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의 지역 전파양상 - 인천과 서울 간 관계적 특성을 중심으로 -

        우정무(Woo Jungmoo),박요한(Park Johan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5 No.-

        서울과 인천은 오랜 역사 속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과 인천의 서로 다른 산업구조와 더 나은 주거환경을 위해 서울에서 인천으로 주거이동하는 인구의 증가는 인천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유동인구의 비율을 높였다. 서울의 경우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기능한다는 점과 거주인구가 많다는 점을 바탕으로 산업 활동에 있어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자재나 중간재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업이 발달해 서울 내의 자원을 통해 최종 서비스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서비스업 이외 분야 산출물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최종 산출물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특징들은 서울의 경제활동이 주로 서울 내에서 이루어지며, 원자재나 중간재를 구하기 위해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경우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의미한다. 반면, 인천은 조선 시대부터 서울의 관문으로 역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발달한 항공운송서비스업과 수입원자재를 기반으로 한 제조업이 발달했다. 이로 인해 인천에서 생산된 산출물들은 경기, 서울 등 수요가 많이 존재하는 곳으로 이출 되면서 인천 내 인구가 경제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서울의 과밀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인천이 베드타운 기능하기 시작하면서 인천에서 거주하면서 경제활동 등으로 서울로 통근 또는 통학을 하는 순환적인 인적 흐름이 점점 강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특성은 서울에서 발생한 코로나 19가 유동인구를 통해 인천에 전파될 확률이 높은 반면, 인천에서 서울로 코로나 19가 전파될 확률은 높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사례분석과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동시에 진행했다. 사례분석 결과 서울의 정치·경제·문화적 가치 및 시설을 활용하려는 인천거주 유동인구가 서울에서 코로나 19에 감염된 후 인천 내 코로나 19를 확산시킨 사례들이 다수 존재했다. 그랜저 인과성을 통한 시계열 데이터 분석 역시 인천의 코로나 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서울에서 이전 3일 간 발생한 코로나 19 일일 확진자 수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코로나 19는 서울에서 인천으로 확산된다고 할 수 있다. Incheon and Seoul have maintained a historically close relationship. Because Incheon and Seoul have different types of industries and many people have moved from Seoul to Incheon to enjoy better housing conditions, many people who live in Incheon work in Seoul now. Seoul relies on service industries that can provide final productions without raw materials and intermediate goods and import non-service goods from other regions, because Seoul is the capital city of South Korea and many populations live in Seoul. This characteristics means that economic activities in Seoul do not depend on other regions and people in Seoul do not have to move to other regions to obtain raw materials or intermediate goods. However, because Incheon has functioned as the gateway to Seoul that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air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ies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depending on imported raw materials, which rely on other regions where many consumers live. This economic characteristic of Incheon implies that many people in Incheon should frequently commute to Seoul. Also, to relieve overpopulation problems in Seoul, Incheon has functioned as an important bed town of Seoul. This implies that many people who moved from Seoul to Incheon are likely to commute from Incheon to Seou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heon and Seoul implies that Covid-19 more easily spread from Seoul to Incheon while Covid-19 rarely spread from Incheon to Seoul. We test this hypothesis by conducting a illustrative case study and a time-series statistical analysis. Our study period spans from February, 2020 to February to 2021 including the three big waves of the pandemic. Our case examination shows that Covid-19 has spread from Seoul to Incheon by those who live in Incheon but work in Seoul. Our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finds that Incheon’s daily confirmed cases have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Seoul’s daily confirmed cases occurring on previous three consecutive days. Thus, we can conclude that Seoul affects Incheon in the spread of Covid-19.

