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太閤記物 ・朝鮮軍記物の近代

        金時徳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7 No.-

        이 논문에서는 근세의 다이코기물・조선군기물이 “근대화”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근세의 다이코기물・조선군기물은 임진왜란을 주제로 하는 조선군기물과 임진왜란을 제외한 히데요시의 전기인 협의의 다이코기물, 그리고 양쪽을 포함하는 광의의 다이코기물로 나뉜다. 근대가 되자 다이코기에혼 다이코기등의 문헌은 오랜 변천을 거쳐 번각본으로 정착한다. 한편, 근대 이후에도 새로운 다이코기물이 다수 집필된다. 역사소설에서는 와타나베 가테이 등이 광의의 다이코기물을 집필하였고, 그 외의 작가 등도 광의의 다이코기물을 지향한 것 같으나 패전이라는 시대적 요인으로 인해 이를 성취하지 못하였다. 근세에도 에혼 도요토미 훈공기등의 문헌은 광의의 다이코기물을 지향하였으나 협의의 다이코기물로 그친 바 있다. 그 원인은 근세의 목판과 근대의 금속활자 인쇄 간의 경쟁에서 졌기 때문이었다. 한편, 근세 말기에 다수 만들어진 기리쓰케본이나 소형 에혼류, 그 흐름을 잇는 근대의「에혼 다이코기」류나 위인전은 처음부터 협의의 다이코기물을 지향한 것 같다. 이들 문헌은 히데요시의 전례없는 출세를 서민들에게 전하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조선군기물 방면에서는 메이지 초기의 “재흥기” 유행에 편승하여 히데요시의 세계정복담을 담은 이색적인 소설 도요토미 재흥기가 간행되었다. 이처럼, 근세에 큰 인기를 누린 다이코기물・조선군기물은 근대에도 다양한 장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근세와 연결되는 요인이 확인된다. 히데요시라는 인물의 비범한 삶과 전근대 최대의 대외전쟁이라는 두 가지 사건에 대한 근세 일본인들의 공감과 흥미가 그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of three categories' literature on Toyotomi Hideyoshi and Imjin War written in premodern Japan(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There are three types of 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in premodern Japan. One type is on Imjin war and called Chosen gunki mono. On the other hand, th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fall into two types which cut off or contain Imjin war. In Meiji Japan, some pieces such as Taikouki and Ehon Taikouki were reprinted in various ways, but new pieces were written too. In the field of historical fiction, some writers such as Watanabe Katei wrot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which also contain Imjin war. It seems that some famous writers such as Yoshikawa Eiji and Siba Ryotarou also wanted to writ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which also contain Imjin war. But, because of japanese defeat in WWII, they were banned from achieving the end. There exists the same case In premodern Japan. It seems that some pieces of Taikouki mono like Ehon Toyotomi Kunkouki were aimed to b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containing Imjin war also. But the Meiji Restoration and following modernization of Japan frustrated it. On the other hand, kiritsukebon and illustrated books of small size made vastly in the 19th century, Ehon taikouki and biographies in modern Japan were made as the type cutting off Imjin war from the beginning. The goal of these pieces was to report the unusual success of Toyotomi Hideyoshi to girls and boys. Finally, on the part of Chosen gunki mono, a notable novel Toyotomi Saikouki was published in Meji Japan. In this novel, Toyotomi Hideyoshi, called as the Napoleon of the East, conquers all over the world and the hell. As above, 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which have enjoyed popularity among people in premodern Japan evolved in various forms in modern Japan. The popularity of premodern/modern 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comes from the same factor; japanese people's love for the extraordinary life of Toyotomi Hideyoshi, and Imjin war which was the most great war against foriegn countries in the history of premodern Japan.

