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피폭된 신체와 고통: 한국인 원폭피해자를 중심으로

        이은정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3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exposure to atomic bomb and suffered physical and social pains, but who have been denied their existence and have been structurally forced to silence. South Korea has been liberated from colonial rule through atomic bombs, but the experience and pains of atomic bomb victims have been invisible and their silence has been established as a survival strategy because it was more advantageous for them to hide their identities. They had to face helplessness because for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the dangers of nuclear weapons penetrated into their bodies which could not be neutralized. The pains of August 1945 are carved in the bodies of these atomic bomb victims and their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re no exception. Korean atomic bomb victims had moved from Colonial Joseon to Japan for survival, experienced exposure to atomic bombs in Hiroshima and Nagasaki in 1945, returned to Joseon and became “citizens” in Joseon. The pains of the social and physical bodies of Korean atomic bomb victims casted by these special conditions are highly social. This study was designed to socialize the pains of Korea atomic bomb victims who experienced the pains of social and physical bodies created by special historical conditions through their testimonies and to help expand the area of empathy with civil society. 인간의 역사상 최초로 피폭을 경험하고 신체적·사회적 고통을 당했지만,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그 존재를 부정당하고 침묵을 구조적으로 강요받아온 집단이 있다. 원폭을 통해 식민지에서 해방된 신화가 존재하는 한국에는 원폭피해자의 경험과고통은 비가시적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고, 그들은 정체를 드러내지 않아야 유리했기때문에 침묵이 생존전략으로 구조화되었다. 인류역사상 최초로 핵의 위험이 개인의신체 내부로 침투하여, 무화시켜낼 수 없는 무기력함을 마주해야 했던 존재들이다. 원폭피해자들의 몸에는 1945년 8월이 고스란히 새겨져 있고, 원폭피해자 2세, 3세들도예외일 수가 없다. 식민지 조선에서 생존을 위해 일본으로 이주, 1945년의 히로시마그리고 나가사키에서의 피폭 경험, 원폭 투하 이후 조선으로의 귀환, 피폭의 주체로서귀환한 조선에서 ‘국민’이 되는 과정 등과 같은 특수한 조건이 주조한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사회적·물리적 신체의 고통은 지극히 사회적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역사적으로 특수한 조건들이 만들어 낸 사회적·물리적 신체의 고통을 경험한 한국인 원폭피해자들의 증언을 통해 이들의 고통을 사회화시키고, 시민사회와의 공감의 영역을확장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기획되었다.

      • KCI등재

        특집논문 : 핵에너지의 공포와 매혹: 한국인의 핵 경험과 기억의 정치

        유기쁨 ( Ki Bbeum Yoo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8 No.28

        1945년 7월 16일 미국 로스앨러모스에서 인류 최초의 핵 실험인 ``트리니티(trinity)``가 성공한 이래 인류는, 나아가 지구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른바 핵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핵 시대의 인간은 모두가 핵에너지의 잠재적 영향권 아래 들어가 있지만, 핵에너지에 대한 일반인의 지식은 매우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오감으로 파악할 수 없는 미지의 힘인 핵에너지의 영향력을 신체적으로 경험한 사람들이 있다. 이른바 ``피폭자들``이다. 핵 시대가 열린 1945년에 이미 한국인들의 핵 경험이 시작되었다. 곧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수만 명의 한국인들이 원자폭탄에 피폭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사회적으로/공식적으로 기념되는 장에서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핵 경험 및 그에 대한 기억은 일관되게 배제되면서 드러나지 않았다. 그들의 핵 경험과 기억은 개인이 감당해야 할 ``업``으로 희석되어왔을 뿐이다. 이러한 외면과 배제의 경향은 단지 원폭피해자들에게 국한되어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다. 한국사회에서는 피폭의 기억이 일관되게 봉인되어 왔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핵``과 관련해서는 개인적으로 기억되는 것과 사회적으로 공적 영역에서 기념되는 것이 뚜렷하게 대조를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핵에 관한 사회적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에도 기억의 정치가 작동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 글에서 나는 한국인의 핵 경험과 관련해서 기억의 정치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해왔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본문의 II장에서는 핵의 매혹과 공포의 기억이 생산, 유포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III장에서는 고통의 기억과 대립되는 다른 기억을 생성하고 기념함으로써 상황의 무참함에 대한 감각을 무감각하게 만들어버리는 시스템을 ``핵 시대의 희생제의``로 명명하고, 계속 희생물을 필요로 하고 또 희생물의 고통을 요구하면서도 이를 보이지 않게 만드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When Nuclear Ages began in 1945, Nuclear experiences of Korean people also started, because tens of thousands Koreans were suffered by nuclear bombing in Hiroshima and Nagasaki. However, the experiences of Korean victims of atomic bombs have not become part of the social memory shared by Korean society, but fragmented as a kind of ``karma`` which should be endured by individual victims. Those tendencies to disregard for and removal of Koreans` immediate experiences of nuclear energy has not been restricted just to victims of atomic bombs. In Korean society, the memories of radiation exposure experiences were consistently supressed. At the least as to ``Nuclear Energy``, we can find the distinct contrast between individual recollections and social memories officially commemorated in public spheres. From this, we can suppose that there has been worked out a kind of politics of memory. Bear these in mind, I critically analyzed the working of politics of memory as to the nuclear experiences of Koreans. In Chap. II, I traced the course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mories of nuclear attraction and fear in Korean society. In Chap. III, I named the system as ``Sacrifices in Nuclear Ages``, which produces and memorizes the attractive memories of Nuclear Energy other than the painful experiences of people and consequently makes people insensitive to those miserable situations, and look deeper into the phenomena where the nuclear system continually requires of sacrificial offerings and yet makes all the system unvisible.

