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penMP 디렉티브 프로그램의 최초경합 탐지를 위한 도구

        강문혜(Mun-Hye Kang),하옥균(Ok-Kyoon Ha),전용기(Yong-Kee Jun)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7 No.1

        OpenMP 디렉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해서 비결정적인 수행결과를 초래하는 경합을 탐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프로그램 수행에서 가장 먼저 발생하는 최초경합은 이후에 발생하는 경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디버깅을 위해서 반드시 탐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경합탐지 도구들은 최초경합의 탐지를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포병렬성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두 번의 수행으로만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최초경합을 탐지하는 도구를 제시한다. 본 도구의 정당성을 합성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이고, 기존 경합탐지 도구와 기능성을 비교한다. Detecting data races is important for debugging programs with OpenMP directives, because races result in unintended non-deterministic executions of the program.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detect the first data races to occur for effective debugging, because the removal of such races may make other affected races disappear or appear. The previous tools for race detecting can not guarantee that detected races are the first races to occur. This paper suggests a tool what detects the first races to occur on the program with nested parallelism using the two-pass on-the-fly technique. To show functionality of this tool, we empirically compare with the previous tools using a set of the synthetic programs with OpenMP directives.

      • KCI등재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수업의 발문 분석

        신보미 한국학교수학회 201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0 No.1

        이 연구는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수업에서 제기되는 ‘발문의 유형’과 ‘발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을 적절하게 다루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문을 제기하는 교사의 의도에 따라 발문 유형을 분류한 Morgan & Saxton(2006)의 연구와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지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발문 분석을 위한 준거 4가지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을 분석한 결과 발문과 관련하여 드러난 특징을 요약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에 대한 수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which a teacher asked questions in an instruction on the probability that event A and event B occur. The aim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was to deduc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various means which would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probability and assist teachers in designing instructions on the mathematics contents.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firstly reviewed Morgan & Saxon(2006) which offers one classification of questioning that identifies a general intention for each category.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literature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probability that event A and event B occur in order to identify didactical issues to teach the mathematics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probed the questions of the instruction in the light of the framework descriptors from Morgan & Saxon(2006) and the issues to teach the probability that event A and event B occur. This research inspires the elaboration of what features have with regard to effective questioning in teaching mathematics through the analyzing process and additionally the elucidation of essential matter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results.

      • KCI등재후보

        사용역에 따른 MAN과 WOMAN의 연어적 특성

        정유진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7 언어정보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referring nouns, MAN and WOMAN, and their collocates depending on which register is used, i.e. written or spoken language. Collocates are words that occur near a given word, and they can provide useful insight into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s near which they occur. We employed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henceforth, COCA) which is composed of written text (newspapers, academic journals, magazines, novels) and spoken text (broadcast). Mutual Information was used as a statistical measurement to extract collocates. The study compares the collocates of 'man, woman,' in registers of written text and spoken text from the COCA. We focused on the lexical pairs ‘man’ vs. ‘woman’ to identify participation and influence of gender difference reflecting in the media. We extracted 100 collocates for each target word and then compared their relationships by using Pajek (Ver. 4.10). The study shows that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ritten and spoken text in the semantic field of collocates for the gender referring nouns. Our findings point to a fundamental asymmetry in the use of the two genders. Men are expected to be interested in fashion and public oriented settings. Compared to men, women tend to be more complex; they are family-oriented, but also they are socially involved. There are also substantial differences in patterns of collocation from written text and spoken text.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register variation of gender nouns.

      • KCI등재

        사용역에 따른 MAN과 WOMAN의 연어적 특성

        정유진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7 언어정보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referring nouns, MAN and WOMAN, and their collocates depending on which register is used, i.e. written or spoken language. Collocates are words that occur near a given word, and they can provide useful insight into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s near which they occur. We employed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henceforth, COCA) which is composed of written text (newspapers, academic journals, magazines, novels) and spoken text (broadcast). Mutual Information was used as a statistical measurement to extract collocates. The study compares the collocates of 'man, woman,' in registers of written text and spoken text from the COCA. We focused on the lexical pairs ‘man’ vs. ‘woman’ to identify participation and influence of gender difference reflecting in the media. We extracted 100 collocates for each target word and then compared their relationships by using Pajek (Ver. 4.10). The study shows that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ritten and spoken text in the semantic field of collocates for the gender referring nouns. Our findings point to a fundamental asymmetry in the use of the two genders. Men are expected to be interested in fashion and public oriented settings. Compared to men, women tend to be more complex; they are family-oriented, but also they are socially involved. There are also substantial differences in patterns of collocation from written text and spoken text.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register variation of gender nouns.