      •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인천의 ‘관광도시’ 이미지 형성

        김영수(Kim, Young-s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9 인천학연구 Vol.11 No.-

        Incheon was continuously growing as a port since its opening. Sino- Japanese war and Russo Japanese war caused that numerous Japanese came into Incheon area, which leaded Incheon’ economical prosperity. Incheon was a small port at first, old facilities couldn’ maneuver the flow of new comers from Japan and other regions from Korea. New towns were built mostly around foreign settlements and modern facilities such as observatory, quarantine were built in Incheon. The population didn’ grow as fast as expected, so modern hygienic systems such as waterworks, drainage, hospitals with western medicine were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developing Incheon. The modern facilities showed Incheon’ modernity which leaded people easily to come to see them from all around Korea and even Japan. Moreover, developing Wolmido in early 1920s called lots of visitors to come to enjoy pool, spa, hotel and landscape of Wolmido. In the process of building modern facilities and amusing places, Incheon makes its own image connected to modernity and sightseeing which helps its economical profit. Nevertheless, the problem which the grain exchange might move to Kyungseong was a heavy blow of Incheon’ economy in mid 1920s. The influential people in Incheon’ administrative, economy, education and other fields wrote articles pointing out the questions of the moment and giving new plans for solving them. They gave ideas for respective problems including developing Wolmido as a villa for Kyungseong residents. But it seems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was to make prefecture’ schemes to point out which industry they should focus on. It’ regarded that they focused on commerce, imports and exports, tourism as Inchoen’ possibility to go forward. To develop Incheon as a sightseeing city became one of main projects of Incheon prefecture in 1930s’ The stream that building early modern city was connected to sightseeing and modern tourism made the image of Inchoen strongly influenced by tourism. In this process, the image of Incheon as a sightseeing city represented Incheon’ local identity in 1920s to 1930s.

      • Study on Incheon Athletic Groups before liberating from Japanese rule(Focusing on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and Incheon Sports Council)

        ( Junho Cho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This study focused on two athletic groups,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and Incheon Sports Council, which played their roles in Incheon before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rule.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Purpose: This study will show the establishment, activity and historical meaning of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and Incheon Sports Council that worked in Incheon before the liberation. Method: It used newspapers, magazines, local papers in Incheon, governmental materials and books that dealt with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and Incheon Sports Council under Japanese rule. Result: First,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had led the athletics of Incheon in early 1920s. With the activities the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t Inchoen Public Hall on December 18, 1925.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had held “Incheon Athletic Day” and athletic competitions of baseball games and tennis games from 1925. It was a Japanese association.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was the mayor of Incheon city. Incheon Police Agency used “Mudeokgwan”, a martial art training center, as its training center. It indicates that the local government has controlled the athletics with strong power.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became weak with the fall of Japanese imperialism. Seconds, Incheon Sports Council was established on 8pm, January 11, 1936 at Sansujeong public hall. They needed a control institute for Korean sports that had improved rapidly. Incheon Sports Council handled Korean wrestling, soccer, basketball, skating and archery. It also tried to introduce and promote new sports such as rugby and car racing. But Incheon Sports Council was oppressed and closed by Incheon Mayor(永井府尹). It was merged with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Conclusion: Incheon Athletic Association was a Japanese athletic group. But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cheon’s modern athletics expanding the base of Incheon’s athletics before the liberation. Incheon Sports Council was the first Korean athletic group in Incheon that inspired the national spirit through sports under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a national athletic group that encouraged the pride of Koreans through sports.