      • KCI등재

        기획논문 : 이국합전군기를 둘러싸고: < 살류군기(薩琉軍記) >와 < 조선군기(朝鮮軍記) >

        메구로마사시 ( Meguro Masashi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4 No.-

        근세 중기 이후 다수의 이국합전군기가 생산되고 향수되어 왔다. 이 군기들이 묘사한 이야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으로부터 시마즈씨의 류큐 침공, 도쿠가와 막부와 기리시탄(キリシタン)과의 전쟁에 이르기까지 일본 내의 소란으로 부터 대외 전쟁으로 변용해 가는 ``역사``를 묘사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제작·향수되어, 근세 일본에 있어서의 환일본해(環日本海, 동해)를 둘러싼 이국합전담을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이국합전군기는 에도시대에 널리 전파된, 이국과의 합전을 알기 위한 ``역사``이면서, 더 나아가서는 당시 대외 시책이 어떻게 이해되고 향수되어왔는가를 알기 위해 빠트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 살류군기(薩琉軍記) >는 역사서로서 읽히고 향수되어 왔다. 이것은 에도 중기 대외 정세가 시시각각 변화해가는 시대 상황에 응한 것이다. 이 시대 상황이 침략 언설의 유포와도 연결되어 있고, 근세 중기 무렵부터 이국을 의식한 언설이 움터가며, 막부 말기에 다시 이러한 언설이 산출된다. 현재 동아시아에 있어서 일본의 시각이 질문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텍스트는 동아시아 문학권으로부터 다시 읽혀야만 하는 작품군이며, 기존 연구의 틀을 해체하기 위해서도 더욱 종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살류군기 >·< 조선군기 >에 묘사된 류큐 침략, 조선 침략 이외의 역사인식도 또한 다양하게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고대부터 근대까지 전쟁에 관한 언설을 종합적·학제적으로 살피지 않아서는 안 된다. ``군기(軍記)``·``군서(軍書)`` 등의 범주 속에서는 이미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장르나 시대구분을 넘은 역사 서술로서 통시대사적인 연구 대상을 다룰 필요성이 있다. 이국합전군기는 다양한 역사서술을 고찰하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Many accounts of joint foreign wars were produced and enjoyed after the medieval period. The narratives described in these war accounts start from the Toyotomi Hideoyoshi`s Invasion of Choson and the Satsuma Clan`s invasion of Ryukyu to the war between Kirishitans (Christian) and Tokugawa Bakufu, describing the "history" of internal turmoil in Japan changing to that of foreign wars. These were produced and enjoyed in a similar period, modern Japan, where a discourse on the foreign joint wars in the Sea of Japan (Yellow Sea) was created. Accounts of joint foreign wars were widely circulated in the Edo period as ``histories`` for knowing foreign countries and joint wars, and therefore should not be neglected for knowing how foreign policy at the time was understood. Satsu-Ryu Gunki (Account of the Satsuma-Ryukyu War) was read and enjoyed as a historical text. This was in response to changing times in the mid-Edo period`s foreign policy situation. The situation of this period was linked to the spread of the rhetoric of invasion with the growth of awareness of foreig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mid-modern period, and this rhetoric was again produced in the late bakufu period. Currently in East Asia, as the Japanese perspective is being questioned, these texts need to be read again as a corpus of the East Asian literary sphere, and can be said to demand more comprehensive studies in order to break the existing paradigm in the extant literature. Aside from the invasions of Ryukyu and Choson described in Satsu-Ryu Gunki and Chosen Gunki (Account of the Choson War), since historical perception is changing in diverse ways, rhetoric on war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period must be examined in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methods. They cannot be explained within the category of military accounts and military writings. There is a need to treat them as diachronic histories, historiographies that transcend genre and time period divisions. Investigating accounts of foreign joint wars as diverse historiographies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에혼조센군키(繪本朝鮮軍記)』의 번각과 〈조선군기물〉연구

