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의 복합상업공간 플랜테리어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양채원,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기술 발달에 의한 편의성 향상과 환경적 제약으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 증가와 환경에 대한 이슈가 높아지며 실내 환경의 쾌적성 강화와 관련된 식물을 활용한 공간디자인 스펙트럼이 확장되었다. 특히 이용객들이 집객 되는 복합상업공간에서 플랜테리어는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식물 활용은 소비자들에게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차별화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전략적 플랜테리어 계획이 가능하도록 복합상업공간에서 플랜테리어의 특성을 도출하고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하는 공간 가치 창출을 위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공간디자인에서 식물이 주는 영향력은 공간가치를 배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플랜테리어의 개념 파악과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연출요소를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 도출 후 세 가지 플랜테리어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세 가지 세부요소로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복합화를 이루며 진화하는 국내 복합상업공간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거쳐 플랜테리어 특성을 고찰하였다. (결과) 플랜테리어의 기능적 특성은 세부적으로 쾌적성, 장소성, 매개성으로 감성적 특성은 감각성, 관용성, 연상성으로 환경적 특성은 친환경성, 연결성, 순환성으로 도출되었다. 사례분석 결과 기능적 특성은 시각적으로 여유로운 개방감과 쾌적한 공간 연출로 체류 시간 연장을 유도하며, 공간의 수평·수직적 연결로 매개성을 갖게 하여 이용객들의 유입을 유도하고 있었다. 감성적 특성은 플랜테리어의 연출로 소비자의 감각을 확장하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하며, 계절 변화를 나타내는 식물의 연출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 같은 간접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환경적 특성은 도시환경 미관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소재의 사용과 살아있는 식물의 주기적인 교체로 분위기를 전환하고 있었다. (결론) 복합상업공간에서의 플랜테리어 특성은 소비자들에게 기능적, 감성적, 환경적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플랜테리어 연출 시 소비자 욕구에 기반하여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앞으로 플랜테리어는 공간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로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바, 복합상업공간에서의 플랜테리어 계획 시 본 연구가 전략적 접근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플랜테리어 디자인 연구

        안승원 ( Ahn Seungwon ),정준현 ( Jeong Jun Hyu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1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실생활 환경인 주거공간에서 식물의 공기 정화능력 이 어떤 효과를 보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용면적 129.78㎡의 아파트 3개호를 대상으로, 거실 공간(115.6㎥)에 한정하여 식물 유ㆍ무에 따라 공기질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례A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사례B, C는 PM10, PM2.5, PM1.0의 영역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1)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2) 실내공간의 식물설치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는 실내 환경 조건과 실내의 청결도와 집기의 양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보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플랜테리어 디자인으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그중 실증적 실험을 통하여 수직벽면 디자인 방법을 실험하여 제언하였다. 또한 실내식물의 유형에 따라 유지관리 방법을 제언하였다. To verify the types of effects that plants have in our general living conditions, I examined an air quality in living rooms of the three, 129.78m<sup>2</sup> size, apartments that were with and without plant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addressed below. 1) Experime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 A. However, in Case B and Case C, the standard deviation of PM10, PM2.5 and PM 1.0 verified that eac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differences. 2) It is believe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particle matters due to the installation of plants in the indoor space is to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leanliness of the room, and the amount of furniture and may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daily dietary cooking method.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lanterior will not only reduce indoor fine dust, but also reduce the psychological comfort and eye fatigue of the residents. Nevertheless, supplementary research is needed. 3) In the planterior design for reducing indoor particle matters, various measures were examined. Among them, the vertical wall design method was tested and suggested through empirical experiments. In addition, maintenance methods were proposed depending on the type of indoor plant.

      • 반려식물 케어 및 스타일링 경험 개선에 관한 연구: 스마트한 홈 가드닝 라이프 통합 서비스 제안

        권민주(Minju Kwon),이진성(Jin Sung Lee),김환주(Hwan ju Kim),전성진(Seongjin Jeo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1 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로 반려식물과 플랜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려식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나, 동시에 식물 관리의 어려움과 반려식물을 통해 정서적 만족감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 니즈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제공되는 식물 관련 서비스는 사용자의 구체적인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부분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식물 케어와 스타일링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안한다.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을 활용하여 식물 관리 활동 및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였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과 퍼소나, HMWs 등 UX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 중심의 서비스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건강 추적 칩 데이터를 활용한 AI 챗봇과 자연소재의 온습도계 토퍼 및 앱을 개발하였다. 재배 적합도를 측정하여 환경에 대한 정보와 올바른 식물케어 방법을 알려주고, AI 챗봇을 통해 식물과의 상호작용으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증진시켜준다. 이는 반려식물 키우기에 어려움을 줄이고, 식물 성장 과정에서의 만족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