      • KCI등재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법 연구

        장윤이(Jang Yun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0 No.-

        한국의 근현대 시대상을 반영하던 인천 지역에는 역사기록물을 포함한 각종 형태의 근현대 문화유산이 산재되 어 있다. 그에 따라 인천의 지역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근현대 문화유산이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은 기관별로 수집하여 관리, 보존하며 기관의 설립목적에만??부합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문화유산 범주 내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을 위하여 문화기관??협력을 통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엄청난 분량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근현대 역사기록물을 재가공하여 반영구적 보관이 가 능하게 하는 것을 넘어 인천의 근현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지역 시민의 정체성 함양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방법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먼저 초기단계로서 기록화의 목적과 범주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전문적 실무팀과 자 문위원 구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어 실제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 파악을 위하여 인천광역시립박물관과 인천 광역시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의 소장현황과 관리 실태를 논의한다. 이어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 지털화와 표준화를 위해서 문화재청에서 문화유산 관련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기록화 사업의 표준화를??위해 제시한 가이드를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메타데이터??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메타데이터를 기능에 따라 비교, 분석 후 매핑하는 방식을 취하여 참조테이블을 작성한 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내용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정책, 기술, 예산 인력 등의 협의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할 것이 며, 그러한 기반은 인천시청과 같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의 기록 보존과 시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필요한??것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가능한 일 것이다. 본고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밑그림을 제시하고, 그 필요성에 대 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연구이다. Various type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including archives are spread in Incheon which reflected the??phases of the modern times. Along with this, it is needless to say that modern cultural heritage has an??important value in order to establish the locality and identity of Incheon. Presently modern historical??archives in Incheon have been collected, managed and preserved by each institute and used in accordance??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discuss the method of Digital Archive??construction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cultural institute for modern archives in Incheon in the range of??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es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regional citizens' identity cultivation by utilizing it as the??field of education on modern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surpassing the purpose of enabling semi- permanent storage of modern archives through reprocessing them which have a huge quantity and various??types. This thesis suggests the model of modern archives' digital archive in Incheon, and to do so, suggests the??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irst, it concretely defines the purpose and the range of documentation as??the initial stage, and discusses the composition of professional practical work group and consultant group.??Also, in order to grasp actual modern archives in Incheon, it discusses current status of possession and??management of Incheon Metropolitan Museum and Incheon Hwadojin Library rural·port opening cultural??material center. And in order for modern archives to be digitalized and standardized, it applies the guide??which was suggest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documentation project which is progressed individually by??the institute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Incheon modern historical??archives. Lastly, a crosswalk is composed by taking the method of mapping after comparing and analysing??the existing meta data along with the function for metadata design of Incheon modern archives. However, in order for such contents are materialized, the establishment of discussion on the policy,??technology, budget, manpower, etc. should be prepared, which establishment can be possible when the??local government as Incheon acknowledges that it is necessary for regional record preservation and??citizens' identity establishment. This thesis suggests a sketch for digital archive establishment, and intends??to give an awareness of its necessity.

