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활 속 글감을 활용한 마인드맵 교수가 중학교 자폐 학생의 읽기 전략 수행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이소현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Map strategy instruction using reading materials form daily life on reading strategy use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this purpose, three male students with autism who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are registered in middle school were participat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including three condition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ithout intervention, was used to assess intervention effect. As a result, reading strategy use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three autistic students were improved through the Mind-Map strategy instruction using reading materials from daily life, and enhanced results were also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ind-Map strategy instruction using reading materials from daily life is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reading strategy use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This result implies that autistic students can learn a reading strategy and manage their performance independently. Moreover, this study proves that the Mind-Map strategy is useful for students with autism as well as othe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r mental retardation. 본 연구는 생활 속 글감을 활용한 마인드맵 교수를 실시했을 때 중학교 자폐 학생의 읽기 전략 수행과 읽기 이해가 증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중재는 읽기 재인(단어 인식)에 비해 읽기 이해(독해)에 문제를 보이는 정서 장애 특수학교 중학부 2학년 자폐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상 학생의 읽기 학습동기 유발을 위해 선호도를 반영한 생활 속 글감을 수집 및 수정하여 중재에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시각적 단서들을 포함하는 마인드맵을 읽기 전략으로 교수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속 글감을 활용한 마인드맵 교수는 대상 학생의 읽기 전략 수행과 읽기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자폐 학생들도 읽기 전략을 학습하고 그들의 수행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마인드맵 읽기 전략이 학습장애나 정신지체 학생뿐만 아니라 자폐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임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인드 맵 학습 전략이 어휘 기억에 미치는 효과

        김영주 ( Young Joo Kim ),남상은 ( Sang Eun Nam ),권유진 ( Yoo Jin Kwo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09 언어사실과 관점 Vol.24 No.-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discover the effects of using the mind map strategy in vocabulary learning, presuming the need of a strategy to ease the burden of studying alone in vocabulary learning. The Mind map is a method which promotes student to think about related words of certain word.The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n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in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to the mind map strategy. First, the experiment performed three experiments with 17 students from K University, and then tested vocabulary to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mind map strategy in short term memory of vocabulary was insignificant. Another evaluation of vocabulary was performed a week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n long-term mem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nd map learning strategy for vocabulary memorization was effective for long-term memorization. It is believed that as the learner applies target vocabulary to his or her personal experiences or schema, the mind map learning strategy for vocabulary memorization forms a link and allows the personalized vocabulary memory to be maintained in long-term memory. Thus, it is discovered that for a learner to memorize vocabulary for the long-term, the mind map provides more positive results than the traditional vocabulary memorization method.

      • KCI등재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쓰기 교수방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질문에 대한 반응과 작문의 길이에 미치는 효과

        길한아 ( Kil Han-ah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쓰기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질문에 대한 반응과 작문의 길이가 증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중재는 글을 읽고 쓰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야기나 교과서를 읽고 세세한 내용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읽은 내용을 적절한 문장으로 요약과 문장 구성력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간 중 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상 학생의 읽기학년규준에 맞춰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이야기 글감을 수집 및 수정하여 중재에 활용하였으며, 시각적 단서를 포함하고 있는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읽기·쓰기 교수를 하였다. 연구 결과,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쓰기 교수는 대상학생의 질문에 대한 반응과 작문의 길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가 끝난 후에도 질문에 대한 반응과 작문의 길이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쓰기 교수는 일반학생 및 학생장애 학생들뿐 아니라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임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ing and Writing Strategy Using Mind-Map on the Response to Questions and Length of Compositions by Adolescent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is study,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word recognition and writing skills were participated.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skills, Mind-Map strategy was taught using visually supported task organizer.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assess interven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to Questions of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was improved through the Mind-Map strategy instruction using reading material from story and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Second, Length of Compositions by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were improved through the Mind-Map strategy instruction using reading material from story and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can learn reading and writing strategy and manage their performance independently. Moreover, this study proves that the Mind-Map strategy is useful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 well as othe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r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은유추출기법을 활용한 온라인 국악공연 콘텐츠 구현 방식 연구