      • KCI등재

        EU불법행위법에 있어서 당사자자치의 원칙

        오석웅(O, Seog-Ung) 한국국제사법학회 2017 國際私法硏究 Vol.23 No.1

        2007년 7월 11일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의회 및 이사회 규정” 이 채택되어, 2009년 1월 11일 덴마크를 제외한 유럽연합에서 발효되었다. 그 결과 유럽연합 내의 각 국가의 법원에서는 동 규정이 법정지의 국제사법에 우선하여 적용됨으로서 계약외채무에 관한 판결에 있어서 적용상의 통일성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로마II규정상 불법행위의 준거법은 원칙적으로 손해가 발생한 국가의 법에 의하고(제4조 제1항),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거소지가 동일국인 경우에는 동일상거소지법이 우선 적용된다(제4조 제2항). 나아가 사안의 모든 사정에서 불법행위가 결과발생지 또는 공통의 상거소소재지가 아닌 국가와 명백히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분명한 경우에는 해당 밀접관련지법에 의하고, 이때 명백히 밀접한 관련은 당사자 사이에 계약과 같이 선행하는 관계에 근거할 수 있음을 규정한다(제4조 제3항). 그 외, 동 규정은 제조물책임(제5조), 부정경쟁과 경쟁제한행위(제6조), 환경침해(제7조), 지적재산권 침해(제8조), 및 노동쟁의행위(제9조) 등의 특수불법행위에 관해서는 특칙을 마련하고 있다. 나아가 로마II규정은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불법행위를 비롯한 계약외채무의 분야에도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 즉 로마II규정 제14조 제1항은 “당사자는 계약외채무를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그들이 선택하는 법에 복종하도록 합의할 수 있다. ⒜ 손해를 발생시키는 사건 후에 체결된 합의 또는 ⒝ 모든 당사자들이 상업적 활동(commercial activity)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손해를 발생시키는 사건 전에 자유롭게 교섭된 합의”라고 규정하여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계약외채무의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불법행위의 준거법에 있어서도 당사자가 준거법을 선택한 경우에는 로마II규정상의 기본적 연결원칙에 따른 불법행위의 준거법에 관계없이 당사자가 합의로 선택한 준거법이 우선하여 적용된다. 우리나라 국제사법 제33조는 불법행위의 발생 후 당사자 간의 사후적 합의에 의해 대한민국법을 준거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로마Ⅱ규정이 일정한 요건 하에 사전의 합의를 허용하고, 당사자가 선택할 수 있는 법을 제한하지 않는 것과 달리, 합의의 시기와 선택할 수 있는 준거법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로마Ⅱ규정상 불법행위에 관한 준거법결정의 기본원칙을 간략히 살펴보고, 불법행위의 준거법 지정에 있어서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규정한 제14조 제1항을 해석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결론과 함께 우리법에의 시사점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Regulation 864/2007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Rome II”) is a new EU Regulation which has applied in EU Member States (excluding Denmark) since 11 January 2009. The aim of the Rome II Regulation is to lay down uniform rules to determine which national law should apply to issues in cases with an international dimension where the claim is brought to enforce a non-contractual obligation. The main rules on the law applicable to a tort claim are laid down by Art. 4 of the Rome II Regulation. These rules apply to most types of tort. Exceptional rules applicable to certain particular torts (product liability; unfair competition; environmental damag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ndustrial action) are specified by Articles 5-9. Art. 14 of the Rome II Regulation allows parties to choose the applicable law in torts but also puts limits on party autonomy. Art. 14(1) of the Rome II Regulation provides as follows: “The parties may agree to submit non-contractual obligations to the law of their choice: (a) by an agreement entered into after the event giving rise to the damage occurred; or (b) where all the parties are pursuing a commercial activity, also by an agreement freely negotiated before the event giving rise to the damage occurred. The choice shall be expressed or demonstrated with reasonable certainty by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and shall not prejudice the rights of third parties.” A distinction is made in Rome II between agreements which pre-date and post-dat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giving rise to the damage. The freedom of choice is circumscribed, however, and any pre-date agreement on governing law must be ‘freely negotiated’ between parties who were all pursuing a commercial activity at the time. The purpose this article ist to review the main contents of party autonomy principle for tort in Art. 14 of the Rome Ⅱ Regulation an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화학물질 저장시설의 사고대응 및 훈련을 위한 로봇기반 누출감지 및 추적시스템