      • KCI등재

        재인천일본인 고타니 마스지로의 삶과 활동

        김윤경(Kim Youn-Ky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재인천일본인 고타니 마스지로(小谷益次郞)에 대한 인물연구다. 고타니는 1889년 4살 무렵 어머니의 품에 안긴 채 인천에 건너와 살다가 일제 패망 후 일본으로 철수해간 식민1세이다. 그는 고베(神戶) 출신으로, 개항 초기 가족 단위로 이주해온 드문 경우에 속한다. 미장이 신분의 고타니 토메요시가 부친으로 추정되는바, 일본의 하층계급 출신이었다. 고타니의 본격적인 사회 진출은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 신자로서 인천 일본 기독교청년회를 통해서였다. 그는 1926년경 기독교청년회 주사로서 당시 새로이 등장한 ‘사회사업’을 결합한 다양한 활동으로 사회에 알려졌다. 그 후 1931년 6월 『인천부사』 편찬자로 위촉되어, 실질적으로 편찬을 주도함으로써 다른 지역들에 비해 빠른 기간 내에 완성했다. 이후 고타니는 인천제2공립보통학교와 인천중학교 설립에 큰돈을 기부함으로써 일본천황의 감수포장을 수여하는 등 인천 사회의 유력자로 부상했다. 1935년 5월 인천부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때 그의 직업은 대가업자(貸家業者)였다. 1937년 전시체제기에는 정회(町會)의 총대 및 보호관찰소의 촉탁보호사를 겸직했다. 1945년 8월 15일 패전 후에는 인천부회 부의장으로서 재인천일본인의 철수작업을 이끌었고, 그 과정을 『인천 인양(철수)지』로 남겼다. 고타니는 스스로 “조선의 풍토와 자연이 키워준 인천아(仁川兒)”라고 칭했다. 미장이 집안의 하층계급 출신이 식민지 이주 40년 만에 인천 사회의 유력자가 됨으로써 인생역전의 기회를 얻었으니 그럴 만하다. 그러나 그가 4살 때부터 57년간 살았던, 그래서 꿈에도 그리운 땅 仁川은 인천이 아니라 진센(Jinsen)이었으니, 기실 그는 인천아가 아니라 진센코(Jinsenko)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Kotani Masujiro(小谷益次郞), the Japanese settler in Incheon under the Colonial Period. In 1889, maybe four, he had came to Incheon in his mother’s arms. Ever since he had lived in there till back to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He was from Kobe(神戶), his father was a plasterer that was the lower class in Japan. He came to with all of the family members in the Opening Port Era, the case was rare. At the age of early forties, he went out the society as a chief manager of the Japanes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e belonged to the Japanese Methodist church. He was known for ‘Choseon social work’, as he had combined the activities of a Christian youth group with the social works, and had done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In June 1931, he was requested to publish Incheonbusa(仁川府史, the history of Incheon Prefecture), he led to the publication as a chief compiler, and published it successfully faster than other area’s case. And then, he had donated for establishment of High Normal School (普通学校) in the end of 1932, and Incheon Middle School in April 1934. In return for donations, he received an award by the Emperor of Japan in February 1937. In May 1935, he was elected the member of Incheon Provincial Council(仁川府會), and at that time he was a housing lease businessman. Two years later, he was appointed a JungChongdea(町總代, the representative of the neighborhood) and a Part-time Probation Officer(囑託保護司). But when Imperial Japan eventually surrendered in August 15 1945, he had to be repatriated. Being a vice chairman of Incheon Provincial Council, he negotiated with U.S. Military Command and had led the phased withdrawal of the Japanese settlers in Incheon. He went away Incheon on March 2, 1946, and settled in Nagasaki(長崎), Japan. Two years later, he wrote the record of the Japanese Pullout from Incheon (仁川引揚誌). He called it the message of condolence for Incheon. He called himself “a son of Incheon(仁川兒)”, because of growing up in nature and climate of Incheon since the age of four. During 57 years living there, he moved up a powerful influence away from the lower class in Japan. Because of achieving a chance of life there, he deserved to called himself “a son of Incheon”. However, that was not Incheon but Jinsen.

