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북지역의 박귀희 명창 기념 활동

        김석배,서혜은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4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3 No.-

        향사 박귀희는 가야금병창과 판소리의 명창으로서 국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박귀희 명창을 기리는 기념사업을 정리하여 향후 향사 기념사업의 발전에 기여하 고자 했다. 이를 위해 (1)향사 박귀희 명창 기념공연, (2)향사 가야금병창 전국대회, (3)향사 가야 금병창 아카데미, (4)향사 박귀희 명창 학술대회, (5)그림자인형창극, (6)향사 아트센터 건 립 등 향사 기념사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앞으로 향사 기념사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제로 (1)박귀희 명창이 남긴 음악 자료와 『향사 박귀희 가야금병창곡집』(세광출판사, 1979)과 박귀희 자서전인 『순풍에 돛 달아라 갈 길 바빠 돌아간다』(새소리, 1994)의 복간, (2)박귀희 명창에 관한 연구서, 『박귀희 전통공연예술활동 자료집』과 『박 귀희 평전』의 발간, (3)향사 도서관 및 향사 박물관을 건립, ‘향사대상’ 제정의 필요성 등 을 제안하였다. Park, Gwi-hui as a great singer of gayageumbyeongchang and pansori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to commemorate Park, Gwi-hui by arranging the programs in the project in Gyeongbuk Province. For the above purpose, I explored the present state of the following programs done by Hyangsa Ginyeomsaeophoe: (1) a commemorative concert for Hyangsa Park, Gwi-hui, (2) a national competition of gayageumbyeongchang for Hyangsa, (3) an academy of Hyangsa gayageumbyeongchang, (4) a conference for Hyangsa Park, Gwi-hui, (5) a Korean classical opera by shadow puppets, (6) the construction of Hyangsa Art Center. Additionally, I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the commemorative project for Hyangsa Park, Gwi-hui.

