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素谷 尹光紹 「孤舟錄」의 저술 배경 및 자기서사 양상

        오보라 ( Oh Bo-ra )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0

        본고는 素谷 尹光紹(1708~1786)가 「孤舟錄」을 저술한 동기는 무엇이며, 「고주록」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재구했는지 살펴보았다. 윤광소는 尹拯의 각종 저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懷尼是非와 관련된 소론의 의리를 정립하고자 했다. 이처럼 윤광소는 윤증의 뒤를 잇는 소론계 문인 가운데 핵심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계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윤광소는 「고주록」 을 통해 자신의 생애를 정리하고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대변하고자 했다. 윤광소의 전체적인 저술 경향을 고려했을 때, 윤광소는 당대 그 누구보다도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변론하여 세간의 비판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를 강하게 지니고 「고주록」을 저술했다고 판단된다. 그의 문집에는 문예미를 추구하거나 감정의 진솔한 표현을 위주로 하는 시문이 거의 없고, 자신과 가문의 입장을 대변하는 글이 주를 이룬다. 또한 윤광소는 문집 이외에도 다수의 저술을 남겨, 회니시비 이후 정치적 열세에 속했던 소론, 특히 노성 파평윤씨 가문의 무고함·정당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고주록」은 정치적 목적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저술이다. 윤광소는 「고주록」에서 자신이 오로지 능력에 의해 영조에게 신임받았음을 명확히 하고, 자신을 공격하던 반대 세력은 탕평 의리와는 거리가 먼 자들로 형상화했다. 제3자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윤광소가 반드시 의리의 측면에서 정우량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영조실록』의 사평에서는 윤광소가 사적인 원한 때문에 정우량을 공격했다고 하였으며, 윤광소가 사사로이 자신의 선조를 변호해 선정신 송시열을 공격한다는 비난은 윤광소 생애 내내 따라다녔다. 이처럼 윤광소의 정치적 행보를 둘러싼 세간의 평이 엇갈렸다.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린 윤광소로서는 자신이 직접 자신의 행보를 변론하고 의혹을 해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때문에 윤광소는 「고주록」을 통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려 한 것 같다. 이처럼 윤광소는 평생에 걸쳐 자신과 가문의 입지를 변론하고 소론의 의리 명분을 확립하고자 노력했지만, 그의 노력은 당대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한 듯하다. 윤광소 이후, 그의 가문에서 정계에 진출한 자가 드물었으며, 윤광소의 학문 역시 가문의 후손이 아닌 영남의 강필효에게로 이어진다. 아울러 윤광소가 자편한 문집은 윤광소가 세상을 떠난 지 90년이 지나서야 간행된다. 윤광소가 이러한 미래를 예견한 것은 아니겠지만, 결국 윤광소 이후 윤광소의 무함을 풀어줄 자는 윤광소 자신 이외에 없었다. 윤광소의 「고주록」은 윤증 이후 수세에 몰린 파평 윤씨 가문의 후손이 혼란한 黨爭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남고자 한 기록이자 자기 변론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background and self-narrative pattern of the author of 「Kojurok」 by Yoon Kwang-so(尹光紹). Yoon Kwang-so systematically organized various writings of Yoon Jeung and tried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of the insistence related to Hoenisibi(懷尼是非). As such, Yoon Kwang-so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academia so far, even though he is a key figure among the Soron writers who succeed Yoon Jeung. Yoon Kwang-so tried to organize his life and represent his position through a self-narrative called 「Kojurok」. 「Kojurok」 is an article that reveals very strong political purpose. In this article, Yoon Kwang-so clarified that he was trusted by King Yeongjo solely by his ability, and embodied the opposing forces who attacked him as those who were far from Tangpyeong loyalty. From a third party's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say that Yoon Kwang-so is necessarily superior to Jung Woo-ryang in terms of justification. As mentioned earlier, in the private review of Yeongjo Annals, Yoon Kwang-so attacked Jung Woo-ryang because of his private resentment, and criticism that Yoon Kwang-so defended his ancestors and attacked Song Si-yeol, the god of selection, followed throughout his life. As such, public reviews surrounding Yoon Kwang-so's political moves were mixed. Yoon Kwang-so, who was politically on the defensive, would have no choice but to plead his own actions and explain the suspicions. Therefore, it seems that Yoon Kwang-so tried to secure legitimacy for his actions through 「Kojurok」.

