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 소크라테스의 논박

        이상인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우리의 논의의 목표는 소크라테스의 논박이 그의 산파술이 추구하는 적극적인 진리 인식의 정신을 구현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의 의의와 필요성을 두 가지 해석적 시각으로부터 해명하였다. 하나는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피스트류의 답변자들이 소크라테스가 소극적 비판으로 일관한다는 것을 근거로 그의 진리추구의 정신을 부도덕한 위선으로 왜곡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논박을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으로 체계화한 로빈슨과 블라스토스 역시 논박을 바라보는 ‘소피스트적’ 시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논박을 (1)본성상 사적이고 개인적인, (2)방법적으로 불완전한, 그리고 (3)이론적 인식과 무관한 순수한 실천적 탐구로 규정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논박을 ‘질문자’로서, ‘무지자’로서, 그리고 ‘산파’로서 철학하는 초기대화편의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적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고, 다음 세 가지 사실을 밝혔다: (1) 논박은 모순율이라는 초개인적 규칙 하에서 주장 p를 시험하고 부수적으로 주장 p의 주장자나 그의 삶을 비판하는 ‘비개인적인’ 탐구이다. (2) 논박은 답변자가 p를 주장할 때 암묵적으로 전제하거나 수용하는 확신들로부터 p와 ∼p의 참을 동시에 연역함으로써 ‘무엇물음’에 대한 ‘올바른’ 답변으로서의 자격을 ― ∼p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 p와 ― p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 ∼p 모두로부터 박탈한다. 따라서 p와 ∼p 가운데 어느 하나를 거짓으로 선택해야 할 논리적 필연성은 없다는 ‘논박의 문제’는 대화편에 존재하는 않는 허구적 문제이다. (3) 논박은 p와 ∼p의 모순이 피정의항의 구별가능성을 지양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답변자에게 ‘구별’을 통해 ‘인식’을 계속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내면화시키며, 실제로 답변자는 형상의 구별가능성을 드러내는 데 보다 적합한 정의항을 발견하는 데까지 나아감으로써 스스로 형상 인식을 위한 논박의 적극적 효력을 입증한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논박에서 그의 산파술이 추구하는 적극적인 진리인식의 정신을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는 것뿐 아니라 ‘소피스트적’ 시각이나 그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현대적 해석 시각이 소크라테스의 철학하는 고유한 방식을 본질적으로 왜곡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klarzumachen, wie sich die positive Suche der Sokratischen Maieutik nach dem Erkennen der Wahrheit in seinem Elenchos zeigt. Wir haben den Wert und die Notwendigkeit dieses Problembewusstseins aus zwei Deutungssichten erlaeutert . Erstens, die Gegner des Sokartes in den Dialogen verzerren seine ernste Suche nach der Wahrheit aufgrund dessen als eine unmoralische Heuchelei, dass er immerhin seinen Genger der negativen Kritik unterwift. Zweitens, R. Robinson und G. Vlastos, die den Elenchos als eine systematsiche Methode des fruehen Sokrates rekonstruiert haben, nehmen die ‘sophistische’ Perspektive zum Teil an und legt den Elenchos als die rein praktische Suche dar, die der Natur nach privat und persoenlich, und methodisch mangelhaft ist, und mit der theoretischen Erkenntnis nichts zu tun hat. Wir haben den Elenchos als dialektische Methode des Sokrates in den fruehen Dialogen zu deuten versucht, der als Fragender, der Unwissender und intellektuelle Herbamme philosophiert, und folgende drei Ergebnisse hervorgebracht: Erstens, der Elenchos ist eine unpersoenliche Suche, die v.a. die Behauptung p an dem Widerspruchssatz prueft und nebensaechlich den Behauptenden und sein Leben kritisiert. Zweitens, der Elenchos, indem er die Wahrheit der p und ∼p aus den Meinungen deduziert, die der Antwortende, wenn er behauptet p, implizit voraussetzt oder annimmt, erweist die ― notwendig die ∼p begeitende ― p und die ― notwendig die p begleitende ― ∼p zugleich als ‘unrichtige Antwort’ auf die Was-Frage. Daher ist das sog. Problem des Elenchos, dass es keine logische Notwendigkeit gibt, eine von p und ∼p fuer falsch zu halten, kein echtes Problem des Elenchos. Drittens, der Elenchos, der unmissverstaendlich zeigt, dass die Kontradiktion der p und ∼p die Unterscheidbarkeit des definiend erhebt, fordert den Antwortenden die Notwendikeit auf, anhand der Differenzierung immerhin die Erkenntnis des Eidos zu suchen, und der Antwortende brweist die positive Wirkung des Elenchos fuer die Erkenntnis des Eidos, indem er das definiens tatsaechlich findet, das zur Klarmachung der Unterscheidbakeit des Eidos viel mehr angemenssen ist. Aus der bisherigen Diskussion koennen wir feststellen, sowohl dass Sokrates in seinem Elenchos seine meieutische Suche nach dem Erkennen der Wahrheit ausgezeichnet praktiziert, als auch dass die Perspektive der modernen Elenchos-Deutung, die zum Teil von der sophistischen abhaengt, die eigenartige Weise des Sokrtischen Philosophierens wesentlich verzerrt.