의 포식주의 단계, 미셀 세르(Michel Serres)의 숙주-기생 단계, 마굴리스(Margulis)의 상호 기생, ‘상생’의 단계로 발전해왔다고 조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생명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문화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영화<기생충>의 내용 중 문화자본에서 주장하는 아비투스(habitus), 기초한 장(fields)의 개념으로 해석된 장면(차별, 취향, 교육, 기생)을 중심으로 생명자본적인 재해석을 시도한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문화자본론은 콘텐츠 해석에 있어 자기이해의 단일동기로 해석의 다양성과 우연성을 저감할 가능성이 높고 도식화된 해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속론 즉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자본주의의 속성은 연속된다는 주장은 새로운 하부구조(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변화와 이에 의해 변화되는 사회관계와 개인의 역할을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 <기생충(parasite)>을 텍스트로 선행연구들이 해석의 기초한 문화자본적 접근방법에 대응하여 생명자본의 해석적 대안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는 한국의 극단적 이념 풍토에 대한 대안의 시도라 할 수 있다. The film 〈Parasite〉 won the Golden Palm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and received the Academy Award for a non-English-speaking film in February 2020, respectively. It has received a monumental evaluation in the world film history. Overall, this film is about class conflict, and critics evaluate the theme of the film as “badly twisted class gap” and “anger from class.” The film 〈Parasite〉 expresses an intrinsic conflict embodied in culture as a “tragedy in which no bad person appears,” rather than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the classical class struggle from Marxism. In other words, this can be seen as expressing the substrated class relationship of the modern society that Pierre Bourdieu had argued. This film 〈Parasite〉 has been focused as a controversial target under Korea society with excess of ideology. Politics used to adopt the keyword, ‘parasite’, for political disputes not only in culture contents world. Paradoxically socialism China did not allow to release film ‘Parasite.’ On the other hand, Lee O-Yong argues that the movie “Parasite” does not look at social phenomena through a dichotomous perspective, but is viewed through a “double perspective” and evaluates that it does not lose eyes looking at humans through tension. This view is based upon ‘Vital Capitalism’. Lee. O-Yong looks at the movie “Parasite” from the perspective of “Vital Capitalism”. The theory of Vital Capitalism does not seek to find the root of historical development in class struggle conflicts, but rather figuring out history and society pays attention on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life, Topophilia, Neophilia, and Biophilia. Lee Eo-ryeong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ory evolved from the stage of Hobbes" Darwinism or predatism to the stage of host vs. parasite of Michel Serres, and onto the stage of Margulis"s ‘Win-Win (inter-dependence)’. In this paper, after overview of vital capital concept and preceeding research, re-interpretations were tried onto scenes based upon fields from habitus, culture capital. This exploration looks for a alternative for excess of ideology in Korea society.

      • KCI등재

        학교장의 식물기르기에 대한 교육적 신념으로 촉발된 생태교육의 운영과정과 그 의미

        주은정,임보라,고홍규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 case study conducted at an elementary school triggered by the principal’s beliefs. The significa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 teachers, including the school principal, some homeroom teachers, and 187 students from grades 1 to 6. Ex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nd student program satisfaction questionnaires, student activity results, school plans, and reports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Consequently, plant-growing activities by the school principal were analyzed to have ecological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biophilia. The school principal’s plant-growing activities have stimulated interest in ecological education among all school members, and some teachers volunteered to plan or conduct educational programs with external support. Although the teachers had differing views 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they were generally aware of the practice of ecological education in this school. Several programs implemented at the school improved students’ ecological sensitivity, and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was high. However, teachers required differentiation of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ntent considering grade and student level, agreement among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programs and support to strengthen teachers’ capacity to practice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이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학교장의 신념으로 촉발된 생태교육이운영되는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일선 학교에서 실현된 생태전환교육과 생태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중요 참여자는 A초등학교의 학교장을 비롯한 교사 5명이었으며 1∼6학년 학생 187명도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해 학교장을 비롯한 교사들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학생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학생 활동 결과물, 학교의 프로그램 계획서 및 보고서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A초등학교 전체 구성원은 1인 1식물 기르기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로부터 촉발된 다양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의 식물 기르기 활동은 바이오필리아 측면에서 생태교육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장의 식물 기르기 활동은 학교 전체 구성원들에게 생태교육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였고, 몇몇 교사들은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외부 지원을 받아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교사들은 생태전환교육과 생태교육에 대한 모호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 학교에서 진행된 것을 대체로 생태교육이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학교에서 실시한 여러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생태감수성을 제고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는높았다. 그러나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년 수준을 고려한 활동 및 교육 내용 차별화,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합의, 교원들의 생태전환교육 실천 역량 강화 프로그램 및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 KCI등재

        실내 환경개선을 위해 바이오필리아 효과를 적용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수경재배기에 관한 연구