      • KCI등재

        ‘아이愛’의 수용과 축출 -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4

        이 논문은 이광수의 첫 단편소설『愛か』(1909)와 이후 이 소설을 ‘다시 쓰기’한 「윤광호 (1918)」에 초점을 맞춰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을 한 피식민자의 자기 근대화와 그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 · 축출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1900년대 후반 이광수를 포함한 도쿄 유학생 집단 내에서 근대화가 중요한 당면 과제로 공유되었다. 이들은 사회와 국가의 근대화를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원이 될 근대화된 주체 ‘개인’을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그 주요 수단으로 예술에 주목했다. 이광수는 『愛か』에서 전근대 체제에서 해방된 ‘개인’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愛’를 문학화했다. 여기 포착된 ‘아이’의 핵심은 주체의 내면을 불안, 초조, 기대, 절망, 분노와 같이 통제 불가능한 감정이 융기하는 무대로 경험케 하는 것이다. 이 텍스트의 목표는 ‘아이’를 통해 ‘내면’이 지각되는 것, 즉 ‘아이’의 수행성 그 자체를 포착하는 데 있었다. 여기서 ‘아이’는 자아를 개별적이고 고유한 내면의 소유주로 거듭나게 하는 ‘근대화’의 기술이다. 이 표상 모델은 당시 일본 학생 문화에서 유행하던 소년애(少年愛) 모델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그 핵심은 ‘아이’ 자체의 특성인 ‘정신성’의 전유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가 전유한 ‘아이’ 모델은 피식민자에게 기입된 타자성이다. 이 기술은 피식민자가 자기 근대화의 도구를 제국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는 일종의 식민주의적 증명으로도 기능한다. 이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과 축출은 「윤광호」에서 텍스트화되었다. 이광수 문학의 무게중심이 ‘개인’보다 ‘민족’으로 더욱 기울면서 감정의 위상과 기능 역시 변화하게 되었다.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이었던 감정은 이제 ‘개인’을 ‘민족’으로 귀속시키는 공동체 형성의 기술로 변화한다. 「윤광호」는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로서 ‘아이’를 수용했던 『愛か』를 의도적으로 다시 씀으로써, ‘아이’를 민족으로의 탈개인화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다시 발견하고 그 주체의 죽음을 도출했다. ‘아이’의 식민주의적 성격을 직시하고 부정하는 「윤광호」의 작업은 주체의 민족주의적 탈식민 과정으로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정은 또한 부분적으로 호모섹슈얼리티를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서구적 근대성에 의지해 수행되기도 하였다. ‘아이’를 성적이고 개별적인 육체에 결박된 것으로 표상하는 작업은 서구 발 성 과학 담론의 호모섹슈얼리티 표상 모델을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에 나타난 ‘아이’의 수용과 축출은 서구 발 근대화라는 거대한 운동의 지평을 벗어나지 않는다. This paper analyzed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as a progression from self-modernization to expulsion of the colonial modernity focusing on his first short story “Aika[愛か]”(1909) and “Yoon Kwang-ho[윤광호]”(1918) which is rewritten version of “Aika”. Modernizat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hallenge in the late 1900s within a group of Korean students in Tokyo, including Lee Kwang-soo. They shared the perception that in order to modernize society and the nation, they must first modernize individual who will become its members, and regarded art as a major means. Lee Kwang-soo utilized Ai愛 as a technique to free individual from the pre-existing system. The core of it captured here is to experience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as a stage where uncontrollable emotions such as anxiety, nervousness, expectation, despair, and anger rise. The goal was to capture the interiority formed by experiencing Ai. Here, Ai is a technology of making an owner of his own unique individual interiority. This representation model takes the form of Shonenai which was popular in Japanese student culture at the time, but the core of it lies solely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Ai itself, the spirituality. In this sense, Ai which was originated in Japan is Otherness engraved into the colonized. Ai functions as a kind of colonialist proof that the colonized can achieve self-modernization only by the empire. The awareness and eviction of this colonial modernity was captured in “Yoon Kwang-ho”. As the center of gravity of Lee Kwang-soo"s literature has shifted more to nation/ethnicity than to individuals, the status and function of emotions has also changed. Emotions that used to be techniques to form modernized individuals now change into community-building techniques. By deliberately rewriting “Aika”, which accepted Ai as a modernization technology that forms an individual, “Yoon Kwang-ho” rediscovered it as an obstacle to building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derived the death of the subject. “Yoon Kwang-ho” which faces and denies the colonialist nature of Ai, can also be read as the nationalist decolon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 However, such denial was also partly carried out by Western modernity, which defined homosexuality as abnormal. This is because representing homosexual love as tied to a sexual and individual body is to follow the homosexual representation model of Western sex science discourse. In this sense, the acceptance and expulsion of Ai depicted in the representation of 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horizon of the great movement of modernization from the West.