        오윤지(Oh Yoonji),김영재(Kim Youngj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본 연구는 은유추출기법(ZMET)을 활용하여 온라인 국악공연 구현 방식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국악공연의 동향을 통해 본고의필요성과 문제의식을 도출하였다. 둘째, 온라인 국악공연 구현에 필요한 틀을 세우기 위해 초창기부터 이어온 공연예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은유추출기법(ZMET)을 활용하여 관람동기에 대한 공유개념도를 도식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국악공연의 구현 전략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ZMET을 활용하여 국악공연 관객 8명을 대상으로 관람동기를 조사한 결과 화려함’, ‘차분함’, ‘공연의 현장성’, ‘공연장 오가는 길’, ‘내적자극 및 활력’, ‘정보추구 및 교양’, ‘추억쌓기’라는 7개의 핵심 구성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서로 연계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국악공연 콘텐츠의 구현 전략은 관객이 원하는 시청각적인 요소를 포함한 음악 프로그램 및 무대 디자인 설계, 연주자와 관객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라이브 방송 및 채팅방 구축,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화면 구성 및 자막 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하다는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implement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onlin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genre using the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ZMET).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because onlin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re trending,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became apparent, and the problems were recognized. Second, in order to establish the necessary framework for onlin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the early aspects of performing arts were examined. Finally, the “mind map” for audience motives was extracted using ZMET, and, based on this, a strategy for implementing onlin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was suggested. Specifically, after researching the motivation of 8 audiences who have bee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using ZMET, 7 types of deeper shared mind were classified: splendor, calmness, lively performance atmosphere, transport to and from the concert hall, internal stimulation and vitality, information search and refinement, and memory building. The mind map showed mutual connections. Based on this result, the strategy necessary to implement the onlin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has been confirmed to contain planning music programs and stage design, including audio-visual elements desired by the audience, constructing live broadcast areas and chat rooms where players and audiences can interact, and screen composition and subtitling services to provide systematic and specific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과정 중심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 방법 모색

        김경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is paper have approached to the writing letter of self-introduction as a educational activity, it could be a basic quality education of science humanity on the case that it was approached for the sake of process. The education of the writing letter of self-introduction not only make students finish the one of the writing letter of self-introduction but also give the time to know oneself for social selfconcept. The writing letter of self-introduction is implied the comprehensive and creative process of recognition in oneself. This process is to be thinking my position in society and giving the important experience to view social myself face to face. This result is impossible to approach the writing letter of self-introduction not only composition but process. So this paper do not approach the exiting manual to start collecting the writing materials and suggest new manual to start practical self analysis. This paper set up the purpose place emphasis to reveal the process and show the case in person to start from self-analysis. Under the opinion this phenomenon appear in the step to generate the having material, this paper look deep into the specific ways to teach mainly in this step. 이 글에서는 자기소개서 쓰기가 과정 중심으로 접근하면 실용적 목표를 수행하면서도 인문적인 소양교육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그것을 사회적 자아로서 자신을 대면하고 지나간 삶을 돌아볼 뿐 아니라 앞으로의 행보와 관련짓는 교육적 활동의 하나로 접근하였다. 자기소개서에는 모범답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형에 주목하기보다 쓰는 과정에 주목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자신의 생각 혹은 경험을 앞으로의 행보와 관련짓는 종합적이고 창조적인 인식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사회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가늠할 뿐 아니라, 사회적 자아를 마주하는 시간으로서 타자화된 자기를 만나는 중요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는 이를 작문교육으로서가 아니라 체계적인 인식과정으로서 접근할 때 가능하다.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은 단지 취업용 자소서 한 편을 완성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자아로서 ‘나’를 알아가는 과정, 자신의 과거 경험이나 선택으로부터 적성이나 특기를 발견하고 자신에게 알맞은 직종이나 직무와 연결 짓는 과정, 나아가 직업을 가진다는 것에 대한 책무, 가치 판단, 정체성에 관련된 열린 길을 제공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과정 자체를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는데, 실질적인 자기분석에서 시작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이러한 과정이 글감생성단계에서 주로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 단계를 중심으로 교육의 구체적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