      • KCI등재

        인천∼제주 해상물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3) -인천항을 중심으로

        오승철,안영효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3

        On December 10, 2021, the ‘Incheon-Jeju’ ferry started its first regular service after 7 years and 8 months. The ferry, which had been cut off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pril 2014, was reopened. The resumption of the ‘Incheon-Jeju’ waterway is expected to revive the local economy of the Incheon coastal pier and revitalize the logistics business of the Incheon coastal pi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supply of Jeju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In the meantime, the flow of logistics from Jeju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via Honam is expected to lead directly from Jeju to Incheon Port,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resolving the distortion of logistics, thereby opening the door to logistics business through maritime transport. In addition, Incheon Port Authority expects that the annual number of coastal passengers will recover to 1 million,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oastal passengers, revitalize the area around the coastal pier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Incheon Port infrastructure and revitalization of coastal touris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tudy a plan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maritime freight volume between Incheon and Jeju. It is time for policy proposals to revitalize the Incheon regional economy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cheon-Jeju maritime trade volu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maritime logistics between Incheon and Jeju before and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investigated, and the ‘total employment of An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for ‘inducing effect’ and ‘economic inducement effect’.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total employment induction effect” and “economic inducement effect” caused by the increase in maritime transport volume were calculated and “how much the Incheon local economy is activated” simulation was performed. In other word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only about 5-6% of Jeju Samdasoo and Jeju agricultural products entered Incheon Port, and on December 10, 2021, sea transportation from Jeju → Incheon Port was resumed and about 60 to 65% of Jeju Samdasoo and Jeju agricultural products were resumed. It is expected to flow into Incheon Port again. Therefore, by estimating the change in future cargo volume for the next three to five years, such as 2022 to 2025, the number of jobs created by the total employment induction effect and the economic inducement effect were calculated. In other words, when the vitalization of maritime logistics between Incheon and Jeju is normalized, Jeju Samdasoo, Jeju agricultural products, etc. will flow into Jeju → Incheon Port, and the volume of marine cargo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a minimum of 1.45 million tons to a maximum of 215 tons. It is expected that the total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ill occur from a minimum of 1,629 people to a maximum of 2,618 peopl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n economic inducement effect of at least 106 billion won to a maximum of 170.3 billion won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sea freight flowing from Jeju to Incheon. 인천∼제주 뱃길이 2021년 12월 10일 7년 8개월여 만에 첫 정기 운항을 개시하였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끊겼던 뱃길이 다시 열린 것이다. 인천∼제주 뱃길의 재개로 인천 연안부두 지역경제의 활기가 살아나고, 제주 농⋅수산물의 공급 증가로 인한 인천 연안부두의 물류 업무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제주에서 호남을 거쳐 수도권으로 가는 물류 흐름이 제주에서 인천항으로 직접 이어져 물류비용 절감과 물류 왜곡 현상도 해소가 되어 해상운송을 통한 물류 업무의 숨통이 트이게 될 전망이다. 또한, 인천항만공사는 연간 연안 여객 수가 100만명대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인천항 기반 시설 확충과 연안 관광 활성화에 기여해 연안 여객 증대와 연안부두 주변 지역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제주 간 해상물동량 증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의 연구 필요가 필요하며, 인천∼제주 간 재취항에 따른 인천항 물동량 증가와 변화에따른 총취업유발효과 및 경제적 유발효과 분석과 인천∼제주 해상물동량 증가에 따른 인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제주 뱃길의 재개로 인천항을 중심으로 “인천 지역경제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총취업유발효과와 경제적 유발효과에 대한 연구 모형을 도출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세월호 참사 이전ㆍ 이후 인천∼제주 간 해상물류 현황을 조사하고, 인천항과 지역경제 발전에 대한 문헌 조사와 기존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둘째, 인천∼제주 간 해상물류 재개에 따른 총취업유발효과와 경제적 유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이 모형을 기반으로 인천∼제주 간의 해상물류 활성화가 정상화되면, 제주삼다수, 제주농산물 등이 제주 → 인천항으로 60% 이상 유입되어 해상물동량은 최소 145만톤에서 최대 215톤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총취업유발효과는 최소 1,629명에서 최대 2,618명까지총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주 → 인천항으로 유입되는 해상물동량의 증가로 최소 1,060억에서 최대1,703억까지 경제적 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인천항을 중심으로 해상물류 활성화 방안에대한 최초의 연구로, 앞으로 항만을 중심으로 총취업유발효과와 경제적 유발효과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항구와 공장의 근대성 - 인천에 대한 문학적 표상 연구