      • KCI등재후보

        한국 서원 의례의 종류와 의의: 강학례, 향사례 그리고 향음주례

        한재훈 ( Han¸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강학(講學)’은 학문적 내용을 강명(講明)하는 것이다. 그것은 혼자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고, 여럿이 함께 하는 것이 훨씬 유효하다. 율곡은 책을 함께 읽고 의리(義理)를 강명하는 것이 강학을 하는 근본 목적이라고 했고, 퇴계는 의리를 강명하는 것은 결국 삶을 온전히 살아내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한국서원은 강학의 이와 같은 의미를 의례화함으로써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이 갖는 학문적·실천적 중요성을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자각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것이 이른바 ‘강학 의례’이다. 당대(唐代)에 장서(藏書) 기능으로 출발한 서원은 이후 강학(講學) 기능이 더해졌고 북송(北宋)시대에 향사(享祀) 기능이 더해졌다. 서원 향사 의례의 독자적 위상은 아무래도 남송(南宋)시대에 주자가 창주정사(滄洲精舍)에서 봉행한 석채의(釋菜儀)를 기점으로 형성되었다. 중국의 서원 향사는 공자(孔子)를 향사 대상으로 하는 데 비해, 한국의 서원 향사는 대체로 공자를 향사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향사에 진설되는 제품(祭品)의 규모의 차이로도 연결되었다. 한국 서원의 향사 의례는 자신의 좌표를 향교(鄕校)와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주례(周禮)』에 따르면 ‘향음주례(鄕飲酒禮)’를 제정한 목적은 크게 ‘흥현(興賢)’과 ‘상치(尙齒)’ 두 가지다. 향음주례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이 의례의 시행 장소가 ‘학교’라는 사실이다. 향음주례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역대 국가는 ‘독약(讀約)’ 또는 ‘독률(讀律)’ 조항을 첨가하고, 시행 장소도 관청으로 변경하면서 향촌 지배의 목적으로 이 의례를 이용했다. 조선의 향음주례는 당·송·명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그대로 답습하기보다는 새로운 노선을 개척했다. ‘독약’ 또는 ‘독률’로 상징되는 국가 주도의 향음주례를 지양하였고, 향음주례를 시행하는 장소 역시 관청이 아닌 ‘학교’로 바로잡았다. 16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향교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서원이 등장하였고, 자연스럽게 향음주례도 서원에서 시행하게 되었다. First, Korean Seowon ritualized the lecture at a personal or collective level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the 'Gungri(窮理: explore the law)' required in the learning process to make human behavior conform to the law of nature. The Ganghak ritual can be divided into the Hoegang (會講: gather together to study) and the Ganghoe(講會: gather to demonstrate one's study), and they were again composed of rituals that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 Gaejeop(開接: start a study group), a Geojeop(居接: live in a study group) and a Pajeop(罷接: complete a study group). Next, the Korean Seowon has improved the ritual of 'Hyangsa' in order to clarify the standard of 'Dotong(道統: Succession of the Way)' raised in the perception that the scholar, the authority of the Way, is the subject leading the world. To this end, the coordinates of Seowon Hyangsa were set in the middle of the Munmyo(文廟: national official shrine) and Hyangsa(鄕祠: a local shrine), and the target was also select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Taoism. To this end, Seowon first set his coordinates in the middle ofthe Munmyo(文廟: national official shrine) and Hyangsa(鄕祠: a local shrine), and set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acrifice objects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the Dotong. And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they have improved all kinds of rituals such as the time of sacrifice and the food to be sacrificed. Finally, according to the Jurye(周禮), there are two main purposes for establishing Hyangeumjurye(鄕飲酒禮), ie a drinking ceremony held in the local village. One is to recommend good talent, and the other is to respect older people. Another thing to pay attention to in this ceremony is the fact that the venue for the ceremony is school. China's previous dynasties used this ceremony with the aim of making its people submissive. In Joseon, however, the state did not lead this ceremony and the place where it was implemented was changed to a school. Seowon, which emerged in the 16th century when it criticized the actual state of the Hyanggyo, naturally implemented this ceremony on its own.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 학규의 시기별 경향-16세기~18세기를 중심으로-

        한재훈 ( Han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서원은 ‘강도(講道)’와 ‘존현(尊賢)’이라는 목적을 갖고 설립되었다. 이 두 가지 목적은 각각 강학(講學)과 향사(享祀)를 통해 수행된다. 서원의 학규는 서원이 이와 같은 설립 목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의는 어디까지나 원론적인 정의일 뿐이다. 실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그렇듯 서원 역시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 반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조선시대 서원의 학규 역시 그것이 제정되는 시기별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서원의 개척기라 할 수 있는 16세기 서원의 학규는 당시 서원 창건을 선도했던 퇴계와 율곡 같은 인물들이 서원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학문적 이상을 담아내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17세기 서원 학규의 특징은 16세기 학규를 계승하면서도 이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학규로서 보다 완정한 체계를 갖추어 간다. 18세기 학규는 이전의 학규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 시기 학규는 당시 서원의 기능이 ‘향사’에 집중되는 현상을 반성하면서 ‘강학’의 기풍을 진작하는 내용들로 채워진다. 조선시대 서원의 학규는 이렇게 시대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해가는 경향을 보여줌과 동시에, 때로는 학파적 전통을 계승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학파의 경계를 넘어 소통하면서 시대가 요구하는 내용을 반영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seeking the truth and commemorating ancient sages. These two purposes are carried out through Ganghak(discussion learning) and Hyangsa(memorial rites), respectively.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specifically present the contents necessary for Seowon to fulfill these purposes of establishment. However, this definition is only a theoretical definition. As with everything that actually exists in the world, Seowon has no choice but to respond to the conditions of time and space. Therefore,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Confucian Academy in the Joseon Dynasty also show different trends depending on the time it was enacted.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established in the 16th centur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ioneer period of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t means that the academic ideals that the figures such as Toegye and Yulgok, who led the creation of Seowon at the time, tried to realize through Seowon are contained in the academic regulations. In contrast,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17th century is that it inherits the academic regulations in the 16th century, but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it has amor ecomplete s ystem as a academic regulations. The 18th-century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show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academic regulations. During this period,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reflected on the phenomenon that the function of Seowon was concentrated on “Hyangsa”(memorial rites) at the time, and was filled with contents that boosted the spirit of “Ganghak”(discussion learning) The Academic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showed a tendency to change and develop the times, and sometimes inherited school traditions, and in some cases, they communicated across the boundaries of schools,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 KCI등재