      • KCI등재

        조선청년의 ‘동정(同情)’ 함양을 위하여, 혹은 공감에서 연민으로 미끄러지는 ‘동정’ :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을 중심으로

        박성태 ( Park Seong-ta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3

        일제에 의해 국권을 피탈당하는 민족의 아픔을 경험한 이광수는 유식하고 유능하며 유정한 조선의 청년들을 새로운 대한의 건설자로 정립하고자 했다. 본 논의는 1910년대 이광수의 소설을 조선청년들의 ‘동정’ 함양을 위한 텍스트로 보고 그의 소설에 나타나는 무정한 세계의 희생자들과 무정한 자의 형상화 양상을 살폈다. 「사랑인가」(1909)의 문길, 「소년의 비애」(1917)의 문호, 그리고 「어린 벗에게」(1917)의 임보형은 모두 무정한 세계의 희생자들로 그려진다. 이광수는 이를 통해 조선청년을 비롯한 독자들의 공감과 연민을 이끌어내고자 했다. 「사랑인가」는 남성 친우인 미사오에게 성애에 가까운 감정을 느끼지만 그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동경유학생 문길의 내면을 전면화했다. 「소년의 비애」는 감정적인 문호와 이성적인 문해의 차이가 누이의 조혼을 통해 소거되는 서사를 통해 조혼제도에 희생당하는 소년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어린 벗에게」는 자신의 사랑을 인정받지 못하는 기혼자 임보형에게 편지라는 안전한 언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혁명가’라는 자의식과 ‘누이’라는 합리화로 구성된 그의 변호담론을 제시한다. 「윤광호」(1918)와 『무정』(1917)은 무정한 세계의 희생자들 곁에 무정한 자와 무정한 자를 정죄하는 자를 배치한다. 「윤광호」에서 준원은 동성애자 윤광호의 성적 지향을 고려하지 않고 그에게 여성이 있다면 병이 회복되리라고 생각하며 윤광호를 연민한다. 『무정』에서 순결 콤플렉스를 지닌 형식은 영채를 향한 자신의 무정함을 회개하지만 이후에도 그는 여전히 공감 없는 연민의 주체를 벗어나지 못한다. 『무정』의 인물들은 불쌍한 동포를 위하는 연민을 바탕으로 결속되기에 이들이 만들 유정한 조선은 결국 공감 없는 연민의 공동체를 넘어서기 어렵다. 이광수는 조선청년을 새시대의 주체로 만들고자 했고 그들에게 ‘동정’을 배양하고 자 했으나 그때의 조선청년은 공감 없는 연민의 주체로 만족할 위기에 처해있었다. This discussion regards Lee Kwang-soo’s novels in the 1910s as a text for cultivating the ‘sympathy’ of Joseon youths, and examines the aspects of portraying the victims of the heartless world and the heartless characters appearing in his novels. Moon-gil in Is it Love(1909), Moon-ho in A Boy’s Sorrow(1917), and Im Bo-hyung in To My Little Friend(1917) are all portrayed as victims of a heartless world. Through this, Lee Kwang-soo tried to elicit sympathy and compassion from readers, including the youth of Joseon. “Is it Love” depicts the inner world of Moon-gil, a Tokyo student who feels close to sexual love for his male friend, Misao, but is not loved by him. “A Boy’s Sorrow” portrays a boy victimized by the early marriage system through the narrativ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literacy and rational literacy is erased through his sister’s early marriage. To My Little Friend presents his defense discourse composed of the self-consciousness of being a ‘revolutionary’ and the rationalization of ‘sister’ by providing a safe space for speech to Im Bo-hyung, a married man who is not recognized for his love. Yoon Kwang-ho(1918) and Mujeong(1917) place the heartless and those who condemn the heartless next to the victims of the heartless world. In Yoon Kwang-ho, Jun-won sympathizes with Kwang-ho, a homosexual, but does not consider his sexual orientation. In Mujeong, the form with the chastity complex repents of his heartlessness toward Yeong-chae, but even after that, he still cannot escape from the subject of compassion without empathy. Since the characters of Mujeong are united based on compassion for their poor compatriot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create a sympathetic Joseon beyond the community of compassion without empathy.

      • KCI등재후보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건전함/불량함의 감성구조:「윤광호」(1918)를 중심으로