        이현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Incheon is represented in the Korean modern novel. Until the Joseon Dynasty, Incheon was a small fishing village. Since the opening of its port in 1883, Incheon has grown into a modern city. The reason why Incheon has rapidly developed into the modern city can be found in its geopolitical factors. Taking advantage of such conditions of the city, Japan actively exploited Incheon. By developing land for port and factory area, Japan secured a bridgehead. Therefore Incheon was able to develope into the port and industrial c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on the way in which Incheon is represented in the Korean novel inevitably engages in the examination of Korean modernity. It can be also a useful pathway to see how the Korean literature internalizes the problematics of modernity. Incheon frequently appeared in Korean novels of the early 20th century more than any other city except Seoul.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Korean writers gave attention to Incheon as it was. But only they considered the city as a gateway to Japan. In other words, they took neither Incheon nor people living in the city as the subject of narrative. Inganmunje (Human problems),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30s by Kang -Kyungae, well represented the aspect of Incheon as an industrial city. In this respect, it was a very rare work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dealing with the struggle of workers living in Incheon, Inganmunje delineates the confront between labor and capital that is one of the important traits of modernity. The novel represented Incheon as the city of workers. It means that Incheon was portrayed as the city in which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could be overcome. Meanwhile, Hyeon-deok's 「Namsaengi (Freshwater tortoise)」, Han-namgyu's 「Badaka Sonyon (Beach boy)」, and Oh-Cheonghee's 「Junggugin Geori (Chinatown)」 took a different approach toward Incheon. These short stories described the various problems of people living in Incheon by focusing on the city space. The life of the lower classes living in the port as well as the perspective of a teenager well exposed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Incheon. These stories shared common features. For instance, the life of port city in which workers cannot settle but float, the city of migrants who lost their home, and the perspective of minors looking at the city life. The viewpoint between parents and child's generation are comparatively revealed in these works. This can be read as a intersection between intense nostalgia for the rural community and unknown longing for new urban life. 이 논문은 인천이 한국 근대소설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인천은 조선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작은 어촌이었다. 1883년 개항을 계기로 근대도시로 성장한 곳이 인천이다. 개항 이후 인천이 근대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인천의 지정학적 이유가 크다. 일본은 그런 조건을 활용하여 정책적 의지를 갖고 인천을 개발하였다. 항구와 공장 지대를 개발함으로써 식민지 지배의 효율적인 공간으로 활용하려 하였다. 그렇기에 인천은 식민지 시대 항구도시인 동시에 공업도시로 성장해 갔다. 따라서 인천이라는 도시가 한국 소설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가 하는 점은 한국적 근대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일이기도 하며 한국 문학이 근대의 문제를 어떻게 내면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통로이다. 20세기 초기 소설들에서 인천은 서울을 제외하고는 한국의 어느 도시보다 소설 속에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작가들이 인천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일본으로 가는 통로로서 인천을 끼워 넣은 것일 따름이었다. 인천이라는 도시 공간과 거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문제를 서사의 대상으로 삼지는 못했던 것이다. 1930년대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식민지 시대 소설로는 드물게 공업도시 인천의 면모를 잘 드러내었다. 이곳에서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룸으로써 『인간문제』는 인천이라는 구체적인 소설 공간을 배경으로 근대성의 중요한 한 측면인 노동과 자본의 대립을 형상화시켰다. 이 소설에서 인천은 노동자의 도시로서 표상되고 있다. 『인간문제』에서 인천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노동의 도시로 상징되고 있다. 한편, 현덕의 「남생이」나 해방 이후 한남규의 「바닷가 소년」,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는 다른 시각에서 인천이라는 도시 공간에 착목하여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문제를 형상화한 수작들이다. 이 소설들에서 다뤄지고 있는 항구 도시 하층민들의 삶과 소년․소녀의 시선은 인천이라는 도시의 근대적 성격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삶으로서 항구 도시의 생활, 고향을 상실한 이주민들의 도시, 그리고 아직 채 성년이 되지 못한 미성년이 바라보는 도시적 삶의 시선을 이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고향을 상실하고 현재의 삶을 원망하는 부모세대의 이주자들과 도시 속에서 성장해가는 소년과 소녀의 미정형의 유동성이 대조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농촌공동체에 대한 강렬한 향수와 새로운 도시적 삶에 대한 미지의 동경이 교차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데 인천이라는 도시를 배경으로 한국적 근대성이 그렇게 표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인천의 읍격 변화와 그 원인 연구

        서영대(Suh, Young-da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인천학연구 Vol.13 No.-