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김석완 ( Suk Wan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지금까지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이라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근거해서 이루어져 왔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메논』까지를 초기대화편으로 설정하고 이 대화편들을 관통하는 일정한 패턴을 탐구함으로써 사람들에 대한 캐물음과 검사를 통해 혼을 염려하고 사람들을 도덕적 삶으로 이끄는 소크라테스 방법론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초기대화편이 허구적 성격을 띤 문학적 창작의 산물이며 따라서 역사적 소크라테스를 회상하고 그의 실제 모습을 객관적 기록으로 남기기보다 플라톤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한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비교적 사실적인 기록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유일하며 나머지 작품들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그 상속인을 자처하는 플라톤의 사유가 혼재되어 그 경계를 확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자는 초기대화편이 문학적 허구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초기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사유와 철학 방법론을 구분할 수 있고 또 마땅히 구분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근거해서 지금까지 역사적 소크라테스와 등장인물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을 구분하지 않고 무원칙하게 혼재시키는 오류를 비판하고 역사적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실존적 방법`으로,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론을 `전문가적 방법`으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ocrates` elenchos. The research into elenchos up to the present has been based on the unverified hypothesis that Plato`s dialogues of the early period are the historical documents about Socrates. It would have been thought that one can find out the substance of the Socratic method, if one investigated a regular pattern through the earlier works. But Charles Kahn puts forward the claim that Plato`s earlier writings are a fictional form in which there is no reason to look for the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Socrates are a literary fiction, and in which Plato intended to develop his own philosophy instead.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only one document about the historical Socrates is just Apology. I`ll try to reconstruct elenchos, the philosophical method of the historical Socrates, criticizing the misinterpretation to mix Socrates` with Plato`s method imprudently. In Apology Socrates insists that he has no wisdom about good life and the unexamined life, however, is not worth living. He obviously has a few of standards to which he appeals in making his examinations of others: his interlocuters must say only what they believe; the discussants must agree on the moral proposition of Socrates-one must not in any circumstances do wrong; eventually he examines their lives. Socrates is interested, not merely in the truth or falsehood of what people say or believe, but rather in the ways in which they live. This examining method of life is called elenchos, the practical method which aims at perfection of the Self through anxiety about soul and care for the Self. Elenchos is not a systematic but a very individual method which is appli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history and character differently. I will call it `existential method`. Plato identified oneself as the heir of Socratic philosophy, but had to solve its dilemma at the same time. He needed to bridge the discrepancy between his ignorance of wisdom and his moral belief and practice on the one hand, to develop the personal and unsystematic method of Socrates on the other hand. Plato proposed craftsman`s method as an alternative of his individual method, succeeding the Socratic life to search for wisdom. As trainer and doctor care for bodily health by m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so Plato`s method needs a specialist to care for health of soul with his moral knowledge. This method had already been conceptive for the dialogues of definition which announce the idea of the good as nature and essence of virtue.

