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이트스피치의 피해자로서의 재일코리안에 대한 고찰 - 뉴커머의 반응과 전략을 중심으로 -

        김웅기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nd analyze how new comer Koreans in Japan perceive hate speech/crime derived from antiKorean sentiment prevailing in Japan. The author presents eight category of Zainichi Koreans including proMindan Korean nationals, nonMindan Korean nationals, proChongryon ethnic Koreans, non Chongryon ethnic Koreans, those who possess KoreanJapanese dual nationalities, naturalized old comers, naturalized new comers, and new comers with Korean nationality. Among them, this research focuses on new comers with Korean nationality. Through interviews to the new comer Koreans in Japan, first, the author finds that there exists generation gap among them; second, younger new comers are trying to contribute Japanese society as local residents; third, their fear toward hate speech/crime are derived from their fregile residency in Japan; and fourth economic damage in the largest new community, Shinokubo were boosted by the district’s image as nation of Korea. The new comers’ survival strategy against antiKorean hate speech/crime are as follows. First, their relations with old comers, particularly with Mindan personnel has drastically improved. Second, they are eager to extend their influence in multicultural forums supported by municipal governments. Third, they use the power of the sovereignty in Korea demanding Korean government on protecting its overseas residents in Japan. Meanwhile, however, the new comers, as well as old comers, hesitate to change their Korean nationalities to Japan’s ones because education for ethnic identities is not enough guaranteed in Japan. 본고의 목적은 재일코리안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 간에서 혐한 현상 즉 헤이트스피치/크라임(hate speech/crime)의 충격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에 대한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한국국적 뉴커머들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식에 관하여 심층인터뷰에 의한 조사를 실시한 내용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동안 재일코리안사회에 대한 분석은 국적과 이주시기에 따라 이분법으로분류해왔다. 하지만 더블의 경우처럼 이 같은 방법으로도 결락되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민족단체에 속하지 않는 구정주자들이 다수를 차지함에도 이들의존재는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본고에서 시도한 재일코리안사회 구성원들의 분류는 그동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이다. 혐한 현상으로 인한 뉴커머의 대응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란 첫째, 뉴커머들 사이에서도 세대 차이가 존재하며, 40대들은 모국 기여보다는 지역주민으로서 일본사회에의 기여를 실천하고 있다는 점, 둘째, 그래도 외국인으로서의한계는 분명이 존재한다는 점, 셋째, 이주기간이 올드커머보다 상대적으로 짧아혐한의 충격이 크다는 점, 넷째, 뉴커머 집주지인 신오쿠보에서 혐한으로 인한경제적 타격이 컸던 것은 국가로서의 한국의 상징이 되고 있다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편, 헤이트스피치/크라임에 대한 뉴커머들의 대응전략이란 첫째, 올드커머와의 거리감이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개선되기 시작했다는 점, 둘째, 행정차원에서 주최하는 다문화공생관련 모임 등에서 활동함으로써 접점과 발언권을 찾고자 한다는 점, 셋째, 올드커머와는 달리 한국의 주권자로서 모국의 자국민보호를 요구할 수 있는 근거에 대한 인지가 있다는 점, 그러나 넷째, 뉴커머라 할지라도 일본국적 취득에 대해서는 동화압력이 강하고 소수민족의 정체성계승교육 기회가 부재한 여건에서는 국적 변경이 곧 동화라는 위기의식을 갖게한다는 점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재일한국/조선인 사회의 갈등과 과제: 올드커머와 뉴커머 관계를 중심으로

        유혁수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비평 Vol.- No.10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the “old-comers” and the “new-comers” in the zainichi Korean society, which recently has shown significant demographic diversity. While the number of “old-comers,” which consisted most of the zainichi population, has been decreasing every year as many naturalize to Japanese citizenship (estimated as 345,000), the number of “new-comer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late 1980s and now reached 160,000, among which 60,000 now hold permanent residency. In addition, as the revision of Nationality Law in 1984 adopted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lines in determining child’s nationality, an estimated 100,000 children of Korean descents possess Japanese nationality, calling for an urgent change in zainichi society. However, the zainichi society lacks any swift and effective measures to counter the variety of issues it faces today, as the merging of old and new comers are being delayed. This study takes the premise that Mindan must take on self-renovating measures in order to deal with the diversifying zainichi Korean/Chosen society, and provides several concrete suggestions as to what can be done while adapting to this newly-changing internal social dynamics.