        김동현 ( Donghyun Kim ),정도성 ( Dosung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본 논문은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로 인해 사람들의 안전한 먹거리와 실내 환경, 공기정화 등의 갈구로 수경재배기 시장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도시화에 따른 ‘바이오필리아’가 증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실내 환경개선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한 심리적 긍정 효과의 수경재배기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수경재배기와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 자연과 가까이 있을 때 심리적 긍정 효과를 주는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디자인적 접근인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를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를 분석한다. 수경재배기의 소비자 조사를 통해 기존 수경재배기의 형태적 개선사항을 파악한다. 위 과정을 바탕으로 5가지 디자인 콘셉트를 구성하고 개발하며 완성된 제품의 실내 환경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후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적용 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심리적 긍정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T-test를 통해 검증한다. 연구결과 수경재배기의 사례조사와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담액식 방식과 LED광, 바닥 배치형이나 탁상형이 아닌 벽걸이형으로 수경재배기의 형태를 디자인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AHP 분석결과로 직접체험요소 식물을 적용하고 간접체험 요소로 자연재료인 나무 재질로 마감하였다. 결과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가 적용된 제품이 실내 환경에 배치되었을 때 소비자가 자연과 가까운 느낌을 느끼고 이를 통해 바이오필리아효과의 심리적 긍정 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의 T-test 검증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바이오필리아 효과는 많은 연구 과정을 통해서 입증되었지만 이를 활용한 바이오필릭 제품 디자인 개발은 많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단, 수경재배기뿐 아니라 가전제품이나 실내환경을 구성하는 제품에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적용을 통해서 단순히 기계적인 인식이 아닌 제품을 통한 실내 환경의 자연 접촉성의 변화를 통해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심리적 긍정 효과의 이점을 활용하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재활 치료 및 아동발달 환경 등을 위한 제품개발의 선행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that gives a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by applying biophilic design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of 'Biophilia'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urbanization Method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ydroponics and Biophilia effects. Biophilic design elements that apply the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of Biopilia are analyzed through expert AHP analysis. Consumer's discomfort survey on hydroponics. Develop products with 5 design concepts and perform finished product simulation. Consumer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s is confirmed by T-test. Result Based on the hydroponics case study and consumer survey results, we designed it for underwater cultivation, LED lighting and wall mounting types. Plant and wood materials are used as a result of AHP analysis by Biophilic design. As a result, when products with Biophilic design elements were placed in an indoor environment, consumers felt closer to nature. Satisfaction with the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of the Biophilia effect was high.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T-test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Biophilia has been proven through many research processes, but few have been developed using Biophilic product design. In addition to hydroponic cultiv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apply biophilic design elements to household appliances or products that make up the indoor environment.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s of the Biophilia effect,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to increase the natural contact of th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product. And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such products.

      • KCI등재

        바이오필리아 어린이 공공문화공간 연구

        김진희,나일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2 No.3

        This study begins with Biophilia advocated by Erich Fromm, a first-generation scholar of the Frankfurt School who diagnosed the alienation of Western modern society, which has developed based on blind faith in reason and rationality. Based on a biophilia philosophical review of life-loving attitudes and values, we would like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biophilia public cultural spaces that communicate and have appropriate relationships in children’s growth stages. The city, which has been pursu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has created a space that is cut off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is needed on public cultural spaces where children can interact and have creative experience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grow. Through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ssues of Biophilia philosophy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between various interdisciplinary institutions, we derived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locality, sustainability, experience orientated, flexibility, playfulness, neutrality, totality- of the biophilia children’s public cultural space that can realize community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Based on this,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contemporary design trends, we selected cases that have won awards in architecture and modern art since the 2000s or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literature of a group of public space experts, to study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cases, we analyzed the background, content, and implications of the cases in Northwestern Europe as well as in the United States and Africa.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paces have become joyful and participatory community spaces by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various experiences and events. Second, the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s was opened so that children could use space equally by connecting local ground, materials, and people. Finally, in order to restore humanity, efforts to harmonize and space for children should be provided.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laying the discourse foundation for the role of public cultural spaces and the practice and direction at the regional level.

      • KCI등재후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바이오필리아와 소프트 스킬의 관계 분석