        최다정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6 No.-

        Yi Kwangsu’s writings are highly valued i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His writings have been consistently evaluated in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way. Since ‘jeong (情, affection)’ was the main qualification for modern literature in his theorization of literature, many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feelings’ of his literature. As to the acquisition of modern subjectivity, he emphasized not only the need for reason, but also the need for affect, pathos, feeling, and emotion to be enlightened. Yi Kwangsu’s early writings disclose a contradiction that deviates from his modern project, even though he has been thought of as a perfect symbol of Korean modernism. In the process of leading enlightenmentism as a Korean intellectual, he showed non-normative feelings which could not be considered in keeping with normativity. In his workd there are traces of ‘queerness’ as unpredictability in ‘inappropriate feelings.’ In this way, this study aims to analyse love as an excessive pathos, leaking out from the normative structure of sensibility in modern Korea, through a re-reading of Yi Kwangsu’s “Yoon Kwang-ho.” The love depicted in the short story disturbs the way of reading modern Korean subjectivity as a hegemonic subject and shows the possibility for dismantling the hegemonic structure of heteronormative patriarchy. 한국 근대문학 초창기에 이광수의 문학이 갖는 위치는 절대적이며, 따라서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 역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지속해서 이루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다수의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이광수 문학에 나타나는 ‘감정’이다. 왜냐하면 이광수의 문학론에서 근대문학의 핵심 자질로등장하는 개념이 ‘정情’이기 때문이다. 즉 이광수는 근대적 주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이성만을 추구했던 것이 아니라 정동, 정념, 감정, 정서 또한 특정하게 계몽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렇기에 이광수의 초기 단편에서는 계몽주의적 방향에 따라 형성되었던 감성 구조를 추적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 누구보다 완벽한 계몽주의자인 것처럼 보였던 이광수조차 근대적 기획에서 벗어난 일종의모순을 노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는 신지식인층으로서 계몽주의를 견인해가는 과정에서 오히려 정상성에 부합하지 않는 비규범적감정을 역설적으로 부각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부적절한 감정은 ‘퀴어성(queerness)’이라는 예상치 못한 또 다른 잠재성을 내포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당대의 규범적인 감성 구조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과잉된정념으로서의 사랑을 이광수의 「윤광호」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사랑은 한국의 근대 주체를 헤게모니적 주체로만 해석할 수없게끔 만들며, 당대의 남성중심적이고 이성애중심적인 지배 구조를 무화(無化)시킬 가능성 또한 시사한다.

      • KCI등재

        애민의 민족애 -이광수의 초기 문장을 중심으로 (1908~1919)

        박성태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현대소설연구 Vol.0 No.93

        민족애는 영속적이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언어적 힘의 개입 속에서 형성되고 변이되는 역사적 감정이다. 경술국치 전후 국가의 흥망성쇠에 대한 공감을 통해 민족애를 촉발시키는 일반적인 논법과 달리 이광수는 동정의 함양을 통해 민족애를 형성하고자 했다. 선각자적 세대의식을 지녔던 그의 민족애는 당대적 맥락에서 봤을 때 ‘애국’보다는 ‘애민’에 가까웠다. 그는 자긍보다는동정으로, 애국보다는 애민으로 민족애를 형성했는데 이는 일제에 위협적이지 않다는 한계를 띠고 있었다. 그는 동정의 해방적 가능성을 인지했지만 동시에 그것을무한정 확장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도 간과하지 않았다. 일제에 대한 적개심을 지녔음에도 매체의 한계를 의식한 그는 적개심이 소거된 민족애를 구성했다. 또한 사랑과 민족애의 반목을 인지한 그는 사랑의 감정을 유사가족애로 전환시켜 민족애의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동정의 함양, 적개심의 소거, 그리고 사랑의 관리를통해 1910년대 이광수는 애민의 민족애를 형성했다. 1919년 1차 세계대전 이후윌슨의 민족자결주의로 독립의 희망을 얻은 그는 「2.8독립선언문」에서 일본에 대하여 영원의 혈전을 선언한다고 쓴 다음 상해로 탈출한다. 하지만 그가 형성한 애민의 민족애를 떠올려 볼 때 그에게 조선인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한반도로 돌아오는 일은 필연적이었다. National love is not permanent and unchanging, but is a historical emotion that is formed and transform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linguistic forces. Before an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Yi Kwang-su tried to form national love by cultivating sympathy. This wa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rgument that national love is formed through reactions to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time, his love for the nation was closer to ‘love for the people’ than ‘patriotism’. He formed his love for the nation through sympathy rather than pride, and love for the people rather than patriotism, but this had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 threat to Japanese imperialism. He recognized the liberating potential of sympathy, but at the same time did not overlook its practical limitations. Although he had hostility toward the Japanese, he was conscious of the limitations of the media environment, so he created a love for the nation that eliminated the hostility. Also, recognizing the antagonism between a lover's love and national love, he tried to convert the feelings of love toward his lover into quasi-family love and use them as a resource for national love. Through cultivating sympathy, eliminating hostility, and managing love, Yi Kwang-soo created national love in the 1910s. After World War I in 1919, he gained hope for independence through Wilson's national self-determinationism, and wrote in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at he would declare eternal bloody battle against Japan and then escaped to Shanghai. However, considering the love for the nation he developed, it was inevitable for him to return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liv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