        박명남,김창완,김태옥,신동일 한국가스학회 2019 한국가스학회지 Vol.23 No.2

        In recent years, dangerous materials and gas leak accidents have been frequently occurred. The hazardous materials storage facility accidents are not rapidly controlled when a leak is detected, unlike other chemical plants can be controled. Externally, the human has to approach and respond to the source of leaking directly. As a result, the human and material damage are likely to larger result in the process. The current approach has been passive response after ringing the alarm. In this study, the suggested tracking system of the leak resource is designed system to track the resource actively by utilizing the mobile sensor robot platform ,which can be made easily through recent rapid development technology, is verified through prototype system. Thus, a suggested system should pave the way for minimizing the spread and damage of the accident based on the exact site situation of the initial leak and quick and early measures. 화학물질의 사용 증대와 더불어 위험물 및 독성가스 누출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위험물저장설비 사고는 누출이 감지되었을 때 대응하기 위한 초동 조치가 가장 중요하지만, 전적으로 조업자에 의한 경험에 비중이 크기 때문에, 잘못된 판단으로 인한 더 큰 물적, 인적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기존 고정식감지기를 통한 알람 발생 후 수동적인 대응을 취하는 현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오픈소스기술을 적용하여 쉽게 제작이 가능한 로봇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이동식 센서를 활용한 능동적인 누출원 추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검증을 통해 누출 초기의 정확한 현장 상황파악 및 조기대응을 바탕으로 사고의 확산 및 피해최소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중간언어 화용론의 불평 화행 수집 도구 분석 -DCT 상황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김인규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8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study of Korean speech act studied in interlanguage pragmatics and cross-cultural pragmatics. Methods: Specifically, from the selected research papers on speech act of complaint, discourse completion tests, the instrument for collecting speech acts, used in each study were analyzed.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for analyzing the instrument for collecting speech acts, each situation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s was analyzed. Through this, three criteria for analysis were derived: ‘participants’, ‘Specification of the location where a speech act occu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situation’. These three criteria can act as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realization of speech acts. Conclusion: The result of analyzing DCT based on these criteria indicates that, overall, the DCT follows the framework of previous studies, which means it needs to reflect the times and to modify situations accordingly. In addition, in order to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speech act study in Korean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on securing validity of speech act tools should be continued. 목적: 본 연구는 중간언어 화용론과 비교 문화 화용론에서 연구된 한국어 화행 연구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방법: 구체적으로 불평 화행 연구 논문을 선정한 후 각 연구에서 사용된 화행 수집 도구인 담화 완성형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화행 수집 도구 분석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담화 완성형 설문지의 각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등장인물’, ‘화행 발생 장소의 명시’, ‘제시문의 내용 구성’의 세 가지 분석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 세 가지의 기준은 화행 실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 이 기준으로 DCT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DCT는 선행 연구의 틀을 답습하는 경우가 많아 시대상을 반영해야 하고 자연스럽게 상황을 수정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의 화행 연구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시키기 위해 화행 수집 도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이현승(Lee Hyounseung)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1 No.-