        『임관정요(臨官政要)』를 통해 본 순암 안정복의 수령정치론

        홍해뜸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suryong politics, Ahn Jeong-bok explored alternative strategies while still referencing the contemporary popular text, Mokminseo. He quoted classic texts like Jurye to reinstall Goje in Joeseon period. By reforming Goje to Hyangsa Law, he sought to reform hyangchon, the rural society. His intention was to create a more refined community than Ogatongsamu and Myeonlije. He saw suryeong as a leader of a hierarchical system, where the authorities of the lower level would be organized thereby effectively permeating the state power throughout the rural society. To cooperate with rural society, he also delegated certain authority and roles to the heads of villages. While Hyangsa Law could not be instantly implemented, Ahn Jeong-bok devised Dongyak to compensate Hyangsaw Law. He actively sought to incorporate sajok to Dongyak as a way of integrating them into the public system: He conceived Dongyak to be a unit that suryong could effectively use for administrative purposes. His approach of combining the public and private authorities was a big shift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Mokminseo from the 18th-century Mokminseo, especially Mongmingo. Ahn Jung-bok sought to enhance the political power of suryeong through local governance. He also designe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that suryeong would be able to use. Ahn Jung-bok was a vocal critic of the contemporary operation of the leader system. He insisted that, in order to cultivate desirable leaders, there should be an ethical and just politics and leaders should be equipped with capacity and varying abilities. Instead of bound by customs, he emphasized that suryeong should be proactive in their governance in accordance with the law and by support of the system. As much as he highlighted the role of suryeong, he sought to encourage their cooperation with Sajok. He also claimed that the governance of suryong should be based on trusting relations with local officials thereby preventing social unrest in rural areas. 안정복은 자신의 학문과 경험을 토대로 임관정요를 편찬하였다. 안정복은 「정어」장에 고전을 주목하며 주례를 인용하였고 통치의 대체로 삼아, 향수제 등 고제를 조선 현실에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물이 부록에 실린 향사법으로, 이를 통해 향촌 사회를 새롭게 재편하고, 통치질서 정립을 시도하였다. 향사법은 오가작통제와 면리제의 한계를 해소하는 것으로 통-갑-사-향-관으로 이어지는 위계를 설정하고, 통수, 갑장, 사정, 향장의 역할과 권위를 정리하였다. 향사법을 통해 관과 향의 위계를 형성하여, 수령의 공권력이 향촌 사회 곳곳에 미치기를 기대하였다. 아울러 향사법에 사족을 참여시켜, 관권과 향촌사회 힘을 결합하고자 하였다. 안정복은 향사법을 현실에 구현하기 힘들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수령의 동약 시행을 주장하였다. 안정복은 정교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는 동약을 통해 가능하리라 믿었다. 임관정요에서는 수령에게 동약 시행의 책임을 부여하고 동약을 통해 사족과 민을 수령정치에 포섭하고자 하였다. 안정복은 향사법 구상과 동약 시행을 통해 수령권 강화를 모색하였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운영 방략을 고민하였다. 안정복은 세속의 수령을 비판하면서, 수령이 법도에 맞는 적극적 행사와 장기적 안목을 통한 실질을 구하는 정사를 펼칠 것을 당부하였다. 더 나아가 안정복은 바람직한 수령의 정치란 무엇인지를 고민하였고, 법도를 엄격하게 준수하면서도 시행과정에서 가혹함 대신 어질고 간편한 정치인 ‘순량’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수령의 교를 강조하며, 수령의 역량과 능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안정복은 순량의 원칙에 부합한 부세운영 방안을 정리하였다. 수령이 습속에 얽매어 통치하는 것 대신 법과 제도에 따른 통치를 긍정하였고, 수령의 적극적인 책무를 강조하였다. 수령의 부세 운영에 향소를 비롯한 관속 및 사족의 협력을 이끌어 성과를 이루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형장을 통한 강제적 시행 대신 향촌 사회의 동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온건하게 여러 세력과의 신의에 기반한 정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향사 박귀희의 한국음악사적 행적