      • KCI등재

        원폭과 이주 : 한국 원폭피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은정(Lee, Eun Jeo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7 No.-

        식민지 조선인은 비참했던 정치・사회적 생태계 안에서 맞닥뜨린 생존과 실존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부단한 이동’을 삶의 전략으로 선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인의 이주 경험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의 이동을 추동한 거시적・미시적 차원의 배경, 이주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적 양상과 문화적 의미를 파악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주목하고자 하는 대상은 한국인 원폭피해자들이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 하에서 현실적 실존을 위해 도일(渡日)을 선택했으나 1945년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인한 피해를 구조적으로 경험하면서 다시 조선으로 귀환하여 정착한 집단을 가리킨다. 이주의 관점에서 한국인 원폭피해자를 연구하게 된 배경은 이들이 식민지기의 디아스포라적 월경(越境), 해방 직후 모국으로의 귀환, 치료 목적의 반복적 도일(渡日), 그리고 재정착의 과정 등에서 ‘뿌리 뽑힌’ 고통을 경험한 역사적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이주 경험을 검토하기 위해 구술생애사 인터뷰 자료와 구술채록 자료집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연구 질문은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인의 구체적인 이주・귀환 과정과 경로, 그리고 거시적・미시적 차원의 배경을 삶의 맥락 안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주실천의 과정에서 포착되는 문화적 실천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The people of Joseon were exposed to a miserabl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during the colonial era, and many chose to constantly be on the move as a means to counter the challenges they faced to survive and exist.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colonized peopl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backgrounds behind their drive to migrate, while elucidating specific aspects and cultural impacts during their migration process. This study took a specific interest i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These were people that had migrated to Japan during the annexation as a way to survive but experienced after surviving the nuclear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in 1945, then migrated back to Joseon. The background behind conducting a study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through the lens of migration is that they were historical figures as uprooted people who experienced a diasporic border crossing, returned to their motherland after liberation, and went repeatedly back and forth to Japan for treatment while trying to resettle in their motherland. Interview data on the oral narratives and oral transcripts were utilized to research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thes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as much as possible. Two main questions were ask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the author tried to find the specific process and route the people of Joseon took while migrating to Japan and back during the Japanese annexation period while trying to find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backgrounds behind the migr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personal lives. Second, the author tried to uncover the cultural practice aspects that were captured during the actual process of migration.

      • KCI등재

        원폭피해자 1, 2, 3세대들의 삶의 경험과 원폭피해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유병선(Byungsun Yoo),김성희(Sunghee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3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iv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irst generation and their descendants of Korean atomic bomb victims caused by the atomic bombs dropped on Japan in 1945.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atomic bomb survivors in total (five first-generation atomic bomb survivors and eight descendants of atomic bomb survivor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first generation and their descendants of the atomic bomb survivors were derived. Both the first generation of atomic bomb victims and their descendants recognized themselves as victims, which confirmed that the damage wa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in terms of health and economics. Accordingly, this paper discusses the urgency of supporting the first generation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the restoration of honor, as well as the need for a clear investigation of the facts related to the descendants of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atomic bomb victims at the national level and take a social interest.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guarantee their rights and welfa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