        학교폭력은 사회발전과정 중에 있는 세계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다.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은 문화적으로 유교문화권이라는 유사성도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여러 차이점도 있다. 각 국가의 특징을 이해하면서 학교폭력의 원인과 현상을 비교·검토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실태를 살펴보았다. 각 나라마다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실태에 대해 차이점과 공통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고 해서 그점이 뚜렷이 나타난 것은 아닐 뿐만 아니라 정도만 다를 뿐이지 각국에서 나타나는 학교폭력의 유형은 어느 나라나 다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일본의 이지메, 우리나라의 왕따, 중국의 따돌림 등은 유사한 폭력의 형태이고, 학교폭력의 가해행동은 같은 학교 학생이나 또래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점은 어느 나라나 같다. 학교폭력의 가해행동도 집요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즉, 특정 학생을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괴롭히고 소외시킴으로써 결국 자살에 이르게 만들 정도로 집요하다. 또한 학교폭력의 가해자나 피해자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점도 유사할 뿐만 아니라 사이버폭력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각국의 공통점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생활환경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중국과 일본의 학교 폭력의 실태를 비교함으로써 더 나은 대책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Violence occurring within the school is a common occurrence in the country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evelopment.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ere is violence that occurs within the school.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re also similarities of Confucian cultural common background. However, specifically,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So whil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society of each country compared to the causes and symptoms of violence that occur within the school and reviewed. In this paper, South Korea, China, and looked at the theory and the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occurring in schools in Japan. There 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bout the theory and the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occurring in schools in different countries. But just because s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no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pparent. The type of violence that occurs within the school that occur in each country are similar. For example, bullying occurring in Korea, China, and Japan is similar. It also occurs that most violence occurring in schools by students attending the same school as in any other country. Violence occurring within the school are similar in each country is also insistent in that way. And focus on specific student, teasing continues, alienation is similar in each country by the end insistent enough to make anything that has led to suicide.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which the perpetrator of the violence that occurs within the school and the age of the victim is increasingly less similar in each country. It is violence that occurs in the increasing Cyber similar in each country. Thus, in this study, South Korea, China, and I try like to help in building a better measure by comparing the theoretical and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occurring in schools that occurred in Japan.

      • KCI등재

        일반 경정청구와 후발적 경정청구의 관계 - 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5두36003 판결을 중심으로 -

        김두형 한국세법학회 2020 조세법연구 Vol.26 No.3

        The claim of reassessment prescribed in article 45-2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shall be divided into a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and a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However, in specific c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and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is problematic.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agreement on the reduction of the transaction price agreed with the transferee within the period of the claim of reassessment after the transferor of the stock reports the tax base and the amount of tax on the transfer income. 1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36003 decided jun. 15, 2018 was considered to have a reason for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The taxpayer made a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instead of a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which was recognized as a legitimat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This decision raises an essential question on the legal principle of the claim of reassessment, such as where the legal act of the agreement on the reduction of the transaction price corresponds to th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and the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and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ntire claim of reassessment. In the case of the above decis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ason for the claim of reassessment is after the tax base and tax amount report, so there is no reason to meet th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Rather, it is similar to the case of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so it should be regarded as a reason for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In this regard, there will be criticism that there is a legal problem from the standpoint of understanding the two parties strictly by different systems, as the judgment recognizes th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with the later occurring reason. However, the trend of precedents related to the claim of reassessment is to expand taxpayer's rights. This decision can be assessed to be in line with such a recent trend of precedents. Theoret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and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is not institutionally different in that it is taxed corresponding to the tax burden through the change of the fixed tax liability, and it is only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 period of claim of reassessment. The reason for the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can be considered to have a common point in th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and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as a special case to extend the claim period rather than th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Therefore, a later reason occurred, and if the period of the claim of reassessment is exceed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laim of reassessment can be made within the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period. If we consider the attitude of the decisions and the current regulations related to claim of re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me of the problems in operation and appli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basic purpose of the claim of reassessment system. As a long-term legislative tas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integrate the claim of reassessment system into one without dividing it into general claim of reassessment and claim of reassessment by later occurring reason.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에 규정된 경정청구는 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한 과세표준 및 세액이 오류 등으로 인하여 과다 신고된 경우 이를 시정하기 위한 일반 경정청구와 법정신고기한 후에 후발적 사유가 발생하여 과세표준 등을 시정하기 위한 후발적 경정청구로 나뉜다. 그런데 구체적인 사안에서 일반 경정청구와 후발적 경정청구의 관계가 문제되는 경우가 있다. 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5두36003 판결은 주식의 양도인이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표준과 세액을 신고한 후 경정청구기간 내에 양수인과 합의한 매매대금 정산합의에 따라서 계약 내용이 변경된 사안에서 일반 경정청구 사유가 있다고 보았다. 납세자가 후발적 경정청구 대신에 일반 경정청구를 하였는데 적법한 일반 경정청구로 인정한 것이다. 이 판결은 매매대금의 감액정산이라는 법률행위가 일반 경정청구와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나아가 양자의 관계를 전체 경정청구의 틀 내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합리적인지 등 경정청구의 법리에 본질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위 판결 사안의 경우 경정청구 사유가 과세표준 및 세액 신고 후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일반 경정청구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매매계약 해제의 경우와 유사하게 취급하여 조세법상 종전 계약 내용에 구속력을 인정함은 부당한 결과가 되므로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를 가지고 일반 경정청구를 인정한 판결이어서 양자를 엄격히 다른 제도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입장에서는 법리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경정청구에 관한 최근 판례의 추세는 실체적 과세요건 사실에 적합한 납세의무를 위하여 납세자의 권리구제를 확대하려는 입장이고, 이 판결은 이와 같은 최근 판례의 흐름을 따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살펴봐도 판결의 결론은 경정청구에 관한 일본의 해석론이나 우리나라의 학설에 비추어 가능한 해석이므로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일반 경정청구와 후발적 경정청구의 관계는 확정된 조세채무의 변경을 통하여 담세력에 상응한 과세를 한다는 점에서 제도적 차이가 없고 청구기간의 점에서 구별될 뿐이다.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는 일반 경정청구 사유에 포함되는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고, 후발적 경정청구를 일반 경정청구보다 청구기간을 연장하는 특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하여 후발적 사유가 발생하였는데 그 경정청구기간을 도과한 경우 일반 경정청구기간 내에 경정청구를 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판례의 태도와 현행 경정청구관련 규정을 종합하여 검토해보면, 경정청구제도의 기본취지를 살리면서 그 운용 및 적용상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장기적 입법 과제로 경정청구제도를 일반 경정청구와 후발적 경정청구로 양분하지 아니하고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봐야 한다.