        류청산(Ryu, Cheong-sa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는 식물, 동물, 환경과 관련된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체득시킬 수 있는 소프트 스킬을 바이오필리아의 관점에서 구명해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바이오필리아와 소프트 스킬의 개념 고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개발,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소프트 스킬이 바이오필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명, 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구조 모형의 작성과 적합도 검증, 모형의 상대적 중요도와 적합도 순위의 산출, 그리고 교육적 활용 방안의 제시를 주 내용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선행 연구의 고찰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바이오필리아를 구성하는 8개의 소프트 스킬 변인을 선정하였으며, 14개의 소프트스킬 요인을 투입한 회귀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타심, 유연성, 통섭력, 개척심, 리더십으로 구성된 5개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5개의 회귀모형을 바탕으로 5개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안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모형의 적합도가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 1’과 ‘모형 2’의 적합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바이오 필리아를 구성하는 8개의 관련 변인들 중에서는 ‘힘이 되어주는’, ‘배려심 있는’, ‘통찰력 있는’, ‘신뢰할 만한’ 스킬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이오필리아와 관련성이 높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동식물 및 환경 관련 학습활동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소프트 스킬을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 skills and biophilia that can be learned by doing through school activities related to plants, animals and environment. Research activities in the study included reviewing the concepts of biophilia and soft skills, extracting related variables, scaling for measurement, deducing factors, designing the regression model, designing and testing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calculating beta coefficient and goodness-of-fit ranking for model selection, and making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data. Statistical tests such a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tructure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14 factors related to soft skills were classified for independent variables, the 8 variables were explored and selected for biophilia as a dependent variable. Five soft skills such as altruistic, flexible, perceptive, pioneering, and charismatic were chosen by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R squared of biophilia by 5 soft skills was about 81%. Among 5 models developed by regression, goodness-of-fits models 1 and 2 were very high. Also, beta coefficient of soft skills in terms of being supportive, sensitive, insight, and dependable and biophilia was high. Therefore, these soft skills need to be developed in not only practical arts subject but also general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 KCI등재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이 자기조절초점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재진,이길형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is study tests the impact of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over biophilia effect, which is a psychologically positive effect, through experiments, depending on self-regulatory focus.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is the first pattern suggested by Catherine O. Ryan et al (2014) in BIOPHILIC DESDIGN PATTERNS. As a result of experiment using 5 nature image design element that was proven in visual preference study by Orians & Heerwagen (1992), the distinction of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self-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was proven to have higher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than prevention focus. In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promotion focus also tended to accept various images more positively than prevention focus, while prevention focus was less effective in accepting images of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impact on biophilia effect can vary depending on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and self-regulatory focus, which is a personal tendency. Conventional studies on biophilia effect focus on evidence that percepti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which gives beneficial effects to humans, could give positive happiness. However, this study expects to imply a practical suggestion on biophilia study through in-depth approach on a methodology that focuses on the personal tendency. 본 연구는 Catherine O. Ryan, et al (2014)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BIOPHILIC DESIGN PATTERNS)안에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원리’ 중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Visual Connection with Nature)을 가지고 자기조절 초점(Self-Regulatory focus)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인 심리적 긍정 효과에 미치는 연구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Orians & Heerwagen(1992)의 시각적 선호 연구에서 증명한 5가지 자연 이미지 디자인 요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자기조절 초점에 따라 심리적 긍정 효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초점은 방어초점보다 심리적 긍정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에서도 방어초점보다 촉진초점이 다양한 이미지들을 긍정적 결과로 받아들여 나타났다. 반면 방어초점은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에서 효과 차이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과 개인의 성향인 자기조절초점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우리 인간에게 이로움을 주는 인지, 신체, 심리 반응에 대한 긍정적 행복감을 준다는 증거들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본 연구는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한 개인이 갖고 있는 성향에 초점을 둔 방법론으로 바이오필리아 연구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바이오필리아(biophilia)와 ‘동물-되기’ - 동물법의 관점에서 -

        한민정 ( Han Min-jung ) 한국환경철학회 2021 환경철학 Vol.- No.31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야기한 팬데믹 상황에서 우리 인류는 동물 및 지구 환경에 대하여 종전과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시해야 한다. 근대법은 과거 농경시대와 산업시대의 동물관을 바탕으로 하여,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였다. 이는 필연적으로 동물과 지구환경을 착취하는 시스템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근대법의 패러다임으로는 바이러스의 재앙을 벗어나기 힘들다. 윌슨의 ‘바이오필리아(biophilia)’ 개념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시작하는데 좋은 준거점이 되어줄 수 있다고 본다. 바이오필리아에 의하면 인간이 동물 및 환경을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동기 자체가 인간의 생존에 유리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동물에 대한 인간의 윤리는 인간이 동물이 되어보는 체험을 통해 더욱 진정성이 깊어질 수 있다고 본다. 인간의 ‘동물-되기(becoming-animal)’는 동물을 미메시스함으로써 동물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게 해준다. ‘동물-되기’는 인간중심적 윤리에 그치고 마는 시혜적 차원의 동물 보호를 벗어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로써 우리법은 동물과 지구환경을 객체화하지 않고, 동물(나아가 지구생명체)을 지구환경을 공유하는 존재로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기획하는 미래의 동물법은 어쩌면 인간의 법을 훨씬 더 인간답게 해주는 법이 될 수도 있다. In the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the epidemic of “Corona-19,” we humans must start a new paradigm with respect to animals and the global environment. Modern law treated animals as objects based on the view of animals in the past agricultural and industrial eras. This inevitably leads to a system that exploits animals and the global environment. With this paradigm of modern law, it is difficult to escape the disaster of viruses. Wilson's concept of “biophilia” can be a good reference point for starting a new paradigm. According to Biophilia, the motivation for human beings to love and protect animals and the environment is beneficial to human survival. On the other hand, human ethics toward animals can be deepened even more through the experience of human beings becoming animals. The “becoming-animal” of humans makes it possible to create new values for animals and humans by mimesisizing animals. This is because “becominganimal” leaves the human-centered ethics and escapes from the level of just protecting animals. In this way, our law does not make animals and the global environment as objects, and can accept animals (and more earth living organisms) as beings that share the global environment. The animal law of the future planned from this point of view may be a law that makes the human law much more hu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