      • 소크라테스 대화법 엘렌코스(Elenchos)에 나타난 토론교육의 철학적 의미

        김현경 ( Kim Hyun-kyung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19 독서아카고라연구 Vol.1 No.-

        본 논문은 이제까지 플라톤의 대화편에 다양하게 표출되어 있는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단계별로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소크라테스 대화법의 핵심을 간략히 정리해 보자면, ‘아이러니’를 통해 ‘무지의 지’를 상정함으로써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난 지적 제로 베이스를 기준점으로 삼은 다음, ‘엘렌코스’의 활동, 즉 끊임없는 비판과 회의(skepticism) 과정을 통해 기존에 무반성적,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던 모든 정보 및 지적 판단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기존의 지적 상태가 가진 문제점을 깨닫고 새로운 지적 지평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러니의 철학적 의미는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깨달음으로 해서 진정한 배움의 출발점이 되며 한계가 많고 오류가능 한 인간의 처지에서 지혜로움의 최상의 형태는 역설적이게도 자신의 무지와 오류가능성에 대한 겸허한 성찰이라는 점이다. 엘렌코스의 철학적 의미는 토론교육이 논리적이고 이론적 검토와 함께 토론자의 경험과 구체적인 삶에 대한 평가와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포리아의 철학적 의미는 토론의 결과보다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점이다. 우리 교육의 토론교육이 지나치게 승패에 집착하는 현실에서 토론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토론교육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Socratic Elenchos’s important conception is Irionic, Elenchos, Aporia. Irionic presupposes the knowledge of ignorance. Elenchos examines the common notion critically. Aroria means that we have many problematic and uncritical knowledges and must pursuit examined and certain knowledge in open prospect Philosophical meaning of Ironic is that we must find our ignorance and pursuit real knowledge on that basis. Philosophical meaning of elenchos is that debate education must pursuit the evaluation and change of the experience and real life with logical and theoretical basis. Philosophical meaning of aporia is that the consequences of debate is less important than process of debate. This means that we must emphasize the process of debate education.

      • KCI등재

        철학 상담과 철학적 대화법 -플라톤의 대화편을 중심으로-

        장영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5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human mental problems which haven’t be solved by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This treatise aims to analyze Socratic conversation as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find out it’s fundamental elements. First of all we have to examine two basic condi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one is ‘telling frankly or freely’.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fferent from medical therapy. Philosophical counselor can’t diagnose and prescribe uni-laterally. Plato’s parrhesia is the clue of mutual communication 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e other is ‘hearing compassionately’.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have compassionate attitude toward client’s emotion or narratives, but to preserve at a certain distance from client. If not so, he or she can’t play a role as helper. Next we can find out some method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y are applicable to each case. First, it is the universal definition as method to reflect common sense and general belief. It can be cured mental pain and grief caused by social prejudices and virtues that has received or agreed unconsciously. Second, it is Socratic elenchos as method that makes his ignorance recognize by himself and helps him think critically. But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deal with it very carefully when he uses elenchos. Third, it is Socratic midwife-method that philosophical counselor help client find and analyze his problem and consider how does client to solve it for himself. So he have to take precautions against intervening client’s considering positively, and influencing to client’ decision too much. 현대에 이르러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중 하나로서 철학 상담은기존의 심리치료나 정신분석학적 치료 등과 같은 요법으로 접근하기 힘들거나해결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인간의 정신적 문제들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담당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학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분석하고, 철학 상담의 몇 가지 기본 요소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철학 상담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선 몇 가지 기본적인조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솔직히 말하기’이다. 철학 상담은 상담자가 일방적으로 진단하고 처방하는 의학적인 치료 방식이 아니다. 파레시아,즉 솔직히 말하기 또는 진실하게 말하기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소통을 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둘째는 ‘공감적 듣기’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서사에 공감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객관적 거리를 잃고 지나치게 빠져들게 되면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크라테스의 방법으로부터 철학 상담의 몇 가지 방법들을 도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보편적 정의를 통한 일반적인 상식과 통념을 깨트리는 방법으로 내담자가 일상적 삶 속에서 무심코 획득한 사회적 편견이나 가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이나 고통을 해소시킬 수 있다. 둘째, 논박술을통해 스스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방법이다. 그러나 철학 상담자가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사용할 경우에 매우조심스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철학 상담자는 산파술을 통해 내담자가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을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개입하여내담자가 자율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상담자가 자신의 입장을 직접 제시하여 내담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