        김승국,정충권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2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1 No.-

        이 연구는 향사 박귀희(본명 : 吳桂花)의 출생과 학습과정, 당대의 최고의 예인으로서 의 예술적 역량과 행적,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그녀의 행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음악사에 있어서 그녀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공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박귀희의 출생과 가정환경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중시한 것은 1921년 향 사 박귀희가 출생한 경상북도 칠곡군이 공교롭게도 가야국 가실왕 때 우륵이 열두 줄의 가야금을 만들던 곳이었기에 장차 가야금병창의 명인인 박귀희의 출생과 맥을 이루고 있 다는 것이다. 2장에서는 박귀희가 명인으로서 성장하게 되는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녀는 1931 년 대구 보통학교 3학년 때부터 박기홍 문하에서 소리공부를 시작하여 이화중선, 장판개, 박동실, 조학진, 유성준, 박녹주, 이기권 문하에서 판소리를, 강태홍, 오태석으로부터 가 야금병창을 사사하였으며, 김남수로부터 승무, 박전무, 검무, 살푸리춤 등을 사사하였다. 이러한 학습과정을 거쳐 20세가 되던 1940년에 조선일보 주최 전국명창대회에서 장원을 수상하면서 명창의 대열에 끼게 되었다. 이후 수많은 경연대회의 최고상을 수상하면서 기량이 원숙해졌으며 충실한 가야금병창 전승과정을 거치면서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로 인정되기까지의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박귀희의 음악세계와 예술활동의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그녀 의 음악세계를 살펴보았는데, 그녀는 소리꾼으로서는 동편제의 법통을 이어받은 유성준 의 제자로서 동편제에 속하고, 가야금 병창으로는 고종 때 가야금의 명인인 박팔괘의 정 통 가야금병창의 맥을 이은 오태석의 제자로서 정통 가야금병창의 법통을 이어 받았다.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은 물론 창극과 여성국극의 발전과정에 있어서 큰 자취를 남긴 폭넓 고 예술세계를 가진 예인으로서의 박귀희를 조명해보았다. 다음으로는 그녀의 예술활동 의 영역을 살펴보았는데 그녀의 주 영역은 창극과 여성국극, 그리고 가야금병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가 1943년에 주도적으로 결성한 ‘동일창극단’을 통하여서는 주로 창극을, 1945년에 결성한 ‘여성국악동호회’에서는 주로 여성극극의 진흥과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 을 하였으며, 가야금병창을 통한 공연활동은 상기 두 공연예술단체의 공연활동과 병행해 갔으며 국악작곡 활동과 전래 민요 발굴 및 보존활동에도 헌신한 공적도 조명해 보았다. 4장에서는 국악교육에 대한 그녀의 행적과 공적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자로서의 박 귀희는 어떠한 인물이었는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박귀희가 1960년에 개교하여 오늘 날 국립전통예술중고등학교로 성장한 민족사학 ‘국악예술학교의 설립에 있어서 기산 박 헌봉과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공적과 학교설립 후 학교발전을 위한 그녀의 헌신적인 공적 을 설립과정, 설립 후 학교발전에 끼친 공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1961년 일본 동경에 한국전통예술의 세계화를 위하여 설립한 민속예술학원인 ‘한국무악원(韓國舞樂 院)’의 설립 과정과 설립 후 운영에 대하여 살펴보아 국악교육에 대한 그녀의 행적과 공 적을 조명해보았다. 향사 박귀희는 우리 전통음악의 정체성 확립을 통하여 국악의 예술적 발전에 크게 기 여하였으며, 국악의 세계적 진출을 꾀함으로써 국악의 위상을 드높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악교육의 기반을 구축하고 정상화를 기하는데 큰 역할을 한 한국음악사의 중요한 예인 지자 교육자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의례의 전승에 관한 연구