        이 글은 고대에서부터 조선시대까지 인천(원 인천)의 읍호와 읍격의 변천 과정을 정리해 본 것이다. 원래 인천은 비류국 또는 미추국이었으나, 기원 전후 무렵에 백제의 영역이 되었고, 백제에서는 이를 彌鄒城이라 했다. 그러나 고구려 광개토 왕에 의해 4세기 말 고구려의 영토에 편입되었고, 고구려에서도 이를 미 추성이라 했는데, 지방조직에서의 위상은 縣級 정도의 성이었다. 그러다 가 6세기 중엽 신라가 한강 하류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신라에 통합되었 고, 新州 관할 하의 한 성이 되었다. 이때 역시 인천의 위상은 縣級 정도 였고, 지방관으로는 현급의 장관인 道使가 중앙으로부터 파견되었을 것으 로 짐작된다. 한편 통일신라시대에는 신라의 지방제도가 더욱 체계화되면서 인천은 栗木郡의 領縣이 된다. 그리고 757년(경덕왕 16) 경덕왕이 한화정책의 일 환으로 지명 개정을 추진할 때는 邵城縣이 되었다. 그러나 경덕왕의 개 혁이 실패로 끝나면서, 소성현은 다시 매소홀현이나 미추홀현으로 환원되 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려시대 인천은 1018년(현종 9) 樹州의 임내가 되어, 고려의 지방제도 속에 처음으로 일정한 위치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임내이기 때문에 중앙으로부터 지방관은 파견되지 않았고, 통솔은 향리층에 의해 이루어졌 다. 그러나 숙종 때는 경원군으로 승격되는데, 그것은 숙종의 思母의 정 과 인주 이씨 세력의 무마가 목적이었다. 이때부터 인천에는 지방관이 파견되는 등, 인천의 위상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나아가 인종 초년에는 다시 仁州로 승격되는데, 그것은 인종의 어머니에 대한 애정과 함께 李資 謙의 입김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경원군에서 인주로의 변화 는 인천의 영역의 확장과 주변 군현과의 영속관계 확대 등, 인천의 위상 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1390년 경원부로 승격되었는데, 그것은 공양왕이 신종을 매개로 왕권의 정통성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조선시대에도 인천의 읍격 변화가 일어난다. 시작은 태조가 경원부를 인주로 다시 환원하는 조치였는데, 그것은 고려의 정통성을 부인하기 위 한 것이었다. 그리고 1413년에는 인천군으로 개명하는데, 이때 처음으로 인천이란 지명이 등장한다. 이어서 1459년에는 인천은 도호부로 승격하 는데, 그것은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외향이기 때문이었다. 이로서 인천 의 읍격과 위상은 일단 안정되었으나, 광해군 때·숙종 때·순조 때 도합 3차례 현으로 강등된 적이 있었다. 이처럼 인천의 읍호와 읍격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지만, 인천 자체는 해체되거나 분해되지 않고, 하나의 고을로 수천 년을 유지해 왔 다. 이 점이 바로 인천의 저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aimed at the village promotion and demotion of proper Incheon in historical times and it's causes. Incheon had been Michu state. About 1st century B.C., Michu state merged in Bakjae dynasty and Baekjae called it as Michu Castle(彌鄒城). In late 4th century, King-Gwanggaeto(廣開土王) of Goguryeo dynasty, attacked Incheon and made it as his territory. In this time, Incheon was also called Michu or Maeso(買召) Castle and the grade of Michu Castle in local system of Goguryo was Hyun(縣), a kind of small local unit. In 6th century, Incheon was conquered by Silla dynasty and it's grade in local system of Silla was Hyun. The governors of Hyun in Silla were titled Dosa(道使), so it is not difficult to assume Maeso castle's governor was called Dosa. After Silla unified Goguryeo and Baekje In 7th century, Silla fully equipped his local system and Incheon belonged to Yulmok county(栗 木郡) in this course. In the 757, King Kyungduk(742~765) changed Maeso's name to Sosung-Hyun in the course of political reformation. But King Kyungduk's reformation denied by aristocrats of Silla, so name called Sosung returned to Maeso. Next of Silla was the Goryeo dynasty. In the 1018, Incheon belonged to Su-Ju(樹州), but the local governor of Incheon did not despatched by government of Goryeo dynasty and it was governed by local influential persons called by Hangli(鄕吏). But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1095~1105), Incheon promoted to higher level in local systems of Goryeo as Gyungwon-Gun or Gyungwon county(慶源郡). This was to appease In-Ju Lee families who were originated from Incheon and most influential family at that time. King Injong(1122~1146) also upgraded the Incheon as In-Ju(仁州). The Ju was higher grade of Kun in Goryeo. And the reason of promotion in this case also influenced by Lee Jagyum (李資謙) one of In-ju Lee's families, who was not only grandfather on king Injong's mother's side but also king Injong's father in law. In the 1390, King Gongyang promote the Incheon to Gyungwon-Pu for legitimation of his authority as king. After the Goryo dynasty, the Chosun dynasty was build in the 1392 and there are many times of village promotion and demotion in Chosun dynasty. The first was demotion of Gyungwon-Pu to In-Ju and the reason of this demotion was to deny legitimation of Goryo dynasty. In the 1413, Incheon was demoted to Incheon-Kun(仁川郡). But in this case, the reason of demotion was not political but practical, i.e. Incheon did not have sufficient conditions such as enough populations and area, which Ju must have. In spite of demotion, this has very important meaning because name of province Incheon was appeared first time in history. In the 1459, Incheon upgraded to Dohopu(都護府), because Incheon was hometown of Queen Junghee's mother. From this to the 1895, the grade of Incheon in local administration system was Dohopu. But there were exceptions in three times. The first was period of the King Gwanghae(1608~1623), the second is period of the King Sukjong(1674~1720). In all this case, Incheon demoted from Incheon-Dohopu to Incheon-Hyun and the reason of demotion was a kind of punishment for revolt of villagers. But term of demotion did not over the ten years.