        박찬기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2 비교일본학 Vol.27 No.-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조선 침략전쟁(임진왜란 정유재란)을 소재로 한 일 련의 작품군이 일본의 근세기에 다수 저술되었다. 17세기 초에 성립된 『조센세이바 쓰키(朝鮮征伐記)』, 18세기 초에 성립된 『조센다이헤키(朝鮮太平記)』와 고조루리 『조센다이헤키(朝鮮太平記)』, 『조선군키다이젠(朝鮮軍記大全)』, 그리고 19세기 초 기에 성립된 『에혼조센군키(繪本朝鮮軍記)』, 중기에 성립된 『에혼조센세이바쓰키 (繪本朝鮮征伐記)』등이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소재로 하여 성립된 문헌을 조사해 보면, 히데 요시의 출생에서 일본 전국통일의 과정에 주목하여 기술된 것과, 히데요시의 조선침 략 전쟁과 그의 사망에 이르는 과정을 기술한 것 등 더욱 다양한 형태의 문헌이 존 재한다. 전자를〈태합기물〉, 후자를 〈조선군기물〉이라 칭하고 있다. 또 〈태합기 물〉도 『다이코키(太閤記)』와 같이 히데요시의 출생에서 천하통일의 과정, 임진왜란 의 기술 등을 다룬 넓은 의미의 〈태합기물〉과 임진왜란의 기술을 생략한 협의의 〈태합기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에혼조센군키(繪本朝鮮軍記)』는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전쟁에 취재한 〈조선군기물〉에 속하는 것으로 요미혼(讀本)으로 성립된 작품이다. 에도 후기에 성립된 『에혼조센군키(繪本朝鮮軍記)』를 비롯한 일련의 〈조선군기 물〉작품에는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전쟁이 초래한 전쟁의 피해나 황폐, 기아의 참상 보다는 히데요시의 비천한 출신으로 성장하여 천하를 통일하고 외국(조선)까지도 침 략한 도량이 넓은 영웅담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에도후기의 작 품에 묘사되는 히데요시의 입지전적인 영웅담의 창출에 힘입어 독자층이 확대되고 다양한 〈조선군기물〉의 작품이 성립되기에 이른다. 이어서 에도 후기에 성립된 다케우치 가쿠사이 작 『에혼다이코키』의 영향을 받 아 명치 이후 성립된 일련의 〈조선군기물〉작품군 『에혼조센군키』에도 히데요시 의 영웅담은 그대로 전승되고 있어, 명치 이후 히데요시 인물상의 정착에 크게 기여 하고 있다.

      • KCI등재

        『에혼조센군키(繪本朝鮮軍記)』의 연구

        박찬기 한국일본어문학회 2012 日本語文學 Vol.52 No.-

        豊臣秀吉による日本の朝鮮侵略??を題材にした一連の作品群「朝鮮軍記物」といわれるものが、日本の近世期に??な形で成立、流布、上演されていった。その中、?本として成立された『?本朝鮮軍記』(1800年)は十?十?で、??を入れて朝鮮侵略??を描いている。目次の?容からすると、大きく??の場面の記事と特殊な場面の記事とで分けられる。「朝鮮軍記物」の嚆矢といわれる小?甫庵の『太閤記』(1625年)と『?本朝鮮軍記』の??の場面の記事とを比較してみると、若干の落差が考えられる。それは、『太閤記』を始めとする多くの「朝鮮軍記物」が、??の場面の描?において、〈豊臣秀吉の?威〉、日本の〈武威の優越性〉、朝鮮の〈武威の軟弱性〉についての描?が目立つ。それに比べて『?本朝鮮軍記』は比較的に?史的事?に基づいた場面描?になっていて、若干の相違が認められる。しかし、『太閤記』を始めとする「朝鮮軍記物」の作品には、一貫して豊臣秀吉の朝鮮侵略行?が〈神功皇后の三韓征伐〉の??を受容、結付けることによって、その侵略行?が正?化されるイデオロギ?として利用されているのである。このような趣向は、日本近世期における?朝鮮認識の一?であり、日本の〈神?意識〉の表出なのである。『?本朝鮮軍記』にも部分的ではあるものの、このような?本作者の創作の近似性が?取れ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