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탈식민 주체를 중심으로-

        김선하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0 No.-

        This study is written to clarify the postcolonial narrative in <Toji>. For the purpose of this project, our study centered on the subject of postcolonial of <Toji>. As a result, we focused on four main groups such as:the remnants of Donghak,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of abroad, the inner characters of an empire and marginal characters. These four Korean groups resisted Japan's imperialism in various ways. The remnants of Korea's Donghak, the first group counter on Japan's colonial policy through an appropriation. Thus, they make an attempt the disturbance of control system in the colony. It is demonstrated throughout Kim hwan and Song kwan-su's struggle. The second group i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abroad. We can divide it into an educ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struggle of arms. But both of them intended recovery of Jo Seon's national rights. To achieve this aim, they inspired consciousness of national rights to students and gathered campaign funds. Furthermore, they killed Japan's military policeman and a spy. Their activity become known by Song jang-hwan, Kwon pil-weng, and Jang in-geol. The third group is the inner characters of Japan's imperialism. Their ideology reveals generally based on socialism and they warn against Japan's militarism. Finally, their discourse bring froth the inner crack of an empire. This narrative is realized through おかだ じろ and むらかみ しょじ. The fourth group are marginal characters. They locate a marginal line, that is the binary logic of control or non-control, colonial or non-colonial, achieved in objective eyes. After all, their eyes demolish the strong binary logic of an imperialism or non-imperialism. All the more their discourse meets with humanism beyond non-imperialism. Jo chan-ha who married to Japanese woman and Yu in-sil who falled in love with Japanese man in <Toji> demonstrate this logic. <Toji> shows to us the collapse of a colonial control system through these four group's activity. Finally, we have a conclusion that <Toji> is a postcolonial narrative.

      • KCI등재

        김유정 소설의 정동 연구 - 연애, 결혼 모티프를 중심으로 -

        김윤정 ( Kim Youn-j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이 논문은 김유정 소설에서 정동이 발생하는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작품 속 인물, 주요 갈등 양상, 배경적 공간, 주제 의식 등 서사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상충되는 정동의 효과가 서사적 교란을 자극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김유정의 소설에서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기대는 매번 미완성이고, 왜곡되며 피해의식의 감정으로 귀결된다. 「산골」, 「봄·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와 욕망은 ‘잔혹한 낙관주의’로 유지되지만 이러한 관계는 지극히 유한하고 불완전하다. 기대는 배반으로, 약속은 위협으로 변질되는 관계망 속에서 미래 지향적 가치를 추구하지 못하는 나약하고 가진 것 없는 존재들은 결국 부정적 세계, 비정(非情)한 세계의 질서에 순응하고 만다. 「동백꽃」, 「총각과 맹꽁이」의 경우, 현실적 상황과 경제적 지위 등에서 열등한 위치에 있는 인물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연애의 메시지를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결혼의 기회 자체를 박탈당하게 된다. 연애와 결혼 욕망의 좌절과 무기력한 실패는 비현실적 환상이나 기대 혹은 수치와 모멸의 감정으로 나타나며, 이는 당대 식민지 근대 사회의 청춘 남녀의 비참한 현실을 부각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연애’와 ‘결혼’의 가능성을 문제 삼는 작품에 인물들의 성격은 우유부단하고 소심하며 무기력하다. 특히 원시적 생명성과 서정적 원초적 욕망의 서사가 전면적으로 부각되는 소설에서조차 수치와 모멸이라는 감정의 역학이 작동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사랑의 감정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 등의 서사적 요소와 달리, 미움과 원망, 증오와 혐오, 수치심과 모멸감, 폭력성 등 부정적 정동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김유정 작품에서 나타나는, 상반된 정서로 인한 서사적 교란의 형식은 전(前)의식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정동이 분출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a fact that conflicting effects of the affect are stimulating the narrative disturbance shown from the narrative including characters and backgrounds, main conflicts a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by analyzing a context where the affect is occurring in Kim Yu-Jeong's novels. In his novels, expectation of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is unfinished and distorted and ends up with the feeling of the victimized. In 「Mountain Village」 and 「Spring, Spring)」, mutual trust and desire are maintained by 'cruel optimism' but such a relation is extremely limited and incomplete. Weak have-nots who fail in pursuing the future-oriented values in the network where expectation is transformed to betrayal and promise to threat come to conform to the negative and cruel order of the world. In 「Camellia」 and 「A Bachelor and Narrow-mouthed Frog」, characters inferior in their real situation and economic status are not aware of a love message given to them, deprived of an opportunity for marriage. Helpless frustration and failure in love and marriage manifest themselves in unrealistic illusion or expectation, feeling of shame and contempt, contributing to emphasizing the miserable reality of those days' youth in the colonial modern society. In the work issuing a possibility of 'love' and 'marriage', characters are indecisive, timid and helpless. In particular, emotional dynamics of shame and contempt acts even in the novels emphasizing a narrative of the primitive vitality and basic desire. These works show the negative affect including hatred and resentment, enmity and disgust, shame, contempt and violence contrary to narrative elements like a feeling of love and beautiful scenery. In other words, narrative disturbance by conflicting feelings in Kim Yu-Jeong's works originates from explosion of the negative affect that occurs on a preconscious dimension.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 −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및 변화를 중심으로 −