        이창언(Lee Chang-Un)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이 연구는 동일한 생활권역에서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인물에 대한 수 백 년 동안 지속된 사족 중심의 향사와 기층민 중심의 동제가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양상으로 전승되었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의례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의례의 구성요소에 국한하지 않고, 의례의 전승에 수반된 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한 의례 주체의 대응에 주목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의 변천에 따른 주재집단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의례 전승과의 상관성에 주목함으로써 의례 재생산의 의의를 살펴보고, 그 전승과 보존의 새로운 방향을 점검해 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족 중심의 향사는 유교적 가치관의 실천이라는 의례적 의미와 함께 조선시대 사족들 사이에서 향촌사회의 주도권 다툼과 관련하여 그리고 평민들에 대하여 우위적 관계를 유지하는 상징적 자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유교적 숭배 인물에 대하여 마을굿 방식의 제의를 행하는 민촌의 동제는 의병장의 영웅적 투쟁과 의로운 죽음에 대한 민의 칭송과 애석함을 반영함으로써 독특한 제당구성, 신격 및 제의절차를 보이며 전승되었다. 동일한 역사적 인물에 대한 두 의례는 시대적 변화 과정에서 새로운 상징적 의미를 생성하였다. 서원철폐령과 근대 이후 새로운 사조의 범람으로 전통적 사회질서의 기반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사당을 복원하고 향사를 지속한 것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재집단의 적극적인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민촌의 동제도 액을 물리치고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적인 의미 외에 근대를 거치면서 달라진 전승 주체의 새로운 위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이로써 두 의례는 지역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거시적 사회과정의 역동성에 대한 대조적인 대처 양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수백년 동안 전승된 두 의례는 후기 근대적 상황에서 상이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농촌인구의 과소화와 고령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의례전승 기반이 약화되었으며, 이런 양상은 의례 수행의 어려움이 많은 향사의 경우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의례의 개방화와 관련 유적의 문화재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의례 운용의 공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사회는 다양한 세력과 이해관계가 경쟁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전승 기반이 약화된 후기 근대적 상황에서 지역의 의례는 새로운 관점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ing phases of the rituals lasted for several hundred years in local society. The rituals carried out in two different villages in Hyoryeongmyeon, Gunwi-gun are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same historical figure who palyed an important part for defeating Japanese soldiers in local are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the way the supervision group, the procedure and significance of the rituals are different from the each other. The one called Hyangsa(享祀) have been held by a few of elite lineage groups in local society by course of the Confucian worship procedure. For the elite lineage groups, the ritual have had a symbolic meaning for their solidarity.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y have competed with some other elite lineage groups for taking charge of the hegemony in local society. And they also have domineered over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who sometimes have revolted against the ruling upper classes. So they needed to organize and hold the ritual which symbolized their social and political basis. The other called Dongie(洞祭) have been held by the lower class by course of a traditional shaman way. They changed the divinity from the natural divine to the historical figure after the monument was established in their village. Because they needed the great power which the historical figure had possessed enough to overcome evil deities. In modern society, the basis of transmitting the rituals is generally weakened because of the rapid decrease and ageing of rural population in the course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But the responses of supervision groups of the rituals to these changing circumstan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lite group would like to open the ritual to the public and seek to hand on the management of the ritual to the public institute. In the other hand Dongje is still carried out with the high concerning of the villager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s of change i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rituals. For the supervision group of Dongje, the ritual and divinity symbolize their changing status and prosperity. So, the changing circumsrances differently operates transmitting the local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