      • 철학 상담과 철학적 대화법 -플라톤의 대화편을 중심으로-

        장영란 ( Chang Young-r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5 No.-

        현대에 이르러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중 하나로서 철학 상담은 기존의 심리치료나 정신분석학적 치료 등과 같은 요법으로 접근하기 힘들거나 해결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인간의 정신적 문제들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학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분석하고, 철학 상담의 몇 가지 기본 요소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철학 상담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선 몇 가지 기본적인 조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솔직히 말하기’이다. 철학 상담은 상담자가 일방적으로 진단하고 처방하는 의학적인 치료 방식이 아니다. 파레시아, 즉 솔직히 말하기 또는 진실하게 말하기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소통을 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둘째는 ‘공감적 듣기’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서사에 공감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객관적 거리를 잃고 지나치게 빠져들게 되면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크라테스의 방법으로부터 철학 상담의 몇 가지 방법들을 도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보편적 정의를 통한 일반적인 상식과 통념을 깨트리는 방법으로 내담자가 일상적 삶 속에서 무심코 획득한 사회적 편견이나 가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이나 고통을 해소시킬 수 있다. 둘째, 논박술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철학 상담자가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사용할 경우에 매우 조심스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철학 상담자는 산파술을 통해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개입하여 내담자가 자율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상담자가 자신의 입장을 직접 제시하여 내담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human mental problems which haven’t be solved by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This treatise aims to analyze Socratic conversation as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find out it’s fundamental elements. First of all we have to examine two basic condi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one is ‘telling frankly or freely’.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fferent from medical therapy. Philosophical counselor can’t diagnose and prescribe uni-laterally. Plato’s parrhesia is the clue of mutual communication 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e other is ‘hearing compassionately’.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have compassionate attitude toward client’s emotion or narratives, but to preserve at a certain distance from client. If not so, he or she can’t play a role as helper. Next we can find out some method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y are applicable to each case. First, it is the universal definition as method to reflect common sense and general belief. It can be cured mental pain and grief caused by social prejudices and virtues that has received or agreed unconsciously. Second, it is Socratic elenchos as method that makes his ignorance recognize by himself and helps him think critically. But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deal with it very carefully when he uses elenchos. Third, it is Socratic midwife-method that philosophical counselor help client find and analyze his problem and consider how does client to solve it for himself. So he have to take precautions against intervening client’s considering positively, and influencing to client’ decision too much.

      • KCI등재

        플라톤-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와 나가르주나의 공의 논리에 대한 상호문화적 읽기

        조해정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8 No.3

        This is the paper about the intercultural reading on Plato-Socratic elenchos and Nāgārjuna's Logic of emptiness based on the method of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of Mall. From an intercultural point of view, all the cultures in the world have their own different characters. bu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each other because of the overlapping (Überlappung). We can divide the concept of overlapping into that of the universal dimension and the particular dimension(the cases in the cultural context) of overlapping. Generally speaking, we can start intercultural dialogues from the universal dimension of overlapping, and then go through the cases, complete in the intercultural universal concept. The intercultural reading on Plato-Socratic elenchos and Nāgārjuna's logic of emptiness begins with the universal dimension of overlapping, which is the method of discussion to think or investigate philosophically. And then the intercultural reading lead to the particular dimension(the cases in the cultural context) of overlapping, name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imension of cases. The dimension of cases is divided into the side of the target and the refutation. There are two sides the target and the refutation, with which we want to expose the target, in elenchos and logic of emptiness. Indirect method and and logical legitimacy in refutation are the moment of similarities. but the structures of refutation, namely, the single negation in elenchos and the double negation in logic of emptiness, are the moment of differences. The similarities on side of the target aim not to fall into skepticism, because they have the philosophical position which we can expose through the refutation. The differences are the differences in the kinds of knowledges, the first is a kind of reasonable knowledge, the second is a kind of irrational/intuitive insight like Madhyamā Pratipad(中道). Therefore, in the intercultural reading on elenchos and logic of emptiness, the dimension of cases in overlapping(which appears in the moment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ies in the center, and the final aim is to demonstrate whether elenchos and logic of emptiness, though they have the moment differences, are the methods of philosophical argumentations or not. 본 연구는 말의 상호문화적 해석의 방법에 의거한 플라톤-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ἔλενχος)와 나가르주나의 공(śūnya)의 논리에 대한 상호문화적 읽기의 실제이다. 상호문화적 읽기의 관점에서 문화들은 모두 서로 다른 고유성을 갖지만, 중첩(Überlappung)에 의해서 대화는 가능하다. 중첩의 개념은 포괄적인 보편 차원과 문화적 맥락에서 전개되는 사례 차원의 중첩으로 나누어지는데, 대화는 포괄적인 중첩에서 출발하여 사례 차원의 여러 중첩의 계기들에서 세부적으로 조명되고 상호문화적 보편에서 마무리된다. 엘렝코스와 공의 논리에 대한 읽기는 양자 모두 철학의 탐구 내지 철학적 사유를 전개하는 논증 방법이라는 포괄적인 중첩을 출발점으로 하여, 맥락적인 사례 차원의 유사성과 차이의 계기들에 대한 조명과 유비의 과정으로 이어진다. 사례에서의 중첩은 논박과 목표의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엘렝코스와 공의 논리에는 논박과 논박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목표의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논박의 간접성과 논리적인 합법성은 유사성의 계기이지만, 엘렝코스의 단일적인 부정과 공의 논리의 이중부정의 논박 구조는 차이의 계기이다. 목표에서의 유사성은 논박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철학적 입장이 있음으로 해서 회의주의로 경도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고, 차이는 각각 X에 대한 정의 규정이라는 합리적 지식과 비합리적/직관적 통찰인 중도(中道, Madhyamā Pratipad)의 연기라는 목표로 하는 지식 종류에서의 차이에 있다. 그러므로 엘렝코스와 공의 논리에 대한 상호문화적 읽기는 유사성과 차이의 계기들로 현상하는 사례 차원의 중첩들을 중심으로 하되, 최종적인 목표는 차이의 계기들에도 불구하고 양자 모두 철학을 탐구하는 논증의 방법일 수 있는가 하는 것을 입증하는 데 있게 된다.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 을 통한 소크라테스 논박술의 재해석: 철학과 삶의 기술

