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코리안의 음식 세계와 정체성

        아사쿠라 도시오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Zainichi Koreans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Japanese society) became to have diverse composition with the deepening of the generational depth of so-called oldcomers and the arrival of newcomers and Chinese Koreans in Japan since the 1990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Zainichi Koreans and accompanied identity diversification through food culture. First, I introduced previous research on the food culture of Zainichi Koreans. Especially, I extracted 21 articles about food from the dictionary of Zainichi Koreans, and discussed the diversity of food culture according to the hometown of Zainichi Koreans. Also, I overviewed the research conducted by Dae-sung Jeong(pioneer of Korean food culture research in Japa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study of Zainichi Koreans’ food culture written in Japanese, particularly related to identity. Next, regrading Yakiniku and kimchi for representative foods of oldcomers, and kimbap and jjajangmyeon for those of newcomers, I traced the chronological change of these dishes from two aspects: Korean food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of Korea, and Korean food in the life history of Zainichi Koreans. Finally, I discussed the food and identity of Zainichi Koreans through these cases. 재일코리안, 즉 일본 사회에 거주하는 한반도 출신자는 소위 말하는 올드커머의 세대 심화와 90년대 이후의 뉴커머라 불리는 중국 조선족 등의 일본 유입을 통해 다양한 구성을 갖게 되었다. 이 글은 재일코리안의 시대적 변천과 그에 수반되는 정체성의 다양화를 음식문화를 통해서 고찰했다. 먼저 재일코리안의 식문화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재일코리안 사전에 게재된 음식에 관한 21개의 항목을 추출하여, 재일코리안의 출신지역에 따른 식문화의 다양성을 짚어 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한국 식문화 연구의 개척자인 정대성의 식문화 연구와 한국 국립민속박물관의 조사연구, 일본어로 쓰인 재일코리안의 식문화 연구 등을, 특별히 정체성과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했다. 그러고 나서 올드커머를 대표하는 음식으로서 야키니쿠와 김치를, 뉴커머를 대표하는 음식으로서 김밥과 자장면을 대상으로 삼아, 일본 속 한국의 문화표상으로서 한국요리와 재일코리안의 생활사 속 한국요리라고 하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그 음식들의 시대적 변천 양상을 추적했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토대로 재일코리안의 음식과 정체성에 대해 고찰했다.

      • KCI등재

        1980년대 말 일본의 결혼이민과 뉴커머 재일코리안의 적응, 우울, 트라우마 (2) - 고부갈등, 동일본대지진 -

        양아람 ( Yang Ah-lam ),이행선 ( Lee Haeng-se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본고는 재일코리안 여성 무라야마(村山) 씨를 다룬 구술사연구이다. 1990년 6월 한국에서 니가타(新潟)로 결혼이민을 간 무라야마(村山) 씨는 26년간 일본에 거주하며 재일코리안으로서 살아가고 있다. 농부인 남편은 쌀농사를 하고 겸업으로 소를 기른다. 성인이 된 두 아들 중 장남은 일본의 ‘자위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차남은 지인의 소개로 회사에 입사하여 영업사원으로 근무 중이다. 무라야마 씨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는 것은 재일코리안 여성의 삶과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결혼이민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코리안의 ‘현재’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제결혼이란 낯선 나라, 외국인을 체험하는 ‘사건’이다. 외국에 이주해서 이질적인 환경과 관계망에 적응하는 문제는 이주자의 불안, 걱정, 스트레스 등 심리적 상태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다시 말해 결혼과 정착은 결국 무라야마 씨가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확립과 일본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적응의 과정이다. 여기에 일본이란 낯선 환경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 환경은 결혼으로 형성하게 되는 ‘가족환경’의 인간관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한국과는 또 다른 ‘자연환경’ 역시 적응에서 중요한 고려지점이다. 흔히 이민을 논할 때 이민제도와 차별, 민족정체성, 가족 등을 주로 논하게 되면서 ‘자연환경’이 이주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요컨대 본고는 무라야마의 구술을 통해 가족환경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자연재난인 지진이 이민생활에 미친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oral history of Japanese female Murayama in Japan. Murayama, who married in Niigata in Japan in June 1990, has lived in Japan for 26 years and is living in Japan as a Zainichi Korean. Her husband, a farmer, farms rice and raises cows. Among the two sons who became adults, the eldest son is working for Japan's Self-Defense Forces (SDF), and the second son works the company as a salesperson. The aim of Murayama's life is to examine the life of Zainichi Korean women living in Japan and to identify the 'present' of the Korean-Japanese who went to Japan through marriage immigration, which began to hit the stride in the late 1980s. International marriage is an 'incident' in which a foreign country is experienced. The problem of adapting to a heterogeneous environment and network by moving to a foreign coun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state such as anxiety, and stress of a migrant. In other words, marriage and settlement are finally the process of Murayama's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Japanese and adaptation to live as a Japanese. Here Japan,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Japan will be affected. This environment does not mean only the relationship of 'family environment' which is formed by marriage. Another 'natural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Korea is also an important consideration point in adaptation. When discussing immigration, immigration system, discrimination, national identity, family, etc. are mainly discussed, and the impact of 'natural environment' on immigrants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shor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urakama's oral research on immigrant life as well as family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al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