      • KCI등재

        K-IFRS 도입이 재량적 발생액 및 실제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이장희(Lee, Jang Hee),권정훈(Kwon, Jung Hoon),김희진(Kim, Hee J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2011년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을 전면 도입한 6,199개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전면 도입 전후로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익조정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량적 발생액은 수정 Jones 모형(1995)과 수정 Jones 모형에 경영성과를 반영한 모형인 Kothari et al.(2005)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은 Roychowdury(2006)가 개발한 모형과 Cohen and Zarowin(2008)이 사용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K-IFRS 전면도입 후 재량적 발생액의 값은 유의적인 양(+)의 방향으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댓값의 크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양(+)의 방향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나 K-IFRS 전면 도입 전후로 이익조정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K-IFRS 전면도입 후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은 통합치의 경우 유의적인 양(+)의 방향으로 나타났고 비정상적 제조원가는 유의적인 양(+)의 값을, 비정상적 재량적 비용은 유의적인 음(-)의 값이 나타났다. 이는 K-IFRS 전면 도입 이후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은 양(+)의 방향으로 상향 조정되었고 그 크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11년 우리나라의 K-IFRS 전면 도입이후로 이익조정에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감소하였으나 실제 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K-IFRS 도입을 전후로 재무제표에 나타나는 전통적인 방식의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 보다는 경영자가 실제적으로 자원흐름에 관여하여 조정 가능한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는 최근 이익조정의 방식이 재량적 발생액에서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2개의 대용치 간의 대체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뒷받침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Criteria adopted by Korea in 2012 on the profit adjustment with the listed corporations as the objects which has introduced completely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Criteria (K-IFRS) For th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the substitutive amount of the profit adjustment and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y. For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the correction Jones model and the Kothari et al.(2005) model where the management achievement was reflected in the correction Jones model(1995) were used, and for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y, the model developed by Roychowdury(2006) and the model used by Cohen and Zarowin(2008) were used. After the full-scale of adoption of the K-IFRS, the value of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has increased in a significantly plus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showed to decrease significantly. This signifies that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decreases after the whole-scale of adoption of the K-IFRS,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after the adoption.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hole-scale of adoption of K-IFRS, for the case of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y, there showed a significant plus direction, as for the abnormal production raw cost, a significantly plus value and as for the abnormal discretional expenses, there showed a significant minus value. This may signify that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y has increased after the whole-scale of introduction of K-IFRS,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y after the introduction.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has decreased but the profit adjustment using practical activity has the trend to increase. This signifies that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which the manager can adjust by being engaged in the source flow practically rather than the profit adjustment using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of conventional method which shows in the financial statement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is being performed. This signifies the fact that the profit adjustment method has been moving toward the profit adjustment through practical activity from the discretionally occurred amount, and this supports the study result that there are sub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2 substitutive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