      • KCI등재

        1980년대 결혼이민과 재일코리안 여성의 의식 변화 (1) - 차별, 동화, 역사인식

        양아람 ( Yang Ah-lam ),이행선 ( Lee Haeng-s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본고는 재일코리안 여성 와카이(若井) 씨를 다룬 구술사연구이다. 그녀는 1989년 니가타(新潟)로 결혼이민을 간 후 현재 27년간 일본에 거주하며 재일코리안으로서 살고 있다. 와카이 씨의 출산 이전과 이후, 두 직장과 무용 등의 각 국면을 통해 일본사회를 알아가는 과정을 고찰했다. 이 시기는 와카이 씨가 일본인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인 동시에 재일코리안으로서의 정체성을 자각하는 시기였다. 따라서 그녀가 재일코리안으로 살아가면서 일본을 보는 시각이 어떻게 변모하는지 다루었다. 이 변모에는 동화 문제가 결부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두 민족적 정체성이 일본 내 민족차별과 사회활동을 겪으면서 어떤 식으로든 조정되고 정리되는 것은 동화의 한 양태이다. 이 동화가 주는 시사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이 연구는 결혼이민과 재일코리안 뉴커머의 삶을 구명(究明)하여 재일코리안의 현재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전 세대와는 차별되는 재일코리안의 면모를 파악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oral history of Wakai, who is Zainichi Korean woman. After marriage immigration Niigata in 1989, she has lived in Japan for 27 years as Zainichi Korean. Before and after the birth of Wakai`s children, I examined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Japanese society through each aspect of the jobs and tradtional dance. This period was the time when Mrs. Wakai formed his identity as Zainichi Korean and she was aware of his identity as a Korean. Therefore, she discussed how she changed her view of Japan as she was living in Japan. This transformation is accompanied by the problem of assimilation. It is an aspect of assimilation that two ethnic identities are adjusted and arranged in some way in the course of Japanese national discrimination and social activities. You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is assimilation. In short, this study clarifi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immigrants in Japan by investigating marriage immigrants and the lives of Zainichi Korean Newcomer in Japan. At the same time,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rofile of Zainichi Korean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 KCI등재후보

        1980년대 말 니가타(新潟)의 결혼이민과 뉴커머 한국 여성의 삶 (3) - 다문화가정의 가능성 -

        양아람 ( Yang Ah-lam ),이행선 ( Lee Haeng-seo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3 No.-

        1988년 10월 한국에서 니가타(新潟)로 결혼이민을 간 다카하시(高橋)는 29년간 일본에 거주하며 뉴커머 한국 여성으로서 살아가고 있다. 농부인 남편은 쌀농사를 하고 있다. 성인이 된 두 자녀 중 딸은 사무직에 근무하다가 일본남자와 결혼하여 도쿄(東京) 치바(千葉)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아들은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건축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다. 다카하시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는 것은 뉴커머 한국 여성의 삶과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결혼이민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간 뉴커머 한국 여성의 ‘현재’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흔히 우리는 국제결혼과 다문화를 생각할 때 해당 지자체의 다문화 행정 제도사를 고찰하고 제도의 영향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행정이 실제적으로 잘 닿지 않는 농촌가정에서 국제결혼과 다문화가정의 성공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이를 고찰하기 위해 본고는 굴곡진 이민실패의 사례가 아니라 두 가지 정체성을 조화롭게 조정하며 일본사회안에서 성공적으로 영위해가는 다카하시의 삶의 맥락을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이는 본질적으로 외국 동경(憧憬)에서 비롯된 결혼이민과 다문화 공생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기획이다. Takahashi, who married in Niigata in October 1988, has lived in Japan for 29 years and is living in Japan as a Zainichi Korean. Her husband is a farmer. Her daughter worked as an office clerk and married a Japanese man. They lives in Chiba, in Tokyo. Takahashi’s son works in a building company after graduating from architecture department. The aim of Takahashi's life is to examine the life of Korean women living in Japan and to identify the ‘current’ of Korean women who have moved to Japan through marriage immigrants since the end of the 1980s. Often, when we think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ism, we tend to think about the history of multicultural administration and focus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s. However, how can the suc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ies be possible in a rural home where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s practically inaccessible? In order to examine this, I tried to look at the context of Takahashi’s life, which harmonizes two identities and is successful in mind in Japan. This is a project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marriage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symbiosis originating from foreign dre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