      • KCI등재

        인천감리서 터의 구성과 변천과정 연구

        손장원(Sohn, Jang-W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7 인천학연구 Vol.27 No.-

        감리서는 조선시대 지방행정 관서가 수행했던 기능에 외국과의 통상업무, 비자발급, 조계지관할, 외국인과 조선인 사이에 일어나는 각종 쟁송 등을 관할하던 개항장에 설치된 지방관아였다. 조선시대의 중요한 행정관서임에도 존속기간이 짧고, 감리서의 기능을 이어받은 일제가 흔적을 지워나갔기 때문에 관련 자료가 부족해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근대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는 감리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료 확보가 비교적 쉬운 인천감리서를 고찰했다. 인천감리서는 개설이후 1년간 화도진사를 사용하다가 1884년 8월에 이르러 조계지 인근으로 옮겼다. 인천감리서가 신축이전한 부지는 개설이후 134년이 지난 현재에 이르러 여러 개의 필지로 나누어져 있으나, 전체 대지는 비교적 온전한 형태가 가구(街區)로 남아있다. 인천감리서가 입지했던 장소는 지리적으로 인천개항장의 중심지에 해당하는 곳이었으나, 일제가 인천을 항구와 항구인근에 세워진 일본조계지를 중심으로 도시를 운영하여, 법원 이전 전까지는 발전이 지체되었다. 인천감리서의 대지규모는 다른 지방관아에 비해 협소했으며, 향청과 객사를 설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인천감리서 안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우체사인 인천우체사는 물론 법원과 검찰, 학교도 세워졌다. 결과적으로 인천감리서는 근대인천의 행정, 사법, 교육, 경찰, 행형, 통상의 시발지이다. 경성감옥 인천분감에서는 백범 김구선생이 수형생활을 했던 곳이며, 연구진행 과정에서 관련 도면을 입수하기도 했다. 아울러 근대기 외래문물의 영향으로 주로 외국인이 세운 건축물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졌던 인천지역 근대건축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본 연구를 통해 감리서 터의 입지적 특성과 변천과정, 감리서 안에 세워진 각종 시설물을 살펴보았다. 추후 인천감리서를 구성했던 관아건축의 원형과 행정제도 개편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조선후기 감리서 건축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Kamni Office is a regional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tablished for commercial intercourse with foreign countries. The Kamni Office also took charge of the visa issuance and the charge for supervising concession and port. The Kamni Office was an important administrative org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Japan"s invasion was wiped out. Japan destroye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Kamni Office and destroyed the building. Therefore, research was difficult due to lack of data on the Kamni Office. However, recent photos, maps, and drawings of Incheon Kamni Office have been found. The study is about Incheon Kamni Office. Incheon Kamni Office stayed for one year after its opening in Whadojin(花島鎭) in Incheon. In August, 1884, Incheon Kamni Office moved to concession near Port of Inchon. Incheon Kamni Office has been 134 years since the opening of Incheon. The building was completely gone, and an apartment was built. However, the entire land remains intact. Incheon Kamni Office was the center of Inch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cheon Kamni Office was smaller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 offices. In Incheon Kamni Office, the post office, the courts, the prosecution, and the school were built. Kim Gu was imprisoned in Incheon Kamni Office. In 1935, the Incheon Kamni Office building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construction of a new court building in 1935.

      • KCI등재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