        오현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9 동방문화와 사상 Vol.7 No.-

        This paper examined the foundations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monster narrativ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ghosts and nove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t that time, Confucian scholars did not see ghosts as transcendent and divine beings. They tried to strengthen virtue, such as rituals of ancestors through ghosts, The ghosts of the Confucian scholars who emphasized moral ethics in the real world have a profound effect on ghost tales and ghost stories. The major ghost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tory of Janghwa and Hongnyeon> and ‘Arang Style Legends’ are based on 'Revenge and Hewon(解寃)' of female ghosts. They were ghosted by the excessive oppression of patriarchy. But in Hewon(解寃)'s course, they maintain the temporal Confucian order of feudalism. The horror narrative of horror movies, which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since the 1960s,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s of original tales, such as <Story of Janghwa and Hongnyeon>, and ‘Arang Style Legend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onster narrative based on 'Revenge and Hewon (解寃)', started changing rapidly after the IMF. After the IMF, monster narratives are rather shaped as being violent, disturbing, or disrupting patriarchal order. This change in monster narrative since 2000 shows the collapse of a long-standing patriarchal order. 이 글은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전통의 귀신관과 괴기담 소설과의 연관성을 통해, 한국 괴물 서사의 형성 기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와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을 살펴 보고 있다.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의 귀신관은 귀신을 ‘초월적이고 신이한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조상신에 대한 제사의례의 하나로 ‘귀’와의 교감 행위를 통해 현실에서의 도덕의식을 강화하려 했다. 현실에서의 도덕 윤리를 강조했던 성리학적 귀신관은 이후 귀신 설화나 괴기담 소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조선 후기 대표적 괴기담 소설이라 할 수 있는 <장화홍련전>과 아랑형 전설은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을 주된 서사 구조로 한다. 그들은 가부장제의 과잉 억압에 의해 원귀가 되었지만, 해원 과정에서 현세의 유교적인 봉건 질서를 추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당시 귀신관에 내재 된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적용된 결과다.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한국 공포영화 속 괴물 서사는 조선 후기 <장화홍련전>이나 아랑형 전설과 같은 원귀 설화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유교적 가부장제에 기반한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이라는 한국 괴물 서사 구조는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한다. 과거 영화 속 괴물이 가부장제의 억압에 의해 귀환한 타자였다면, IMF 이후 괴물 서사는 오히려 가부장제의 질서를 위반하거나, 교란 혹은 와해시키는 존재로 출몰한다.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이러한 변화는 오랜 기간 전통적 가치관으로 자리 잡아 온 가부장제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영화 속 괴물 서사가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