        방진하(Bhang , Jin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이 논문의 목적 은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을 오우크쇼트의 ‘대화’ (conversation) 개념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논박술이 가진 ‘삶의 기술’로서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에 있다. 플라톤의 대화편『고르기아스』에서 칼리클레스는 삶을 살아가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서 연설술(rhetorik e)을 옹호하면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쑥덕공론으로 몰아붙 인다. 이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연설술을 기술(techne)이 가진 자격 요건에도 못 미치는 아첨이라고 폄하하면서, 자신의 철학이야말 로참된 정치술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기술의 성립요건에 비추어 논박술이 가 진 기술로서의 성격을 알아보고, 논 박술이 대화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이해’를 통하여 실재를 추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삶의 기술’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한 편, 인간의 자기 이해를 존중 한다는 점에서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은 소크라 테스의 논박술을 현대적으로 계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우크쇼트가 목소리들의 관계와 자아의 상상 활동에 초점을 두어 강조하는 ‘대화’ 개념에 비추어 논박술을 재해석해봄으로써,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과 오우크쇼트의 대화가 ‘삶의 기술’로서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 석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Socrates’ elenchos as a techne for life in viewpoint of Oakeshott’s conversation. This reinterpretation aims to explore possibilities which two thinkers might share a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that philosophy as an activity would arouse to interlocutors. According to Socratic elenchos, knowledge is always relate 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while an oratory or a rhetoric skill just intends to persuade the crowds in pursuit of success or reputation. In viewpoint of Oakeshott’s poetic conversation which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Socrates’ elenchos can be reinterpreted as a good example of Oakeshott’s conversation. While So crates’ elenchos always seeks for an “eidos of dikaiosyne” , poetic conversation does not seem to follow any destination which is fixed as a common good or final end. Withoutstanding this difference, the philosophical asp ect of conversation suggests that poetic conversation provides freedom for self which postulates a ‘better’self - understanding by making h is own images and enjoy them.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elenchos

        이윤철(Lee, Yoon Cheol) 한국서양고전학회 2016 西洋古典學硏究 Vol.55 No.1

        플라톤은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구축하는 데 있어 소크라테스라는 캐릭터를 대화의 맥락 안에서 사용하며, 그 안에서 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철학적 주제들에 대해 여러 대화상대자들과 논의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되 반복적으로 자신의 무지를 인지하고 강조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소크라테스의 논의는 스스로 안다고 믿는 자들을 상대로 하여 교차적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대화의 형식으로 그들을 면밀히 따져보는 일, 즉 엘렝코스elenchos로 실천되며, 그들이 실상 무지하다고 드러나는 경우, 그들의 무지를, 아울러 이로 인해 그들이 어떠한 심적 지향성을 가지는지를 분명히 드러내 보이고자 시도한다.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가 수행되기 위한 기반으로서의 앎과 그 결과로서의 유용성 그리고 그것의 실천 방식을, 기술은 앎에 수반되어야 한다는 주지주의 원칙의 세 조건, 즉 지향하는 대상에 대한 앎, 대상의 획득되었을 때 야기되는 이로움에 대한 앎, 그리고 대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앎이라는 조건에 기초하여 분석한 뒤, 이로부터 그것이 플라톤 철학에 있어 교육 모델의 필수적인 한 단계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 분석은 엘렝코스가 자신의 무지를 명확히 깨닫고 있는 자가 바로 그 무지의 지에 기대어 실천하는 전문적 기술이며, 이 기술의 실천을 통해 잘못된 교육을 방지하는 간접적 맥락과 철학(변증술)을 마땅히 해야 할 본성적 능력을 갖춘 자를 선별하여 플라톤의 이상적인 사회를 구축하는 목적에 이바지한다는 직접적 맥락에서 공공선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혀낸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는, 플라톤이 (자신 스승에 대한 존경을 표하기 위해서거나 역사적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담기 위해) 초기와 중기에서 철학의 한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사용하다가, (스스로의 철학을 개진하기 위해) 자신의 주된 논점을 펼치는 후기에 들어 포기하는 철학적 방법론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의도하는 철학의 전체적인 체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 한 부분으로서 반드시 요구되는 교육 모델의 한 단계로 이해된다. Establishing his own philosophical ideas, Plato uses Socrates as a main character to lead various types of discussion on many philosophical, particularly ethical and epistemological, issues with his interlocutors in a form of dialogue. Socrates is illustrated to repeatedly professes his own knowledge of ignorance, only practicing a cross-examination in order to test (elenchein) the interlocutors, namely the elenchus (elenchos). As a result of his practice of the elenchus, if the interlocutors turn out to be knowing nothing while having believed to know something, Socrates attempts to show their ignorance and psychological preference.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upon the role of the elenchus as a necessary stage in the model of education in Plato’s philosophy, by analysing it on the grounds of the three conditions of the intellectualist principle: knowledge of object (for and of the practice), knowledge of the benefit from acquisition of the object, and knowledge of the method of acquisition of the object. This analysis shall show that the elenchus is a certain art to be practiced on the basis of knowledge of ignorance for the purpose of the common good for all, by which any chance of mal-education is securely prevented (an indirect merit of the elenchus as a stage in the model of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naturally suitable candidates for the education in dialectic is made for the construction of Plato’s ideal society (a direct merit). In this regard, Socrates’ elenchus is surely believed to take a significant and necessary role of educational model in Plato’s project to establish whole philosophical system, rather than being considered a mere early method that is utilised in the early and middle works (as a portrait of, or in memory of, historical Socrates) but in the end abandoned in the later works (for the expression of Plato’s own philosophical ideas).

      • KCI등재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

        김유석(Kim, Iou-Seok) 韓國西洋古典學會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5 No.-

        이 논문은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 전개된 엘렝코스에 관한 연구이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는 엘렝코스라는 이름으로 대화 상대자의 윤리적 신념과 가치관을 검토한다. 그런데 중기나 후기 대화편에서 플라톤이 철학적 탐구 방법의 문제에 천착했던 것과 달리, 초기 대화편에서는 엘렝코스에 관한 논의를 거의 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는 이것을 그저 ‘탐구’, ‘입증’, ‘시험’, 혹은 ‘논박’의 의미로 사용할 뿐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른바 ‘엘렝코스’라는 이름으로 전개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탐구의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고, 이 방법이 어떤 절차를 통해 수행되며, 그 성공 조건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엘렝코스의 가능 조건으로 제시하는 이른바 ‘솔직함의 규칙’에 주목할 것인데, 이 규칙은 엘렝코스의 목적이 논제와 관련하여 대화자의 윤리적 태도와 삶을 검토하고 교정하는 데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탐구’나 ‘검증’을 의미하는 다른 어휘들보다도 ‘엘렝코스’를 자신의 철학적 실천을 뜻하는 말로 중용했을 때, 그것은 이 용어가 윤리 탐구와 관련하여 인간의 가치를 둘러싼 주관적 측면과 객관적 측면,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 차원을 모두 담아낼 수 있었기 때문임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